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묘사란?
보고들은 것이나 느낀 일을 객관적으로 재현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묘사는 언어를 감각경험을 재현하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어떤 대상의 모
습을 마치 그림을 그리듯이 글로 표현하여 독자의 머리 속에 의도했던 인상이 떠오
르도록 글을 쓰는 방법이다.
묘사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구체성과 감각성이라 할 수 있다. 구체성과 감각성의
정도에 따라 묘사도 서로 다를 수 있다.
묘사는 글쓰는 동기와 목적에 따라 설명적 묘사와 암시적 묘사로 나뉜다.
2.묘사의 목적
①사물이나 상황의 특징을 생생하게 나타낼 수 있다.
②읽기에 재미있고, 강한 느낌을 줄 수 있다.
③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보다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3.묘사의 종류
⇒ 객관적 묘사 (과학적, 설명적 묘사)
①대상의 객관성 상태를 있는 그대로 치밀하게 그려내는 묘사.
필자의 주장이나 사상이 극도로 억제되어 있어 묘사하는 대상의 외적인 형태만을
보여주고 독자로 하여금 스스로 주제에 도달하도록 하게된다.
②정확한 지식이나 정보를 전달하는 설명문과 같은 글에 많이 쓰인다.
예)대구에서 올라오는 차 중에서 생긴 일이다. 나는 나와 마주 앉은 그를 흥미 있게 바라보
고 또 바라보았다. 두루마기 격으로 기모노를 둘렀고, 그 안에서 옥양목 저고리가 내어 보
이며 아랫도리엔 중국식 바지를 입었다. 그것은 그네들이 흔히 입는 유지(기름 먹은 종이)
모양으로 번질번질한 암갈색 피륙으로 지은 것이었다. 그리고 발은 감발(발을 감싸는 것)을
하였는데 짚신을 신었고, 오부(중간정도로)로 깍은 머리엔 모자도 쓰지 않았다.(현 진건 고향)
⇒주관적 묘사 (문학적, 인상적 묘사)
①대상에 대한 필자의 느낌이나 사상 그리고 정서가 대상에 깊이 투사되어 있는 묘
사를 뜻한다. 관찰자의 흥미와 초점에 따라 그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
②수필이나 소설 같은 문학적인 글에 주로 쓰인다.
예) 드디어 세 시쯤 해서 말끔히 씻긴 하늘 밑에 온 산이 비에 젖고 햇빛을 받아 눈부시게
반짝일 때였습니다. 나뭇잎에 물방울 듣는 소리와 개천에 물이 불어 좔좔 넘쳐흐르는 소리
에 섞여, 문득 방울 소리가 새어 오는 것이었습니다. 그것은 흡사 부활절 날에 여러 종루에
서 일제히 울려오는 종악과도 같이 즐겁고 경쾌한 소리였습니다. 그러나 막상 노새를 몰고
나타난 것은 꼬마 미아로도 아니고, 그렇다고 늙은 노라드 아주머니도 아니었습니다. 그것
은 ....누구일까요? ... 천만 뜻밖에도 바로 우리 아가씨였습니다.
4.체제와 조성
묘사에는 설명적인 것과 암시적인 것이 있는데, 설명적인 것은 설명에 속하고 암시
적 묘사는 종합적 인상 즉, 지배적 인상을 묘사한 문장으로서 무엇보다 체제와 조
성을 고려해야 한다.
1)체제
체제란 묘사되는 대상의 제목을 질서화하여 통일감. 일체감을 주는 것과 관계된다.
묘사는 대상을 강조하기 위하여 다음 체제 중 하나에 의존하게 마련이다.
*고정된 관점 : 고정된 관념이란 일정한 대상을 관찰하는 시점을 고정시킨 채 대상
의 특징을 묘사하는 기법에 쓰인다.
*이동하는 관점 :이동하는 관점은 특정이 되어 드러난, 또는 함축되어 숨은 관찰자
가 일정한 공간에 관점을 고정시키지 않고 어느 부분에서 다른 부분으로 관점을 이
동시키며 묘사하는 경우에 쓰인다.
*얼개 현상 : 얼개 현상은 대상이 너무 크거나 광범위하여 어느 한 관점에서는 묘
사가 어려운 경우에 쓰인다. 얼개 현상의 방법은 인상의 통일을 꾀하는 효과를 얻
는다. 얼개 현상의 방법이란 묘사의 전 대상을 시각적으로 형성화하기 좋은, 보다
작은 대상에 비유하여 읽은 이가 상상에 의하여 묘사하는 대상의 세부를 지각할 수
있게 하는 기법이다.
*기분이나 태도 : 기분이나 태도는 주관적 환경 묘사의 기법에 동원된다. 이에는
관찰자가 특정된 것과 함축된 것이 있다.
*관심 : 대상은 보는 사람의 관심의 차이에 따라 그 특징이 달리 드러난다. 같은 산
이라도, 꿩을 잡으려는 사냥꾼은 꿩이 깃들인 숲 덤불에 관심을 둘 것이고, 관광객
은 산 전체에 윤곽과 나무와 바위, 개울에 관심을 둘 것임은 말할 것도 없다.
*인상 : 이것은 일정한 통일된 형식과 구조를 가지지 않은 채 목록을 열거하듯이
쓰면서 인상을 그려 보이는 경우다.
*흡수적인 것 : 묘사는 설명, 논증, 서사의 문장에서 접속의 구실을 하거나 흡수되
어 쓰이는 경우가 있다.
*혼합적인 것 : 앞에서 여러 갈래의 묘사법을 고찰했으나, 실제 글에서는 이들 여러
기법이 혼합되는 수가 많다.
2)조성
조성이란 세부 사항의 특징과 그 효과에 따른 구성을 말한다. 지배적인 인상을 주
기 위하여 대상에 관련된 세부 사항을 선정해야 하고, 선전된 것들은 중요성의 서
열의 결정이 요구된다. 지배적 인상을 주는 조성은 실감과 의의가 결정적인 구실을
한다.
*실감: 실감은 묘사의 생명이다. 묘사는 대상을 생생하게 그려 줌으로써 강력한 인
상을 주어야 한다.
*의의: 묘사는 지배적인 인상을 주는 것이어야 한다. 지배적 인상은 기분, 태도, 대
상에 향한 관념 등의 특질이 들어날 때 선명해진다. 일정한 대상의 속성 중 이 같
은 지배적 인상을 그리기에 알맞고 중요성이 있어 선택되는 특징을 의의 또는 중요
성이라 한다.
*분위기: 분위기란 일정한 장면, 사람, 사건의 묘사에 따라 연사오디는 기분, 감정
등 공적이 상태를 조성하는 요인이다.
*자연: 작품상의 자연이 일정한 감정 어린 분위기를 자아내는 것도 이에 포함된다.
*사물과 장소: 객관적 대상인 일정한 사물과 장소는
①뚜렷한 관점을 취택하여,
②모양과 빛 - 시각적 묘사에 치중하고,
③세부에 국한하기보다는 전체를 느낄 수 있게 하는 세부 묘사를 택하며,
④움직임이 있고,
⑤간결한 묘사인 것이 좋다.
*심리: 현대 문학의 한 특징은 인간의 내면 심리를 그려 외현화한다는 점이다.
*겉모습: 표현의 글은 대상의 특징을 추상하지 않고 구상적으로 제시한다. 사람의
겉모습도, 표현의 글에서는 그 묘사를 본령으로 한다.
*사회 배경: 이것은 특정한 사회의 배경이 묘사의 대상이 되는 경우다.
5.묘사하는 순서
묘사하려면, 표현하려는 공간이나 대상 전체를 여러 부분으로 나누고, 순서를 정하
여 각 부분을 차례 차례로 표현해야 한다. 묘사의 순서를 정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
지가 있다.
1)전체를 먼저 표현하고 부분을 다음에 표현하거나, 반대로 부분을 하나하나 표현
하고 맨 나중에 전체를 표현하는 방법이 있다.
2)공간이나 대상의 어느 쪽에서 묘사를 시작하고 계속하고 끝낼 것인지를 정한다.
이 경우 앞을 먼저 묘사하고 옆을 다음에 표현하고 뒤를 나중에 표현하는 방법비
있다.
3)한 지점에서 바라보는 산이나 마을이나 도시와 같은 공간을 묘사할 때에는 동쪽
으로부터 차례로 서쪽으로 묘사하거나, 이와 반대로 묘사 할 수도 있으며, 북쪽으로
부터 차례로 남쪽으로 묘사하거나 이와 반대로 묘사할 수도 있다.
4)공간이나 대상으로부터 가까운 곳에서 보는 모습을 먼저 묘사하고 차츰 먼 곳에
서 보는 모습을 묘사하거나 이와 반대로 묘사할 수도 있다.
6.묘사할 내용 마련
묘사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해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해 보는 것이 좋다.
*대상에 대해 본 것, 또는 느낀 것은 무엇인가?
*대상은 어떤 부분들로 나눌 수 있는가?
*대상을 이루는 각 부분의 특징은 무엇인가?
7.세부를 선택하는 기준
1)사실성: 독자로 하여금 묘사된 대상을 상상력에 의해 재창조하도록 작용하는 힘
을 포함한다.
2)유의성: 전달하고자 하는 무드, 태도, 생각 등 이른바 지배적 인상에 작용하는
힘을 내포한다.
8.묘사를 잘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언어로 표현 - 실감나고 생동감 있는 표현을 위함
*적절한 비유의 사용 - 읽는 사람이 상상하기 쉽도록
9.묘사시 주의 사항
①낯선 대상을 묘사할 때에는 그 대상에 대한 뜻이나 설명이 우선 되어야 한다.
②읽는 이의 이해를 위해 전체 구조에서 세부 구조에 대한 묘사를 해야한다.
③시간이나 계절, 장소의 이동 등에 따라 차례대로 묘사해야 한다.
④대상의 구체적인 모습을 설명할 때는 색깔, 크기, 무게 등을 자세한 말로 묘사해
야 한다.
⑤소리나 모양을 흉내내는 말을 실감나게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10.묘사의 여러 가지 패턴
①고정된 관점에서 관찰하는 경우
②이동하는 관점에서 관찰하는 경우
③상상적으로 창안된 이미지에 의하는 경우
④기분에 의하는 경우
⑤관심에 의하는 경우
⑥중심적인 기분이나 관심과의 관계에 서 있기는 하나 형식적 조직을 무시하는
인상주의적 패턴
⑦묘사 자료가 들어 있는 서사, 논증. 설명 등의 서술에 관련된 패턴
⑧혼성되는 패턴
☞ 묘사란 단일하게 쓰여질 뿐만 아니라 주관적 묘사와 객관적 묘사가 서로 섞여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방법을 복합묘사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