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학산(乘鶴山)-497m
◈날짜 : 2024년 10월 6일 ◈날씨 : 흐림
◈들머리 :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 구학초버스정류장
◈산행시간 : 5시간30분(7:48-13:18)
◈찾아간 길 : 팔용중정류장-115번(6:31-42)-합성동터미널-시외버스(6:47-7:23)-서부터미널:사상역정류장-15번(7:34-47)-구학초정류장
◈산행구간 : 구학초정류장→구덕산교회→숲속도서관삼거리→거북약수터삼거리→정자→엄호당→불심약수터→정자삼거리→승학약수터사거리→동아대위사거리→승학산정상→억새능선→승학문화마루터→깔딱고개→산불감시초소→구덕꽃마을버스시․종점
◈산행메모 : 구학초교정류장에서 하차한다.
오른쪽 도로 따라 올라간다. 보부상길이다.
학장동 구덕마을은 예로부터 초량왜관, 김해, 밀양, 양산으로 가는 유일한 지름길로 보부상들이 주로 이용한 길이란다.
크게 오른쪽으로 꺾어 진행하면 구덕산교회.
교회를 왼쪽 뒤로 보내면 올라가는 목계단으로 산길이 열린다.
목교도 건넌다.
콘크리트 포장길을 가로지른다.
숲속에 꽃무릇도 보인다.
엄궁마을 수호신을 모신 엄제당.
비목나무 쉼터를 지난다.
승학약수터 오른쪽 뒤로 체육공원.
동아대 뒤 사거리를 만난다.
여기서 왼쪽으로 치솟는 능선 따라 실질적 등산이다.
덱도 만난다.
덱의 끝엔 전망대. 태백에서 굽이굽이 흘러온 낙동강이 저기서 남해바다에 몸을 섞는다. 가운데는 가덕도. 을숙도 좌우로 하구둑도 보인다.
그 오른쪽을 펼쳐진 그림.
전망대 위로도 덱이 이어진다.
덱을 뒤로 보내면 바위도 만난다.
어깨봉에 올라서면 우뚝한 정상이 나타났다. 정상을 보며 내려간다.
건국고 삼거리를 지나면 올라가는 덱. 올라가다 몰운대와 다대포를 보며 숨을 고른다.
을숙도와 지나온 어깨봉.
김해공항 오른쪽으로 신어산.
승학산에 올라선다.
가운데로 영도. 그 왼쪽으로 오륙도도 보인다.
아래로 감천항.
몰운대와 다대포.
2년 만에 다시 만난 정상석.
나중에 올라설 480봉, 구덕산. 그 오른쪽에 시약산.
새천년미래웅비사하 빗돌을 뒤로 보내며 억새평원으로 내려선다.
내려온 승학산을 돌아본 그림.
직진하는 봉에 올라서면 무덤, 이정표.
헬기장을 지나 내려가면 입이 벌어지는 억새밭.
승학마루정이 자리한 안부쉼터에 내려선다.
왼쪽으로 화장실.
승학마루정 오른쪽으로 480봉 오르는 계단이 보인다.
승학마루정 옆 계단에서 내려온 길을 돌아본다.
올라가니 내려오는 탐방객도 자주 만난다.
헬기장에 올라서니 정상 표지도 보인다.
여기서 점심.
내려가다 다음 봉에 올라서니 여기도 쉼터.
임도에 내려서니 막아선 구덕산.
깔딱고개 안내판도 보인다.
구덕산 정상 방향으로 임도 따라 올라간다.
오른쪽으로 지나온 승학산과 억새밭.
오른쪽 건너에 시약산강우레이더.
여기서 오른쪽 산길로.
정상석을 만난다.
왔던 길로 발길을 돌려 펜스 왼쪽 풀밭 길로 내려선다.
오른쪽 위로 보이는 시약정..
길 위로 쓰러진 고사목도 만난다.
인기척이 가까워지더니 뚜렷한 길에 내려선다.
꽃마을로 간다는 탐방객을 뒤따른다.
이정표를 보니 대티배수지로 하산할 뻔했구나.
또 올라간다. 편백나무 숲이다.
여기서도 왼쪽은 구덕산(720m)이다.
왼쪽 어깨 위로 부산전통문화체험관이다.
정면에 엄광산.
돌아본 전통문화체험관.
정상적인 하산길을 만난다.
구덕꽃마을 버스 시․종점을 만나며 산행을 마친다.
#구덕령꽃마을버스시․종점-서구1번(13:29-44)-구덕운동장정류장:동아대병원입구정류장-8번환승(13:49-14:13)-사상역:서부터미널-시외버스(14:30-15:14)-합성동터미널-111번(15:28-35)-극동@정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