禮記
<月令第六>
1 孟春之月(맹춘지월) : 맹춘의 달에 日在營室(일재영실) : 해는 영실에 있다 昏參中(혼삼중) : 어두울 때에 삼성이 남방의 중앙에 있고 旦尾中(단미중) : 아침에는 미성이 남방의 중앙에 있다 其日甲乙(기일갑을) : 그 날은 갑을이고 其帝大?(기제대호) : 그 제는 대호이며 其神句芒(기신구망) : 그 신은 구망이고 其蟲鱗(기충린) : 그 벌레는 인충이며 其音角(기음각) : 그 소리는 각이고 律中大?(율중대족) : 율은 태족에 응하여 其數八(기수팔) : 그 성수는 8이고 其味酸(기미산) : 그 맛은 시며 其臭?(기취전) : 그 냄새는 양비린내가 나고 其祀戶(기사호) : 그 제사하는 대상은 호신이며 祭先脾(제선비) : 제사에는 비를 먼저 올린다 東風解凍(동풍해동) : 동풍이 얼어붙은 땅을 풀고 蟄蟲始振(칩충시진) : 침복하던 벌레가 비로소 떨치고 일어난다 魚上?(어상빙) : 물고기가 얼음 위로 올라오며 獺祭魚(달제어) : 수달은 처음으로 잡은 물고기를 제사 지내는 것처럼 늘어놓고 鴻?來(홍안래) : 남족으로 갔던 기러기는 돌아온다
2 天子居靑陽左?(천자거청양좌개) : 천자는 청양의 왼편 곁방에 거처하고 乘鸞路(승란로) : 난로를 타며 駕倉龍(가창룡) : 창룡마를 멍에하고 載靑?(재청기) : 푸른 기를 세우며 衣靑衣(의청의) : 푸른 옷을 입고 服倉玉(복창옥) : 창옥을 패용하며 食麥與羊(식맥여양) : 보리밥과 양고기를 먹는다 其器疏以達(기기소이달) : 사용하는 그릇은 성기어서 소통하게 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以立春(이립춘) : 입춘이 있다 先立春三日(선입춘삼일) : 입춘의 3일 전에 大史謁之天子(대사알지천자) : 태사가 천자를 알현하고 曰某日立春(왈모일립춘) : 말하기를“ 모 일은 입춘이니 盛德在木(성덕재목) : 성대한 덕이 나무에 있습니다.”라고 한다 天子乃齊(천자내제) : 천자는 이어 제계한다 立春之日(립춘지일) : 입춘날에는 天子親帥三公九卿(천자친수삼공구경) : 천자가 친히 3공·9경과 諸侯大夫以迎春於東郊(제후대부이영춘어동교) : 제후와 대부들을 거느리고 동쪽 들에 나가서 봄을 맞이한다 還反(환반) : 그리고는 곧 돌아와서 賞公卿諸侯大夫於朝(상공경제후대부어조) : 공경대부들을 조정에서 상찬하고 命相布德和令(명상포덕화령) : 정승에게 명령하여 덕을 펴며 명령을 온화하게 하며 行慶施惠(행경시혜) : 경사를 행하고 은혜를 베풀되 下及兆民(하급조민) : 아래로 억조의 백성들에게 미치게 한다 慶賜遂行(경사수행) : 경사람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毋有不當(무유불당) : 마땅하지 않은 것이 없게 된다 乃命大史守典奉法(내명대사수전봉법) : 이에 태사에게 명령하여 법전을 지키고 법도를 받들며 司天日月星辰之行(사천일월성진지행) : 하늘의 일월성신의 운행을 엿보아 宿離不貸( 숙리불대) : 그 그치고 가는 것을 살피는 데 차착이 없게 한다 毋失經紀(무실경기) : 그리하여 천문진퇴의 지속의 도수를 잘못 측정하는 일이 없게 한다 以初爲常(이초위상) : 그 방법은 역가추보의 옛 법도로써 떳떳한 범을 삼게 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天子乃以元日祈?于上帝(천자내이원일기곡우상제) : 천자는 원일 즉 상신일을 가려서 상제에게 곡식이 잘되기를 기도하고 乃擇元辰(내택원진) : 그리고 원신을 택하여 天子親載??(천자친재뢰사) : 천자가 친히 쟁기와 보습을 수레에 실어 措之于參保介之御間(조지우삼보개지어간) : 참승한 거우의 용사와 어자의 사이에 두고 帥三公九卿諸侯大夫躬耕帝藉(수삼공구경제후대부궁경제자) : 3공과 9정과 대부들을 거느리고 가서 몸소 황제의 적전에서 밭갈이를 한다 天子三推(천자삼추) : 천자는 쟁기를 잡고 세 번 밀며 三公五推(삼공오추) : 삼공은 다섯 번 밀고 卿諸侯九推(경제후구추) : 경과 제수는 아홉 번 민다 反執爵于大寢(반집작우대침) : 그리고 돌아와서는 태침에서 술잔을 잡는다 三公九卿諸侯大夫皆御(삼공구경제후대부개어) : 삼공·9정·제후·대부들이 다 이술자리에 모인다 命曰勞酒(명왈로주) : 명명하며 노주라고 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天氣下降(천기하강) : 하늘의 기운은 아래로 내려오고 地氣上騰(지기상등) : 땅의 기운은 위로 올라간다 天地和同(천지화동) : 하늘과 땅이 화동하여 草木萌動(초목맹동) : 초목이 맹동하게 되면 王命布農事(왕명포농사) : 왕이 농사를 펴기를 명령한다 命田舍東郊(명전사동교) : 전준에게 명령하여 동교에 거하면서 농경의 준비를 명하여 皆修封疆(개수봉강) : 밭의 경계를 다 수리하게 하며 審端經術(심단경술) : 논두렁 길과 밭 사이의 도랑을 살펴서 우회하고 막힌 곳이 없게 한다 善相丘陵阪險原?土地所宜(선상구릉판험원습토지소의) : 구릉과 비탈지고 험난한 곳과 높고 마른 땅과 낮고 젖은 땅과 토지에 마땅한 바의 정종과 五?所殖(오곡소식) : 오곡의 생식에 대하여 以敎道民(이교도민) : 백성을 가르쳐 인도하되 必躬親之(필궁친지) : 반드시 몸소 친히 실행하게 한다 田事旣飭(전사기칙) : 논·밭에 관한 일은 이미 계칙하여 先定準直(선정준직) : 먼저 준직을 정하여 놓으면 農乃不惑(농내불혹) : 농민이 드디어 의혹하지 않는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命樂正入學習舞(명락정입학습무) : 악정에게 명하여 배우는 자에게 학에 들어와 춤추는 일을 배우게 하여 乃修祭典(내수제전) : 드디어 제전을 수행하여 名祀山林川澤犧牲毋用牝(명사산림천택희생무용빈) : 산림과 천택에 제사하게 하고 희생은 암컷을 쓰지 못하게 한다 禁止伐木(금지벌목) : 나무 베는 일을 금지하며 毋覆巢(무복소) : 새집을 엎어버리지 않하게 하며 毋殺孩蟲胎夭飛鳥(무살해충태요비조) : 어린 벌레아 태와 갓난 것과 처음 날기를 배우는 새를 죽이는 일이 없게 하고 毋?(무미) : 새끼 짐승을 죽이지 않으며 毋卵(무란) : 알을 앗아오지 말게 한다 毋聚大衆(무취대중) : 대중을 모우지 말며 毋置城郭(무치성곽) : 성곽을 설치하지 않는다 掩?埋?(엄격매자) : 드러난 해골과 아직 살이 남아있는 사골을 덮어 준다
3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不可以稱兵(불가이칭병) : 전쟁을 일으켜서는 안된다 稱兵必天殃(칭병필천앙) : 전쟁을 일으면 반드시 하늘의 재앙을 받을 것이다 兵戎不起(병융불기) : 전쟁을 일으키지 말아야 한다 不可從我始(불가종아시) : 이편에서 먼저 전쟁을 시작하지 말아야 한다 毋變天之道(무변천지도) : 그러니 하늘의 법칙을 변역하지 말아야 하며 毋絶地之理(무절지지리) : 땅의 만물을 살리는 생리를 단절하지 말아야 하며 毋亂人之紀(무란인지기) : 사람의 지켜야 할 법을 문란하게 하지 말아야 한다 孟春行夏令(맹춘행하령) : 맹춘에 여름의 정령을 행하면 則雨水不時(칙우수불시) : 우수가 때를 잃고 草木蚤落(초목조락) : 초목이 일찍 말랄 떨어지며 國時有恐(국시유공) : 나라에 때로 공포스런 일이 있게 될 것이다 行秋令(행추령) : 이 달에 추령을 행하면 則其民大疫(칙기민대역) : 그 백성들에게 크게 전염병이 유행하게 되고 ?風暴雨總至(표풍폭우총지) : 회오리 바람과 폭우가 일시에 이르며 藜?蓬蒿?興(여유봉호병흥) : 여유봉고의 약초들이 아울러 무성하게 될 것이다 行冬令(행동령) : 이 달에 겨울의 월령을 행하면 則水燎爲敗(칙수료위패) : 홍수와 지나친 비가 수해를 일으키며 雪霜大?(설상대설) : 눈과 서리가 크게 백곡을 상해하고 首種不入(수종불입) : 먼저 심는 곡식을 걷어들일 것이 없게 될 것이다
4 仲春之月(중춘지월) : 중춘의 달에는 日在奎(일재규) : 해는 규성의 성좌에 있고 昏弧申(혼호신) : 어두울 때에 호성이 남중하며 旦建星中(단건성중) : 아침에는 건성이 남중한다. 其日甲乙(기일갑을) : 그 날은 갑을이고 其帝大?(기제대호) : 그 제는 태호이며 其神句芒(기신구망) : 그 신은 구망이며 其蟲鱗(기충린) : 그 충은 인이고 其音角(기음각) : 그 음은 각이며 律中夾鍾(율중협종) : 율관은 협종에 응하고 其數八(기수팔) : 그 수는 8이며 其味酸(기미산) : 그 맛은 시고 其臭?(기취전) : 그 냄새는 비린내며 其祀戶(기사호) : 호에 제사하고 祭先脾(제선비) : 제사에는 비장을 먼저 제사한다 始雨水(시우수) : 처음으로 비가 내리고 桃始華(도시화) : 복숭아가 꽃피기 시작하며 倉庚鳴(창경명) : 창경이 울고 鷹化爲鳩(응화위구) : 새매가 변하여 비둘기가 된다 天子居靑陽大廟(천자거청양대묘) : 천자는 천양태묘에 거쳐하며 乘鸞路(승란로) : 난로를 타고 駕倉龍(가창룡) : 창룡마를 멍에하며 載靑?(재청기) : 푸른 기를 세우고 衣靑衣(의청의) : 푸른 옷을 입으며 服倉玉(복창옥) : 창옥을 착용하고 食麥與羊(식맥여양) : 보리밥과 양의 고기를 먹으며 其器疏以達(기기소이달) : 그 그릇은 추소하고 통달하게 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安萌牙(안맹아) : 초목의 맹아를 보호하게 하며 養幼少(양유소) : 어린 것을 기르고 存諸孤(존제고) : 여러 고아들을 편안하게 보호한다 擇元日命民社(택원일명민사) : 월일을 택하여 백성에게 사에 제사지낼 것을 명령한다 命有司省囹圄(명유사성령어) : 유사에게 명령하여 옥에 수금된 자를 살펴보고 去桎梏(거질곡) : 수갑과 족쇄를 제거하며 毋肆掠(무사략) : 함부로 고분하지 말며 止獄訟(지옥송) : 옥송을 그치게 하도록 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玄鳥至(현조지) : 제비가 돌아온다 至之日(지지일) : 제비가 온 날에 以大牢祠于高?(이대뢰사우고매) : 태뢰로써 고매에 제사하는데 天子親往(천자친왕) : 천자가 친히 가면 后妃帥九嬪御(후비수구빈어) : 후비가 구빈의 여자를 거느리고 가서 乃禮天子所御(내례천자소어) : 이에 천자를 시어하심에 예를 드린다. 帶以弓?(대이궁독) : 활전대를 차고 授以弓矢于高?之前(수이궁시우고매지전) : 고매의 앞에서 그에게 화살을 준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日夜分(일야분) : 낮과 밤의 시간이 평균하게 나뉜다 雷乃發聲(뢰내발성) : 우뢰가 드디어 소리를 내며 始電(시전) : 비로소 번개가 친다 蟄蟲咸動(칩충함동) : 칩복하던 벌레들이 다 생동하여 啓戶始出(계호시출) : 그 구멍을 뚫고 나온다 先雷三日(선뢰삼일) : 춘분 전 3일인 날에 奮木鐸以令兆民(분목탁이령조민) : 목탁을 쳐서 억조의 백성들에게 이렇게 명령한다 曰雷將發聲(왈뢰장발성) : “우뢰가 장차 소리를 낸다 有不戒其容止者(유불계기용지자) : 그 용지를 계신하지 않는 자가 있으면 必有凶災(필유흉재) : 그 아이의 부모에게 반드시 흉한 재앙이 있을 것이다.” 日夜分(일야분) : 낮과 밤이 평균하게 나뉜 때가 되거든 則同度量(칙동도량) : 도량을 천하가 같도록 정리하며 鈞衡石(균형석) : 저울눈과 근수를 고르게 하고 角斗甬(각두용) : 말과 휘를 서롤 비교해 바로 잡으며 正權槪(정권개) : 저울 추와 평두목을 바르게 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耕者少舍(경자소사) : 농경하는 자가 잠깐 쉰다 乃修闔扇(내수합선) : 나무와 대나무 갈대로 된 문호의 덮개를 수리하며 寢廟畢備(침묘필비) : 사당의 앞 뒤를 다 수리한다 生子不備(생자불비) : 백성들이 준비되지 않으면 毋作大事以妨農之事(무작대사이방농지사) : 군사를 동원하는 일 같은 큰 일을 일으켜서 농사일을 방해하는 일이 없게 해야 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毋竭川澤(무갈천택) : 천택의 물을 말리지 말아야 하며 毋?陂池(무록피지) : 저수지를 가시는 일을 하지 말아야 하고 毋焚山林(무분산림) : 산림을 불태우지 말아야 한다 天子乃鮮羔開?(천자내선고개빙) : 천자가 새끼양을 희생으로 바치고 얼음을 열어 先薦寢廟(선천침묘) : 먼저 종묘에 천신한다 上丁(상정) : 상정일에 命樂正習舞(명락정습무) : 악정에게 명령하여 장차 춤을 교습하게 하고 釋菜(석채) : 먼저 석채의 예를 거행하여 분묘에 고유한다 天子乃帥三公九卿諸侯大夫親往視之(천자내수삼공구경제후대부친왕시지) : 천자가 3공·9경·제후·대부들을 거느리고 친히 가서 시찰한다 仲丁(중정) : 중정에 又命樂正(우명락정) : 또 악정에게 명령하여 入學習舞(입학습무) : 학교에 들어가 춤을 익히게 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는 祀不用犧牲(사불용희생) : 제사에 희생을 사용하지 않고 用圭璧(용규벽) : 대신 규벽을 사용하며 更皮幣(경피폐) : 조금 경한 곳에는 피폐로 바꾸어 쓴다 仲春行秋令(중춘행추령) : 중춘에 가을의 월령을 행하면 則其國大水(칙기국대수) : 그 나라에 대수가 범람하고 寒氣總至(한기총지) : 찬 기운이 한꺼번에 몰려오며 寇戎來征(구융래정) : 도둑이 침공해 오게 될 것이다 行冬令(행동령) : 이 달에 겨울의 월령을 행하면 則陽氣不勝(칙양기불승) : 양기가 수기를 이기지 못하여 麥乃不熟(맥내불숙) : 보리가 성숙하지 못하며 民多相掠(민다상략) : 백성들이 서로 약탈하는 일이 많이 일어나게 될 것이다 行夏令(행하령) : 이 달에 여름의 월령을 행하면 則國乃大旱(칙국내대한) : 나라가 크게 가물어서 煖氣早來(난기조래) : 뜨거운 기운이 빨리 올 것이며 蟲螟爲害(충명위해) : 병충이 농작에 해를 끼칠 것이다
5 季春之月(계춘지월) : 계춘의 달에는 해는 日在胃(일재위) : 위성의 성좌에 있고 昏七星中(혼칠성중) : 어두울 때에는 칠성이 하늘의 중앙에 있고 旦牽牛中(단견우중) : 낮에는 견우성이 하늘의 중앙에 있다 其日甲乙(기일갑을) : 그 일진은 갑을이고 其帝大?(기제대호) : 그 제는 태호이고 其神句芒(기신구망) : 그 신은 구망이며 其蟲鱗(기충린) : 그 충은 인충이고 其音角(기음각) : 그 음은 각성이며 律中姑洗(율중고세) : 그 율은 고선에 응하고 其數八(기수팔) : 그 수는 8이고 其味酸(기미산) : 그맛은 시고 其臭?(기취전) : 그 냄새는 양비린내가 난다 其祀戶(기사호) : 그 제사는 호신에게 지내며 祭先脾(제선비) : 제사에는 비장을 먼저 제사를 바친다 桐始華(동시화) : 오동나무가 꽃피기 시작하며 田鼠化爲?(전서화위여) : 두더지가 변하여 종달새가 된다 虹始見(홍시현) : 무지개가 처음 나타나며 ?始生(평시생) : 마음이 처음 난다 天子居靑陽右?(천자거청양우개) : 천자는 청양우가에 거처하며 乘鸞路(승란로) : 난로를 타고 駕倉龍(가창룡) : 창룡마를 수레하고 載靑?(재청기) : 청기를 싣고 衣靑衣(의청의) : 청의를 착용한다 服倉玉(복창옥) : 창옷을 입으며 食麥與羊(식맥여양) : 보리밥과 양고기를 먹는다 其器疏以達(기기소이달) : 그 그릇은 추소하고 달한 것으로 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天子乃薦鞠衣于先帝(천자내천국의우선제) : 천자가 비로소 국화빛과 같이 누른 옷을 선대 제왕의 신좌에 바친다 命舟牧覆舟(명주목복주) : 주목에게 명령하여 배를 거듭 살피게 한다 五覆五反(오복오반) : 주목은 다섯 번 엎치고 다섯 번 뒤쳐서 乃告舟備具于天子焉(내고주비구우천자언) : 자세히 검사한 뒤에 비로소 배가 갖추어졌음을 천자에게 보고한다 天子始乘舟(천자시승주) : 천자가 비로소 배를 탄 뒤에 薦?于寢廟(천유우침묘) : 상어를 종며에 천신하고 乃爲麥祈實(내위맥기실) : 드디어 보리가 잘 어물기를 기원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는 生氣方盛(생기방성) : 생기가 바야흐로 성하고 陽氣發泄(양기발설) : 양기가 발동하여 句者畢出(구자필출) : 굽히어 사는 자도 다 나오며 萌者盡達(맹자진달) : 곧게 사는 자도 다 통달한다 不可以內(불가이내) : 안으로 돌아서는 안된다 天子布德行惠(천자포덕행혜) : 천자는 덕을 펴고 은혜를 행하여야 한다 命有司發倉?(명유사발창름) : 유사에게 명령하여 찬고의 곡식을 풀어서 賜貧窮(사빈궁) : 빈궁한 자에게 반사하며 振乏絶(진핍절) : 핍절한 자를 진휼하게 한다 開府庫(개부고) : 부고를 열고 出幣帛(출폐백) : 폐백을 끌어내어 周天下(주천하) : 천하에 골고루하며 勉諸侯聘名士(면제후빙명사) : 제후를 권면하고 명사를 초빙하며 禮賢者(례현자) : 현자를 예우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命司空曰(명사공왈) : 사공에게 명령하여 이렇게 말한다 時雨將降(시우장강) : “때 맞은 비가 장차 내린다면 下水上騰(하수상등) : 혹은 아래로 내려가야 할 물이 도리어 위로 거슬러 올라와 피해를 주는 수가 있을 것이다 循行國邑(순행국읍) : 국읍을 순행하여 周視原野(주시원야) : 원야를 고루 살펴보고 修利?防(수리제방) : 제방을 잘 수리하며 道達溝瀆(도달구독) : 도랑과 개천을 잘 소통하게 하고 開通道路(개통도로) : 도로를 개통하여 毋有障塞(무유장색) : 장해와 막힘이 없게 하라 田獵??羅罔畢??獸之藥毋出九門(전렵저부라망필예위수지약무출구문) : 사냥에 차부와 나망과 필에와 짐승에게 먹이는 독약 등은 궁궐의 구문 밖을 나가지 못하게 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命野虞無伐桑?(명야우무벌상자) : 전지를 주관하는 관원과 산림을 맡은 관원에게 명령하여 뽕나무를 베지 못하게 한다 鳴鳩拂其羽(명구불기우) : 우는 산비둘기가 그 날개를 떨치며 戴勝降于桑(대승강우상) : 뻐꾸기가 뽕나무에 내려 앉거든 具曲植?筐(구곡식거광) : 곡식거광의 양잠기구를 준비한다 后妃齊戒親東鄕躬桑(후비제계친동향궁상) : 후비가 재게하고 동을 향하여 몸소 누에를 친다 禁婦女毋觀(금부녀무관) : 부녀들에게 금지시켜서 외관을 꾸미는 자가 없게 하며 省婦使(생부사) : 부사를 감생하여 以勸蠶事(이권잠사) : 누에 치는 일을 권면한다 蠶事旣登(잠사기등) : 누에 치는 일이 이미 이루어지면 分繭稱絲效功(분견칭사효공) : 고치를 여러 부인들에게 나눠 주어서 실을 뽑게 하고 그 실의 많고 적음에 따라 공의 등급을 정하며 以共郊廟之服(이공교묘지복) : 교묘의 제복을 공급하게 하여 無有敢惰(무유감타) : 감히 게을리하는 일이 없게 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命工師令百工審五庫之量(명공사령백공심오고지량) : 공사에게 명령하여 오고의 재고량을 자세히 살피게 하고 金鐵(금철) : 금철과 皮革筋(피혁근) : 피혁근과 角齒(각치) : 각치와 羽箭幹脂膠丹漆(우전간지교단칠) : 우전간과 지교단칠에 毋或不良(무혹불량) : 옥이나 불량한 품질의 것이 없게 한다 百工咸理(백공함리) : 백공이 다 각기의 맡은 일을 치리하면 監工日號(감공일호) : 잡공이 감림하여 매일 이렇게 호령한다 毋悖于時(무패우시) : “각기 해야 할 때에 따라 패려함이 없게 하고 毋或作爲淫巧以蕩上心(무혹작위음교이탕상심) : 혹은 지나치게 교묘한 것을 만들어서 임금의 마음을 흔들어 사치한 생각을 일으키게 하는 일이 없게 하라.” 是月之末(시월지말) : 이 달의 끝에 擇吉日大合樂(택길일대합락) : 길일을 가려서 크게 음악을 합주시키고 天子乃率三公九卿諸侯大夫親往視之(천자내솔삼공구경제후대부친왕시지) : 천자가 3공·9정·제후·대부들을 거느리고 친히 가서 본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乃合累于騰馬遊牝于牧(내합루우등마유빈우목) : 드디어 매어 두었던 황소와 발정하여 분봉하는 수말을 보아서 암켯을 유목하고 있는 곳에 놓아 번식하게 한다 犧牲駒犢擧書其數(희생구독거서기수) : 그 중에 희생으로 쓸 만한 것과 망아지와 송아지의 수를 다 적어 둔다 命國難(명국난) : 국난에게 명령하여 九門?攘以畢春氣(구문책양이필춘기) : 구문에서 책양의 행사를 기행하여 봄의 여기를 종필하게 된다 季春行冬令(계춘행동령) : 계춘에서 겨울의 월령을 행하면 則寒氣時發(칙한기시발) : 차가운 기운이 때로 발생하여 草木皆肅(초목개숙) : 초목이 다 말라 떨어지면 國有大恐(국유대공) : 나라 안에 크게 서로 두려워하는 일이 있을 것이다 行夏令(행하령) : 여름의 정령을 행하면 則民多疾疫(칙민다질역) : 백성들에게 질병과 전염병이 많을 것이며 時雨不降(시우불강) : 때에 알맞은 비가 오지 않아서 山陵不收(산릉불수) : 산릉과 같은 고지에서는 곡식의 수확이 없을 것이다 行秋令(행추령) : 가을의 정령을 행하면 則天多沈陰(칙천다심음) : 날씨가 침음한 때가 많아서 淫雨蚤降(음우조강) : 장마비가 일찍 내리며 兵革?起(병혁병기) : 전쟁도 아울러 일어날 것이다
6 孟夏之月(맹하지월) : 맹하의 달에는 日在畢(일재필) : 해가 필성의 성좌에 있다 昏翼中(혼익중) : 어두울 때에 익성의 남쪽 하늘의 중앙에 있고 旦?女中(단무녀중) : 아침에는 부녀성이 남쪽 하늘의 중앙에 있다 其日丙丁(기일병정) : 그 일진은 변정이고 其帝炎帝(기제염제) : 이 달을 주재하는 제는 염제이고 其神祝融(기신축융) : 그를 보좌하는 신은 축융이다 其蟲羽(기충우) : 이 달의 벌레는 우충이며 其音徵(기음치) : 이 달의 소리는 치이다 律中中呂(율중중여) : 율은 중리에 응하며 其數七(기수칠) : 이 달의 성수는 7이고 其味苦(기미고) : 맛은 쓰고 其臭焦(기취초) : 냄새는 불냄새가 난다 其祀?(기사조) : 이 달의 제사는 조에 지내는데 祭先肺(제선폐) : 패를 먼저 제물로 바친다 ??鳴(루괵명) : 땅강아지가 울고 ?蚓出(구인출) : 지렁이가 나오며 王瓜生(왕과생) : 왕과가 나고 苦菜秀(고채수) : 고채가 빼어난다 天子居明堂左?(천자거명당좌개) : 이 달에 천자는 명당좌개에 거처하며 乘朱路(승주로) : 붉은 수레를 타고 駕赤?(가적류) : 적류마를 멍에하며 載赤?(재적기) : 붉은 기를 세우고 衣朱衣(의주의) : 붉은 옷을 입으며 服赤玉(복적옥) : 적옥을 복색하며 食菽與?(식숙여계) : 콩밥과 닭고기를 먹는다 其器高以粗(기기고이조) : 그 그릇은 높고 소박한 것을 사용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以立夏(이립하) : 입하가 있다 先立夏三日(선립하삼일) : 입하 전 3일에 大史謁之天子(대사알지천자) : 태사가 천자를 뵙고 曰某日立夏(왈모일립하) : 이르기를 “모는 날이 임하니 盛德在火(성덕재화) : 성덕이 화에 있습니다.”라고 말한다 天子乃齊(천자내제) : 천자는 이에 재계하고 立夏之日(립하지일) : 합하인 날에는 天子親帥三公九卿大夫以迎夏於南郊(천자친수삼공구경대부이영하어남교) : 천자가 친히 3공·9경·재부들을 거느리고 남교에 나아가 여름을 맞는다 還反(환반) : 곧 돌아와서는 行賞(행상) : 상을 행하여 封諸侯(봉제후) : 제후를 봉하고 慶賜遂行(경사수행) : 경하하여 수행을 내리니 無不欣說(무불흔열) : 즐거워하지 않는 이가 없게 된다 乃命樂師習合禮樂(내명락사습합례악) : 이에 악사에게 명령하여 예악을 익히게 한다 命太尉贊桀俊(명태위찬걸준) : 그리고 태위에게 명하여 호걸스럽고 준수한 사람을 돕게 하며 遂賢良(수현량) : 현량한 자가 그 뜻을 성취하게 하며 擧長大(거장대) : 키가 크고 몸이 큰 자를 거용하게 한다 行爵出祿(행작출록) : 작을 주고 녹을 주는 일은 必當其位(필당기위) : 반드시 그 지위에 맞게 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繼長增高(계장증고) : 긴 것을 계속하여 더욱 길게 하고 毋有壞墮(무유괴타) : 높은 것은 무너뜨리거나 떨어뜨리는 일이 없게 하며 毋起土功(무기토공) : 토목의 공사를 일으키지 말아야 하고 毋發大衆(무발대중) : 대중을 동원하는 일이 없어야 하고 毋伐大樹(무벌대수) : 큰 나무를 베지 말아야 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天子始?(천자시치) : 천자가 비로소 치의를 입는다 命野虞出行田原(명야우출행전원) : 전지를 맡은 관원과 산림을 맡은 관원에게 명령하여 전원으로 돌아다니며 爲天子勞農勸民(위천자로농권민) : 천자를 대신하여 농민을 위로하고 농사를 권장하여 毋或失時(무혹실시) : 옥이나 농시을 잃어버리는 일이 없게 하라.”하고 한다 命司徒巡行縣鄙(명사도순행현비) : 사도에게 명령하여 도시와 시골을 돌아다니면서 命農勉作(명농면작) : 농사의 경작에 힘쓰기를 명령하여 毋休于都(무휴우도) : 도시에서 쉬고 있는 일이 없게 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驅獸毋害五?(구수무해오곡) : 짐승들이 오곡을 해치지 않게 하고 毋大田獵(무대전렵) : 큰 사냥은 행하지 않게 한다 農乃登麥(농내등맥) : 농사는 드디어 보리가 성숙한다 天子乃以?嘗麥(천자내이체상맥) : 천자는 이에 돼지고기와 함께 보리밥을 맛보는데 先薦寢廟(선천침묘) : 먼저 종묘에 올린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聚畜百藥(취축백약) : 온갖 약초를 채집한다 靡草死(미초사) : 이 날에는 미세한 풀은 죽으며 麥秋至(맥추지) : 보리알이 나온다 斷薄刑(단박형) : 경미한 형벌을 단행하며 決小罪(결소죄) : 작은 죄를 판결하고 出輕繫(출경계) : 가벼운 죄로 구수 중에 있는 자를 내보낸다 蠶事畢(잠사필) : 누에 치는 일을 마치고 后妃獻繭(후비헌견) : 후비가 고치를 바치거든 乃收繭稅(내수견세) : 이에 견세를 징수한다 以桑爲均(이상위균) : 견세를 징수함에 사용한 뽕의 많고 적음에 따라 균평하게 부과하고 貴賤長幼如一(귀천장유여일) : 귀천·장유를 가리지 않고 동일한 율로 하며 以給郊廟之服(이급교묘지복) : 견세를 제한 나머지는 각자가 가져서 교묘의 복을 만들어 공급하게 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天子飮酎(천자음주) : 천자가 전국술을 마신다 用禮樂(용례락) : 그 자리에는 예악을 사용한다 孟夏行秋令(맹하행추령) : 맹하에서 가을의 월령을 행하면 則苦雨數來(칙고우수래) : 장마가 비가 자주 와서 五?不滋(오곡불자) : 오곡이 성장하지 못하며 四鄙入保(사비입보) : 사방의 촌민들이 전쟁을 피하여 성보내에 들어가는 일이 있을 것이다 行冬令(행동령) : 맹하에 겨울의 월령을 행하면 則草木蚤枯(칙초목조고) : 초목이 일찍 말라 떨어지며 後乃大水(후내대수) : 뒤에는 큰 물이 져서 敗其城郭(패기성곽) : 성곽을 무너뜨릴 것이다 行春令(행춘령) : 맹하에 봄의 월령을 행하던 則蝗蟲爲災(칙황충위재) : 황충이 곡식에 재해를 끼치고 暴風來格(폭풍래격) : 폭풍이 올 것이며 秀草不實(수초불실) : 빼어나게 잘 자란 곡초가 열매를 맺지 않을 것이다
7 仲夏之月(중하지월) : 중하의 달에 日在東井(일재동정) : 해는 동정의 성좌에 있다 昏亢中(혼항중) : 어두울 때에 항성이 하늘의 남쪽 중앙에 있고 旦危中(단위중) : 아침에는 위성이 하늘의 남쪽 중앙에 있다 其日丙丁(기일병정) : 그 날은 병정이고 其帝炎帝(기제염제) : 중하를 주재하는 제는 염제이며 其神祝融(기신축융) : 그를 보좌하는 신은 축융이다 其蟲羽(기충우) : 그 달의 충은 우충이고 其音徵(기음치) : 그 음은 치이며 律中?賓(율중유빈) : 율은 유빈에 응한다 其數七(기수칠) : 그 수는 7이며 其味苦(기미고) : 그 맛은 쓰고 其臭焦(기취초) : 그 냄새는 불냄내가 나며 其祀?(기사조) : 제사는 조신에게 지낸다 祭先肺(제선폐) : 제사에는 먼저 폐장을 제물로 바친다 小暑至(소서지) : 소서가 이르고 螳?生(당랑생) : 당랑이 나오면 ?始鳴(격시명) : 왜가리가 울기 시작하고 反舌無聲(반설무성) : 때까치는 소리가 없다 天子居明堂太廟(천자거명당태묘) : 천자는 명당태묘에 거처하며 乘朱路(승주로) : 주로를 타고 駕赤?(가적류) : 적류마를 멍에하며 載赤?(재적기) : 붉은 기를 세우고 衣朱衣(의주의) : 붉은 옷을 입으며 服赤玉(복적옥) : 적옥을 착용하고 食菽與?(식숙여계) : 콩밥에 닭고기를 먹으며 其器高以粗(기기고이조) : 그 그릇은 높고 소박한 것을 사용하며 養壯?(양장교) : 체격이 당대한 사람과 얼굴이 예쁘고 좋은 자를 기른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命樂師修??鼓(명락사수도비고) : 악사에게 명령하여 도·비·고를 수리하고 均琴瑟管簫(균금슬관소) : 거문고와 비파와 관·소의 음을 고를게 조정한다 執干戚戈羽(집간척과우) : 간척간우를 잡게 하며 調?笙?簧(조우생지황) : 우·생·지·황의 음곡을 조화하며 飭鍾磬??(칙종경축어) : 종·경·축·어를 정치하게 한다 命有司(명유사) : 유사에게 명령하여 爲民祈祀山川百源(위민기사산천백원) : 백성을 위하여 산천의 모든 근원에 기원의 제사를 지내게 하고 大雩帝(대우제) : 천제에게 크게 기우제를 지내는데 用盛樂(용성락) : 성대한 음악을 연주하게 한다 乃命百縣雩祀百?卿士有益於民者(내명백현우사백벽경사유익어민자) : 이에 기내의 모든 고을에 명령하여 제후와 6경으로서 살아서 백성들에게 유익하였던 자의 신에 대하여 기우제를 지내고 以祈?實(이기곡실) : 곡식이 잘 결실하기를 기원하게 하는데 農乃登黍(농내등서) : 농사에 기장이 성숙하면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天子乃以雛嘗黍(천자내이추상서) : 천자가 닭고기와 함께 기장밥을 맛보며 羞以舍桃(수이사도) : 앵도를 올리면 先薦寢廟(선천침묘) : 먼저 종묘에 천신한다 令民毋艾藍以染(령민무애람이염) : 백성들로 하여금 쪽을 베어다가 염색하는 일을 하지 못하게 하며 毋燒灰(무소회) : 재를 불태우지 못하게 하고 毋暴布(무폭포) : 볕에 벼를 말리지 말게 하여 門閭毋閉(문여무폐) : 문과 기리의 이문을 닫지 못하게 하고 關市毋索(관시무색) : 관시의 상인의 탈세품을 수객하지 말아서 관대한 정사를 행하며 挺重因(정중인) : 중죄수를 뽑아내어서 益其食(익기식) : 그의 급식을 더 보태게 한다 游牝別?(유빈별군) : 목장에 방목하던 암켯을 무리에서 따로 떼어내고 則?騰駒(칙집등구) : 분등하는 망아지늘 잡아매며 班馬政(반마정) : 반마의 정령을 반포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달에는 日長至(일장지) : 날이 극도로 길다 陰陽爭(음양쟁) : 그래서 음과 양이 서로 다투며 死生分(사생분) : 그래서 죽고 사는 것이 나뉘진다 君子齊戒(군자제계) : 군자는 이 때에 재게하여 處必掩身(처필엄신) : 마음을 단정하게 하고 거처에 반드시 그 몸을 덮어 가려서 毋躁(무조) : 행동에 경조함이 없게 한다 止聲色(지성색) : 성색을 그치어 毋或進(무혹진) : 혹 진어하는 일이 없게 하고 薄滋味(박자미) : 음식의 맛을 박하게 하여 毋致和(무치화) : 자미를 조화하지 않으며 節者欲(절자욕) : 기호와 욕망을 절제하여 定心氣(정심기) : 심기를 안정시킨다 百官靜(백관정) : 백관들은 일을 정지시키고 事毋刑(사무형) : 형벌하는 일이 없어서 以定晏陰之所成(이정안음지소성) : 안음의 이룸을 안정시킨다 鹿角解(록각해) : 사슴의 뿔이 바지고 蟬始鳴(선시명) : 매미가 울기 시작하며 半夏生(반하생) : 반하가 나고 木菫榮(목근영) : 목근이 꽃핀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는 毋用火南方(무용화남방) : 남방에서 불을 사용하는 일을 하지 않는다 可以居高明(가이거고명) : 밝고 높은 곳에 거처하는 것이 좋으며 可以遠眺望(가이원조망) : 멀리 조망하기에 좋다 可以升山陵(가이승산릉) : 산릉에 오를 만하고 可以處臺樹(가이처대수) : 누대정사에 거처할 만하다 仲夏行冬令(중하행동령) : 중하에서 겨울의 정령을 행하면 則雹凍傷?(칙박동상곡) : 우박과 동해가 곡식을 손상하며 道路不通(도로불통) : 도로가 통하지 않고 暴兵來至(폭병래지) : 갑작스런 적병이 침노해 올 것이다 行春令(행춘령) : 봄의 정령을 하면 則五?晩熟(칙오곡만숙) : 오곡이 늦게 성숙하며 百?時起(백등시기) : 온갖 해충이 때로 발생하여 其國乃饑(기국내기) : 그 나라가 마침내 흉년이 들 것이다 行秋令(행추령) : 중하에 가을의 점령을 행하면 則草木零落(칙초목령락) : 초목이 말라 떨어지고 果實早成(과실조성) : 과실이 일찍 성숙하며 民殃於疫(민앙어역) : 백성들이 전염병에 재앙을 입을 것이다
8 季夏之月(계하지월) : 계하의 달에는 日在柳(일재류) : 해가 유성의 위치에 있다 昏火中(혼화중) : 어두운 때에 황성이 남쪽 하늘의 중앙에 있고 旦奉中(단봉중) : 아침에는 규성이 남쪽 하늘의 중앙에 있다 其日丙丁(기일병정) : 그 일진은 병정이고 其帝炎帝(기제염제) : 이 날을 주재하는 신은 염제이며 其神祝融(기신축융) : 그를 보좌하는 신은 축융이다 其蟲羽(기충우) : 이 달의 충은 우충이고 其音徵(기음치) : 이 달의 소리는 치나 律中林鍾(율중림종) : 율은 임종에 응하며 其數七(기수칠) : 이 달의 수는 7이나 其味苦(기미고) : 그 맛은 쓰고 其臭焦(기취초) : 그 냄새는 불냄새가 난다 其祀?(기사조) : 이 달의 제사는 조신에게 지내며 祭先肺(제선폐) : 제사에는 패장을 먼저 제물로 바친다 溫風始至(온풍시지) : 따뜻한 바람이 비로소 불어오고 ??居壁(실솔거벽) : 귀뚜라미는 벽 속에 있으며 鷹乃學習(응내학습) : 새매의 새끼가 날기를 익히고 腐草爲螢(부초위형) : 썩은 풀이 변하여 반딧불이 된다
9 天子居明堂右?(천자거명당우개) : 천자가 명당우개에 거하며 乘朱路(승주로) : 주로를 타고 駕赤?(가적류) : 적류마에 멍애를 매고 載赤?(재적기) : 적기를 싣고 衣朱衣(의주의) : 붉은 옷을 입고 服赤玉(복적옥) : 적옥을 찬다 食菽與?(식숙여계) : 콩과 닭을 먹고 其器高以粗(기기고이조) : 그릇은 높고도 투박하다 命漁師伐蛟(명어사벌교) : 어사에게 명하여 교룡을 잡게 하고 取?(취타) : 악어를 취하고 登龜(등귀) : 거북에 올라 取?(취원) : 자라를 잡았다 命澤人納材葦(명택인납재위) : 택인에게 명하여 재목을 납부하게 했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命四監(명사감) : 사감에게 명하여 大合百縣之秩芻(대합백현지질추) : 백현의 질추를 크게 합하여 以養犧牲(이양희생) : 희생을 기르게 한다 令民無不咸出其力(령민무불함출기력) : 백성으로 하여금 그 힘을 모두 내게 하여 以其皇天上帝(이기황천상제) : 황천 상제와 名山大川(명산대천) : 명산 대첩과 四方之神(사방지신) : 사방의 신으로 하게 한다 以祠宗廟社稷之靈(이사종묘사직지령) : 종묘사진의 영으로 以爲民祈福(이위민기복) : 백성을 위해서 복을 빌게 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命婦官染采(명부관염채) : 부관에게 명하여 염색하게 하고 ??文章必以法故(보불문장필이법고) : 보불 무늬는 반드시 전통에 따르게 한다 無或差貸(무혹차대) : 혹 차이가 없어도 黑黃倉赤莫不質良(흑황창적막불질량) : 흑황창적이 모두 질이 우량하지 않은 것이 없다 毋敢詐僞(무감사위) : 감히 속이지 못하게 한다 以給郊廟祭祀之服(이급교묘제사지복) : 교제나 묘제의 제사에 쓰이는 옷을 공급하여 以爲旗章(이위기장) : 기자을 삼는다 以別貴賤等給之度(이별귀천등급지도) : 그것으로 귀천과 등급의 정도를 가린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樹木方盛(수목방성) : 수목이 왕성해지기 시작하여 乃命虞人入山行木(내명우인입산행목) : 우인에게 명하여 산에 들어 나무를 다니며 毋有斬伐(무유참벌) : 벌목을 행하지 못하며 不可以興土功(불가이흥토공) : 토목공사를 일으키지 못하며 不可以合諸侯(불가이합제후) : 제후를 모으지 못하며 不可以起兵動衆(불가이기병동중) : 병사를 일으키고 대중을 동원하지 못하니 毋擧大事以搖養氣(무거대사이요양기) : 이는 대사를 일으켜 양기를 요동치지 못하게 해야 하기 때문이다 毋發令而待(무발령이대) : 명령을 내리고 기다리지 않는 것은 以妨神農之事也(이방신농지사야) : 농사의 일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水?盛昌(수료성창) : 큰 비가 자주 내리려 神農將持功(신농장지공) : 신농씨가 공을 이루게 된다 擧大事則有天殃(거대사칙유천앙) : 큰 일을 일으키면 하늘의 재앙이 있다
是月也(시월야) : 이달에는 土潤?暑(토윤욕서) : 토지가 윤택해지고 무더워진다 大雨時行(대우시행) : 큰 비가 때맞춰 내리려 燒?行水(소치행수) : 불살라 버린 듯이 물이 쓸고 간다 利以殺草(리이살초) : 날카로워 풀을 죽임이 如以熟湯(여이숙탕) : 익히고 끓이는 것 같다 可以糞田疇(가이분전주) : 밭둑에 거름주기에 좋고 可以美土彊(가이미토강) : 토지를 기름지게 할 수 있다 季夏行春令(계하행춘령) : 계하에 봄의 정령을 행하면 則?實鮮落(칙곡실선락) : 곡식이 실해지고 떨어짐이 적다 國多風?(국다풍해) : 나라에 풍해가 많아지면 民乃遷徙(민내천사) : 백성은 다른 곳으로 옮겨간다 行秋令(행추령) : 가을의 정령을 행하면 則丘?水?(칙구습수료) : 구릉과 진철에 물이 지고 禾稼不熟(화가불숙) : 벼가 익지 않아 乃多女災(내다여재) : 제앙이 많아진다 行冬令(행동령) : 겨울의 절령을 행하면 則風寒不時(칙풍한불시) : 바람이 차가워져 때에 맞지 않아 鷹?蚤?(응준조지) : 매와 매새가 일찍 사나워지고 四鄙入保(사비입보) : 사방 천민들이 성보에 들어온다
10 中央土(중앙토) : 중앙은 토이다 其日戊已(기일무이) : 그 일진은 무기이고 其帝黃帝(기제황제) : 주재하는 제는 황제이며 其神后土(기신후토) : 그를 보좌하는 신은 후토이고 其蟲?(기충라) : 그 충은 나충이며 其音宮(기음궁) : 그 소리는 궁이고 律中黃鍾之宮(율중황종지궁) : 율은 황종의 궁에 응한다 其數五(기수오) : 그 수는 5고 其味甘(기미감) : 그 맛은 달며 其臭香(기취향) : 그 냄새는 향기난다 其祀中?(기사중류) : 이 때의 사는 중류의 신에게 지내는데 祭先心(제선심) : 제사에는 심장을 먼저 제물로 바친다 天子居大廟大室(천자거대묘대실) : 천자는 태묘태실에 거쳐하며 乘大路(승대로) : 대로를 타고 駕黃?(가황류) : 황류마를 멍에하고 載黃?(재황기) : 누른기를 세우고 衣黃衣(의황의) : 누를 옷을 입으며 服黃玉(복황옥) : 황옥을 착용하고 食稷與牛(식직여우) : 기장밥에 쇠고기를 먹으며 其器?以?(기기환이굉) : 그 그릇은 둥글고 너그럽고 아름다운 것을 사용한다
11 孟秋之月(맹추지월) : 맹추의 달에는 日在翼(일재익) : 해가 익성의 위치에 있다 昏建星中(혼건성중) : 어두울 때 건성의 남쪽 하늘의 중앙에 있고 旦畢中(단필중) : 아침에는 필성이 남쪽 하늘의 중앙에 있다 其日庚辛(기일경신) : 그 일진은 경신이고 其帝少?(기제소호) : 그 제는 소호이며 其神?收(기신욕수) : 그를 보좌하는 신은 욕수이고 其蟲毛(기충모) : 그 충은 모충이며 其音商(기음상) : 그 음은 상이고 律中夷則(율중이칙) : 율은 이칙에 응하며 其數九(기수구) : 그 수는 9이고 其味辛(기미신) : 그 맛은 맵고 其臭腥(기취성) : 그 냄시는 누린내가 난다 其祀門(기사문) : 그 제사는 문신에게 지내며 祭先肝(제선간) : 제사에는 먼저 간을 제물로 바친다 ?風至(량풍지) : 서늘한 사람이 불어오고 白露降(백로강) : 흰 이슬이 내리고 寒蟬鳴(한선명) : 찬 매미가 운다 鷹乃祭鳥(응내제조) : 用始行戮(용시행륙) : 天子居總章左?(천자거총장좌개) : 천자는 총장좌가에 거처하며 乘戎路(승융로) : 병거를 타고 駕白駱(가백락) : 백락을 명에하며 載白?(재백기) : 흰 기를 세우고 衣白衣(의백의) : 흰 옷을 입으며 服白玉(복백옥) : 백옥을 착용하며 食麻與犬(식마여견) : 삼의 열매를 개고기와 함께 먹는다 其器廉以深(기기렴이심) : 그 그릇은 깨끗하고 깊은 것을 사용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以立秋(이립추) : 입추가 있다 先立秋三日(선립추삼일) : 입추의 3일 전에 大史謁之天子(대사알지천자) : 태사가 천자를 뵙고 曰某日立秋(왈모일립추) : 말하기를 “모일 날은 입추로서 盛德在金(성덕재금) : 성대한 덕이 금에 있습니다.” 天子乃齊(천자내제) : 천자는 이에 재계하고 立秋之日(입추지일) : 입추인 날에 天子親帥三公九卿諸侯(천자친수삼공구경제후) : 천자가 친히 3공·9경·제후 大夫以迎秋於西郊(대부이영추어서교) : ·대부들을 거느리고 서쪽 들에 나가서 가을을 맞는다 還反賞軍帥武人於朝(환반상군수무인어조) : 곧 돌아와서는 군사의 장수와 무인들을 조정에서 행상한다 天子乃命將帥(천자내명장수) : 천자는 이에 장수에게 명령하여 選士?兵(선사려병) : 선비를 뽑고 병정들을 격려하며 簡練桀俊(간련걸준) : 호걸스럽고 준수한 자를 가려서 훈련하고 專任有功(전임유공) : 오로지 유공한 자에게 맡겨서 以征不義(이정불의) : 불의한 자를 정토하며 詰誅暴慢(힐주폭만) : 포악하고 거만한 자를 힐책조토하여 以明好惡(이명호악) : 좋아하고 미워하는 것을 명시하여 順彼遠方(순피원방) : 저원방의 나라들을 복종하게 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命有司修法制(명유사수법제) : 유사에게 명령하여 법제를 수습하고 繕囹圄(선령어) : 감옥을 수선하며 具桎梏(구질곡) : 질곡 등의 형구를 갖추어서 禁止姦(금지간) : 간사한 것을 금하고 愼罪邪(신죄사) : 조심하여 사악한 것을 죄주며 務搏執(무박집) : 힘써 죄인을 체포한다 命理瞻傷(명리첨상) : 감옥을 맡은 관원에게 명령하여 察創(찰창) : 피부의 상처를 살피고 창상을 살피며 視折(시절) : 골절을 살펴서 審斷(심단) : 단죄와 판결을 자세히 하며 決獄訟(결옥송) : 옥송을 정하기를 必端平(필단평) : 반드시 바르고 공평하게 하고 戮有罪(륙유죄) : 죄 있는 자를 주륙하여 嚴斷刑(엄단형) : 형벌의 처단을 엄중하게 한다 天地始肅(천지시숙) : 벌을 엄정히 할 것이지만 不可以?(불가이영) : 또한 지나치게 하여서는 안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農乃登?(농내등곡) : 곡식 농사가 성숙한다 天子嘗新(천자상신) : 천자가 신곡을 맛보되 先薦寢廟(선천침묘) : 먼저 종묘에 천신한다 命百官始收斂(명백관시수렴) : 백관들에게 명령하여 비로소 조세를 수납하게 하며 完?坊(완제방) : 제방을 완전하게 하고 謹壅塞(근옹색) : 방색을 조심하여 以備水?(이비수료) : 홍수의 범람에 대비하게 하며 修宮室(수궁실) : 궁실을 수리하고 ?牆垣(배장원) : 원장의 틈을 메우며 補城郭(보성곽) : 성곽을 보수하게 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는 毋以封諸侯立大官(무이봉제후입대관) : 제후를 봉하거나 대관을 세우는 일을 하지 않는다 毋以割地(무이할지) : 땅을 베어주거나 行大使(행대사) : 큰 사자를 보내거나 出大幣(출대폐) : 큰 폐백을 내어주는 일을 하지 않는다 孟秋行冬令(맹추행동령) : 맹추에 있어서 거울의 정령을 행하면 則陰氣大勝(칙음기대승) : 음기가 크게 승세하며 介蟲敗?(개충패곡) : 개각충이 곡식을 손상하여 戎兵乃來(융병내래) : 오랑캐의 군사가 올 것이다 行春令(행춘령) : 봄의 정령을 향하면 則其國乃旱(칙기국내한) : 그 나라는 드디어 한재가 있을 것이니 陽氣復還(양기복환) : 양기가 다시 돌아와서 五?無實(오곡무실) : 오곡이 결실하지 않을 것이다 行夏令(행하령) : 여름의 정령을 행하면 則國多火災(칙국다화재) : 나라에 화재가 많고 寒熱不節(한열불절) : 춥고 더운 것이 절도가 없어서 民多?疾(민다학질) : 백성에게 학질이 많을 것이다
12 仲秋之月(중추지월) : 중추인 달에는 日在角(일재각) : 해가 각성의 위치에 있다 昏牽牛中(혼견우중) : 어두울 때에는 견우성이 남쪽 하늘의 중앙에 있고 旦??中(단자휴중) : 아침에는 자휴성이 남쪽 하늘의 중앙에 있다 其日庚辛(기일경신) : 그 일진은 경신이고 其帝少?(기제소호) : 그 제는 소호이며 其神?收(기신욕수) : 그를 보좌하는 신은 욕수이다 其蟲毛(기충모) : 그 충은 모충이고 其音商(기음상) : 그 소리는 상성이며 律中南呂(율중남여) : 율은 남려에 응한다 其數九(기수구) : 그 수는 9이고 其味辛(기미신) : 그 맛은 맵고 其臭腥(기취성) : 그 냄새는 누린내가 난다 其祀門(기사문) : 그 제사는 문신에게 한다 祭先肝(제선간) : 그 제사는 간을 먼저 제물로 바친다 盲風至(맹풍지) : 빠른 바람이 불어오며 鴻?來(홍안래) : 기러기가 오고 玄鳥歸(현조귀) : 제비는 돌아간다 ?鳥養羞(군조양수) : 온갖 새들도 맛좋은 먹이를 저장한다 天子居總章大廟(천자거총장대묘) : 천자는 총장태묘에 거처하며 乘戎路(승융로) : 병거를 타고 駕白駱(가백락) : 백락을 멍에하며 載白?(재백기) : 흰 기를 세우고 衣服衣(의복의) : 흰 옷을 입으며 服白玉(복백옥) : 백옥을 착용하고 食麻與犬(식마여견) : 마실과 개고기를 시식한다 其器廉以深(기기렴이심) : 그 그릇은 깨끗하고 깊은 것을 사용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養衰老(양쇠노) : 늙은이들을 봉양함에 授?杖(수궤장) : 안석과 지팡이를 내려주며 行靡粥飮食(행미죽음식) : 미음죽과 음식을 하사한다. 乃命司服具飭衣裳(내명사복구칙의상) : 이에 사복에게 명령하여 의상을 하나하나 갖추어 칙정하게 한다 文繡有恒(문수유항) : 무늬와 수놓은 것이 일정한 제도가 있으며 制有小大(제유소대) : 제도에 작고 큰 것이 있고 度有長短(도유장단) : 깊고 짧은 것이 있으며 衣服有量(의복유량) : 의복은 각기 마련할 할 양이 있다 必循其故(필순기고) : 반드시 그 옛법에 따라야 하며 冠帶有常(관대유상) : 관대도 또한 일정한 제도가 있다 乃命有司申嚴百刑(내명유사신엄백형) : 이에 유사에게 명령하여 모든 형벌을 엄중이 할 것을 거듭 계칙하게 하여 斬殺必當毋或枉橈(참살필당무혹왕요) : 참살함에 반드시 법을 굽히는 일이 없게 한다 枉橈不當(왕요불당) : 법을 부당하게 하면 反受其殃(반수기앙) : 도리어 재앙을 받을 것이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乃命宰祝循行犧牲(내명재축순행희생) : 드디어 재와 축에게 명령하여 제사에 쓰기 위하여 기르고 있는 희생을 순시하게 한다 視全具(시전구) : 빛이 완전하고 체구에 결점이 없는가를 보며 案芻?(안추환) : 추환을 안찰하며 瞻肥瘠(첨비척) : 살찌고 여윈 것을 살피고 察物色(찰물색) : 물색을 살펴서 必比類(필비류) : 반드시 음양의 유에 따라 구별한다 量小大(량소대) : 체구의 크고 작음을 헤아리고 視長短(시장단) : 뿔의 길고 짧음을 보아서 皆中度(개중도) : 다 법도에 맞는가를 살핀다 五者備當(오자비당) : 다섯 가지가 마땅하게 갖추었으면 上帝其饗(상제기향) : 그 희생은 상제가 흠향할 것이다 天子乃難(천자내난) : 천자는 이에 구나의 의식을 거행하여 以達秋氣(이달추기) : 서늘한 가을 기운을 통하게 하며 以犬嘗麻(이견상마) : 고기와 함께 마를 시식하되 先薦寢廟(선천침묘) : 먼저 종묘에 천신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는 可以築城郭(가이축성곽) : 성곽을 쌓아도 좋고 建都邑(건도읍) : 도읍을 세워도 좋으며 穿竇?(천두교) : 구멍을 뚫고 修?倉(수균창) : 창고를 수리한다 乃命有司趣民收斂(내명유사취민수렴) : 이에 유사에게 명령하여 백성들을 독촉하여 조세를 수납하고 務畜菜(무축채) : 힘써 나물을 캐어 비축하게 하되 多積聚(다적취) : 무엇이나 다 많이 비축하게 한다 乃勸種麥(내권종맥) : 드디어 보리의 파종을 권장하여 毋或失時(무혹실시) : 시기를 놓치는 일이 없게 한다 其有失時(기유실시) : 그 중에 대를 잃는 자가 있으면 行罪無疑(행죄무의) : 주저없이 죄를 준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日夜分(일야분) : 낮과 밤이 균등하게 나뉘고 雷始收聲(뢰시수성) : 우뢰가 비로소 소리를 거두어 버린다 蟄蟲?戶(칩충배호) : 칩충은 그가 들어가 있는 구명을 막으며 殺氣浸盛(살기침성) : 살기는 점점 성해지고 陽氣日衰(양기일쇠) : 양기는 날로 쇠약하여지며 水始?(수시학) : 물이 고갈하기 시작한다 日夜分(일야분) : 밤과 낮이 평균하게 나뉜 때가 되면 則同度量(칙동도량) : 천하의 도량을 동일하게 하며 平權衡(평권형) : 저울을 공평하게 하고 正鈞石(정균석) : 근량을 바르게 하며 角斗甬(각두용) : 말과 휘를 비교하여 바로잡는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는 易關市(이관시) : 관시의 수세를 적게 하여 화물의 교역이 쉽도록 한다 來商旅(래상려) : 그리하여 상인들이 모여들고 納貨賄(납화회) : 화물이 공급되어 以便民事(이변민사) : 백성의 일이 편리하게 되면 四方來集(사방래집) : 사방이 와서 모이고 遠鄕皆至(원향개지) : 먼 고을도 다 오게 되면 則財不?(칙재불궤) : 세공이 많아져서 재물이 핍설하는 일이 없을 것이니 上無乏用(상무핍용) : 위에서 재용이 곤핍하는 일어 없어서 百事乃遂(백사내수) : 온갖 일이 드디어 이루어진다 凡擧大事(범거대사) : 무릇 큰 일을 거행함에 있어서는 毋逆大數(무역대수) : 음양의 대수를 거스르는 일이 없게 하고 必順其時(필순기시) : 반드시 시령에 따라 愼因其類(신인기류) : 조심하여 그 유에 의지해야 한다 仲秋行春令(중추행춘령) : 중추에 있어서 봄의 정령을 행하면 則秋雨不降(칙추우불강) : 가을비가 내리지 않고 草木生榮(초목생영) : 초목이 살아 무성하며 國乃有恐(국내유공) : 나라 안에 백성들이 서로 두려워하는 일이 있을 것이다 行夏令(행하령) : 여름의 정령을 행하면 則其國乃旱(칙기국내한) : 그 나라에 한재가 있을 것이며 蟄蟲不藏(칩충불장) : 칩충이 숨지 않고 五?復生(오곡부생) : 오곡이 다시 살아날 것이다 行冬令(행동령) : 겨울의 정령을 행하면 則風災數起(칙풍재수기) : 풍재가 자주 일어나며 收雷先行(수뢰선행) : 소리를 거두는 우뢰가 시기를 앞당겨 움직이고 草木蚤死(초목조사) : 초목들이 일찍 고사하게 될 것이다
13 季秋之月(계추지월) : 계추의 달에는 日在房(일재방) : 해가 방성의 위치에 있다 昏虛中(혼허중) : 어두울 때에 허성이 남쪽 하늘의 중앙에 있고 旦柳中(단류중) : 아침에는 유성이 남쪽 하늘의 중앙에 있다 其日庚辛(기일경신) : 그 일진은 경신이고 其帝少?(기제소호) : 그 제는 소호이다 其神?收(기신욕수) : 그 신은 욕수이다 其蟲毛(기충모) : 그 충은 모충이고 其音商(기음상) : 그 소리는 상성이며 律中無射(율중무역) : 율이 무역에 응한다 其數九(기수구) : 그 수는 9이며 其味辛(기미신) : 그 맛은 매우며 其臭腥(기취성) : 그 냄새는 누린내가 난다 其祀門(기사문) : 그 제사는 문신에게 지내는데 祭先肝(제선간) : 제사에는 간을 먼저 제물로 바친다 鴻?來賓(홍안래빈) : 기러기가 손님으로 오고 爵入大水爲蛤(작입대수위합) : 참새가 큰 물에 들어가서 조개가 된다 鞠有黃華(국유황화) : 국화에 누른 꽃이 피고 豺乃祭獸戮禽(시내제수륙금) : 승냥이가 짐승을 잡아 하늘에 제사하고 새와 짐승을 잡아먹는다 天子居總章右?(천자거총장우개) : 천자는 총장우가에 거처하며 乘戎路(승융로) : 병거를 타고 駕白駱(가백락) : 백락을 멍에하며 載白?(재백기) : 흰 기를 세우고 衣白衣(의백의) : 흰 옷을 입으며 服白玉(복백옥) : 백옥을 착용하고 食麻與犬(식마여견) : 마와 개고기를 시식한다 其器廉以深(기기렴이심) : 그 그릇은 깨긋하고 깊은 것을 사용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申嚴號令(신엄호령) : 호령을 거듭 엄하게 하며 命百官貴賤無不務內(명백관귀천무불무내) : 백관 귀천에 명령하여 안으로 수렴해 들이는 데 힘쓰지 않음이 없게 하여 以會天地藏(이회천지장) : 천지의 갈무리하는 법칙에 합치하게 하고 無有宣出(무유선출) : 드러내 보이는 일이 없게 한다 乃命?宰(내명몽재) : 이에 총제에게 명령하여 農事備收(농사비수) : 농가의 온갖 곡식을 다 걷어들이게 하고 擧五?之要(거오곡지요) : 오곡의 조세수입의 수를 합계하게 한다 藏帝藉之收於神倉(장제자지수어신창) : 황제의 친경전의 수확을 신창에 갈무리하되 祇敬必飭(기경필칙) : 지극히 공경하고 반드시 조심하게 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霜始降(상시강) : 서리가 처음 내리고 則百工休(칙백공휴) : 백공들이 쉬게 된다 乃命有司(내명유사) : 이에 유사에게 명령하여 曰寒氣總至(왈한기총지) : 이르기를 “차가운 기운이 한꺼번에 닥쳐와서 民力不堪(민력불감) : 백성의 힘으로는 견디어 낼 수 없을 것이니 其皆入室(기개입실) : 농막을 떠나 다 집으로 들어가게 하라.” 上丁(상정) : 상순의 정일에 命樂正入學習吹(명락정입학습취) : 악정에게 명령하여 배우는 사람들로 하여금 학에 들어가 취악을 익히게 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大饗帝(대향제) : 상제에게 크게 보사를 거행하고 嘗犧牲(상희생) : 희생을 맛보아 희생으로서 조건을 구비하였다는 것을 告備于天子(고비우천자) : 천자에게 보고한다 合諸侯(합제후) : 제후에게 총명하여 制百縣(제백현) : 모든 고을에 칙명을 내리고 爲來歲受朔日(위래세수삭일) : 다가오는 해를 위하여 역서와 與諸侯所稅於民輕重之法(여제후소세어민경중지법) : 제후가 그 백성들에게 정세할 가볍고 무거운 법과 貢職之數(공직지수) : 공물의 수에 대한 명령을 받게 하되 以遠近土地所宜爲度(이원근토지소의위도) : 도로의 원근과 토지에 마땅한 바로써 표준을 삼는다 以給郊廟之事(이급교묘지사) : 그리하여 교묘의 제사를 봉연하게 하되 無有所私(무유소사) : 사가 있어서는 안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天子乃敎於田獵(천자내교어전렵) : 천자가 사냥하는 일을 이용하여 以習五戎(이습오융) : 다섯 가지 병기의 사용법을 가르쳐 익히게 하고 班馬政(반마정) : 마사에 대한 정령을 반포한다 命僕及七騶咸駕(명복급칠추함가) : 복과 칠추에게 명령하여 다 말을 수레에 멍에하게 하고 載旌?(재정조) : 석우를 단 기와 거북을 그린 기를 세우고 授車以級(수차이급) : 관의 등급에 따라 각각 탈 수레를 주어서 整設于屛外(정설우병외) : 병장 밖에 정렬하게 한 뒤에 司徒搢?(사도진복) : 사도가 채찍을 띠에 꽂고 北面誓之(북면서지) : 북면하여 서약하게 한다 天子乃?飾(천자내려식) : 천자가 이에 융복으로 그 위의를 엄하게 꾸민 뒤에 執弓挾矢以獵(집궁협시이렵) : 활을 잡고 화살을 끼워 사냥한다 命主祠祭禽于四方(명주사제금우사방) : 그리고 주사에게 명령하여 사냥한 금수로써 사방의 신에게 제사하게 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草木黃落(초목황락) : 초목의 잎이 떨어지면 乃伐薪爲炭(내벌신위탄) : 나무를 벌채하여 숯을 굽는다 蟄蟲咸俯在內(칩충함부재내) : 집승들이 다 머리를 떨어뜨리고 구멍의 깊은 속에 있으면서 皆?其戶(개근기호) : 그 틈을 막는다 乃趣獄刑(내취옥형) : 이에 형옥의 처리를 재촉하여 毋留有罪(무류유죄) : 죄 있는 자를 미결로 머물러 두는 일이 없게 한다 收祿秩之不當(수록질지불당) : 녹의 등급이 부당한 것과 供養之不宜者(공양지불의자) : 공양이 마땅하지 않은 것은 회수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天子乃以犬嘗稻(천자내이견상도) : 천자는 개고기와 함께 새 벼를 맛보는데 先薦寢廟(선천침묘) : 먼저 칠묘에 천신한다 季秋行夏令(계추행하령) : 계추에 있어서 여름의 정령을 행하면 則其國大水(칙기국대수) : 그 나라에 큰 수재가 일어나서 冬藏殃敗(동장앙패) : 겨울 창고에 저장한 곡식이 침수되는 재앙을 당할 것이며 民多??(민다구체) : 백성들에게 코가 막히고 재채기하는 병이 많을 것이다 行冬令(행동령) : 겨울의 정령을 행하면 則國多盜賊(칙국다도적) : 나라에 도둑이 많고 邊竟不寧(변경불녕) : 변경이 편안 하지 않으며 土地分裂(토지분열) : 토지가 분열될 것이다 行春令(행춘령) : 봄의 정령을 행하면 則煖風來至(칙난풍래지) : 따뜻한 바람이 불어와서 民氣解惰(민기해타) : 백성들의 심기가 해이하고 나태하여져서 師興不居(사흥불거) : 전란이 일어나 지키지 못할 것이다
14 孟冬之月(맹동지월) : 맹동의 달에는 日在尾(일재미) : 해가 미성의 위치에 있다 昏危中(혼위중) : 어두울 때에는 위성이 하늘의 남쪽 중앙에 있고 且七星中(차칠성중) : 아침에는 칠성이 하늘의 남쪽 중앙에 있다 其日壬癸(기일임계) : 그 일진은 임계이고 其帝?頊(기제전욱) : 그 제는 전욱이며 其神玄冥(기신현명) : 그를 보좌하는 신은 현명이다 其蟲介(기충개) : 그 충은 개충이고 其音羽(기음우) : 그 소리는 우성이며 律中應鍾(율중응종) : 율은 종에 응한다 其數六(기수육) : 그 수는 6이고 其味鹹(기미함) : 그 맛은 짜며 그 其臭朽(기취후) : 냄새는 썩은 냄새가 난다 其祀行(기사행) : 그 제사는 한길에서 지내는데 祭先腎(제선신) : 제사에는 희행의 신장을 먼저 재물로 바친다 水始?(수시빙) : 물이 처음으로 얼고 地始凍(지시동) : 땅이 얼며 雉入大水爲蜃(치입대수위신) : 꿩이 바다에 들어가서 이무기가 되며 虹藏不見(홍장불견) : 무지개는 감추어져서 보이지 않는다 天子居玄堂左?(천자거현당좌개) : 천자는 헌당좌가에 거처하여 乘玄路(승현로) : 검정 수레를 타고 駕鐵驪(가철려) : 철색의 말을 멍에하며 載玄?(재현기) : 검정 기를 세우고 衣黑衣(의흑의) : 검은 옷을 입으며 服玄玉(복현옥) : 현옥을 착용하고 食黍與?(식서여체) : 기장밥을 돼지고기와 함께 먹는다 其器?以奄(기기굉이엄) : 그 그릇은 가운데가 너그럽고 위가 좁은 것을 사용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달에 以立冬(이립동) : 입동이 있다 先立冬三日(선립동삼일) : 입동 3일 전에 太史謁之天子(태사알지천자) : 태사가 천자께 뵙고 曰某日立冬(왈모일립동) : 말하기를 “어느 날이 입동이니 盛德在水(성덕재수) : 성대한 덕이 수에 있습니다.”라고 한다 天子乃齊(천자내제) : 천자가 아에 재계하고 立冬之日(립동지일) : 입동날에 天子親帥三公九卿大夫(천자친수삼공구경대부) : 천자가 친히 3공·9경·대부를 거느리고 以迎冬於北郊(이영동어북교) : 북쪽 들에 나가서 겨울을 맞는다 곧 還反(환반) : 돌아와서는 賞死事(상사사) : 나라를 위한 일에 죽은 사람을 상사하고 恤孤寡(휼고과) : 그의 고아와 과부를 구휼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命大史?龜?占兆(명대사흔귀협점조) : 태사에게 명령하여 희생의 피로 거북껍질과 시초에 발라가지고 조짐을 점쳐서 審卦吉凶(심괘길흉) : 그 괘의 길흉을 살피게 한다 是察阿黨(시찰아당) : 아당을 살려서 정치하면 則罪無有掩蔽(칙죄무유엄폐) : 죄있는 자를 덮어 숨기는 일이 없을 것이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天子始喪(천자시상) : 천자가 처음으로 갖옷을 입는다 命有司曰(명유사왈) : 유사에게 명령하여 말씀하기를 天氣上騰(천기상등) : “하늘 기운은 위로 올라가고 地氣下降(지기하강) : 땅 기운은 아래로 내려가서 天地不通(천지불통) : 하늘과 땅의 기운이 서로 통하지 않아서 閉塞而成冬(폐색이성동) : 폐색하여 겨울을 이루었다.”하고 말하고 命百官謹蓋藏(명백관근개장) : 백관들에게 명령하여 삼가 참름·부고를 덮고 감추게 한다 命司徒循行積聚(명사도순행적취) : 그리고 유사에게 명령하여 적취하는 것을 순시하여 無有不斂(무유불렴) : 균창에 거두어 들이지 않는 것이 없게 한다 ?城郭(배성곽) : 성좌의 무너진 곳을 보수하고 戒門閭(계문려) : 문과 거리를 경계하며 修鍵閉(수건폐) : 열쇠와 바물통을 수리하고 愼管?(신관약) : 관약의 관리를 신중히 하게 한다 固封疆(고봉강) : 봉강을 견고하게 하며 備邊竟(비변경) : 변경을 방비하고 完要塞(완요색) : 요새를 완전하게 하며 謹關染(근관염) : 관문과 교량을 조성하여 지키고 塞?徑(색혜경) : 야수들의 왕래하는 길을 막는다 飭喪紀(칙상기) : 상사의 기율을 계칙해 바로잡되 辨衣裳(변의상) : 거상 중의 의상을 분별하고 審棺槨之薄厚(심관곽지박후) : 관곽의 두텁고 얇음을 자세히 살피며 塋丘壟之大小高卑厚薄之度(영구롱지대소고비후박지도) : 무덤과 구릉의 크고 작음과 높고 낮음과 두텁고 얇은 정도와 貴賤之等級(귀천지등급) : 귀천의 등급을 살핀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命工師效功(명공사효공) : 공사에게 명령하여 제조한 여러 기물을 바치게 하고 陳祭器(진제기) : 그 중에서 제기를 진열하여 按度程(안도정) : 법식에 맞는가를 안찰한다 毋或作爲淫巧(무혹작위음교) : 혹이나 기물을 지치게 교묘하게 만들어서 以蕩上心(이탕상심) : 임금의 마음을 흔들어 사치에 흐르게 하는 일이 없게 한다 必功致爲上(필공치위상) : 반드시 기물은 치밀하게 만든 것을 상등으로 한다 物勒工名(물륵공명) : 제조한 기물에 제조한 공장의 이름을 새겨서 以考其誠(이고기성) : 그의 성의를 고찰하게 하고 功有不當(공유불당) : 제작한 것이 부당함이 있으면 必行其罪(필행기죄) : 반드시 그의 죄를 다스려서 以窮其情(이궁기정) : 그 범행의 정상을 찾는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는 大飮烝(대음증) : 증제에서 크게 마신다 天子乃祈來年于天宗(천자내기래년우천종) : 천자가 이에 내년에 풍년 들기를 일월성신에게 빌고 大割祠于公社及門閭(대할사우공사급문려) : 크게 할생하여 공사와 문려에 제사하며 臘先祖五祀(랍선조오사) : 사냥하여 포획한 것으로 선조와 오사의 신에게 제사한다 勞農以休息之(로농이휴식지) : 그리고 농부들을 위로하여 휴식하게 한다 天子乃命將帥講武(천자내명장수강무) : 천자가 이에 장수에게 명령하여 무술을 강습하게 하여 習射御(습사어) : 활쏘고 말 달리는 일을 익히게 하고 角力(각력) : 서로 힘의 강약을 비교하게 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乃命水虞漁師收水泉池澤之賦(내명수우어사수수천지택지부) : 수우와 어사에게 명령하여 수천과 지택의 부세를 징수하게 하되 毋或敢侵削衆庶兆民(무혹감침삭중서조민) : 혹시나 감히 많은 백성들을 침탈하여 以爲天子取怨于下(이위천자취원우하) : 천자가 아랫백성들에게 원망을 듣게 하는 일이 없게 한다 其有若此者(기유약차자) : 그 중에 만약 이러한 자가 있으면 行罪無赦(행죄무사) : 죄를 다스려 용서함이 없게 한다 孟冬行春令(맹동행춘령) : 맹동에 있어서 춘령을 행하면 則凍閉不密(칙동폐불밀) : 얼어붙는 것이 긴밀하지 않아서 地氣上泄(지기상설) : 땅 기운이 위로 새고 民多流亡(민다류망) : 백성들이 유리되어 도망하는 자가 많을 것이다 行夏令(행하령) : 여름의 영을 행하면 則國多暴風(칙국다폭풍) : 나라에 곡물이 많으며 方冬不寒(방동불한) : 겨울에도 춥지 않아서 蟄蟲復出(칩충복출) : 칩충이 다시 나올 것이다 行秋令(행추령) : 가을의 영을 행하면 則雪霜不時(칙설상불시) : 눈과 서리가 때 아닌 때에 내리고 小兵時起(소병시기) : 작은 전란이 때때로 일어나서 土地侵削(토지침삭) : 토지가 침삭될 것이다
15 仲冬之月(중동지월) : 중동의 달에는 日在斗(일재두) : 해가 두성의 위치에 있다 昏東壁中(혼동벽중) : 어두울 때에는 동벽성이 남쪽 하늘의 중앙에 있고 且軫中(차진중) : 아침에는 진성이 남쪽 하늘의 중앙에 있다 其日壬癸(기일임계) : 그 일진은 임계이고 其帝?頊(기제전욱) : 그 제는 전욱이며 其神玄冥(기신현명) : 그를 보좌하는 신은 현명이다 其蟲介(기충개) : 그 충은 개충이고 其音羽(기음우) : 그 소리는 우성이다 律中黃鍾(율중황종) : 율이 황종에 응하며 其數六(기수육) : 이 달의 수는 6이고 其味鹹(기미함) : 맛은 짜며 其臭朽(기취후) : 냄새는 썩은 냄새가 난다 其祀行(기사행) : 그 제사는 행길에 지내는데 祭先腎(제선신) : 제사에는 먼저 희생의 신장을 제물로 바친다 ?益壯(빙익장) : 얼음이 더욱 굳게 얼어 地始坼(지시탁) : 땅이 비로소 터지며 ?旦不鳴(갈단불명) : 갈 탄 새가 울지 않고 虎始交(호시교) : 범이 비로소 교접한다 天子居玄堂大廟(천자거현당대묘) : 천자는 현당대묘에 거처하며 乘玄路(승현로) : 검정 수레를 타고 駕鐵驪(가철려) : 철색의 말을 멍에한다 載玄?(재현기) : 검은 수레를 세우고 衣黑衣(의흑의) : 검은 옷을 입으며 服玄玉(복현옥) : 현옥을 착용한다 食黍與?(식서여체) : 기장밥과 함께 돼지고기를 먹으며 其器?以奄(기기굉이엄) : 그릇은 가운데는 넓고 위는 좁은 것을 사용한다 飭死事(칙사사) : 전진에 임하여서는 필사의 결의를 가질 것을 군사들에게 계칙한다 命有司曰(명유사왈) : 유사에게 명령하여 말하기를 土事毋作(토사무작) : “토목공사를 일으키지 말며 愼毋發蓋(신무발개) : 조심하여 곡물 등을 저장한 곳의 뚜껑을 열지 말고 毋發室屋及起大衆(무발실옥급기대중) : 실옥을 개방하지 말며 대중을 일으키지 말아서 以固而閉(이고이폐) : 폐쇄를 견고하게 하라.”라고 말한다 地氣沮泄是謂發天地之房(지기저설시위발천지지방) : 땅기운이 파괴로 인하여 산설되면 그것은 마치 천지의 방실을 파괴 개방해 놓은 것 같은 것이다 諸蟄則死(제칩칙사) : 모든 칩승은 곧 죽을 것이며 民必疾疫(민필질역) : 백성에게는 질역이 많아서 又隨以喪(우수이상) : 사상이 또 뒤다를 것이다 命之曰暢月(명지왈창월) : 이런 달을 명명하여 창월이라고 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命奄尹申宮令(명엄윤신궁령) : 엄윤에게 명령하여 궁중의 정령을 신칙하고 審門閭(심문려) : 문려를 살피며 謹房室(근방실) : 방실을 조심하여 必重閉(필중폐) : 반드시 안팍을 다 폐쇄하게 하고 省婦事(성부사) : 부인들의 일을 감생하여 毋得淫(무득음) : 여공이 지나치게 교묘함이 없게 한다 雖有貴戚近習毋有不禁(수유귀척근습무유불금) : 비록 천자의 귀척과 근습한 자가 있을지라도 금지하지 않는 일이 없게 한다 乃命大酉?稻必齊(내명대유출도필제) : 이에 주관의 장에게 명령하여 술을 빚을 때 자초와 벼를 택하되 많고 적음을 반드시 알맞게 하고 麴蘗必時(국벽필시) : 누룩을 반드시 제때에 만들며 湛熾必?(담치필혈) : 쌀을 담가 씻고 찌는 일을 반드시 깨끗하게 하고 水泉必香(수천필향) : 샘물은 반드시 더러운 냄새가 나지 않은 맑은 물을 사용하며 陶器必良(도기필양) : 술을 담그는 도기는 반드시 좋은 것을 쓰고 火齊必得(화제필득) : 불을 때는 정도를 반드시 알맞게 하도록 한다 兼用六物(겸용육물) : 이 여섯 가지 일을 大酉監之(대유감지) : 모두 대추가 친히 감림하여 毋有差貸(무유차대) : 법도에 어그러짐이 없게 한다 天子命有司祈祀四海(천자명유사기사사해) : 천자가 유사에게 명령하여 사해와 大川名源淵澤井泉(대천명원연택정천) : 대천과 이름난 수원과 못과 우물과 샘에 제사를 지내게 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農有不收藏積聚者(농유불수장적취자) : 농작물을 걷어 들여 저장하여 모아 쌓지 않는 자와 馬牛畜獸有放佚者(마우축수유방일자) : 마소나 가축을 내놓은 자가 있으면 取之不詰(취지불힐) : 그것을 아무나 취득하여 가지더라도 힐책하지 않는다 山林藪澤(산림수택) : 산림과 소택지에서 有能取蔬食(유능취소식) : 나물과 먹을 수 잇는 것을 채취하는 자와 田獵禽獸者(전렵금수자) : 금수를 사냥하는 자가 있으면 野虞敎道之(야우교도지) : 야우가 그를 교도하고 其有相侵奪者(기유상침탈자) : 만약 서로 침탈하는 자가 있으면 罪之不赦(죄지불사) : 죄를 주고 놓아주지 않는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는 日短至(일단지) : 낮이 가장 짧다 陰陽爭(음양쟁) : 음양이 다투고 諸生蕩(제생탕) : 모든 생물의 삶이 흔들린다 君子齊戒(군자제계) : 이런 때에 군자은 재게하여 處必掩身(처필엄신) : 거처에는 반드시 몸을 가려서 身欲寧(신욕녕) : 몸이 편안하고자 하며 去聲色(거성색) : 성색을 버리고 禁者慾(금자욕) : 기욕을 금하며 安形性(안형성) : 형체와 심성을 편안하게 하고 事欲靜(사욕정) : 일은 고요하기를 바라면서 以待陰陽之所定(이대음양지소정) : 음양이 정하기를 기다린다 芸始生(운시생) : 운초가 처음 나고 ?挺出(려정출) : 여정이 나오며 ?蚓結(구인결) : 지렁이들이 한데 뭉치고 ?角解(미각해) : 고라니의 뿔이 빠지며 水泉動(수천동) : 수천이 움직인다 日短至(일단지) : 동지가 되면 則伐木(칙벌목) : 나무를 벌채하고 取竹箭(취죽전) : 죽전을 채취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는 可以罷官之無事(가이파관지무사) : 할 일 없는 관은 폐지하는 것이 좋으며 去器之無用者(거기지무용자) : 쓸데없는 기물은 버리는 것이 좋다 塗闕廷門閭(도궐정문려) : 대궐의 벽과 문을 칠 하고 築囹圄(축령어) : 감옥을 짓는다 此以助天地之閉藏也(차이조천지지폐장야) : 이것이 천지의 폐장을 도우는 까닭이다 仲冬行夏令(중동행하령) : 중동에 여름의 정령을 행하면 則其國乃旱(칙기국내한) : 나라가 가물어지고 ?霧冥冥(분무명명) : 안개가 자욱해지며 雷乃發聲(뢰내발성) : 우뢰가 치게 된다 行秋令(행추령) : 가을의 정령을 행면 則天時雨汁(칙천시우즙) : 날씨가 비가 내려 瓜瓠不成(과호불성) : 참외가 자라지 못하고 國有大兵(국유대병) : 나라에 큰 전란이 있게 된다 行春令(행춘령) : 봄의 정령을 행면 則蝗蟲爲敗(칙황충위패) : 해충의 피해가 생기고 水泉咸竭(수천함갈) : 강과 샘이 모두 가물어고 民多疥?(민다개려) : 백성들은 질병에 걸린 사람이 많아진다
16 季冬之月(계동지월) : 계동의 달에는 日在?女(일재무녀) : 해가 무녀성의 위치에 있다 昏婁中(혼루중) : 어두울 때에는 누성이 남쪽 하늘의 중앙에 있고 旦?中(단저중) : 아침에는 지성이 남쪽 하늘의 중앙에 있다 其日壬癸(기일임계) : 그 일진은 임계이고 其帝?頊(기제전욱) : 그 제는 전욱이며 其神玄冥(기신현명) : 그를 보좌하는 신은 현명이다 其蟲介(기충개) : 그 충은 개충이고 其音羽(기음우) : 그 소리는 우성이며 律中大呂(율중대려) : 음이 대려에 응한다 其數六(기수육) : 그 수는 6이며 其味鹹(기미함) : 그 맛은 짜고 其臭朽(기취후) : 그 냄시는 썩은 냄새가 난다 其祀行(기사행) : 그 제사는 행길에서 지내는데 祭先腎(제선신) : 제사에는 희생의 신장을 먼저 제물로 바친다 ?北鄕(안북향) : 기러기가 북쪽을 향하고 鵲始巢(작시소) : 까치가 비로소 집을 지으며 雉?(치구) : 꿩이 암컷을 찾아 울고 ?乳(계유) : 닭이 새끼를 기른다 天子居玄堂右?(천자거현당우개) : 천자는 현당우가에 거처하며 乘玄路(승현로) : 검은 수레를 타고 駕鐵驪(가철려) : 철의 말을멍에하며 載玄?(재현기) : 검은 기를 세우고 衣黑衣(의흑의) : 검은 옷을 입으며 服玄玉(복현옥) : 검은 옥을 착용한다 食黍與?(식서여체) : 기장밥을 돼지고기와 함께 먹으며 其器?以奄(기기굉이엄) : 그 그릇은 가운데가 넓고 위가 좁은 것을 쓴다 命有司大難(명유사대난) : 유사에게 명령하여 크게 누나의식을 거행하고 旁?(방책) : 사바의 문에서 희생의 생체를 찢으며 出土牛以送寒氣(출토우이송한기) : 흙으로 소를 만들어서 한기를 보낸다 征鳥?疾(정조려질) : 정조가 사나와지고 빨라진다 乃畢山川之祀(내필산천지사) : 이에 산천의 제사와 及帝之大臣(급제지대신) : 오제의 대신인 신과 天之神祇(천지신기) : 천지신기의 제사를 마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命漁師始漁(명어사시어) : 어사에게 명령하여 비로소 물고기를 잡게 하고 天子親往(천자친왕) : 천자가 친히 가서 乃嘗魚(내상어) : 물고기를 맛보는데 先薦寢廟(선천침묘) : 먼저 종묘에 천신한다 ?方盛(빙방성) : 얼음이 바야흐로 성하여 水澤腹堅(수택복견) : 수택의 배가 견고하게 얼어붙으면 命取?(명취빙) : 명령하여 얼음을 채취하게 한다 ?以入(빙이입) : 그리하여 죄다 빙실에 넣게 한다 令告民出五種(령고민출오종) : 백성들에 영을 내려 오곡의 종자를 내게 하고 命農計?耕事(명농계우경사) : 농민에게 명하여 경작할 일의 계획을 세우게 하며 修??(수뢰사) : 뇌거를 수리하게 하고 具田器(구전기) : 치전의 기구를 갖추게 한다 命樂師大合吹而罷(명락사대합취이파) : 악사에게 멸령하여 크게 합취하게 하고 파한다 乃命四監收秩薪柴(내명사감수질신시) : 이에 사람에게 명령하여 상수의 땔나무를 수납하여 以共郊廟及百祀之薪燎(이공교묘급백사지신료) : 종묘와 온갖 제사의 땔나무와 횃불의 송용으로 공급하게 한다
是月也(시월야) : 이 달에 日窮于次(일궁우차) : 해는 그 1년의 차서가 다하고 月窮于紀(월궁우기) : 달은 해와 만나는 1년의 기회가 다하였으며 星回于天(성회우천) : 별들은 하늘을 한 바퀴 돌아왔다 數將幾終(수장기종) : 1년의 수가 거의 장차 마치게 되고 歲且更始(세차갱시) : 해도 또 새로 시작하게 될 것이다 專而農民(전이농민) : 백성들을 오로지 농사에 전심하게 하고 毋有所使(무유소사) : 다른 요역에 구사하는 일이 없게 한다 天子乃與公卿大夫(천자내여공경대부) : 천자가 아에 공경·대부들과 함께 共飭國典(공칙국전) : 나라 법전을 계칙하고 論時令(논시령) : 시령을 강론하여 以待來歲之宜(이대래세지의) : 내세의 마땅한 발에 대비한다 乃命太史次諸侯之列(내명태사차제후지열) : 이에 태사에게 명령하여 제후의 크고 작은 등차의 차례에 따라 賦之犧牲(부지희생) : 희생을 부과하여 以其皇天上帝社稷之饗(이기황천상제사직지향) : 황천·상제·사직의 제향에 바치게 하고 乃命同姓之邦共寢廟之芻?(내명동성지방공침묘지추환) : 이에 천자와 동성인 나라들에게 명령하여 종묘의 희생을 바치게 한다 命宰歷卿大夫至于庶民(명재력경대부지우서민) : 모든 아래의 구주에 살고 있는 백성된 자는 土田之數(토전지수) : 토지의 수에 따라 而賦犧牲(이부희생) :희생을 부과한다 以共山林名川之祀(이공산림명천지사) : 산림과 명천의 제사를 함께 함으로써 凡在天下九州之民者(범재천하구주지민자) : 천하구주의 백성된 자가 있게 한다 無不咸獻其力(무불함헌기력) : 그의 임을 다 바치어 以共皇天上帝社稷寢廟(이공황천상제사직침묘) : 황천·상제·사직·종묘와 山林名川之祀(산림명천지사) : 산림·명천의 제사에 이바지하지 않는 자가 없게 한다 季冬行秋令(계동행추령) : 계동에 있어서 추령을 행하면 則白露蚤降(칙백로조강) : 백로가 일찍 내리며 介蟲爲妖(개충위요) : 개충이 전란의 요망한 징조가 되어 四鄙入保(사비입보) : 사방의 시골 백성들이 피난하여 성보 안으로 들얼오게 될 것이다 行春令(행춘령) : 계동에 춘령을 행하면 則胎夭多傷(칙태요다상) : 태중에 있는 자와 갓 난 자가 상하는 일이 많을 것이며 國多固疾(국다고질) : 나라에 고질이 맣을 것이다 命之曰逆(명지왈역) : 이런 것을 명명하여 자연 운행의 법칙에 역행한다고 말한다 行夏令(행하령) : 하령을 행하면 則水?敗國(칙수료패국) : 홍수와 장마가 나라를 깨뜨릴 것이며 時雪不降(시설불강) : 때에 맞는 눈이 내리지 않고 ?凍消釋(빙동소석) : 물의 얼음이 녹아버릴 것이다
|
출처: 마음의 정원 원문보기 글쓴이: 마음의 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