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버이 날(5월 8일)
[의 의]
- 어버이에 대한 은혜에 감사하고 어른과 노인을 공경 하는 전통적 미덕을 기림.
- 산업화, 도시화, 핵가족화로 퇴조해가는 어른봉양과 경노 사상 확산을 위한
국민정신 계발의 계기로 삼아 우리 실정에 맞는 복지사회 건설
[유래 및 연혁]
- '56. 5월 8일을 '어머니 날'로 지정(국무회의 의결)
- '73. 3.30 '어버이 날'을 [각종기념일에관한규정]에 규정
어버이의 은혜를 헤아리고 어른과 노인을 공경하는 경로효친(敬老孝親)의
전통적 미덕을 기리는 날로 산업화·도시화·
핵가족화로 퇴색하여가는 경로사상을확산하기 위한 범국민적 기념일이다.
1956년부터 <어머니날>을 지정하여 행사를 해 오다가
<아버지의 날>이 거론되자 73년 제정,
공포된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서 5월 8일을<어버이날>로 변경하고
보건사회부 주관 기념일로 정하였다.
사순절(四旬節)의 첫날로부터 넷째 일요일까지
어버이의 은혜에 감사하기 위하여
교회를 찾는 영국·그리스의 풍습과 1910년 무렵 미국의 한 여성이
어머니를 추모하기 위하여
교회에서 흰 카네이션을 나누어 준 일에서 연유한 것이다.
어버이날 하면 카네이션 코사지. 이 공식같던 선물이 변하고 있다.
어버이날 유래의 시작이 카네이션이라 소재에 한정을 받았으나
요즈음은 그 계절에 나오는 갖가지 꽃들로 코사지형태에서 벗어나
꽃다발이나 꽃바구니를 선물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흰색·분홍색·빨간색의 색감을 조화롭게 사용하여
따뜻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경향이 있다.
------------------------------------------------------- 정한모
[ 어머니 ]
어머니는 눈물로 진주를 만드신다.
그 동그란 광택의 씨를
아들들의 가슴에
심어 주신다.
씨앗은 아들들의 가슴 속에서
벅찬 자랑,
젖어드는 그리움,
때로는 저린 아픔으로 자라나
드디어 눈이 부신 진주가 된다.
태양이 된다.
검은 손이여,
암흑이 광명을 몰아치듯이
눈부신 태양을 빛을 잃은 진주로,
진주를 다시 쓰린 눈물로
눈물을 아예 맹물로 만들려는
검은 손이여, 사라져라.
어머니는 오늘도
어둠 속에서 조용히
눈물로 진주를 만드신다.
------------------------------------------------------- 이상화
[어머니의 웃음]
날이 맛도록 왼 데로 헤매노라
나른한 몸으로도 어둔 부엌에,
밥 짓는 어머니의
나보고 웃는 빙그레웃음
내 어려 젖먹을 때
무릎 위에다, 나를 고이 안고서
늙음조차 모르던
그 웃음을 아직도 보는가 하니
외로움의 조금이 사라지고,거기서
가는 기쁨이 비로서 온다.
------------------------------------------------------- 여울
다음 글을 올리기 전에 어버이 날이 지나게 되어
미리 어버이 날에 대한 기억을 더듬어 봅니다.
늘 좋은 것 주시기를 기뻐 하시는 부모님.
그 부모님이 이제는 연로하셔서
가슴이 아파옵니다.
늘 어린아이처럼 대하시는 그 마음이야 사랑의 표현이겠지만
저는 부모님에게 그렇게 하지를 못합니다.
받은 사랑이 너무 커 제 힘으로 갚을 길은 없습니다.
그저 감사하는 마음만으로
자식의 도리를 하는 것 같아 부끄러운 마음이 있습니다
사시는 동안 몸도 마음도 건강하셔서
좋은 세상 마음껏 보시고 영화를 누렸으면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