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Tak9Cafe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좋은글 게시판 (수정불가) 중국인 코치를 데려오면 문제가 해결될까요? - 1. 용품의 문제
TAK9.COM 추천 13 조회 1,454 12.08.10 11:52 댓글 26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2.08.10 12:24

    첫댓글 심도있는 의견이네요
    많이 배웠습니다

  • 작성자 12.08.10 14:18

    감사합니다. ^^

  • 12.08.10 13:00

    으음~~. 잘 읽었습니다. 최상급의 중국러버는 결국 유출되지 않는다는 것이군요,...

  • 작성자 12.08.10 13:16

    예, 그렇습니다. 제가 구한 국대 러버도 매우 귀한 것이죠. 실제 시타해 본 결과 공이 탁구대 위에서 첫 바운드 되면서 솟아 오르는 각도가 놀랍도록 높습니다. 구질 자체가 전혀 달라요. 대부분의 경우 회전이 많으면 공이 낮게 깔리기 마련인데, 이 러버로 드라이브를 걸명 공이 펑 솟아 오릅니다. 한국 선수들이 중국 러버를 타는 것도 무리가 아닙니다.

  • 12.08.10 13:12

    굳이 중국러버 쓸 필요 없죠..우리나라 선수에 맞는 특주러버를 만들면 됩니다.

  • 12.08.10 13:48

    물론, 그렇게 하면(우리 특주러버를 만들면) 좋겠습니다만, 개발이 쉽지는 않겠지요???

  • 12.08.10 14:49

    그렬려면 dhs처럼 국대만을 위해 개발을 해야하지요. 그리고 철저히 관리를 해야하고 국가적 지원도 필요하겠지요... 아주 힘든 부분이 많지 않을까 싶습니다.

  • 작성자 12.08.10 15:37

    러버에 대해서는 중국, 독일, 일본, 3국 외의 국가에서는 개발이 전혀 진행되지 않고 있는 분야입니다. 새로 도전한다면 상당한 시간과 자본, 노력이 필요할텐데.. 그것을 뒷받침할만한 재력도 재력이지만 한국의 시장 사이즈가 충분하지 못해서 쉽지가 않습니다. 될 수만 있다면 참 좋겠는데요... ^^ 저 역시 현재 넥시 러버 개발로 바쁘게 지내고 있습니다만, 중국 국가 대표팀을 누를만한 러버를 생산한다는 것은 참 요원한 꿈 같네요. 하지만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입니다. ^^

  • 삭제된 댓글 입니다.

  • 12.08.10 15:06

    눌렀습니다. ^^

  • 12.08.10 17:21

    어느정도 시간이 필요하긴 하겠지만 아디다스나 윌슨같은 세계적인 스포츠 브랜드들이 탁구시장에 뛰어든것은 대단히 고무적인 일이 되겠네요. 다른 용품 회사에 비해 역사는 짧지만 제품개발을 할 수 있는 인력, 자본, 인프라는 확실하게 가지고 있을테니까요. 최근 아디다스에서 신제품들을 쏟아내는 속도를 보면 대단히 빠르면서도 일목요연하게 연결지어 발전하고 있다는것을 느낍니다. 물론 범용성이 높아지면 중국 선수들도 용품파악이 쉽긴하겠지만 그래도 절대적 퀄리티가 올라간다는건 중국의 용품에서오는 어드밴테이지를 상당부분 잠식할 수 있지않을까요?

  • 작성자 12.08.11 21:57

    글쎄요~^^

  • 12.08.11 03:18

    장이닝을 여자국대코치로 !!! 장이닝은 비점착성 러버사용자니까요..

  • 작성자 12.08.11 21:56

    ~^^

  • 12.08.11 09:10

    잘읽고 갑니다.

  • 작성자 12.08.11 21:56

    감사합니다~^^

  • 12.08.13 17:14

    동감합니다 좋은글이네요 ~

  • 작성자 12.08.16 22:05

    감사합니다~^^

  • 12.08.16 13:03

    러브를 특별히 제작 못하게 제한을 두는 것이 낳겠군요..누구나 구입 할 수 있는 러브로 사용하는 것이지요.

  • 작성자 12.08.16 22:06

    ~^^

  • 12.08.17 15:05

    세계양궁협회가 우리나라의 양궁 독주를 막기 위해서 게임룰을 계속 바꾸고 했는데 탁구도 중국러버가 그렇게 특별하고 독보적으로 우수하다면 중국을 견재하기 위해 러버는 세계에서 시판되고 있는것으로 하는걸로 규정을 바꾸면 될 것 같습니다.
    힘들겠죠???

  • 작성자 12.08.18 00:28

    러버에 대한 규제를 통해 중국을 견제하려는 실질적 움직임이 있었지요. 바로 피드글루잉 금지입니다. 중국의 점착식 러버는 스피드글루잉을 하지 않으면 제대로 사용이 어려우니 중국선수들에게 불이익이 크리라고 다들 생각했지요. 그런데 실제 결과는 정반대였어요. 중국은 부스터와 그에 적합한 최상위 러버를 개발해냈고 유럽은 그 뒤를 캐는데 많은 시간을 보냈지요~^^ 지금도 중국 선수들이 재빠르게 반사이익을 누리게 된 것을 두고 ITTF가 중국편인가 오해하시는 분들이 계신데, 규정이 어찌되었건 이기는 탁구를 위해 노력하는 중국팀의 노력탓이죠^^

  • 12.08.17 18:40

    폭 넓은 고뇌가 묻어나는 듯 하네요! 기대됩니다.

  • 작성자 12.08.18 00:22

    감사합니다~^^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2.10.04 15:37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2.10.05 10:22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