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내일 이사하는 관계로 간단하게만 적어보겠습니다.
주말쯤에 여유가 되면 자세하게 수정해보겠습니다.
...라고는 했지만 지금 적고있는데도 계속 길어지는군요.
......적어놓고 보니깐 너무 복잡하고 어려워 보이는군요.
잘 모르겠다고, 저희집으로 택배를 보내실수도 없는노릇이구요.
정말로 해상도 때문에 미칠것같은데 해결이 안된다. 하시면 윈도우즈 원격지원으로 해드릴수도 있습니다.
모니터마다 EDID 데이터 길이가 다를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128byte 이고,
제가 시도해본 제품도 그랬습니다. 이 글은 EDID 가 128byte 인 경우에 대한 글 이며,
타 제품에 대해 적용시 신중히 고려하신후 작업하십시오.
잊어버릴뻔 했습니다. EDID 수정하다가 문제가 생기면 모니터를 사용할수 없게 될수 있습니다.
(예전엔 CMOS BIOS 라던가, 펌웨어 업데이트 같은거 무지하게 위험한거 처럼 설명되어있던 적이 있었습니다.
실제 내용은 비슷한 것인데 이건 아직 일반화 되지 않아서 좀 크게 적어봤습니다.)
먼저 저는 nvidia 7950gt 에서 카드호환성 문제로 8600gt 로 갈아탔습니다. 참고하시구요
작년 크리스마스때 리눅스에서 LM30인치 패널 잡는다고 무진장 고생했던게 우선 기억이 나네요(리눅스는 나중에)
얼마전에 DX10 을 한번 볼까하고 비스타를 깔았더니 처음에는 일단 화면이 나왔습니다.(저해상도로)
forceware 드라이버 설치후 1024 x 768 이상 표시가 안나왔습니다.
더군다나 한화면에 작고 똑같은 내용이 2개 살짝 넘게 나오는 상황이 되어버리던군요.
리눅스에서의 경험상 아마도 모니터를 못찾거나 찾기는했으되 제대로된 설정이 안된 상황이라 판단했습니다.
모니터 inf 파일이라던가 레지스트리 수정으로 어떻게 해결볼려고 했는데도 안되더군요.
레지스트리에서 보니 BAD_EDID 라고 나와있습니다.
여기서 잠깐!! 해야겠습니다.
EDID 는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의 약자인데요. 모니터 내부에 들어가 있는 정보로
제조회사, 모델명, 생산년도/주차, 지원해상도 목록 등등의 정보가 들어가 있습니다.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는 이걸 받아와서 활용하는거구요.
vista forceware 드라이버도 98.xx 혹은 96.xx 에서는 문제가 없는경우가 많았으나 16x.xx 버전은 모조리 안되는것
같다고 많이들 말씀 하십니다. ( 9x.xx 드라이버는 8000 시리즈 지원을 안해서 실험 불가능 합니다 )
문제의 원인은, 그래픽카드 드라이버가 EDID 데이터 (보통 128바이트 ) 를 받아오면 확인을 한 후에 이 데이터를 사용할껀지
하지 않을껀지 결정을 합니다. 그런데 저 드라이버 버전이 올라가면서 EDID 표준을 더 엄격하게 확인하는것 같습니다.
이전 버전에서는 대충대충 넘어갔던걸 새로운 버전에서는 걸고 넘어가면서 EDID 데이터를 무시하게 되고
이런경우 드라이버 기본해상도 (640x480 혹은 1024x768) 로 작동하게 됩니다.
xp 에서는 해상도 설정이 잘 되길래 문제가 없는줄 알았습니다만, 나중에 보니 xp 에서도 레지스트리에 BAD_EDID 라고
적혀있습니다. 그럼에도 드라이버 버젼 상관없이 잘 되는거 보면 내부에서 처리하는 방식이 많이 다른가 봅니다.
이번에 삽질하면서, 드라이버를 조금 융통성있게 만들어야 하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도 했구요.
모니터 제작업체에서도 조금은 더 표준을 따라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했습니다.
조금더 구체적으로 들어갑니다.
#1 EDID 추출 = phoenix edid desigener
#2 EDID 수정 = 010 editor
#3 EDID 업데이트 = powerstrip(등록판)
#1 EDID 추출 = phoenix edid desigener
이건 그냥 실행파일이라 다운받으시고 실행만 하시면 됩니다.

* 아아 지나가다 보니깐, 제껀 체크섬이 "F4" 네요... 모니터이름 까지 변경해서 쓰다보니 다른분과 조금 다릅니다. *


파일 이름 지정하셔서 저장하시구요.
파일 확장자 raw 를 bin 으로 바꿔주시기 바랍니다.
#2 EDID 수정 = 010 editor
아마 쉐어웨어 일껍니다.
이부분이 설명이 상당히 깁니다만, 정말 짧게 적겠습니다.
사진에서 아래쪽 파일이 원본 EDID 데이터구요 위쪽이 수정한 데이터 입니다.
마지막 에서 두번째 바이트는 EDID 버전1.3 이상에서 추가 데이터 (128바이트이상) 의 갯수를 지정하는것 입니다만
저는 어떠한 프로그램으로도 추가 데이터 추출이 불가능했습니다.
(드라이버가 수정전의 EDID 를 무시하는것도 이부분 때문입니다. 차라리 없다고 하면 되는데 있다고 하니깐,
128byte 이후를 찾을려고 하게 되는데요. 그 이후를 불러 오지 못하거나, 모니터에서 오지 않으니까 엉뚱한 값을
가져와서 형식에 맞지 않다는 에러를 내는것입니다.)
어쨋거나 추가정보 없이도 2560x1600 지원이 가능하므로 추가 정보는 없다고 수정을 합니다 (18 -> 00)
마지막 바이트는 EDID 데이터의 8bit check sum 을 00 으로 맞추기 위해 있습니다.
엉뚱한 EDID 데이터가 모니터에 적용될경우 패널에 손상이 가는걸 막기 위함이라고 들었습니다.
방금전에 18 을 00 으로 만들었으니 대신에 5D + 18 = 75 로 바꾸겠습니다. 물론 16진수 구요
혹시 모르니깐 010 editor 로 8bit check sum 이 [00] 으로 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다른경우 체크섬이 [00] 이 되도록
마지막 바이트를 다시 조정 하시면 되겠습니다. 아마도 그런일은 극히 드물걸로 생각됩니다. 다른모델이었지만 정말
끝자리만 문제가 있는경우가 있었습니다. ( 여러파일을 작업하실때는 어느파일에 대한 체크섬인지 확인하셔요 )


사실 EDID 표준이랑 다른 부분이 조금더 있습니다만, 해상도랑 상관이 없는부분이고
그부분때문에 문제가 생기는경우를 본적이 없기에 필요이상으로 글이 복잡해짐을 막으려고 생략했습니다.
#3 EDID 업데이트 = powerstrip
우씨 결국엔 한번 날려먹는군요 다 적었었는뎅 T.T
시작 -> 프로그램 -> PowerStrip -> PowerStrip 해서 실행시켜 주시면
기본값으로 저장할꺼냐고 묻는작은 창이 뜹니다. 저는 그냥 귀찮아서 Yes 로
두번째 화면 입니다. 가끔 사용자 의도와는 다르게 그래픽 설정이 바뀌는 사태를 막기위해
옵션은 끄는게 안전하다고 생각합니다.

트레이 아이콘 을 오른쪽 클릭하셔서 모니터 인포메이션으로 들어갑니다.

옵션에서 Update EDID 눌러주시면(등록판만 가능) 저렇게 뭔가 물어보는데 모니터 하나이시면 그냥 Yes.
TwinView 구성중이시면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저기서 아니오 하면 다른 EEPROM 찾아서 다시한번 물어보고
또 싫다니깐 더이상 못찾는다고 투덜거립니다.

저~ 위쪽에서 편집해서 저장하신 edid.bin 파일을 지정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 업데이트 시간은 보통 20 ~ 60초 정도이구요, 업데이트 도중에 실패하거나, 강제 종료 하시는경우
모니터가 사망할 가능성이 있음을 다시 한번 말씀 드립니다 ***
아래쪽 화면에서 "열기" 를 누르면 업데이트가 시작됩니다. 환호 혹은 비명을 지를 준비를 하시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

마지막 단계 까지 왔습니다. 별건 아니고 재부팅하시고 정상작동하는지 확인 하시면 되겠습니다.
*************************************************************************************
& 우선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PowerStrip 의 정말 다양한 기능이 개인적으론 부담스러워서 EDID 업데이트 후에 지워버렸습니다.
& 메일이나 쪽지 문의는 환영합니다만, 상황을 자세히 알려주셔야 도움을 드릴수 있습니다.
& 구입후 일주일 정도 있다가 사용후기 올린다고 해놓구선 이제서야 후기랄까 뭔가 글을 올리네요
허니님 죄송죄송~
& 마지막으로 혹시 이런것도 필요한 사람 있으실까봐...
Update EDID file formats
bin = native edid file format
dat = proprietary text representation used by Phoenix and VSC; these use the same file
extension but they are completely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txt = simply textual respresentation of the bin file
PowerStrip prefers bin files, but should be able to handle all of these.
첫댓글 대단하시네요.. 증상이 해상도를 못찾는거나요?
모니터가 없다고 생각하거나, 혹은 연결은 되어 있는데 해상도를 어떻게 설정할지 몰라서 기본값으로 지정해버리는경우입니다.
R레이서님 덕분에 좋은 정보와 함께 즐거운 이야기를 하면서 작업 할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앞으로도 계속 좋은 글 많이 부탁 드립니다!! ^^v
R레이서님 정말정말 감사드립니다. 몇달간의 삽질이 결실을 맺을수있을것 같습니다.
글 적을때 쓸려다가 잊어먹었네요... 유명한 곳도 OEM 이 많아서 같은 모델이라도 내장 부품의 제조사가 다른경우가 있고, 내장부품 제조사가 아주 가끔 실수를 하는거 같더라구요. 노트북, 빔프로젝터 도 마찬가지구요
R레이서님 글 참고하여 전 좀 다르게 접근했습니다. 기존 대기업 제품의 EDID를 바탕으로 작업해서 현재 잘 쓰고 있습니다. 원본을 애플 시네마 HD 디스플레이 EDID로 작업해서 등록도 애플 시네마로~^^) http://iambongsu.com/275 제 EDID 롬파일은 LM300W01-STA4 용이고, 애플 시네마로 세팅되어 있습니다. 필요하신 분 가져가셔요~
아! 그리고, 제 글에 스샷을 떠놓지 않은게 하나 있어서 R레이서님꺼 가져다 썼습니다...^^);; 양해구하지 않고 이용하여 죄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