강원대 삼척 도계캠퍼스 개교로 모처럼 생기가 돌던 도계지역이 경동·석공광업소의 잇따른 감산, 감원 계획이 알려지면서 다시 술렁이고 있다. 지역 인사들은 지난달 30일 조관일 석공 사장을 면담한데 이어 1일 지역 출신으로 국회 지식경제위 소속인 최연희 국회의원을 만나 탄광도시 도계를 몰락으로 내모는 정부의 석탄 감산 정책이 계속된다면 대정부 투쟁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경동·석공광업소 감산으로 도계 일자리 400여개 감소
도계 경동·상덕광업소는 연간 무연탄 생산 100만톤을 내년부터 80만톤으로 줄이고 1,422명의 종업원 중 300여명을 감원키로 했다.
석공도 2008년 1월 도계·장성·화순광업소 채탄량을 119만3,000톤에서 113만톤으로 감산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지식경제부장관 고시가 2년간 유예됐다가 내년부터 시행됨에 따라 감산, 감원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석공은 현재 연간 45만톤을 생산하는 도계광업소의 경우 내년도부터 외부 용역을 통해 채탄해온 11만톤이 감축돼 94명의 외부 용역업체 채탄 종사자를 감원해야 하고, 태백 장성광업소도 6만톤이 줄어 60여명을 감원해야 할 상황이라고 밝혔다.
■지역 경제 붕괴 두고 볼 수 없다
주민들은 도계 인구가 한때 4만5,000명에 육박하던 전성기를 뒤로 한 채 상주 인구 1만명을 근근이 유지하고 있는 마당에 아무 대책 없이 또다시 감산을 하면 도계의 미래는 없다며 생존을 담보로 한 대정부 투쟁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석공 도계광업소의 경우 연간 45만톤의 생산량을 11만톤가량 감산하면 1~2년 안에 광업소 문을 닫는다고밖에 볼 수 없다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오용호 도계개발자문위원장은 “도계지역은 폐광지역특별법에 의한 개발 사업으로 골프장과 강원대 캠퍼스를 유치했으나 이들 대체산업의 효과가 나타나려면 4~5년이 더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런 현실을 반영하지 않은 석공, 경동의 감산 계획은 지역 붕괴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치석 도계지역현안비상대책위원장은 “주민들은 그동안 엄청난 고통을 참아가며 폐광지역특별법을 통한 새로운 도시로 거듭날 것을 기대하며 정부가 추진해 온 모든 정책에 협조해 왔지만 정부는 주민 기대를 외면한 감산 정책으로 탄광도시 도계 지역을 몰락으로 내몰고 있다”며 “이제 더 이상 내몰릴 곳이 없는 벼랑에서 투쟁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이 지역 전세영 김인배 시의원도 “도계는 지난 3월 강원대 삼척 도계캠퍼스 개교로 모처럼 활력이 돌고 있지만 도계 지역 경제의 버팀목은 아직도 두 개 무연탄 광산”이라며 “아무런 대안 없이 감산, 감원이 이뤄진다면 도계 지역의 공동화는 불 보듯 뻔한 만큼 지역 주민의 뜻이 반영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