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터키-시리아 지진 참사는 남의 일 아니다. 세계 최고 내진기준 일본의 약점 / 7/1(토) / JBpress
(과학 저널리스트 : 소에다 타카시)
■ 터키·시리아 지진이 남의 일이 아니다
터키 남동부와 시리아 국경 인근 활단층이 올 2월 규모 7.8의 지진을 일으켰다. 9시간 뒤에는 인근 활단층에서 규모 7.5의 지진도 이어져 모두 수십만 채의 건물이 손괴되고 양국에서 6만 명 이상이 희생됐다.
일본 못지않게 지진이 잦은 나라로 알려진 터키에서는 엄격한 내진 기준이 마련돼 있었다. 그러나 많은 건물에서 그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것이 원인이라고도 한다.
일본에서도 한신·아와지 대지진(1995년)으로 내진 기준에 미달하는 낡은 건물이 많이 부서져 희생을 늘렸지만 그 문제는 30년 가까이 해결되지 않고 있다. 터키·시리아의 지진 재해는 남의 일이 아니다.
지진이 빈발하는 일본에서는 과거에 일어난 지진 사료도 풍부하게 남아 있다. 가장 오래된 것은 일본서기에 있는 1600여 년 전 지진 기록이다.
고대부터 문명이 번성했던 터키는 일본보다 더 오래돼 2000여 년 전 지진 사료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20세기 이후에도 1939년(M7.8, 사망자 약 3만 3000명), 1999년(M7.8, 1만 7000명) 등 큰 피해를 가져오는 지진이 빈발하고 있다.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지진의 분포를 보면, 일본이나 터키·시리아 주변은, 지진 발생을 나타내는 표시로 새빨갛게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그림 1)*1
두 지역 모두 지구를 덮고 있는 십여 개의 판(암반) 중 여러 판이 맞닿아 있는 바로 위에 육지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 지진국이기 때문에 터키의 내진 기준도 일본과 함께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도 일컬어져 왔다. 그래도 이번 지진에서는 피해가 컸다. 기준이 엄격해도 이를 달성하고 있는 건물만이 아니었기 때문으로도 보도되고 있다. 기준의 강도는 적절했는지, 준수됐는지 등 자세한 조사는 이제부터지만 일본에서 비슷한 지진이 일어났을 때 어떤 피해가 될까.
*1
기상청 지진이 일어나는 장소 -플레이트 경계와 플레이트 내-
https://www.data.jma.go.jp/eqev/data/jishin/about_eq.html
■ 대책이 늦어져 지금도 20%가 내진성이 부족한 단독주택
일본에서는 간토 대지진(1923년) 이후 본격적으로 내진 기준이 정비돼 왔다. 이후 100년간 거듭된 지진의 경험을 바탕으로 지진 흔들림의 성질이나 그것이 건물에 어떤 힘을 미쳐 부수는지 연구가 진행되어 내진 기준은 여러 차례 재검토되고 강화되어 왔다.
최근에는 도카치해역지진(1968년, M7.9)과 미야기현해역지진(1978년, M7.4) 피해 특징을 연구해 1971년과 81년 내진 기준이 크게 바뀌었다.
이 기준이 강한 것은, 한신·아와지대지진(1995년)에서 실증되었다. 내진 기준이 강화되기 전과 후 건물에서 피해 양상은 크게 다른 것이다.
코베대학 공학부에 소속되어 있던 후지에 토오루 씨가, 지진 재해 후, 재해당한 주소를 특정할 수 있었던 코베시내의 사망자 3586명의 유족에게 앙케이트를 송부해 조사했는데(회답 1218명), 81년 이전의 주택에서 희생된 사람이 약 98%에 이르러, 기준 강화 후에 지어진 주택에서 죽은 사람은 15명 뿐이었다.
한신·아와지 대지진 후인 2000년에는 목조주택에서는 벽 배치나 기둥과 기초를 연결하는 쇠붙이 설치법 등에 대해 기준이 더욱 강화됐다. 그 효과는 구마모토 지진(2016년, M7.3, 사망자 55명)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건축시기별 피해를 보면 1981년 5월 이전 구 내진기준*2
으로 지어진 건물의 붕괴가 28.2%였던 데 비해 2000년 6월 이후 최신 기준에 적합한 것은 2.2%밖에 되지 않았다(그림 2)*3
○ 문제는 이제 분명하지만 옛 내진기준 건물을 보강하거나 재건축하는 대책은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국토교통성에 따르면 전국 단독주택에서는 19%가 내진성 미흡으로 보인다*4
○ '30년 이내 확률 70%'의 수도 직하 지진 시 최대 약 8만동이 전파되는 가운데 약 80%는 81년 이전의 구 내진 기준 건물이 될 것으로 도쿄도는 추산하고 있다.
○ *2
1981년 5월 31일까지 건축확인을 신청한 건물*3
국토교통성 '구마모토 지진 건축물 피해 원인 분석 위원회 보고서' 2016년 9월
https://www.mlit.go.jp/report/press/house05_hh_000633.html *4
국토교통성 주택·건축물의 내진화 현황과 목표(2022년 12월 집계)
https://www.mlit.go.jp/jutakukentiku/house/content/001580488.pdf *5
도쿄도 방재회의 '수도 직하 지진 등에 의한 도쿄 피해 상정 보고서' 2022년 5월 p.3-3, p.5-6
https://www.bousai.metro.tokyo.lg.jp/taisaku/torikumi/1000902/1021571.html
■ "내진성 있음" 40%에 불과한 옛 건물
목조주택만이 아니다. 한신·아와지 대지진에서는, 옆으로 넘어져 도로를 막은 빌딩이나 붕괴한 백화점도 있었다. 고베시청과 시민병원 등 방재 거점 건물조차 일부 층이 폭삭 압괴했다. 그 참상을 현장에서 보았을 때 세계 최고 수준으로 믿었던 일본의 내진 대책이 그리 많지 않다는 것을 깨닫게 된 기억이 난다. 이른 아침 지진 때문에 거리에는 사람이 적었지만 만약 낮의 지진이었다면 한 건물 붕괴로 수백 명의 희생자가 발생했을 것이다.
고베시 주오구에 건립된 철근콘크리트 건물 232동을 조사한 보고*6
에 따르면 건축 연대에 따라 피해에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1971년 이전 건물에서는 도괴 또는 붕괴가 11%, 대파가 13%였던 반면 1981년 이후 건물은 붕괴 2%, 대파 4%였다. 오래된 건물이 모두 약한 것은 아니다. 여유를 더해 재료를 아끼지 않고 지어진 오래된 건물 중에는 최신 건물보다 튼튼한 것도 있다. 내진 진단을 실시하고 확인해 두면 낡아도 문제는 없다.
동일본 대지진 이후 81년 이전 건물의 내진 진단·보강을 진행하기 위해 법률이 개정됐다.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거나 대피로변에 있는 큰 빌딩이나 청사나 병원 등 방재 거점의 내진 진단을 의무화해 결과가 공표되게 됐다.
국토교통성의 2022년 12월 시점 정리에 따르면 대피로변에 있는 빌딩이나 방재거점이 되고 있는 구 내진기준 건물에서 내진진단 결과가 공표된 건물 중 '내진성 있음'으로 진단된 것은 약 40%에 불과하다*7.
○ 기준에 미달하는 낡은 건물이 많아 피해가 심대해진다는 구도는 한신·아와지 대지진 이후 28년이 지나도 크게 변하지 않은 것이다. 잃어버린 30년의 경제 정체 때문에 재건축이나 내진 보강 등 내진화에 돈이 충분히 돌지 않았던 외상일까.
*6
건설성 「1995년 한신·아와지 대지진 건축 지진 재해 조사위원회 중간 보고서」1995 p.58-63
https://da.lib.kobe-u.ac.jp/da/eqb/0100055684/shinsai-11-43.pdf *7
국토교통성 주택·건축물의 내진화 현황과 목표(2022년 12월 집계)
https://www.mlit.go.jp/jutakukentiku/house/content/001580488.pdf
■ 목숨이 무사해도 다음 리스크가 기다리고 있다
「내 집은 2000년 이후의 건물이니까 괜찮다」라고 안심해 버려, 거기서 지진 대책을 세워 버리는 것도 위험하다. 내진 기준은 도괴·붕괴해 안에 있는 사람이 죽지 않는 수준의 최저 기준이다. 무너지지 않고 생명은 괜찮다 하더라도 보수나 응급보강을 하지 않으면 살 수 없을 정도로 망가지면 지진 후 생활에 큰 영향을 준다. 향후, 수도직하지진이나 난카이 트로프 지진 등 인구가 많은 도시지역을 덮치는 지진에서는 피난소에 들어가고 싶어도 들어갈 수 없을지도 모른다. 인력과 자재가 부족해 집 수리는 수년간 기다려야 할 수 있다.
수도 직하지진으로 4일부터 일주일 뒤 절정기에는 대피자 수가 약 300만명에 이를 것으로 도쿄도는 추정*8
더 크게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는 이런 피해 양상도 그려져 있다. 수용력을 넘어선 대피소에서는 음식료 등 물자가 부족하다. 당초 예정했던 체육관이나 일부 교실뿐만 아니라 복도나 계단의 춤장 등도 피난민들로 가득 찰 가능성도 있다.
대피소 생활쓰레기와 소변이 수거되지 않아 위생상태가 급속히 악화된다.
정전 등으로 공조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컨디션 불량자가 증가하고 체력이 없는 고령자나 영유아 등은 최악의 경우 사망할 가능성이 있다.
한여름과 한겨울 냉난방이 없는 대피소에서 위생상황 악화와 감염병에 겁을 먹고 며칠씩 살기 힘들다. 주택에는 법이 요구하는 최저 기준을 웃도는 충분한 내진 성능을 갖게 하는 것이 안심이다. 게다가 태양광 패널이나 전기 자동차로부터의 급전으로 전력을 자급하거나 빗물 저류등으로 물을 확보해 지진 후에도 계속 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앞으로 대지진이 계속되는 일본에서는 필요할지도 모른다.
*8
도쿄도 방재회의 '수도 직하 지진 등에 의한 도쿄 피해 상정 보고서' 2022년 5월 p.3-55, p.5-62
https://www.bousai.metro.tokyo.lg.jp/taisaku/torikumi/1000902/1021571.html
소에다타카시
https://news.yahoo.co.jp/articles/480db4c02fafa3ed8033ec823ccf57cdd835eaf5?page=1
トルコ・シリア地震の惨事は人ごとでない、世界最高の耐震基準誇る日本の弱点
7/1(土) 6:02配信
1
コメント1件
JBpress
トルコ・シリア地震の2日後、震源地となったトルコのカフラマンマラシュの様子(写真:ロイター/アフロ)
(科学ジャーナリスト:添田 孝史)
■ トルコ・シリアの地震が人ごとではない
トルコ南東部とシリアとの国境近くの活断層が今年2月、マグニチュード(M)7.8の地震を引き起こした。9時間後には近くの活断層でM7.5の地震も続き、合わせて数十万棟の建物が損壊し、両国で6万人以上が犠牲になった。
【グラフ】熊本地震における木造の建築時期別の被害状況(国交省のHPから)
日本に劣らず地震の多発する国として知られるトルコでは、厳しい耐震基準が設けられていた。しかし多くの建物でその基準を満たしていなかったことが原因とも報じられている。
日本でも阪神・淡路大震災(1995年)で耐震基準を満たしていない古い建物が多く壊れて犠牲を増やしたが、その問題は30年近くたっても解消されていない。トルコ・シリアの震災は人ごとではない。
地震の頻発する日本では、過去に起きた地震の史料も豊富に残されている。一番古いものは、『日本書紀』にある約1600年前の地震の記録だ。
古代から文明が栄えたトルコは、日本よりさらに古く、約2000年前の地震史料まで遡ることができる。20世紀以降でも、1939年(M7.8、死者約3万3000人)、1999年(M7.8、1万7000人)など、大きな被害をもたらす地震が頻発している。
世界で起きている地震の分布を見ると、日本やトルコ・シリア周辺は、地震発生を示す印で真っ赤になっているのがわかる(図1)*1
。どちらの地域も地球を覆っている十数枚のプレート(岩盤)のうち複数のプレートが接している真上に陸地があるためだ。 そんな地震国だから、トルコの耐震基準も日本と並び世界最高水準とも言われてきた。それでも今回の地震では被害が大きかった。基準が厳しくても、それを達成している建物ばかりではなかったためとも報道されている。基準の強度は適切だったのか、遵守されていたのかなど詳しい調査はこれからだが、日本で同じような地震が起きた時、どんな被害となるのだろう。
*1
気象庁 地震の起こる場所 ―プレート境界とプレート内―
https://www.data.jma.go.jp/eqev/data/jishin/about_eq.html
■ 対策が遅れ、今も2割が耐震性不十分の一戸建て住宅
日本では、関東大震災(1923年)以降、本格的に耐震基準が整備されてきた。以降100年の間、度重なる震災の経験を踏まえ、地震の揺れの性質や、それが建物にどんな力を及ぼして壊すのか研究が進み、耐震基準は何度も見直され、強化されてきた。
最近では、十勝沖地震(1968年、M7.9)や宮城県沖地震(1978年、M7.4)の被害の特徴を研究して、1971年と81年に耐震基準が大きくかわった。
この基準が強いことは、阪神・淡路大震災(1995年)で実証された。耐震基準が強化される前と後の建物で、被害の様相は大きく違ったのだ。
神戸大学工学部に所属していた藤江徹さんが、震災後、被災した住所を特定できた神戸市内の死者3586人の遺族にアンケートを送付して調べたところ(回答1218人)、81年以前の住宅で犠牲になった人が約98%にのぼり、基準強化後に建てられた住宅で亡くなった人は15人だけだった。
阪神・淡路大震災後の2000年には、木造住宅では壁の配置や柱と基礎をつなぐ金具の取り付け方などについて、さらに基準が強化された。その効果は熊本地震(2016年、M7.3、死者55人)でくっきり表れた。
建築時期別の被害を見ると、1981年5月以前の旧耐震基準*2
で建てられた建物の倒壊・崩壊が28.2パーセントだったのに対し、2000年6月以降の最新基準に適合したものは、2.2パーセントしかなかった(図2)*3
。 問題はもうはっきりしているが、旧耐震基準の建物を補強したり建て替えしたりする対策は追いついていない。国土交通省によると、全国の一戸建てでは19%が耐震性不十分と見られている*4
。「30年以内の確率70%」の首都直下地震の際、最大約8万棟が全壊するうち約8割は、81年以前の旧耐震基準の建物になると東京都は推計している*5
。*2
1981年5月31日までに建築確認を申請した建物*3
国土交通省「熊本地震における建築物被害の原因分析を行う委員会 報告書」2016年9月
https://www.mlit.go.jp/report/press/house05_hh_000633.html*4
国土交通省 住宅・建築物の耐震化の現状と目標(2022年12月集計)
https://www.mlit.go.jp/jutakukentiku/house/content/001580488.pdf*5
東京都防災会議「首都直下地震等による東京の被害想定報告書」2022年5月 p.3-3、p.5-6
https://www.bousai.metro.tokyo.lg.jp/taisaku/torikumi/1000902/1021571.html
■ 「耐震性あり」わずか40%の旧耐震ビル
木造住宅だけではない。阪神・淡路大震災では、横倒しになって道路を塞いだビルや、崩壊したデパートもあった。神戸市役所や市民病院など防災拠点の建物ですら、一部の階がぐしゃっと圧壊した。その惨状を現場で目の当たりにしたとき、世界最高水準と信じこんでいた日本の耐震対策が、それほどでもないことを思い知らされたのを覚えている。早朝の地震のため街には人が少なかったが、もし昼間の地震なら一つの建物の崩壊で何百人もの犠牲者が出ていただろう。
神戸市中央区に建つ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建物232棟を調べた報告*6
によると、建築年代によって被害に大きな差があることがわかる。1971年以前の建物では、倒壊または崩壊が11%、大破が13%だったのに対し、1981年以降の建物は倒壊・崩壊2%、大破4%だった。 古い建物はすべて弱いわけではない。余裕を上乗せして材料を惜しまず造られた古い建物の中には、最新の建物より丈夫なものもある。耐震診断を行い、確かめておけば古くても問題はない。
東日本大震災の後、81年以前の建物の耐震診断・補強を進めるために法律が改正された。不特定多数の人が利用したり、避難路沿いにあったりする大きなビルや、庁舎や病院など防災拠点の耐震診断を義務付け、結果が公表されるようになった。
国土交通省の2022年12月時点のまとめによると、避難路沿いにあるビルや防災拠点となっている旧耐震基準の建物で、耐震診断結果が公表された建物のうち「耐震性あり」と診断されたのは約40%に過ぎない*7
。 基準を満たしていない古い建物が多く、結果として被害が甚大になるという構図は、阪神・淡路大震災から28年たっても大きくは変わっていないのだ。失われた30年の経済停滞のため、建て替えや耐震補強など耐震化にお金が十分回らなかったツケなのだろうか。
*6
建設省「平成7年阪神・淡路大震災建築震災調査委員会中間報告書」1995 p.58-63
https://da.lib.kobe-u.ac.jp/da/eqb/0100055684/shinsai-11-43.pdf*7
国土交通省 住宅・建築物の耐震化の現状と目標(2022年12月集計)
https://www.mlit.go.jp/jutakukentiku/house/content/001580488.pdf
■ 命が無事でも、次のリスクが待っている
「自分の家は2000年以降の建物だから大丈夫」と安心してしまい、そこで地震対策を止めてしまうのも危うい。耐震基準は、倒壊・崩壊して中の人が死なないレベルの最低基準だ。崩壊はせず命は「大丈夫」だったとしても、補修や応急補強をしないと住めないほど壊れてしまうと、地震後の生活に大きく影響する。今後、首都直下地震や南海トラフ地震など人口の多い都市部を襲う震災では避難所に入りたくても入れないかもしれない。人手や資材が不足し、家の修理は何年も待たされる恐れがある。
首都直下地震で、4日から1週間後のピーク時には避難者数が約300万人にのぼると東京都は推定*8
し、もっと大きく増える可能性もあるとしている。報告書には、こんな被害様相も描かれている。 「収容力を越えた避難所では、飲食料等の物資が不足。当初予定していた体育館や一部教室だけではなく、廊下や階段の踊り場等も避難者で一杯となる可能性もある」
「避難所の生活ごみやし尿が回収されず、衛生状態が急速に悪化する」
「停電等で空調が使えない場合、体調不良者が増加し、体力のない高齢者や乳幼児等は、最悪の場合、死亡する可能性がある」
真夏や真冬に、冷暖房のない避難所で、衛生状況の悪化や感染症におびえながら何日も暮らすのは厳しい。住宅には、法が求める最低基準を上回る十分な耐震性能を持たせた方が安心だ。さらに太陽光パネルや電気自動車からの給電で電力を自給したり、雨水貯留などで水を確保したりして、地震後も住み続けられるようにすることが、これから大震災の続く日本では必要かも知れない。
*8
東京都防災会議「首都直下地震等による東京の被害想定報告書」2022年5月 p.3-55、p.5-62
https://www.bousai.metro.tokyo.lg.jp/taisaku/torikumi/1000902/1021571.html
添田 孝史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