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성 골질환중 가장 흔한 것으로 골형성의 감소 및 흡수의 증가로 골량의 전반적인 감소를
일으켜서 골지질이 얇아지고 구멍이 송송 뚤리고 퍽퍽해지며, 뼈가 약해져 요통이나 관절통
등과 골절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뼈의 구성성분인 칼슘등을 포함한 무기질이 뼈에서 빠져나
가면서 일상생활에서 조그만 충격에도 골절이 잘 발생한다.
골다공증의 증상
초기,중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다. 간혹 뼈가 시리거나, 무릎속에 바람이 분다는 상태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허리와 등, 손목등에 통증이 나타나는데 항상 눌리는 것처럼 답답한
압박감이 오기도 하고, 걷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면 통증이 심하고, 계속 서있거나 앉아 있을
때도 아프다. 골다공증 환자들은 대부분 관절이 약해져 있어 퇴행성 관절질환을 같이 앓는
경우가 많다.
골다공증에 걸리기 쉬운 사람
여성들에게 많이 발생한다. 왜냐하면 Ca섭취량이 남성보다 적고, 여성호르몬이 갱년기에
급격히 감소되고, 임심과 출산으로 칼슘이 많이 소비되고, 남성에 비해 선천적으로 뼈가 가늘고,
근육이 약하며 운동량이 부족하기 쉽기에 잘 걸린다. (나이가 많은 경우, 출산경험이 맣은 주부,
젊어서 출산경험이 있는 여성, 친척가운데 골다공증이 있는 경우, 체격이 마른 경우, 운동량이
적고 근육발달이 약한 경우, 칼슘 섭치가 적은 경우, 인스탄트 음식을 많이 먹는 젊은이, 비타민
D결핍, 갑상선 기능 항진증환자, 알콜중독증환자, 설사를 자주하거나 위장병이 있는 경우, 술담
배를 많이 하는사람, 과로하고 스트레스를 맣이 받는 경우, 햇볕을 너무 적게 쬐는 경우, 운동부족,
스테로이드 약 장기치료 환자, 난소제거 수술환자, 난소암 치료를 위해 방사선 치료를 많이 한
사람 등)
골다공증의 식이요법
유제품(우유, 요구르트), 콩류(두부, 콩나물), 작은 생선(마른 멸치, 말린 새우), 해조류(김,
미역, 다시마), 녹황색 채소(시금치, 양배추, 참깨, 당근)등을 골고루 섭취하여 칼슘등을
보강해 주어야 한다. 특히 임산부나 페경기여성들은 충분한 칼슘이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