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우리산줄기이야기(금북정맥편)
□. 우리산줄기의 이름
아래에 나오는 산줄기 명칭은 백두대간과 정맥은 산경표에서 정의한대로 일치를 시켰으며 19기맥은 100km 이상되는 산줄기와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 산줄기로 산경표의 원리대로 온전한 강줄기의 울타리를 치고 있으면 강줄기의 이름을 사용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대표적인 산이나 지명을 차용하여 내 나름대로 원칙에 충실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여 이름을 지었다
대간이나 각 정맥 기맥에서 분기된 30km이상 100km미만인 산줄기인 지맥과 아래에 나오는 산줄기 명칭은 백두대간과 정맥은 산경표에서 정의한대로 일치를 시켰으며 18기맥은 100km 이상되는 산줄기와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 산줄기로 산경표의 원리대로 온전한 강줄기의 울타리를 치고 있으면 강줄기의 이름을 사용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대표적인 산이나 지명을 차용하여 내 나름대로 원칙에 충실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여 이름을 지었다
대간이나 각 정맥 기맥에서 분기된 30km이상 100km미만인 산줄기인 지맥과 10km 이상 30km미만인 단맥은 어느 하나의 물줄기 가름이 정확하지 않고 여러개의 물줄기를 거치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그 흐름도 산줄기의 이름으로 사용하기에는 미미한 경우나 인지도가 현저히 낮아 주로 대표산의 이름을 차용해 지었으며 특수한 경우 지방 이름을 차용하여 지었다
10km 미만인 여맥은 그 이름을 일일이 나열하기가 너무 번거로워 생략을 하거나 특별한 경우만 00여맥이라고 표현을 하였다
□. 산줄기의 격
대간이나 정맥을 제외한 산줄기에 격을 둠은 모든 산줄기를 단순히 기맥이라고 한다든지 지맥이라고 한다든지 할 경우 산줄기 이름만 들어서는 과연 그 산줄기가 어디에서 분기하였으며 어느 정도의 흐름을 가지고 있는지 도저히 짐작을 할 방법이 없다
산경표에서도 대간 정간 정맥으로 그 산줄기의 부모형제의 관계를 설명하려 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그보다 더욱 복잡하고 천태만상인 기맥 이하의 산줄기를 단순히 하나의 항열로 부른다면 많은 혼란을 초래할 것 같아 그 뿌리를 밝히고 항열을 밝히고자 함이다
그래서 백두대간이나 정맥을 제외한 100km 이상의 산줄기나 어떠한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산줄기를 기맥으로 정의를 하고 그 대간이나 정맥 기맥을 주맥으로 보고 그 주맥에서 분기된 지맥을 표현할 경우 그 조상의 이름을 앞에다 놓아 그 산줄기가 어디서 왔는지 표현하려 했다
예를 들면 경북 문경시에 운달산이라는 그 지방 명산이 있는데 그 산이 속한 산줄기 이름을 지을 경우 우선 백두대간에서 분기가 되었으니 우리산줄기의 조종인 “백두”를 가져오고 그 다음으로 그 산줄기중 가장 유명한 산이 운달산으로 추정이 되므로 “운달”을 가져와 연결해서 부르면 “백두운달지맥”이 되는 원리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즉 “백두대간 대미산에서 운달산으로 연결된 30km 이상 100km 미만인 산줄기구나” 하고 해석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정맥과 기맥에서 분기된 지맥은 백두대간과 정맥과 기맥을 조상으로 생각을 하고 우선 그 백두나 정맥이나 기맥 이름을 앞에다 가져오고 그 다음 그 산줄기에서 가장 유명한 산 이름이나 특수한 경우 지방 이름을 가져온다
예를 들면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천마산 줄기를 이름 짓는다면 우선 조상격인 한북정맥에서 분기했으니 “한북”을 가져오고 다음에 그 산줄기중 가장 유명한 이름이나 특수한 경우 그 지방 이름을 가져온다
그래서 그 산줄기 중 가장 유명한 산이 천마산으로 추정이 되므로 “천마”를 가져와 이름이 “한북천마지맥”이 되는 것이다
즉 “한북정맥에서 천마산으로 연결된 30km 이상 100km 미만인 산줄기구나”하고 해석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특수한 경우를 예를 든다면
한강영월지맥 한강정맥(기맥)이 서진하면서 계방산 가기 전 도면상 1462봉어깨에서 남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니 시종일관 남진하면서 강원도 영월읍에서 동강과 서강이 만나 남한강이 되는 특별한 의미를 줄 수 있는 산줄기
낙동안동지맥 낙동정맥이 칠보산을 거쳐 남하하면서 쇠재에서 깃재(귀재)로 가던중 무명 헬기장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영양의 진산 일월산을 지나 산줄기의 대부분이 안동땅을 지나가며 대한민국의 유수한 바다와 같이 너른 안동호와 임하호를 가르며 안동땅에서 낙동강물이 되는 특별한 의미를 줄 수 있는 산줄기
그 외 호남화원지맥, 호남여수지맥 등이 있다
단맥이라 함은 마찬가지로 대간 정간 정맥 기맥 지맥 모두에서 분기하여 10km이상 30km 미만인 산줄기를 말하며
위와같은 논리로 한북천마지맥 주금산에서 분기하여 축령산으로 뻗은 산줄기를 한북천마축령단맥이라고 이름지을 수가 있는 것이다 즉 “한북천마지맥에서 축령산으로 연결된 10km이상 30km 미만의 산줄기구나” 하고 해석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여맥이라 함은 모든 산줄기에서 분기한 10km 미만인 산줄기를 나타내며 아주 짧은 경우 생략을 하고 분기된 그 산줄기에 있다고 설명을 하였으며 그 산을 특별히 나타내고자 할 경우에 한해 예를 들어 한북천마지맥에서 동쪽으로 분기된 운길산을 위와같은 논리로 이름을 짓는다면 한북천마운길여맥이라 부를 수가 있는 것이다
□. 산줄기의 순서
정맥과 기맥이 대간에서 북에서 남으로 분기된 순서대로 “편”으로 분리하여 이야기를 하고 거기에서 분기된 지맥 분맥 단맥등을 분기점에서 순서대로 기술을 하고 또한 정맥에서 분기된 기맥은 그 분기된 정맥 다음으로 분기점에서 순서대로 기술을 한다
01)백두대간 02)한북정맥 03)한탄기맥 04)한북기맥 05)소양기맥 06)한강정맥(기맥) 07)홍천기맥 08)치악기맥 09)낙동정맥 10)팔공기맥 11)위천기맥 12)비슬기맥 13)형남기맥 14)내성기맥 15)한남금북정맥 16)한남정맥 17)금북정맥 18)금북기맥 19)가야기맥 20)진양기맥 21)금남호남정맥 22)금남정맥 23)금남기맥 24)호남정맥 25)영산기맥 26)땅끝기맥 27)고흥기맥 28)낙남정맥
단 위의 산줄기의 분류는 아직은 공식적인 잣대가 없으니 내 나름대로의 원칙을 가지고 산경표의 원리에 충실하려고 최대한 노력한 분류방법임을 밝힌다 물론 앞으로 공식적인 기관에서 산줄기 이름을 짓는다면 추후 그 이름을 따를 것이며 이보다 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이 있다면 그에 따를 것이다
산림청 선정 100대명산 높이는 한국의산하에 올라온 자료에 의해 그 높이를 기록했으며 그 외의 산들은 기타 문헌이나 5만분의1지형도에 표기된 높이로 기록했다
산높이가 표시되지 않은 산들은 역시 5만분의1지형도 등고선 평균 높이를 기록하였으므로 다른 문헌이나 인터넷 정보와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말씀드리고자 한다
또한 산줄기의 분기점은 변하지 않으나 그 끝나는 지점은 원칙적으로 제일 긴 산줄기를 따라 갔으나 어느 유명한 산이나 천이나 강의 울타리 또는 합수점을 찾아가기 위해서 짧은 줄기를 택한 경우도 있고 고만고만한 산줄기가 여럿 있을 경우 제일 큰 동네로 갔으나 그렇지 않을 경우 내 임의대로 선택을 하였다
□. 참고사항
여기서 산의 격을 구분짓는 00km란 거리는 5만분의1지형도를 맵자로 잰 거리이므로 재는 방법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100km, 30km, 10km와 같은 기맥 지맥 단맥 여맥의 경계선상의 수치는 어느 정도 오차가 발생해 추후 산줄기의 격이 틀려질 수 있다
“00산(?000, 00/00)”이라함은 00산(삼각점?높이m, 거리km/거리누계km)를 나타내는 것이다
“00).” 이라는 산줄기 앞의 숫자는 직접 정맥에서 분기한 순서이며 “(00)”이라는 산줄기 뒤의 숫자는 지맥급이나 단맥급 산줄기의 갯수를 나타내는 것임
아래 수체계도를 보면 한남정맥은 1정맥 10지맥 48단맥 59개산줄기 약1505.8km로 이루어진 것을 알수 있다
17. 금북정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일 지형도 도엽명 : 만리포 근흥 서산 당진 홍성 예산 청양 전의 평택 진천 안성
속리산에서 분기된 한남금북정맥이 경기도 안성땅 칠장산까지 와서 그 소임을 다하고 한남정맥과 금북정맥에 그 자리를 내주어 한남정맥은 용인 인천 김포벌을 누비며 강화대안 문수산에서 그 끝을 바다로 담그고
금북정맥은 남으로 남으로 내려가다가 청양 백월산에서 북진하여 가야산을 빗고 서산 은봉산에서 머리를 서쪽으로 돌려 그 끝을 안흥진 바닷가에 담그는 산줄기를 말하며 도상거리 약 260km이다
그러나 이 금북정맥은 온전한 금강의 북쪽 울타리가 되지 못한다 안흥진서부터 청양 백월산까지의 산줄기는 충청도 서해안 개울을 적시는 정도고 금강하고는 전혀 관계가 없다
도면상 백월산에서 성태산으로 연결되어 장항으로 빠지는 산줄기가 온전한 금강의 북쪽 울타리 구실을 하는 것이다
01. 금북덕성단맥 한남정맥이 안성 칠장산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내려오다 안성시 죽산면, 금광면, 진천시 광혜원면의 삼면지점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덕성산(521, 0.3)- 광혜원산업단지 도로(4/4.3)-17번국도(1/5.3)-194.1봉(1.4/6.7)- 방울미임도(1.6/8.3)-임도 실천이마을-임도-관지미능선을 지나 진천군 이월면 사당리 587번지방도로 미잠교(3.6/11.9)를 지나 구암천이 미호천을 만나는 곳(0.1/12)에서 끝나는 약1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2. 금북무제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진천 음성
금북정맥이 안성 칠장산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경기도와 충북의 경계를 따라 덕성산 무이산 지나 내려선 387번 지방도로 옥정현에서 올라간 등고선상 450m 지점에서 정맥은 서쪽으로 흐르고 진천군 백곡면과 이월면의 경계를 따라 남진하며 武帝산(△574.0, 2.2)-481봉-玉女봉(△455.7, 4.5/6.7)-
△255.8봉(3.2/9.9)-17번국도 원고개(90, 3.7/13.6)-도로-△105.8봉- 21번국도(90, 2/15.6)-중부고속도로(70, 1.5/17.1)로 내려와 △78.2봉- 진천읍 산척리 장척마을(50, 1.3/18.4)을 지나 논두렁길로 진행을 해 진천군 초평면 중석리 덕문이들 백곡천이 미호천을 만나는 곳(50, 2.6/21)에서 끝이나는 약2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3. 금북진령단맥 금북정맥 서운산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안성시 서운면과 금광면의 경계를 따라 315.7봉(3.3)-평택~음성간고속도로 6번군도(3.1/6.4)-제3지방산업단지- 57번국지도-23번국지도-구례리 도로(3.5/9.9)-302번지방도로-23번국지도-평택~음성간고속도로(1.4/11.3)-미양농공단지-23번국지도- 몰왜고개 도로(2/13.3)-안성천문대-문덩굴재도로(1.9/15.2)-도로(2.5/17.7)를 지나 안성시 미양면 강덕리 신릉천과 청룡천이 만나는 곳(0.3/18)에서 끝이나는 약1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1. 금북만뢰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진천 청주
금북정맥이 안성 칠장산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덕성산 서운산 지나 내려간 34번국도 엽돈재에서 살짝 오른 천안시 입장면, 북면, 진천군 백곡면의 삼면 경계점인 등고선상 390m 지점에서 금북정맥은 서남진으로 가고 한줄기를 충북과 충남의 경계를 따라 동남진으로 분기하여 △411.9봉(1.7)-싸리재고개(370)-싸리재(330)-△479.1봉(3/4.7)에서 남쪽으로 鵲城산(497, 단맥)을 떨구고 동진한다
돌목고개(330)-458봉-萬筋산(△612.2)어깨(510, 3/7.7)에서 동쪽으로 만뢰단맥을 떨구고 남진하여 495봉-△482.7봉(3/10.7)-△504.7봉-배성고개- 질고개(390, 3/13.7)에서 서남방향으로 夢覺산(403, 단맥), 徐林산(△316.8, 단맥)을 떨구고 동남진한다
장고개(290)-21번국도 장교현 도로(210, 2.1/15.8)-잔득재(390)- 德裕산(413)-지장골고개(290)-歡喜산(△402.6, 3.2/19)에서 남쪽으로 0.5km 정도 내려간 지점에서 도경계는 서남방향 國師봉(360, 여맥)으로 가고 지맥은 동남진으로 순수한 진천군 문백면을 가른다
덕고개 도로(170, 1.6/20.6)-△173.3봉(4.4/25)-한현도로(130, 2/27)- 234봉-510번지방도로 산수동도로(110)-鶩嶺산(△228.7)어깨(2.2/29.2)- 삽티고개(90, 3.2/32.4)-202봉-234봉(3/35.4)-상봉산(195)- 국사리임도(90, 3.1/38.5)-國師봉(171)-
몽단이고개 경부고속도로(90, 1.3/39.8)-142봉-오산리도로(70, 1.2/41)- 鷹峰산(△175.4, 1.1/42.1)-군졸마을도로- 508번지방도로 들판마을(50, 2.4/44.5)을 지나면서 논두렁 밭두렁을 지나 엽돈재가 발원지인 병천천이 미호천을 만나 미호천물이 되는 곳(50, 2/46.5)에서 끝이나는 약46.5km의 산줄기를 그 산줄기상 최고봉이며 진천과 천안의 주민들의 사랑을 듬뿍 받고 있는 만뢰산의 이름을 빌어 금북정맥에서 갈래쳤으니 금북만뢰지맥이라고 부르고자 한다
우리산줄기로 알아보기위해 산경표 80혈과 82혈을 보면
七賢山 見上七七頁
01)靑龍山 西南來 安城南 分二?-1 (82혈)1-脅呑峙 東南來 鎭川西三十八里 寶蓮山 鎭川西二十里 城山 鎭川治在東七里
금북정맥이 안성 칠현산에서 청룡산으로 뻗어나가 금북정맥은 남쪽으로 흐르고 다른 한줄기를 동남으로 분기하여 진천서쪽 80리에 있는 협탄치에 이르고 진천서쪽 이십리에 있는 보련산으로 연결이 되고 동쪽으로 7리에 있는 진천에서 다스리는 성산으로 연결이 된다
즉 여기에 있는 보련산이 지금의 만뢰산이 아닐까 하는 조심스러운 추측을 해본다
사실 말이 나왔으니 만뢰산의 이름에도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 나와있는 만뢰산의 뢰자라고 쓴 “筋”는 “힘줄근”자가 틀림이 없으나 웬일인지 사람들이 이 글자를 “뢰”라고 읽고 있으니 나도 만뢰산이라고 부르기는 하나 뭔가 지도 제작과정에서 오류를 범한 것 같기도 하고 “筋”이라는 글자를 근 이외에 달리 “뢰”라고 발음을 할 수 있는 글자인 것 같기도 하지만 내가 가지고 있는 옥편은 근 이외의 발음은 나오지 않고 있다
그래서 아마도 퉁소뢰자인 “?” 이글자를 약자로 쓴다고 쓴 것이 아마도 “筋”자로 변해버린 것 같아 무언가 해명이 있어야 할 것 같다
이 내용에 대하여 유종선님의 아래와 같은 댓글이 있어 옮겨봅니다
이제 만뢰지맥 답사에 착수하셨군요. 과거 몇 년간 진천읍 소재 회사에 근무한 적이 있어 진천 일대의 산을 많이 올랐습니다. 만뢰산은 현지에서는 발음의 편의상 만리산으로 부르며, '뢰'는 한자로 '賴'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筋'은 아마도 오기가 아닌가 싶습니다.
만뢰산은 진천군 관내에서 제일 높은 산입니다. 예로부터 '생거진천'이라 하여 진천은 가뭄과 홍수가 별로 없고 토지가 비옥하여 농사가 잘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제 짧은 소견으로는 모든(萬) 생활을 또는 모든 사람이 의지할(賴) 수 있는 山이라는 의미를 부여한 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보탑사는 문화재(보물인 듯합니다)인 '백탑(여기서 '백'은 '아무 글자도 새기지 않은'의 의미입니다)'과 최근에 공들여 지은 대형 3층 목탑이 유명합니다. 다음에 단맥 답사 기회가 있으면 관람해보시길 기대합니다.
일전에 안성산지기님의 지맥 산행기를 보니까 후반으로 갈수록 가시덤불 투성이라던데, 겨울이라서 조금은 사정이 나을 듯합니다. 즐거운 명절 쇠시고 늘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유종선님 가르킴 주셔서 감사합니다
04. 금북만뢰작성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진천
금북만뢰지맥이 금북정맥 엽돈재에서 분기하여 내려오다 싸리재에서 올라친 무명△479.1봉에서 지맥은 동쪽으로 가고 한줄기를 남쪽으로 분기하여 천안시 북면과 병천면의 경계를 따라 482봉-삼성고개(370)-
介竹산(△452.4, 3.1)-435봉-서근배미고개(270)- 鳳凰산(△427.4, 2.5/5.6)-鵲城산(497, 2/7.6)-개목고개(150)- 銀石산(△455.8, 2/9.6)-324봉(1.5/11.1)에서 면경계를 떠나 병천면내로 들어가 동남진하여
上峰산(235, 1.5/12.6) 지나 병천초교 도로(70, 1.3/13.9)로 떨어져 논 가운데길로 진행해 만뢰산에서 발원한 광기천이 병천천을 만나는 곳(70, 1/14.9)에서 끝이나는 약14.9km의 산줄기에 이름이 없어 그 산줄기중 가장 높은 작성산의 이름을 빌어 금북만뢰지맥에서 분기하였으므로 금북만뢰작성단맥이라 부르기로 한다
05. 금북만뢰단맥 종주에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진천 청주
금북정맥이 안성 칠장산에서 분기하여 흐르며 서운산에서 성거산으로 가면서 엽돈재에서 남쪽으로 약0.3km 올라간 천안시 입장면 북면 진천군 백곡면의 삼면 지점에서 동남방향으로 금북만뢰지맥이 분기하여 흐르다가 진천군 백곡면 진천읍 천안시 병천면의 삼면 지점에서 금북만뢰지맥은 남쪽으로 흘러가고 한줄기를 동쪽으로 분기하여 만뢰산 정상을 치닫는다
진천군 백곡면과 진천읍의 경계를 따라 萬筋산(△612.2)-갈미봉-쥐눈이안부-△366봉(3.8)- 胎靈산(450)어깨-동골도로(230)에서 진천읍을 가르며 동진한다 △330.9봉(3/6.8)-文案산(410)을 지나 17번국도 잣고개(190, 2/8.8)로 내려선다 峰火산(△411.2)-△346.9봉(2.3/11.1)에서 진천군 문백면을 가르며 한티고개(230)-7번군도 파재고개(270, 1.9/13)- 그럭재 임도(210, 1.5/14.5)-凉泉산(△350.9)-주라골임도(210, 1.5/16)를 지나 3번군도 느랭이고개(170, 2.4/18.4)로 내려선다 佛堂산(△246.8, 2.2/20.6)-188봉-허고개(70, 4.2/24.8)-중부고속도로를 지나 논두렁 밭두렁으로 이어져 만뢰산이 발원지인 성암천이 미호천물이 되는 곳(50, 3.5/28.3)에서 끝이나는 약28.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6. 금북만뢰몽각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진천 청주
금북만뢰지맥이 만뢰산어깨를 지나 내려온 질고개에서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천안시 병천면과 동면의 경계를 따라 사자골고개-夢覺산(403, 0.8)으로 올라 또 한줄기를 동남으로 분기하여 徐林산(△316.8, 단맥)으로 가고 행암고개(250)-廣德산(290, 2.2/3)-방고개(190)-銅城산(△237.8, 2.3/5.3)-
광터골고개(150)-21번국도 탑원도로(90, 3/8.3)-유관순열사 생가 도로- 梅峰산(△169.6, 1.2/9.5)-596번 지방도로-바라박산(247, 2.5/12) 지나 병천면 송정리 와촌마을 몽각산이 발원지인 녹동천이 병천천을 만나는 곳(50, 2.2/14.2)에서 끝이나는 약14.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7. 금북만뢰몽각서림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진천 청주
금북만뢰지맥이 만뢰산어깨를 지나 질고개에서 서남방향으로 몽각단맥을 떨구고 올라간 夢覺산(403, 0.8)에서 동남방향으로 분기하여 21번국도 모산도로(150, 4)-徐林산(△316.8, 4/8)-방말고개(270)- 두능고개(170)-藥師산(245, 3.5/11.5)-
596번지방도로 덜마고개(90, 1.5/13)-率林산(235)-백현도로(70, 3/16)- 돛대산(△177.1) 지나 청원군 옥산면 장남리 하장남마을 몽각산이 발원지인 용두천이 병천천을 만나는 곳(50, 2.5/18.5)에서 끝이나는 약18.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8. 금북가로단맥 금북정맥 엽돈재에서 부수문이고개로 가면서 458.8봉에서 내려간 등고선상390m 부근에서 서북방향으로 분기하여 271.3봉(2.7)-도로-34번국도(1.3/4)를 지나 경기도와 충남의 경계를 만나 도계를 따라 신23번국지도- 23번국지도(3/7)-임도 몇 개 지나 미양면 법전리 가로산이고개 도로(3.4/10.4)에 이른다
양협목장을 지나 도로를 만나 도로따라 경부고속도로와 70번국지도가 만나는 사거리(2.5/12.9)를 지나 논바닥 가운데 길로 진행해 천연기념물427호 향나무를 구경하고 평택시 공도읍 건천리 입장천이 안성천을 만나는 곳(4.4/17.3)에서 끝나는 약17.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9. 금북중구단맥 금북정맥 천안시 성거산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천안시 목천읍과 북면의 경계를 따라 2번군도 석천고개(2.2)-467.2봉(2.6/4.8)-상리굴고개- 중구봉(434.7, 2/6.8)-호덕고개 임도(2.5/9.3)-비룡고개-놀미기임도- 102.4봉(2.2/11.5)-21번국도(0.6/12.1)를 지나 천안시 북면 연춘리 역촌마을 산방천이 병천천을 만나는 곳(0.5/12.6)에서 끝이나는 약12.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2. 금북영인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평택 아산
금북정맥이 안성 칠장산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성거산에서 태조봉으로 가는 중간 걸마고개를 가지 직전 문암산에서 금북정맥은 남쪽으로 흘러가고 서북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천안시 성거읍과 천안시의 경계를 따라 문암마을 안부(90, 3)-성거읍 요방리 천안시 천호저수지를 잇는 고개같지도 않은 경부고속도로와 23번국지도가 만나는 곳(70, 1/4)으로 내려선다
올라간 등고선상 130m 지점(0.6/4.6)에서 북쪽으로 무려 대여섯개나 되는 절을 품고 있는 성산(177, 단맥)을 떨구고 순수한 천안시내로 들어가 서남진하며 천안북일고(50, 2.4/7) 지나
시내 한복판으로 내려서 시내를 가로질러 노태산(△141.0, 3/10)-116봉- △111.1봉-△99.7봉지나 상갈3거리(90, 5.2/12.2)에 이른다
미력산(189, 1.1/13.3)-龍臥산(△238.4, 1.2/14.5)에서 북쪽으로 龍岩산(△149.4, 단맥)을 떨구고 월랑도로(90, 1.2/15.7)로 내려선다
燕巖산(△292.7, 2.5/18.2)-임도(120, 1.3/19.5)-屯德산(230, 1.5/21)에서 남쪽으로 물양성(290, 단맥)을 떨구고 서진하여 45번국도(90, 1.4/22.4)로 내려선다
國師봉(△222.5, 0.5/22.9)-임도(130, 1.5/24.4)에서 영인면과 음봉면의 경계를 따라 금산(250, 1.4/25.8)-△286.1봉(2/27.8)에서 배티고개도로(130, 0.6/28.4)-39번국도 뒷이산고개(90, 1.3/29.7)로 내려선다
그후 영인면과 염치읍의 경계를 따라 -아기업은바위(150)- 상투봉어깨(302, 1.7/31.4)-흐느재임도(170, 1.5/32.9)- 靈仁산(△363.6, 0.7/33.6)에서 염치읍과 인주면의 경계를 따라 △132.9봉(2.5/36.1)에서 인주면내로 들어가 맹고개도로(70, 2/38.1)에서 도로따라 서남방향으로 가다 서북진하여 불당골 도로(1.8/39.9)에 이른다
한뿌리마을도로(30, 2.3/42.2)-인주면 대음리에서 곡교천이 삽교호를 만나는 지점 (1.3/43.5)에서 끝이나는 약 43.5km의 산줄기를 마땅히 부를 이름이 없어 아산시에선 그래도 내노라하는 영인산의 이름을 빌어 금북정맥에서 분기한 30km이상 100km미만 산줄기임으로 내 산줄기 이름을 짓는 원리에 따라 금북영인지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우리산줄기로 알아보기 위해 산경표 80, 81, 82혈을 살펴보면
七賢山 見上七七頁
01)靑龍山 西南來 安城南 分二?-1 (82혈)1-脅呑峙 東南來 鎭川西三十八里 寶蓮山 鎭川西二十里 城山 鎭川治在東七里 02)聖居山 稷山東二十一里 上有慰禮城
03)望日峙 分五?-1, 2, 3, 4 稷山東 (81혈)1-蛇山 西北來 稷山治在南三里 2-黑城峙 南來 木川治在南十里 3-玉字山 南來 天安治在南十二里 燕巖 西來 牙山東二十九里 薪城山 牙山治在西五里 (81, 82혈)4-堂山 西來 平澤治在南一里
해설을 해보면
“七賢山 見上七七頁” 칠현산은 산경표 77혈에서 연결을 위해 이곳 80혈에 다시 기록했다는 뜻이다
“01)靑龍山 西南來 安城南 分二?-1” 청룡산은 금북정맥 첫 번째 산으로 위 칠현산에서 남쪽으로 뻗어내렸으며 안성 남쪽에 위치한 산이다 두줄기로 분기 한다
“(82혈)1-脅呑峙 東南來 鎭川西三十八里” 한줄기는 아래 2번째 산인 성거산으로 흐르고 다른 한줄기가 동남으로 분기하여 산경표 82혈에 기록된 진천 서쪽 38리에 있는 협탄치로 연결이 된다
“寶蓮山 鎭川西二十里” 협탄치에서 진천 서쪽 20리에 있는 보련산으로 연결이 된다
“城山 鎭川治在東七里” 성산은 동쪽 7리에 있는 진천에서 다스리는 곳이다
“02)聖居山 稷山東二十一里 上有慰禮城” 금북정맥 두 번째 산인 성거산은 직산 동쪽 21리에 있는 산으로 그 산에는 위례성이 있다
즉 지금의 성거산으로 군부대가 주둔하고 있어 통과가 어려운 산이며 위례성은 성거산에 있는 것이 아니라 현재 성거산 북쪽에 있는 무명봉에 위치하고 있다
“03)望日峙 分五?-1, 2, 3, 4 稷山東” 금북정맥 세 번째인 망일치는 직산 동쪽에 있으며 다섯갈래로 분기한다 지금의 만일사가 있는 안부 만일고개를 말하는 것 같다
“(81혈)1-蛇山 西北來 稷山治在南三里” 한갈래는 본래의 정맥으로 흐르고 한줄기가 서북으로 분기하여 산경표 81혈에 있는 사산으로 흐르며 남쪽 3리에 있는 직산에서 다스리는 산이다
“2-黑城峙 南來 木川治在南十里” 두 번째는 망일치에서 남쪽으로 뻗어내린 흑성산으로 남쪽 10리에 있는 목천에서 다스리는 산이다
지금의 독립기념관이 있는 흑성산으로 만일고개 남쪽 6km 지점에 있는 무명봉에서 분기하는 금북흑성단맥 산줄기가 되는 것이다
“3-玉字山 南來 天安治在南十二里 燕巖 西來 牙山東二十九里 薪城山 牙山治在西五里“ 세 번째는 옥자산으로 망일치에서 남쪽으로 뻗어나가 남쪽 12리에 있는 천안에서 다스리는 산이며 서쪽으로 흘러 아산 동쪽 29리에 있는 연암에 이르러 아래 신성산으로 연결이 된다 이 신성산은 서쪽 5리에 있는 아산에서 다스리는 산이다
설명문의 내용으로 보아 연암이 지금의 연암산으로 추정이 됨으로 이 산줄기가 바로 지금의 “금북영인지맥”인 것이다
“(81, 82혈)4-堂山 西來 平澤治在南一里” 네 번째 산줄기는 망일치에서 서쪽으로 뻗어나가 산경표 81혈 82혈에 있는 당산으로 연결이 되며 남쪽 1리에 있는 평택에서 다스리는 산이다
실제로는 만일고개에서 아무 산줄기도 분기를 하지 않으나 우리 선조들은 그 근방 전부를 한꺼번에 “망일치”라는 산군으로 묶어 기록을 하였던 것으로 추정이 된다
10. 금북영인성산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평택
금북정맥 성거산 서남측 만일고개에서 서쪽으로 올라간 문암산(410)에서 서남측으로 약0.2km 정도 내려간 등고선상390m 정도인 천안시 성거읍, 천안시, 목천면의 삼면지점에서 서북측으로 분기한 금북영인지맥이 흐르며 경부고속도로와 23번국지도가 만나는 곳을 지나 올라간 단국대학교 뒷능선인 등고선상130m 지점에서 금북영인지맥은 좌측 서남측으로 천안북일고등학교로 흘러가고 한줄기를 북쪽으로 분기하여
△168.7봉(0.7)-148봉-도로(3.3/4)-△99.4봉-대남산-소남산- 새터고개 도로(3/7)-옥현도로-교동-성산(177)어깨(110)-당고개도로(2/9)- 제3탄약창 능선-70번국지도(5.5/14.5)-연암축산원예전문대- 대홍초교앞 도로(1.3/15.8)를 지나 논밭을 가로질러 안궁리 신안동사거리(2/17.8)을 지나 경부선 철로를 건너 성환천이 안성천을 만나는 곳(2.5/20.3)에서 끝이나는 약20.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1. 금북영인용암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평택
영인지맥 용와산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음봉면과 직산면의 경계를 따라 龍岩산(△149.4, 2)-70번국지도-旺地산(△101.8, 2.6/4.6)에서 성환읍내로 들어가 △44.1m 도로(3.3/7.9)- 팽성읍 미선초교(7/14.9) 근내리 석봉리 지나 안성천이 진위천을 만나는 곳(3.1/18)에서 끝이나는 약1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2. 금북영인수한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평택
영인지맥 屯德山(230)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628번 지방도로 물너목 고개(90, 0.7)-수한산(물양성, 290, 1.2/1.9)- 꽤꼴성(250, 1.5/3.4)-장무기도로(90, 1.9/5.3)-國師봉(△154, 1/6.3)- 정좌미도로(70, 1.5/7.8)를 지나 장고개도로(70, 1.7/9.5)로 내려선다
三峰산(△132.9, 0.4/9.9)-선문대학-106봉을 지나 매곡천이 곡교천을 만나는 곳(20, 2.3/12.2)에서 끝이나는 약12.2km의 산줄기에 이름이 없다
그래서 도면상 그 산줄기중 가장 높은 산인 물양성의 이름를 빌어 영인지맥에서 분기하였음으로 금북영인물양단맥이라고 불러도 상관은 없는 일이나 그 이름이 어느 하나로 통일되지 않고 5만지형도에는 “물양성”
현지 안내판에는 “물앙산성 물한산(수한산) 물한산성 수한산성” 등으로 불리고 있으며 영진 5만지도에는 “물한산성 수한산”이라 표기가 되어 있어 상당히 헷갈리고 있어 이것 저것 다 빼고 산이름만은 “수한산”이라고 표기가 되어있어 그 이름을 빌어 금북영인지맥에서 분기하였음으로 금북영인수한단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13. 금북영인고룡단맥 금북영인지맥이 연암산 둔덕산 지나 45번국도 음봉면사무소에서 원남리를 넘는 고개에서 오른 국사봉에서 1km정도 진행한 등고선상170m 부근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음봉면 신정리 신정저수지 도로(1.1)-188.2봉(1/2.1)- 흔치도로-19번군도(2/4.1)-고룡산(294, 1.7/5.8)-17번군도(1.7/7.5)- 34번국도 구산고개(1/8.5)-도로-원당산(108.5)-백석포리 도로(2/10.5)를 지나 아산천이 안성천 아산호와 만나는 곳(0.5/11)에서 끝나는 약1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4. 금북흑성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평택 진천 청주 전의(참고도면)
안성 칠장산에서 북쪽으로 한남정맥을 흘려보내고 남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성거산 태조산 지나 무명370봉에서 내려간 등고선상 350m 부근 아홉싸리고개라고 표기된 곳에서 금북정맥은 서진하고 남쪽으로 조그만 산줄기 하나를 분기하여 목천면내를 동서로 나누며 마점마을고개(250)에 이른다
한동안 오름짓을 하며 黑城산(△519.3, 2)으로 올랐다가 신21번국도로 내려섰다가 구21번국도 도시화된 신계리 진고개(110, 2.6/4.6)에 이른다
△160.0봉에서 남하하며 목천면과 성남면의 경계를 따라 경부고속도로 목천요금소 서남측고개(110, 2/6.6)-白雲산(243, 1.2/7.8)- 여우고개(110)-도로(110, 1/8.8)-細城산(218, 1/9.8)에서 경계선을 벗어나 화성1리(1.5/11.3)를 지나 이후 대규모 상록골프장을 거쳐
도면상 △114.2봉(2.5/13.8)지나 흑성단맥 분기점에서 발원한 승천천이 병천천을 만나는 천안시 수신면 장산리 경부고속도로 밑 새남산을 건너는 다리(1.2/15)에서 끝이나는 약1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5. 금북동림단맥 종주에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전의 청주
금북정맥이 안성 칠장산에서 분기하여 안흥진으로 가면서 태조산에서 고려산 가기전 아야목고개로 내려서는 등고선상 310봉어깨에서 왼쪽 동남방향으로 분기하여 태호고개(170, 1.5)-능고개(170)-△230.4봉-탑고개(210)- 어리미째고개(230)-운주산어깨(270, 5/6.5)-밤실고개(190)-△240.2봉을 지나 고소재고개(210, 2.6/9.1)로 내려선다
望景산(△385, 0.7/9.8)-東林산(△457.3, 2.9/12.7)- 민태절고개(190, 1.3/14)-△226봉(3/17)-한국철도공사 도로(2.8/19.8)- △58.5봉-청원군 강외면 봉산리 충북선철로(2.5/22.3) 이후 논바닥 도로를 따라 36번국도를 지나 청원군 강외면 서평리 서평들 경부선철로를 지나 조천천이 미호천을 만나는 곳(3.5/25.8)에서 끝이나는 약25.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3. 금북전월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전의 청주
금북정맥이 충남 연기군 전의면 덕고개에서 차령고개로 가면서 가장 남쪽에 솟은 國士봉(△402.7)에서 정맥은 북쪽으로 가고 한줄기를 동남방향으로 분기하여 공주시 정안면과 연기군 전의면의 경계를 따라 사기소고개(210)를 지나 등고선상 290봉(1.8)에서 남쪽으로 天台산(△392.1, 단맥)을 떨구고 동진한다
691번 지방도로 덕재고개(170, 1.1/2.9)-삐띠고개(170)-△224.1봉(2.2/5.1)을 지나 등고선상 310봉(1.1/6.2)에서 동북쪽으로 수디산(△383.3, 단맥)을 떨구고 동진한다
604번지방도로 공주고개(150, 1/7.2)-동막고개(170, 1.4/8.6)- △217.2봉(1.4/10)-봉화재(190)-헌고개(190)-돌고개도로(110, 3.1/13.1)- 國師봉(△213.7, 4/17.1)-감나무재(110, 2.4/19.4)-△143.2봉-157봉을 지나 1번국도 연기고개(50, 3.3/22.7)로 내려선다
큰목골산(△223.1, 2.2/24.9)-元師봉(254) 전위봉(190)- 상촌도로(70, 1.5/26.4)-轉月산(270)어깨(210, 0.8/27.2)- 露積산(△181.2) 전위봉(150, 1/28.2) 지나 연기군 남면 월산리 샛뜸마을 지나 미호천이 금강을 만나는 곳(30, 2.1/30.3)에서 끝이나는 약30.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6. 금북전월천태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전의 공주
금북전월지맥이 천안시 광덕면 공주시 정안면 연기군 전의면의 삼면봉이며 천안시 광덕면의 남쪽 꼭지점인 금북정맥상 국사봉에서 동남쪽으로 분기하여 사기소고개에서 올라간 등고선상 290봉어깨에서 지맥은 동쪽으로 연기군과 공주시의 경계를 따라가고
한줄기를 남쪽으로 분기하여 정안면과 의당면의 경계를 따라 또 다른 國司봉(△348.8, 1)을 지나 604번지방도로 불당고개(230, 2.5/3.5)로 내려선다
△234.0봉-도로(230)-질마고개(270)-8번군도 동혈고개(210, 3/6.5)- 天台산(△392.1, 0.5/7)-△233.0봉-627번지방도 종고개 도로(90, 4.7/11.7)- 대전~당진간 고속도로 장고개(70, 3.5/15.2)를 지나 36번국도 방머리고개(2/17.2)로 내려선다
△166봉-將軍산(△354.3, 3.8/21)을 지나 동쪽으로 뻗은 확실한 산줄기를 따라 96번국지도(50, 4.5/25.5)를 지나 장기면 금암리 이 산줄기 분기봉에서 발원한 대교천이 금강과 합수하는 곳(30, 0.5/26)에서 끝이나는 약2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7. 금북전월수디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전의 청주
금북전월지맥이 금북정맥 국사봉에서 분기하여 흐르다가 691번지방도로인 덕재고개 삐티고개 지나 등고선상 310봉인 무명봉에서 동북방향으로 분기하여 연기군 전의면과 서면의 경계를 따라 갈미봉-3번군도 사방골도로(210, 1)-수디산(△383.3, 2.5/3.5)에서 627번지방도로 솔치고개(210, 1.2/4.7)로 내려선다
사장동임도(130, 2.3/7)-五峰산(△261.9, 2.3/9.3)-158봉- 방축골 도로(70, 3.1/12.4)부터 비산비야 논두렁 밭두렁을 따라 두옥도로- 매봉재산 지나 가래터도로(70, 2.7/15.1)로 내려선다
구서원마을(1/16.1)-△22.9봉 지나 월하천이 미호천을 만나는 곳(1.7/17.8)에서 끝이나는 약17.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8. 금북무학단맥 금북정맥 차령고개에서 곡두고개로 가면서 차령터널 이수원고개에 이르고 이곳에서 약2km정도 가다가 나오는 395.1m 지점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태봉산(430)어깨-논산~천안간고속도로 고개(3.1)-무학산(401)-천안공원묘지 무학지구-623번지방도로 행정리 재저울고개(3.4/6.5)-천안공원묘지- 공원묘지탑-운당리 소골고개-250.5봉(2.2/8.7)-여물고개 도로(3.1/11.8)- 논산~천안간 고속도로-19번군도-69.5봉-큰골산-도로(2.4/14.2)를 지나 논두렁 수로를 따라 경부고속철도를 지나 전곡천과 풍세천이 만나는 곳(2/16.2)에서 끝나는 약16.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4. 금북무성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전의 공주
금북정맥이 안성 칠장산에서 분기하여 충청남도를 휘돌며 안흥진으로 가면서 성거산에서 서쪽으로 영인지맥을 떨구고 훌쩍 차령고개를 넘어 천안시 광덕면 광덕리와 공주군 정안면 문천리를 잇는 곡두고개를 지나 올라간
△646.0봉 어깨에서 금북정맥은 서쪽으로 진행을 하고 한줄기를 남쪽으로 분기하여 공주시 유구읍과 정안면의 경계를 따라 그 산줄기의 최고봉인 太華山(△646.0, 0.2)으로 올랐다가 대체적으로 남진하며 등고선상 570봉(1.5/1.7)에서 서남방향으로 금북법화단맥을 떨구고 629번 지방도로 문달안고개(390, 1.5/3.2)에 이른다
國師峰(△590.6)어깨(510, 3/6.2)에서 서진하여 정안면 내문리와 사곡면 유룡리를 잇는 604번 지방도로 기름재(270, 1.5/7.7)로 내려선다
갈미봉(△515.2, 2/9.7)-△448.5봉-525.7봉(3.6/13.3)- 등고선상 570봉(1.5/14.8)에서 서남방향으로 금북무성연미단맥을 떨구고 남진한다
武盛산(△613.6, 1./15.8)-△333.6봉(2.6/18.4)- 葛美봉(△309.3, 3.5/21.9)어깨에서 서남쪽으로 藥산(277.9, 여맥)을 떨구고 우성면내로 들어가 동남진하며 가느니도로(50, 3.5/25.4)- 길마고개(50, 1.1/26.5)-蔡竹산(170, 0.8/27.3)어깨를 넘어가고 장구먹이 도로를 건너가서
금북정맥 봉수산 유구읍 탑산리가 발원지인 유구천과 공주시 우성면 평목리 금강이 만나는 지점(10, 2.7/30)에서 끝이 나는 산줄기를 마땅히 지을 이름이 없어 그 산줄기 중 분기된 태화산 외 산줄기 중 제일 높은 산인 무성산의 이름을 빌어 금북정맥에서 분기되었으며 약30km의 산줄기이므로 금북무성지맥이라고 이름을 짓는다
우리산줄기로 알아보기 위해 산경표 80혈을 살펴보면
07)雙嶺 西北來 公州北五十里(分二? 누락)-1 1-麻谷山 南來 公州西三十二里 維鳩
19. 금북무성법화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전의 예산
금북무성지맥이 태화산을 넘어 남진하며 내려가다 올라간 등고선상 570봉에서 무성지맥은 동남 방향으로 달려가고 한줄기를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상세동 임도(330, 3.5)-법화산(470.1, 1.2/4.7)-세동고개를 지나 604번 지방도로 구제고개(230, 5/9.7)로 내려선다
태화산(416.9, 1.2/11.9)-鐵繩산(410.7, 3.9/15.8)-180.6봉(2.3/18.1)-사곡면 호계리 마곡천이 유구천을 만나 유구천이 되는 태화교(30, 1.1/19.2)에서 끝이나는 약19.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0. 금북무성연미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전의 공주
금북무성지맥이 국사봉 갈미봉 지나 무성산으로 가면서 올라간 무명 등고선상 570봉에서 지맥은 남남서 방향으로 흐르고 동남 방향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공주군 정안면과 우성면의 경계를 따라 △345.0봉(4.3) 지나 등고선상 210봉(1/5.3)에서 우성면내로 들어가 남진하며 항고개(50, 3.5/8.8)로 내려선다
이후 전당면과 우성면의 경계를 따라 황새골 도로를 지나 ?尾산(210, 3/11.8)을 넘어 36번 국도로 내려서 우성면 웅진나루 도천천이 금강을 만나는 지점 금강변(10, 1/12.8)에서 끝이나는 약12.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여기서 도면상 “鷲尾산”이라는 산명에도 문제가 있다 나중에 알고보니 그 산의 이름은 공주시에선 공식적으로 연미산이라고 부르고 있는 것이다 아마도 ?자를 표기과정에서 鷲자로 오표시를 한 것 같다
21. 금북광덕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전의 평택
금북정맥이 안성 칠장산에서 분기하여 안흥진으로 가면서 천안시 광덕면 광덕리 광덕사에서 공주시 유구읍 문금리를 넘어가는 갈재고개에서 서북으로 잠시 올라간 등고선상 470m 지점인 천안시 광덕면과 아산시 송악면 그리고 공주시 유구읍의 삼면 경계지점에서 금북정맥은 서남진으로 내려가고 한줄기를 북쪽으로 분기하여
송악면과 광덕면의 경계를 따라 장군바위(571)-서귀봉(583)-석류봉(685)-廣德산(△699.3, 4.4)-장군바위-장고개(530, 1.6/6) 지나 아산시 배방면과 송악면 광덕면의 삼면 경계지점인 등고선상 570m 지점(1/7)에서 서북쪽으로 아름다운 雪華산(430, 여맥)을 떨구고 동진하여 望京산(△600, 1/8)을 지나 623번지방도로 넋티고개(210, 1.2/9.2)로 내려선다
넉시티고개에서 오른 太華산(464, 2.2/11.4)에서 배방면을 동서로 나누며 서북진하여 △290.7(2.2/13.6)-솔치고개(130, 1.8/15.4)- 排芳산(△361.0, 0.6/16)-266봉-성재(250) 지나
아산시 남동 돌장골 사거리(30, 2.2/18.2)을 지나 동네 한가운데로 도로를 타고 진행하여
아산시 신동 윗배턱거리 온양천이 곡교천을 만나는 곳(30, 3.8/22)에서 끝이나는 약22km의 산줄기를 그 산줄기중 가장 높고 잘 알려진 광덕산의 이름을 빌어 금북정맥에서 분기하여 10km 이상 30km 미만 산줄기임으로 금북광덕단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22. 금북봉수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예산
금북정맥이 안성 칠장산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안흥진으로 가면서 각흘고개에서 올라간 아산시 송악면 예산군 대술면 공주시 유구읍의 삼면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鳳首산(△534.4, 0.2)-鳳首봉(430, 1.2/1.4)- 배틀바위-오형제고개(190, 2/3.4)-삼각봉(245)-곽씨봉(△245.3, 1.4/4.8)- 645번지방도 납은들고개(110, 2.2/7)-도고산 갈림지점(270, 1.7/8.7)- 安樂산(△424, 2.5/11.2)-土城산(406.2, 1/12.2)-△197.3봉를 지나 구32번국도 삽티고개(110, 2.2/14.4)로 내려선다
신32번국도 터널 위-자라봉(176)-예산산업대(90, 1.7/16.1)- 형제고개(90, 1/17.1)-△246봉- 예산환경사업소 하마동 도로 고개(150, 1.5/18.6)- 대전~당진간고속도로 지곡터널위(3/21.6)- 대흥면 지곡리 지율마을 고개(0.6/22.2)- 3번군도 하탄방 도로 고개(50, 3.4/25.6)-도로(50, 1/26.6)- 도덕굴 도로(0.8/27.4)를 지나 예산군 대흥면 송지리 송지못길 신양천이 무한천을 만나 만들어진 예당저수지(50, 1.6/29)에서 끝이나는 약29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3. 금북봉수황산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예산 전의 평택 아산
금봉봉수지맥이 금북정맥 각흘고개에서 차령고개로 가면서 오른 아산시 송악면 예산군 대술면 공주시 유구읍의 삼면 지점인 봉수산 전위봉에서 북쪽 봉수산으로 분기한 금북봉수단맥이 흐르다 오형제고개에서 올라간 △245.3봉인 곽씨봉에서 금북봉수단맥은 서쪽으로 흘러가고 한줄기를 북쪽으로 분기하여
잉아재도로(190)를 지나 296.3m라고 잘못 기재된 등고선상210m 부근 삼각점을 지나 아산시 신창면, 송악면, 도고면의 삼면지점(230, 4.8)-보갑산(310)-금암산(324)-갱티고개(150, 2/6.8)-荒산(△348.8, 1.4/8.2)- 月羅산(250, 1.7/9.9)-623번지방도로 전주고개(50, 2/11.9)- 온양온천역(30, 3.1/15)을 지나 시내 한복판을 가로질러 아산시 모종동 아랫모종리 온양천이 곡교천을 만나는 곳(10, 3/18)에서 끝이나는 약1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4. 금북봉수황산덕암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예산 아산
금북봉수황산단맥이 금북봉수단맥 곽씨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흐르다 아산시 신창면, 송악면, 도고면의 삼면지점인 등고선상230m지점에서 황산단맥은 동쪽으로 흘러가고 한줄기를 서북방향으로 분기하여
德岩산(△260.5, 1.2)-254봉-孟산(150)- 45, 21번국도 한치고개(90, 3.4/4.6)-△99.0봉-거서리고개- 장항선철로 갓등거리마을(30, 4.8/9.4)-三峰산(△140.3)- 새파이골 도로 645번지방도로(30, 2.6/12)를 만나
이후 논밭 구릉과 마을들을 지나며 도로따라 623번지방도로를 만나는 장터마을 사거리-삼선초교 모새골 삼거리(30, 2.2/14.2)-△30.6봉-용당리-아산시 선장면 가산리 돌채마을 지나 삽교천과 곡교천이 만나 삽교호를 이루는 곳(10, 4.3/17.2)에서 끝이나는 약17.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5. 금북봉수도고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예산 아산
금봉봉수지맥이 금북정맥 각흘고개에서 차령고개로 가면서 오른 아산시 송악면 예산군 대술면 공주시 유구읍의 삼면 지점인 봉수산 전위봉에서 북쪽 봉수산으로 분기한 금북봉수단맥이 흐르다 아산시 도고면 농은리에서 예산군 대술면 장복리를 넘는 납은들고개에서 올라간 예산읍 대술면 도고면의 삼면지점인 등고선상290봉 직전 270m 지점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임도-道高산(△481.8, 3.2)-21번국도 신도고온천역(30, 3.4/6.6)- 갈티도로(30)-도고온천초교(도고면사무소) 삼거리(30, 2/8.6)-구도고온천역 인근 신언리 궁전마을 장항선철로 645번지방도로(10, 1.5/10.1)를 지나 이후 논두렁으로 진행해 예산군 신암면 둔포리 새원장마을 지나 도고천이 삽교천을 만나는 곳(10, 3.2/13.3)에서 끝이나는 약13.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5. 금북칠갑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예산 청양
금북정맥이 안성 칠장산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봉수산 극정봉 지나 차령고개를 넘어 장학산 국사봉을 지나 청양군 운곡면과 대치면, 공주시 신풍면의 삼면점인 등고선상 410봉에서 정맥은 서남방향인 금자봉으로 가고
한줄기를 동남방향으로 분기하여 줄바위 임도(270, 2.1)- 실운리고개 임도(290, 3.6/5.7)-마치(370, 1.5/7.2)- 짐디울고개(310, 0.5/7.7)-大德봉(△471.5, 2/9.7)-
한치고개 도로(310, 1.5/11.2)-△432.5봉-七甲산(△560.6, 2.7/13.9)- 삼형제봉(작은칠갑산, 544)-마재터널-낙지재(3.3/17.2)-△248.4- 2번군도 백토고개 도로(130, 1.7/18.9)로 내려서 39번국도 문드래미고개 도로(70, 4.5/23.4) 넘어 공주서천간 고속도로를 넘어간다
△136.4봉-팔풍정 도로(50, 2/25.4)-明德봉(△168.7, 1.2/26.6)- 방죽임도-모래재 도로(30, 2.7/29.3)를 넘어 청양군 청남면 인량리 금강천이 금강을 만나는 곳(10, 1.8/32.1)에서 끝이나는 약32.1km의 산줄기를 콩밭매는 아낙네로 유명한 칠갑산도립공원의 명성을 차용하여 금북정맥에서 분기하였으므로 금북칠갑지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우리산줄기로 알아보기 위해 산경표 82, 83혈을 보면
12)車踰嶺 東來
13)獅子山 靑陽北二十一里 大興東二十一里 分二?-1 (83혈)1-大峴 七甲山 大朴山 ?東來
차유령 지나 청양 북쪽21리 대흥 동쪽21리에 있는 사자산에서 두줄기로 분기하여 한줄기는 금북정맥을 따라가고 한줄기는 대현 칠갑산 대박산으로 흐른다
바로 이 산줄기가 지금의 금북칠갑지맥 산줄기인 것이다
26. 금북칠갑묵방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청양 공주
금북칠갑지맥이 금북정맥에서 분기하여 남하하면서 오른 마치에서 칠갑지맥은 서남진으로 가고 남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등고선상310m(1.2) 부근에서 남쪽으로 萬歲봉(△236.2) 鶯峰산(310, 단맥)을 떨구고 동진하여 39번국도 솔치고개(170, 3/4.2)로 내려선다
△224.1봉-明德봉(330, 0.7/4.9)에서 남동쪽으로 계봉(△279.3, 단맥)을 떨구고 북진하여 96번국지도 굴티고개(210, 1.9/6.8)로 내려선다
보신이고개(210, 2.2/9)-△273.4봉-팔봉산(310, 1.5/10.5)- 묵방산(370.2, 3.5/14)-36번국도 느리티고개(2.3/16.3)-공주서천간고속도로 사마산(308.2, 2.7/19) 지나 공주시 우성면 어천리 송계 임장교 본의천이 금강을 만나는 놋점나루(3.4/22.4)에서 끝이나는 약22.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7. 금북칠갑묵방앵봉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청양
금북칠갑묵방단맥이 금북칠갑지맥에서 분기하여 가다 등고선상310m 지점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36번국도 마치고개(150, 4.8)-萬歲봉(△236.2)- 39번국도 장고개(110, 3/7.8)로 내려선다
임도(110)-△172.4봉-임도(50, 2.5/10.3)-고등재도로(90, 1.8/12.1)- 鶯峰산(310, 1.3/13.4)-청소고개(110)-石봉(170, 4.3/17.4)-청양군 청남면 외동마을 도로(10, 0.8/18.2) 지나 논두렁을 타고 來산(30)을 넘어 인화달천이 금강을 만나는 왕진교(10, 1/19.2)에서 끝이나는 약19.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8. 금북칠갑묵방계봉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청양 공주
금북칠갑묵방단맥 명덕봉에서 동남방향으로 분기하여 모일리도로(190, 2.6)-鷄봉(△279.3, 2.3/4.9)-도정동임도(150, 1/5.9)- 승수봉(250, 2.2/8.1)-36번국도 준방고개(70, 1.7/9.8)로 내려선다
공주서천간고속도로(90, 2.1/11.9)-두리봉(110)-△72.7봉 지나 청양군 목면 신흥리 매산골 치성천이 금강을 만나는 곳(30, 2.3/14.2)에서 끝이나는 약14.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9. 금북칠갑남산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청양
금북칠갑지맥 칠갑산에서 서남방향으로 내려가면서 등고선상 510m 지점에서 지맥은 남진하고 한줄기를 서북방향으로 분기하여 △395.0봉(4)- 하금마을 도로(210, 2/6)-南山(△367.2, 1.5/7.5)-청양읍 적루리 고지골마을 29번국도(90, 3/10.5)에서 끝이나는 약10.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30. 금북법산단맥 금북정맥 금자봉 지나 문박산으로 가면서 문박산0.2km 전 등고선상310m 부근에서 북동방향으로 분기하여 뜸티고개-96번국지도 외덕고개(1.7)-임도-물리지고개-법산(459.1, 3.5/5.2)-백월산(417.9, 1.2/6.4)-311.3봉(1.6/8)- 604번지방도로 소고개(1.4/9.4)-불모고개-185.7봉-배아니고개- 고개골고개도로(2.5/11.9)-비지고개-박봉(233, 3/14.9)-비조재-616번지방도로 박산밑고개(1.8/16.7)를 지나 예산군 신양면 무봉리 석천 1번군도 달천변(3.8/18.7)에서 끝나는 약18.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31. 금북오서단맥 금북정맥 보령시 청라면 장현리 금자동에서 올라간 가루고개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오서산(790.7, 1.5)-610번지방도로 대협목장(3.2/4.7)- 길마재 임도(2.4/7.1)-진당산(350.4, 3.1/10.2)-강술고개- 2번군도 질고개(1.1/11.3)-배재산(356.9, 1.1/12.4)-봉황산(257.3, 4.2/16.6)- 21번국도 봉황터널-봉황봉(241.9, 1.7/18.3)-대명중교 도로(1.8/20.1)-대천2동사무소 40번국도-대천역을 지나 대천천변 남대천교(1.4/21.5)에서 끝나는 약21.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32. 금북오서태봉단맥 금북오서지맥이 금북정맥 가루고개에서 분기하여 흐르다진당산 가기전 보령시 청소면, 주포면, 청라면의 삼면지점에서 서북방향으로 분기하여 내강임도- 21번국도(2)-장항선철로-서해안고속도로 40번국도(1.4/3.4)-40번국도- 15번군도-태봉산(240, 3/6.4)-화고개(161.5)-여수고개 도로(6.4/12.8)- 마동도로를 지나 보령시 주교면 고정리 황해바다 송학도 가는 다리(2.2/15)에서 끝나는 약1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6. 금북봉수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보령 홍성 예산 아산
금북정맥이 한남금북정맥 마지막 봉우리인 안성땅 칠장산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차령고개를 넘어 백월산에서 금북기맥을 남쪽으로 떨구고 서북진하여 오서산 어깨인 가루고개를 지나 공덕고개를 지나 등고선상 350m 부근 무명 둔덕에서 정맥은 북쪽으로 급경사를 내려가고
한줄기를 북동으로 분기하여 홍성군 장곡면과 청양군 화성면의 경계를 따라 △343.2봉-기러기재(210, 1.5)-△261.0봉(1.5/3)을 지나 614번지방도로 숫고개(110, 2.2/5.2)로 내려선다
205봉-월현임도(170)-삼밭골 임도(130, 4.6/9.8)-△199.9봉을 지나 29번국도 화양고개(110, 3/12.8)에 이르고
203봉-초롱산(340.1, 3.4/16.2)-마사리 점촌도로(90, 3.3/19.5)- 鳳首산(△483.2, 1.6/21.1)-큰비티고개(250)-245봉 비티고개도로(130, 3/24.1)-△203.9봉(2.5/26.6)-삽치임도(110)를 지나 619번지방도로 고개(90, 2.6/29.2)에 이른다
八峰산(207.4, 2.1/31.3)-△207봉-대전당진간 고속도로(3.1/34.4)-5번군도- 21번국도(30, 0.7/35.1)-△38.5봉-45번국도(30, 1.4/36.5)- 龍산(70)어깨 도로(30, 7.6/44.1)-32번국도-△23.8봉(3.3/47.4)을 지나
논두렁을 진행해 금북정맥 오서산 범주에 들어가는 공덕고개에서 발원한 삽교천과 금북정맥 백월산에서 발원한 무한천이 만나는 곳에서 끝이나야 하나
종주의 편의와 마을을 관통하는 산줄기의 흐름을 따라 예산군 신암면 신택리 하평마을 예산군 신암면에서 당진군 합덕읍을 이어주는 삽교천을 건너는 32번국도 구양교(1.1/48.5)로 그 끝가닥을 잡은 약48.5km의 산줄기에 이름이 없다
그래서 그 산줄기 중 가장 높고 산경표에도 언급이 된 봉수산의 이름을 빌어 금북정맥에서 분기한 30km이상 100km미만의 산줄기인 지맥급에 해당함으로 금북봉수지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우리산줄기로 알아보기 위해 산경표 82, 83, 85혈을 살펴보면
18)烏栖山 西北來 洪州南十八里 分三?-1, 2 結城東二十八里 保寧北十七里 (83혈)1-鎭堂山 西來 保寧治在西南四里 2-?峙 東來 金龜山 (85혈)金龜山 見上八三頁 鳳首山 一名大興山 洪州東二十里 大興治在東二里
오서산에서 네갈래로 분기하는데 한줄기는 그대로 정맥을 따라가고 한줄기는 진당산으로 가고 다른 한줄기가 안치 금구산 봉수산으로 이어지는데 봉수산은 일명 대흥산이라고도 부르며 홍주에서 동쪽으로 2리 즉 지금의 거리 약1km정도 떨어져 있는 대흥관할이다
대흥은 지금의 예당저수지 변에 있는 예산군 대흥면과 일치함으로 바로 이 금북봉수지맥을 일컫는다
33. 금북보개단맥 금북정맥 홍성읍 21번국도 꽃조개고개에서 29번국도 하고개로 가면서 하고개 약1km 전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임도 따라가다 산으로 올라 보개산(273.9, 1.6)-지석치도로(1.4/3)-괴염산(192.5, 1/4)-마치임도(1.3/5.3)- 임도를 만나 임도따라 지기산 전위봉(330, 2.2/7.5)-임도-독고개-133.4봉- 장마을 96번국지도(3.8/11.3)-서해안고속도로(1/12.3)-검봉산(124.5)어깨- 도덕재도로-10번군도(2.3/14.6)-낙동초교-천북교회- 10번군도 천북농장 사거리(3.5/18.1)-78.1봉-40번국도 주강동도로(2.4/20.5)- 혜독동도로(4.5/25)-보령시 천북면 학성리 호변동 보령호와 황해바다가 만나는 곳(1/26)에서 끝나는 약2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34. 금북보개청륭단맥 금북보개지맥 괴염산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임도(70, 1.4)-상율임도-8번군도 다리고개(90, 2.5/3.9)-141.5봉-도로-서해안고속도로-13번군도(70, 1.6/5.5)- 형산(209.6, 0.9/6.4)-가좌울도로(50, 1.3/7.7)-한용운생가-참새골 임도- 2번군도 신당이고개 삼거리(2.5/10.2)에 이른다
청륭산(230.2, 1.3/11.5)-96번 국지도 능굴고개(1.3/12.8)- 구룡목치(1.5/14.3)-104.8봉-17번군도 구렁목고개(1.4/15.7)- 투구봉(143.2)-9번군도 사부시고개(50, 2.4/18.1)-68.5봉-도로(2.2/20.3)를 지나 홍성군 서부면 신리 모산방조제를 따라 모산방조제준공탑에 이르고 그 앞 홍성방조제에서 금곡천이 황해바다를 만나는 곳(0, 1.1/21.4)에서 끝나는 21.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금북용봉여맥 금북정맥이 홍동산에서 수덕산으로 가면서 등고선상290봉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모래고개 도로(110, 1)-용봉산(381)어깨(350, 1.4/2.4)-수암산(260.1, 2.9/5.3)을 지나 덕산~예산간 신도로와 609번지방도로가 만나는 곳인 덕산천변(30, 2.2/7.5)에서 끝나는 약7.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35. 금북삼준단맥 금북정맥 가야산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서산과 예산의 경계를 따라 한치고개(310, 3.5)-뒷산(430)-45번국도(270, 2/5.5)-신45번국도 해미터널-서산시 해미면, 고북면, 홍성군 갈산면의 삼면봉인 등고선상390m지점(1.2/6.7)에서 서북쪽으로 연암산(440.8, 단맥)을 떨구고 서산과 홍성의 경계를 따라 남진한다
삼준산(489.9, 1.2/7.9)-서해안고속도로 대사저수지 도로(90, 2.8/10.7)- 봉화산(228.1, 1/11.7)-수로건너 29번국도 물안임도(2.2/13.9)- 삼불산(164.4, 2.3/16.2)40번국도 갈산터널(0.7/16.9)-임도를 지나 홍성군 갈산면 행산리 안말 와룡제2교 와룡천변(1.7/18.6)에서 끝나는 약18.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36. 금북삼준연암단맥 금북삼준단맥이 금북정맥 가야산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흐르면서 서산시 해미면, 고북면, 홍성군 갈산면의 삼면봉인 등고선상390m지점에서 서북방향으로 분기하여 서산시 해미면과 고북면의 경계를 따라 임도-연암산(440.8, 1.5)-서해안고속도로(90, 3.2/4.7)-황소고개도로(50)- 29번국도 산직말 사거리(30, 2/6.7)-4번군도로 비행기들을 가로질러 연암초교사거리(3/9.7)-고북면 신정리 고정도로(3.1/12.8)-삼섬(1.7/14.5)을 지나 너른 벌판을 가로질러 대교천이 간월호가 되는 곳(0, 2.2/16.7)에서 끝이나는 16.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7. 금북옥양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홍성 당진 아산
금북정맥이 백두대간 속리산 천황봉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한남금북정맥으로 흐르다 안성 칠장산에서 다시 두줄기로 분기하여 한줄기는 한강의 온전한 남쪽 줄기를 이루면서 김포벌로 이어가고 다른 한줄기를 남으로 분기하여 충청남도 땅을 휘저으며 가다
예산의 진산인 덕숭산(수덕산)과 가야산을 품고 있는 덕산도립공원을 지나가며 가야산부터 예산과 서산의 경계를 따라 북진하여 암산인 石門봉(653)에 이르러 금북정맥은 잠깐 서쪽으로 가다 북진하며 일락산 방향으로 뻗어 나가고 동북 방향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서산시 운산면과 예산군 덕산면의 경계를 따라간다
玉洋봉(621.4, 1.6)-등고선상610봉(0.4/2)에서 북쪽으로 수정봉(453, 여맥)을 떨구고 서산과 예산의 경계를 벗어나 순수한 예산군 덕산면의 북단면을 남북으로 나누며 동쪽으로 내려가 의현동임도(270, 1.2/3.2)- 書院산(△472.7)어깨(410, 0.8/4)에서 동남방향으로 서원단맥을 떨구고 다시 먹색파선을 따라 북동진하여 실티재(150, 2.5/6.5)로 내려선다
△272.2봉어깨(230, 1.2/7.7)에서 동남방향으로 鳳鳴산(238.8, 단맥)을 떨구고 북진하여 금치리십자안부 삼거리(170, 1.2/8.9)- 등고선상 250봉어깨(230, 2.1/11)에서 동쪽으로 屯軍봉(△136.1, 단맥)을 떨구고 북진하여 우현도로(190, 0.4/11.4)로 내려선다
五峰산(△224.1)어깨(190, 0.8/12.2)에서 서쪽으로 부엉산(△158.3, 여맥)을 떨구고 북진하여 이계도로(90, 1.7/13.9)에 이르고 서북진으로 올라 등고선상190봉(1.1/15)에서 서북방향으로 雄산(△253.5, 여맥)을 떨구고 북동진하여 양지말마을을 거쳐 70번국지도 나무고개 도로(90, 2.7/17.7)에 이른다
테뫼산(110)-몽산(290, 2.2/19.9)에서 북쪽으로 峨嵋산(△349.5, 단맥)을 떨구고 동진하여 구절산(210, 1.1/21)을 지나 차나물안부(90)를 거쳐 615번지방도로 성북고개(다람쥐고개, 70, 2.6/23.6)로 내려선다
國賜봉(150, 1.5/25.1)-△131.7봉(1.5/26.6)에서 서쪽으로 泰白山(90, 여맥)을 떨구고 북진하여 구32번국도 틀무시고개 도로(70, 3/29.6)에 이르고 동네 도로를 반원형으로 돌아 기지시(70, 0.5/30.1)에서 북쪽으로 송산면 가곡리 두포마을을 지나 간척사업으로 섬이 육지가 된 아산만 성구미마을로 가는 두포단맥을 하나 떨구고 동진한다
물론 그 성구미마을로 가는 산줄기 약13km를 더하여 지맥이라 해도 아무런 할말은 없으나 최장길이로 뻗은 산줄기를 가늠하다보니 오룡산으로 동진을 하게 된 것이다
國守봉(90)어깨-△80.0봉-五龍산(110, 1.9/32)에서 남쪽으로 鐵馬산(△89.8, 단맥)을 떨구고 북동진하여 당고개 도로(50, 2/34)- △70.7봉-장내골도로(50,1/35)-630번지방도로 느랭이고개(50, 1.7/36.7)에 이른다
松嶽산(△150.0, 0.8/37.5)-제비골임도(30, 1.2/38.7)를 지나 비산비야를 달려 한터도로(2/40.7)-△111.2봉어깨(110)를 지나 송악면 고대리 고잔마을(10, 2.1/42.8)에서 끝이나야 하지만 그 이후로 인위적으로 바닷물을 막아 간척사업을 하면서 생긴 예전에는 섬이었으나 지금은 육지가 된 內島 노란이마을을 지나 △40.4봉도 지나
아산만 바닷가(0, 3.2/46) 바위벼랑에서 끝이나는 약46km의 산줄기를 그 산줄기 중 제일 높은 옥양봉의 이름을 빌어 금북정맥에서 분기했으므로 금북옥양지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여기서 문제가 하나 있는데 오룡산에서 철마산으로 가는 산줄기가 조금 더 긴편이나 그 산줄기는 송악산으로 가는 산줄기보다 그 세가 약하고 또한 그 동네 이름이 바로 당진군 송악면인데 그 면이름을 있게 한 송악산을 높이 평가해서 그리로 산줄기를 이어간 것이다
물론 철마산으로 이어가도 나는 아무런 이의가 없음은 물론이다
우리산줄기로 알아보기 위해 산경표 84, 85혈을 살펴보면
22)伽倻山 德山治在東九里 海美治在西十里 分二?-1 (85혈)1-馬山 東北來 沔川南八里 蒙山 沔川治在南四里 申菴山 北來 沔川北二十里 綠雲峙 唐津治在西十里
산경표에서 기록하고 있는 금북정맥 22번째 지명인 가야산에서 두줄기로 분기하는데 한줄기는 금북정맥으로 그대로 이어지고 다른 한줄기가 마산 몽산 신암산을 거쳐 녹운치로 흐르고 있다
바로 여기에 있는 몽산이 남쪽 4리에 있는 면천에서 관리를 하고 있다는 내용으로 보아 지금의 몽산과 일치한다
37. 금북옥양서원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홍성
금북옥양지맥이 옥양봉 지나 올라간 書院산어깨(410, 0.8/4)에서 덕산면과 봉산면의 경계를 따라 書院산(△472.7, 0.8)을 지나 덕산면 읍내리 609번지방도로(70, 5/5.8)에 이른다
△55.3봉-45번국도(50)-역리-상성리-용동초교(50, 5/10.8) 지나 예산군 삽교읍 용동리 하용마을 효교천변(30, 1.7/12.5)에서 끝이나는 약12.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38. 금북옥양봉명단맥이란?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홍성
금북옥양지맥 실타재에서 올라간 도면상 △272.2봉어깨(230)에서 동남방향으로 분기하여 △272.2봉(1)-鳳鳴산(238.8, 1.2/2.2)어깨- 11번군도 서당골도로(70, 1.6/3.8)-天台산(△126.2)- 622번지방도로 득득거리재(30, 2/5.8)-대전~당진간 고속도로-구만초교(4/9.8)지나 619번지방도로 지나 예산시 고덕면 구만리 아래뜸 대천천이 삽교천을 만나는 곳(1/10.8)에서 끝이 나는 약10.8ㅏㅡ의 산줄기를 말한다
39. 금북옥양둔군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당진 아산
금북옥양지맥 금치리 삼거리에서 우현도로로 가기전 등고선상 250봉어깨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619번지방도로(70, 3)-새터말도로(30, 3.5/6.5)를 지나 70번국지도 쑥고개(50, 2.2/8.7)에 이른다
屯軍봉(△136.1) 전위봉(130)-615번지방도로(50, 4/10.5)- 32번국도(30, 1.7/12.2)-堂산(△79.3)-32번국도 해당화(10, 3/15.2)-
소로지마을(10, 1.5/16.7)을 지나 실질적인 육안으로 보았을때 능선으로 추정이 되는 산줄기는 끝나고 이후 논바닥을 가로질러 622번지방도로 4.5봉 도로를 지나 당진군 우강면 부장리 하리마을 남원천이 삽교천과 합수하는 지점(0, 4/20.7)에서 끝이나는 약20.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40. 금북옥양아미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당진
금북옥양지맥 나무고개에서 올라간 몽산(290)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당진군 순성면과 면천면의 경계를 따라 峨嵋산(△349.5, 1.7)-
음고개 도로(210, 1.4/3.1)-△140.2봉-눈치고개 도로(110, 2.4/5.5)- 안골도로(70)-△74.1봉-32번국도 옥돌고개도로(30, 4/9.5)-
채운고개도로(30, 0.7/10.2)-△63.4봉-615번지방도로(30, 1.2/11.4)를 지나 당진읍 우두리 도고지마을을 지나 석문봉이 발원지인 역천과 몽산이 발원지인 당진천이 합수하여 아산만으로 흘러드는 곳(10, 3.6/15)에서 끝이나는 약1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41. 금북옥양성구미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당진
금북옥양지맥이 금북정맥 석문봉에서 분기하여 흐르다 기지시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송산중교를 지나 도로(30, 5)로 내려섰다가 633번지방도로 사기장골 도로(30, 3/8)에 이른다
유현도로 이후 633번지방도로를 따라 두포마을(0, 5/13)에 이르고 이후 섬이 육지가 된 염전을 가로질러 성구미마을이 있는 △27.9봉을 지나 바닷가 바위벼랑(0, 2/15)에서 끝이나는 약1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42. 금북옥양철마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당진 아산
금북옥양지맥이 금북정맥 석문봉에서 분기하여 흐르다 기지시를 지나 오룡산에서 동남방향으로 분기하여 독암고개(50)-鐵馬산(△89.8, 2.6)을 내려서 도로따라 가며 622번지방도로 신평시장길(50, 5.4/8)에서 △69.0봉-
望客산(50, 1.2/9.2)-야굴산(64, 2.5/11.7)-石花산(△46.4)어깨를 지나 신평면 매산리 골망누리 마을 아산만(0, 5.6/17.3)에서 끝이나는 약17.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여기서 한번 고해 볼 사안이 있는바 오룡산에서 바로 이 철마산으로 흐르는 산줄기가 약3.5km 정도가 더 길게 뻗어 있어 그 흐름을 지맥산줄기로 해도 아무런 이의가 없으나 나는 단지 그 일대 평야에서 단연 우뚝서서 기개를 자랑하고 있으며 당진군 송악면이라는 이름을 있게한 산인 점에서
즉 송악산을 존중하는 의미에서 산줄기의 흐름을 송악산으로 잡는 것이 더 설득력이 있지 않나 하는 생각으로 산줄기의 흐름을 그쪽으로 잡은 것뿐이다
08. 금북봉화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당진 대부
금북정맥이 안성땅 칠장산에서 분기하여 흐르며 덕숭산(수덕산) 가야산 지나 금북정맥의 끝자락 銀峰산(283.5)에서 정맥은 서쪽으로 흐르고 한줄기를 북쪽으로 분기하여 당진군 정미면을 동서로 양분하며 烽火산(290)- 황소고개(190)-峰火산(270)-△205.9봉 지나 갈티고개(130, 3.7)도로로 내려선다
647번지방도로 독골고개(90, 2/5.7)-어시산(△190.3)어깨(90)- 돌데미고개 도로(50, 2/7.7)-19번국지도 도로(70, 1.5/9.2)를 지나 649번도로(30, 3/12.2)에 이르고
高山峰(△163.8, 5/17.2)-막고개 도로(30, 7.5/22.7)-장승백이재(4/26.7) 도로 지나 일몰 일출 월출 광경을 한 곳에서 볼수 있는 왜목마을(5/31.7) 선착장 주변의 기암괴석과 어선들이 조화를 잘 이루고 있는 당진1경을 구경하고
석문산(79.4, 0.5/32.2)을 올라 당진군 석문면 교로리 조방골 지나 서해바다로 침잠하는 곳인 대호방파제 북쪽 끝(3.1/35.3)에서 끝이나는 약35.3km의 산줄기를 그 산줄기중 제일 높고 잘 알려진 봉화산의 이름을 빌어 금북정맥에서 분기했으니 금북봉화지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43. 금북자모단맥 금북정맥 간대산 지난 등고선상190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중간말 도로649번지방도로 회천고개(70, 2.5)-자모산(255.4, 2.1/4.6)-군댕이임도- 11번군도 마중리고개(70, 3.2/7.8)-가로개고개 도로(70, 1.6/9.4)- 지름이산(147.4)어깨-647번지방도로(90, 2/11.4)-임도-월망산(110)- 임도사거리-양지편고개 도로(4/15.4)-도로(1.6/17)-임도-임도- 647번지방도로(4/21)를 지나 당진군 대호지면 적서리 염솔천이 대호호를 만나는 곳(0.5/21.5)에서 끝나는 약21.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9. 금북망일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서산 난지(참고도면)
금북정맥이 안성 칠장산에서 분기하여 충청남도를 휘저으며 서산땅에 이르러 飛龍산(290) 북측 서산시 팔봉면, 성연면, 서산시의 경계지점(250)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삼고개도로(70, 1.2)로 내려선다
蓮花산(△234, 3.2/4,.4)-임도(110, 1/5.4)-花房산(170)- 번두고개도로(50, 3.3/8.7)-富城산(△137.1, 2.5/11.2)을 지나 44.0수준점 29번국도(4/15.2)에 이른다
망뫼산(121.0, 3.5/18.7)-영탑리 29번국도-대산중교- 望日산(△302.3, 3.4/22.1)-지새고개 도로(90, 1/23.1)- 임도고개(50, 0.6/23.7)를 넘어 대산리 29번국도(10, 2/25.7)에 이른다
沒混산(△167.9, 1.3/27)-밤고개 도로(30, 3/30)-생수골도로(30, 3.2/33.2)-삼길산(△166.3, 3/36.2)-밭생갈도로(10, 2/38.2)를 지나
대호방조제(0, 0.5/38.7) 동남측에서 서해바닷물이 되는 약38.7km의 산줄기에 이름이 없다 그래서 그 산줄기중 가장 높은 망일산의 이름을 빌어 금북정맥에서 분기한 30km이상 100km미만 산줄기임으로 금북망일지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44. 금북팔봉단맥 금북정맥 서산 금강산에서 서북방향으로 분기하여 산이고개 도로(150, 1.2)- 321.5봉 정수암-팔봉산(361.5, 2.3/3.5)-도로-634번지방도로(2.2/5.7)-도로- 15번군도 634번지방도로 사거리 오목개도로(1.2/6.9)-도로-15번군도(2.3/9.2)- 서산시 팔봉면 호리삼거리 도로(1.6/10.8)-도로-범머리 도로(2.9/13.7)를 지나 팔봉면 호리 가로림만으로 돌출한 육지의 끝(0, 0.7/14.4)에서 끝나는 14.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45. 금북도비단맥 금북정맥 서산시 인지면의 금강산을 지난후 차라고개로 내려서 올라간 물래산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용두고개-역마산(171)어깨(170)를 지나 하늘재 가기 전에 사산시 부석면과 인지면의 경계를 따라 정금산(203.4, 3.3)- 작은말도로(0.7/4)-인지면 남정리 샘골도로(2.5/6.5)-101봉-649번지방도로 취개고개(70, 3/9.5)에 이른다
122.9봉-도비산(351.6, 2.6/12.1)-사고개임도-도로-649번지방도로 1번군도 지지골삼거리(4.5/16.6)를 지나 649번지방도로를 따라 89.3봉-도로-도로사거리(2.2/18.8)-한샘교회-강당초교부남분교장 폐교-목말마을-창리교회(3.2/22)- 96번국지도(1.3/23.3)를 지나 서산시 부석면 창리 검조도 30봉을 올랐다가 내려가 황해바다 천수만(0.5/23.8)에서 끝이나는 약23.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46. 금북망원단맥 금북정맥 태안읍내 603번지방도로 모래기재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77번국도 남문IC(2) 이후 77번국도를 따라 망원산(43.4)어깨-평화과수원 삼거리(6.5/8.5)-몽산포해수욕장 태안군 남면사무소 삼거리(3/11.5)-배다리삼거리(3.5/15)-남면 원청리 96번국지도와 만나는 삼거리(2/17)-53.1봉-곰섬삼거리(2/19)를 지나 비산비야를 달려 47.6봉(2/21)을 지나 태안군 남면 신온리 윗드르니 천수만이 황해바다가 되는 곳(0, 0.7/21.7)에서 끝나는 약21.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46. 금북망원단맥
10. 금북철마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서산 만리포
금북정맥 태안군 소원면 시목리 도루개에서 원북면 장태리를 넘는 사거리에서 양면의 경계를 따라 서북방향으로 올라간 등고선상 110봉- 안골도로(50, 1.2)-鐵馬산(207.8, 1.1/2.3)-장재도로(1.4/3.7)- 사장재(50, 1.3/5)-방공산(101.6)-다름고개(안파골)-통봉산(101.1)을 지나 사기점재 삼거리 도로(90, 2/7)로 내려선다
승주산(170)을 지나 반계리 634번지방도로(30, 2/9)에 이르고 △148.4봉(2.2/11.2)-장자골고개 임도(110, 0.7/11.9)-둥근봉(128.8)- 603번지방도로 사직재(2.2/14.1)-바구니산(△156.7)- 부무골임도(90, 1.5/15.6)-가제산(170)-쪽댐이임도(90, 1.5/17.1)- △205.4봉-국사봉(190)을 지나 양개고개(90, 2/19.1)에 이른다
노인봉(164.6)-마방재(30, 2.1/21.2)를 지나 603번지방도로(1/22.2)에 이르고 候望산(△144.3)-山祭산(△108.7, 3.8/25)-候望산(△102.8)-74.2봉- △57.3봉(5.5/30.5)을 지나 태안군 이원면 내리 만대마을 돌출된 육지의 끝 서해바다(0, 0.7/31.2)에서 끝이나는 약31.2km의 산줄기에 이름이 없어
그 산줄기중 가장 높은 철마산의 이름을 빌어 금북정맥에서 분기한 30km이상 100km미만의 산줄기임으로 금북철마지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47. 금북철마퇴봉단맥 금북철마지맥이 금북정맥 퇴비산에서 분기하여 흐르다가 태안군 원북면 마산리 148.4봉에서 서북방향으로 분기하여 퇴봉(129, 1.6)-634번지방도로 벌뜰마을 고개(30,1/2.6)-연곡도로-112.5봉-634번지방도로(2.4/5)- 곱돌재산(106)-634번지방도로 서낭당고개-성산교회(1.7/6.7)-634번지방도로 절골재(1.7/8.4)-임도-느르재산(99.9, 1.8/10.2)-개시내임도-임도 성황당고개-76.7봉-갈마리도로(2/12.2)를 지나 이원방조제를 지나 민어도 황해바다로 돌출한 육지 끝(0, 3.2/15.4)에서 끝나는 약15.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48. 금북대소단맥 금북정맥이 태안군 근흥면으로 들어가 금북정맥 32번국도 쉰고개에서 남쪽으로 법현마을에서 금북정맥은 동쪽으로 그 끝을 향해 안흥진으로 가고 한줄기를 서쪽으로 분기하여 소원면사무소(1.8)-9번군도-소원초교-131.6봉-도로-도로(2.5/4.3)-대소산(221.3)어깨(170)-11번군도 물넘길재(2.9/7.2)- 등고선상110봉(1.2/8.4)에서 북동진하며 163봉-큰냉골산어깨 백리포해수욕장- 임도만나 11번군도(3.3/11.7)-작은냉골산(54.3)어깨-수망산(141)어깨- 바른쟁이산어깨-의항리해수욕장도로-소원초교 의항분교장-구리미산어깨- 큰재산(117.5)-가르미끝산어깨 구룡포해수욕장-47.3봉(3.9/15.6)을 지나 태백산 황해바닷가(0, 0.7/16.3)에서 끝나는 16.3km의 산줄기이거나
11번군도 물넘길재(2.9/7.2)-등고선상110봉(1.2/8.4)에서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만리포해수욕장 32번국도(1.3/9.7)-밭고개도로-도로(1.8/11.5)-소원면 모항리 산하루 도로(2.6/14.1)-도로-임도-어은들해수욕장도로(1.2/15.3)-파도해수욕장도로-파도초교도로(2.1/17.4)-아치내도로(2.4/19.8)-도로따라 91봉어깨지나 황해바다 태안국립공원 꽃섬을 바라보는 곳(0, 1.5/21.3)에서 끝나는 약21.3km의 산줄기를 말하는데 나는 두산줄기가 아무 특징이 없기 때문에 5km나 더 길게 뻗은 후자를 택하는 것이 아무래도 타당성이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금북정맥산줄기이야기 完
|
출처: 우리산줄기이야기 원문보기 글쓴이: 신경수(산경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