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태론이란?
1. 형태론이란 단어의 내적 구조를 밝히는 분야이다.
2. 역사 언어학 : 1) genetic relationships,
2) 형태론적 변화의 본질-구조적인 측면에서 설명하고
적용
3. 언어 보편성
문법의 단위
형태소 : 의미가 있는 최소의 문법 단위
형태소의 종류
실질 형태소 = 어휘 형태소
문법 형태소 = 형식 형태소
자립 형태소
의존 형태소
유일 형태소
형태소의 확인 : 계열 관계와 통합 관계를 통해 형태소를 확인할 수 있
다.
Nida의 분석 방법
1) 나타나는 모든 경우에 의미론적 변별성을 공유하며 동일한 음소적 형
태들은 단일 형태소를 구성한다.
2) 의미론적 변별성을 공유하나 상이한 음소적 형태를 가질 때 형태상의
차이를 음운론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면 하나의 형태소로 구성할 수 있다.
intangible, impossible, incompatible
3) 의미론적 변별성을 공유하나 음소적 형태가 상이하여 그 분포를 음운
론적으로 정의할 수 없을 때 만약에 그 형태들이 상보적 분포를 이루고 있
다면 그들은 단일 형태소를 구성한다. 영어의 복수형 : roses, oxen
4) 어떤 구조적 연속에서 표출된 형태상의 차이는 만약 그 연속 가운데
어떤 구성원에서 그 표출된 형태상의 차이와 영의 구조적 차이가 음성적-의
미론적 변별성의 최소 단위를 식별하는 유일한 자질일 때 그와 같은 형태상
의 차이는 형태소를 구성한다.
foot-feet
5) 음이 동일한 형태들은 다음과 같은 조건에 따라 동일 형태소, 혹은
별개의 형태소로 구분된다.
a) 음이 동일한 형태들로서 분명히 그 뜻이 다른 것들은 별개의 형태
소를 구성한다.
b) 음이 동일한 형태들로서 의미상 관련이 있는 경우 만약에 그 뜻의
부류가 분포상의 차이와 일치하면 그들은 단일 형태소에 속하며, 만약 뜻의
부류와 분포가 일치하지 않으면 별개의 형태소에 속한다.
6) 형태소는 다음과 같은 조건하에 나타나면 독립한 형태소로 인정할 수
있다.
a) 단독으로 나타날 때
b) 여러 경우에 복합적인 상태로 나타날 때 그것과 결합한 단위가 단
독으로 나타나거나 혹은 다른 것과 결합한 상태로 나타날 때 dancer에서 -
er
c) 단 하나의 복합형으로 나타나는 경우 그것과 결합한 단위가 단독으
로 나타나거나 혹은 비 단일형의 성분과 결합할 때 cranberry, 박쥐
형태소와 이형태
음운론적으로 조건화된 이형태
형태론적으로 조건화된 이형태
굴절과 파생
1) 파생은 새로운 어휘소를 만드는 과정이고, 굴절은 주어진 어휘소의
어떤 형태를 만드는 과정이다.
2) 파생은 문법 범주를 바꾸는데 굴절은 그렇지 못하다.
3) 파생은 생산성이 낮은데 굴절은 생산성이 높다.
4) 파생접사가 굴절접사에 비해 어간에 가까이 놓인다.
5) 굴절 접사의 적용은 의무적인데 비해 파생접사의 첨가는 수의적이다.
6) 파생접사는 무한한 무리를 이루는 반면 굴절 접사는 한정되고 정해진
무리를 이룬다.
7) 파생은 형태론 고유의 과정으로 어휘부에서 일어나며, 굴절은 통사부
에서 일어나는 과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