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음산 불곡사(飛音山佛谷寺)
- 경남 창원시 성산구 대방동
불곡사의 창건에 관한 사료는 거의 없다.
창원 지역의 전승에 따르면, 통일신라시대인 917~923년에 진경(眞鏡, 854~923)이 창건하였다고 한다.(『한국불교사찰사전』에는 935년 진경이 창건했다고 전한다/ 진경의 입적 후 12년 뒤 창건이란 이야기로 이 기록의 신빙성에 의문이 든다).
인근에 있는 봉림사(鳳林寺)와 돌북을 치면서 법담(法談)을 나누었다는 이야기가 전해 오고 있다.
진경국사는 구산선문(九山禪門)의 봉림산문(鳳林山門)의 개산조인 심희(審希)로 현욱의 제자이다.
보물 제363호인 "봉림사진경대사보월능공탑비(鳳林寺眞鏡大師寶月凌空塔碑)"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 비의 주인공이다.
불곡사도 봉림사 창건과 비슷한 시기에 진경국사가 창건, 두 사찰이 왕래하면서 법담을 나누었을지도 모를 일이다.
'봉림사 폐사지'에서 불곡사까지의 거리는 대략 4㎞ 정도이다.
불곡사지에서 발굴된 보물 제436호 '석조비로자나불좌상(佛谷寺石造毘盧舍那佛坐像)'은 9세기 후반에서 10세기 초반에 조성,
추정되는 이 석불좌상은 진경국사가 활동했던 시기와 비슷하다.
이 사실은 진경국사가 불곡사를 창건하였다는 전승의 신빙성을 나타낸다.
1929년 우담대종사가 폐사지에 있던 <비로자나불좌상(보물 제436호)> 을 파내어 비로전을 짓고 모셨다.
중창 전 불곡사 뒤쪽인 가음정, 대방동, 사파정 등을 왕래하는 길이 있었다.
이 길가에 불상과 무수한 기와 조각이 흩어져 있었고, 이곳을 "부처골"이라 불렀다.
(인터넷과 불곡사 안내문 등을 짜집기하여 작성하였다./촬영은 스마트폰으로 하였다. 디지탈 카메라를 깜빡하여서.)
창원서 직장 생활을 하였고 자주 오갔던 곳인데 불곡사가 있는줄 몰랐다.
전통사찰을 검색하다가 알았다.
도심 사찰이라 방문을 주저하였으나 보물인 비로자나불좌상을 보고픈 마음에 이곳을 찾았다.
아주 낮은 야산에 불곡사는 있고, 아주 정갈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일주문 / 경남 유형문화재 제133호)
일주문은 원래 창원부 객사 3문 중의 하나로서 웅천향교에 있던 것은 1943년 우담대종사가 이곳으로 옮겼다.
세음루
비음선당
당 앞의 석탑이 볼만 하다. 원래 있었던 것인지 아님 주변 석재로 대충 만든 것인지 모르겠다.
부도전, 창건주는 우담대종사, 중창조로 취봉당대화상, 사적기, 시주자 기념비 등
정심당, 대중이 공양하는 곳(?)
비로전
석조 비로자나불좌상 / 보물 제436호
사진에 보이는 진영은 창건주인 진경국사.
범종각, 명부전
관음전
우담대종사, 취봉당대화상 등 여러 선사들의 진영
칠성각
카메라를 잊고 가지고 나오지 않았다.
광산사 흰얼레지 촬영도 갈 계획이었다.
돌아섰다. 장유 사는 친구와 저녁 약속, 시간이 남아 윗상점에 주차, 용지봉으로 향했다.
오랜만에 왔다. 돌무지에 탑이 여럿 서있다. 용지봉 정상까지는 못 갔다.
이른 시각(5시 30분 경), 족발에 소주 한잔 마셨다.
1달에 1~2번 꼴로 만나는 40여 년 지기, 이 친구 만나야 소주 한잔한다. 덕분이다.
창원시에 소재한 전통사찰
-의림사/의상대사 또는 위웅대사
-정법사(통도사 마산포교당) : 미답, 추산동
-성덕암: 미답, 추산동
-광산사/원효대사
-성흥사/무염국사 창건
-불곡사/진경국사 심희 창건
-성주사/장유화상 창건 또는 무염국사(충남 보령 성주산문 개조) 창건
-우곡사/무염국사 창건
성주사와 성흥사의 창건설화는 충남 보령 성주사의 창건설화와 유사하다.
봉림산문이 창원에 있는데 보령의 성주산문의 개산조인 무염국사께서 이곳에 와서 창건하였다는 것은 글쎄?
창원 주위에 불곡사 외는 봉림사 창건주인 진경국사가 창건한 사찰이 없다. 왜?
절을 찾아서 ...47번 성주사/ 48번 봉림사지 / 68번, 112번 광산사와 의림사 / 105번 성흥사와 의곡사 편을 참조.
정법사와 성덕암은 방문할 계획은 없음. 지나는 길에 들릴 수는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