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지난 편에 이어, 완성된 교토-우지간 전기철로를 다닐 열차를 구매해 보겠습니다.
우선 지금 교토-우지간 철로에는 역과 철로만 있을 뿐, 열차의 '차고지'가 없습니다. 차고지는 가급적 역사와 붙여 짓는 것이 여러모로 편리합니다만, 화물 선로도 아닌 도시간 선로에 역사 옆의 도시 지역에 차고지를 건설할 수는 없는 노릇이므로, 여기서는 선로 한가운데 꺾어지는 지점에 차고지를 두도록 하겠습니다.
열차가 선로에서 자연스럽게 들어갈 수 있도록 차고지 건설 예정 부지로 철로를 놓아 주시기 바랍니다.

열차가 교토에서 우지로 가는 도중이건, 우지에서 교토로 가는 도중이건 차고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게 바람직합니다. 방금 우지에서 교토 방향으로는 선로를 놓았으므로, 이번에는 교토에서 우지로 가는 도중에도 꺾어져 차고지로 들어갈 수 있도록 선로를 놓아봅시다.

잘 하셨습니다. 이제 차고지를 건설하면 됩니다. 물론 어디에 건설하려는 것인지는 이미 눈치 채셨을 것입니다.
전기철로 건설 메뉴바의 왼쪽에서 일곱 번째, 차량기지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요.

차량기지는 역사와는 달리 선택할 것이 많지 않고, 방향만 선택하면 됩니다. 다만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해 주십시오. 차량기지의 나아가는 문과 선로가 연결되어 있어야 차량기지에서, 또는 차량기지로 열차가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습니다.
지금의 경우에는 선로가 왼쪽 위로 있는 형태이므로, 차량기지 방향 선택에서도 왼쪽 위의 차량기지를 클릭해 건설해 주십시요.

차량기지를 건설한 모습입니다.

이제 차량기지를 클릭해서 드디어 선로 위를 달릴 열차를 구매합시다. 차량기지를 힘차게 클릭하여 주십시요. 해당 차량기지의 창이 새로 나타날 것입니다. 새 열차를 클릭합시다.

새 열차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새로운 창이 나타납니다. 플레이어가 실수로 헷갈리지 않도록 새 '전기' 열차라고 씌여져 있어 지금 우리가 건설한 것이 전기철로임을 다시 한 번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열차의 종류가 많고 복잡합니다. 특히 기관차는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는데, 마치 새마을호나 무궁화호처럼 전체 열차를 끄는 기관차가 따로 있고, 그 뒤로 객차를 붙여 나가는 경우가 있고, 도시전철이나 지하철처럼 양쪽 앞뒤에 있는 객차가 동력 기능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대로는 복잡해서 일일이 구분할 수 없으므로 새 전기 열차 창 맨 윗쪽의 정렬 기능을 이용해 봅시다. '모든 화물'을 꾹 눌러 주십시오.

모든 화물을 클릭하면, 어떤 화물을 싣어나를 차량을 보여줄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화물열차의 경우 먼저 '없음'을 눌러 기관차를 선택한 뒤에 '곡물' '목재' 등 해당 화물을 눌러 화물차를 이어 붙여야 합니다. 승객을 싣어나르는 열차더라도 새마을호나 무궁화호처럼 기관차를 따로 둘 생각이라면 역시 마찬가지로 해야 합니다.
하지만 교토와 우지가 별로 멀지 않고, 플랫폼의 길이도 2밖에 안 되기 때문에 4량이 한계입니다. 여기에 기관차와 (증기기관차의 경우) 탄수차, (디젤기관차의 경우) 발전차를 따로 달면 객차는 겨우 2량밖에 못 달기 때문에 말이 안 됩니다.
그러므로 여기에서는 마치 지하철처럼 맨 앞뒷 객차가 사람도 태우면서 전체 열차도 끄는 형태로 해보겠습니다. 이 경우 바로 '승객'을 클릭하면 됩니다.

'승객'으로 필터링해서 정렬한 모습입니다. 40계 전동차, 80계 전동차, 151계 급행 전동차 등의 모습이 보이고 있습니다.
각각의 전동차는 다양한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대체로 중요한 것은 가격, 속력, 유지비, 수송량 등입니다. 신뢰도가 낮은 열차는 고장이 잦으므로 이 또한 참고는 해야 합니다.
지금 클릭되어 있는 40계 전동차는 1932년에 개발되어 이미 오래됐기 때문에 신뢰도가 낮은 것이 단점입니다.

만일 특히 자신이 중시하는 수치가 있다면 '차량 ID'를 클릭해 정렬시킬 수 있습니다.

가격으로 정렬해서 72계 전동차를 선택했습니다. 40계 전동차보다 약간 비싸지만, 최고 속력이 10km 빠르면서도 유지비가 되레 저렴한 것이 장점입니다. 또한 1945년에 개발되어 신뢰도도 매우 높습니다.
아래쪽의 차량 구입을 클릭하면 구매할 수 있습니다.

구입하는 순간 '열차 1' 창이 새로 생겨날 것입니다. 이 창은 해당 열차를 작은 창의 화면 중심에 놓고 끝없이 따라다니는 창입니다. 지금은 차량기지가 작은 창 한가운데 나와 있는데, 이는 열차 1이 차량기지 안에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교토 차량기지 창에도 열차 1이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1은 열차 번호이며, 그 앞의 빨간색 X는 지금 이 열차가 정차해 있는 상황이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오른쪽의 0.5는 플랫폼 길이에 대응하는 수치입니다. 1량이므로 플랫폼 길이로는 0.5에 해당합니다.
이제 동력 기능이 있는 객차를 구매하였으므로, 새 전기 열차 창에서 스크롤을 내려 승객들이 탈 passenger Car를 구매해서 붙여나갈 것입니다.

Passenger Car 3량을 추가 구매해 4량짜리 도시전철을 만들었습니다. 플랫폼 길이로는 2.0 입니다. 우리가 건설한 교토 역과 우지 역의 플랫폼 길이가 2 이므로 딱 적당합니다.

이제 선로도 놓였고, 열차도 구매했으니 다음 강의에서는 실제로 이 열차를 교토-우지 사이에 굴려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