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말
금강반야바라밀경
송경의식
정구업진언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오방내외안위제신진언
나모사만다 못다남 옴 도로도로 지미 사바하
봉청팔금강
봉청청제재금강 봉청벽독금강
봉청황수구금강 봉청백정수금강
봉청적성화금강 봉청정제재금강
봉청자현신금강 봉청대신력금강
봉청사보살
봉청금강권보살 봉청금강색보살
봉청금강애보살 봉청금강어보살
발원문
계수삼계존 귀명시방불 아금발홍원
지차금강경 상보사중은 하제삼도고
약유견문자 실발보리심 진차일보신
동생극락국
개경게
무상심심미묘법 백천만겁남조우
아금문견득수지 원해여래진실의
개법장진언
옴 아라남 아라다(세번)
우리말 금강반야바라밀경
제 一 분 법회가 열린 연유
이와 같이 내가 들었다. 한 때 부처님께
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서 큰비구중 천
二백五십인과 함께 계셨다.
그때는 세존께서 공양드실 때라 가사를
입으시고 발우를 가지시고 사위성에 들어
가시사 밥을 비시는데 그 성중에서 차례로
비시옵고 본곳으로 돌아오시어 공양을 마
치신 뒤 의발을 거두시고 발을 씻으신 다음
자리를 펴고 앉으셨다.
제二분 선현(善現)이 법문을 청함
그때에 장로 수보리가 대중 가운데 있다
가 곧 자리에서 일어나 바른쪽 어깨에 옷
을 벗어 메고 바른쪽 무릎을 당에 꿇으며 합
장 공경하면서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희유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모든 보살을 잘 호념 하시오며 모
든 보살들에게 잘 부촉하시옵니다.
세존이시여, 선남자 선여인이 아뇩다라
삼먁삼보리심을 발하오니 마땅히 어떻게
머물며 어떻게 그 마음을 항복 받으시오리
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옳다 옳다 수보리야 참으로 네 말과 같
아서 여래는 모든 보살을 잘 호념하였으
며 모든 보살에게 질 부촉하느니라 너 자
세히 듣거라 이제 마땅히 너를 위하여 설하
리라.
선남자 선연인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발하였으면 마땅히 이처럼 머물며 이와
같이 그 마음을 항복 받을지니라.』
『그러하오이다. 세존이시여, 바라옵건데
듣고자 하옵니다.』
제三분 대승(大乘)의 바른 종지(宗旨)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르셨다.
『모든 보살 마하 살은 응당 이처럼 그
마음을 항복 받을지니라 있는바 일체중생
종류인 혹 알고 생기는 것, 혹 태로 생기는
것, 혹 습(濕)으로 생기는 것 혹 화(化)하
여 생기는 것, 혹 형상 있는 것, 혹 형상 없
는 것, 혹 생각 있는 것, 혹 생각 없는 것,
혹 생각이 있는 것도 아니요, 없는 것도 아
닌 것들을 내가 다 남음이 없는 열반(無餘
涅槃)에 들게 하여 멸도(滅度)하리라.
이처럼 한량없고 셀 수 없고 가없는
중생을 멸도 하나 실로는 멸도를 얻은 중생
이 없다 하라 어찌한 까닭이랴. 수보리야,
만약 보살이 아상(我相)과 인상(人相)과
중생상(衆生相)과 수자상(壽者相)이 있으
면 이는 곧 보살이 아니니라.』
제 四 분 묘행(妙行)은 머뭄이 없음
『그리고 또 수보리야, 보살은 마땅히 법
에 머문 바 없이 보시(布施)를 행할지니,
이른바 형상에 머물지 않은 보시이며 성
(聲). 향(香). 미(味). 촉(觸). 법(法)에
머물지 않은 보시여야 하느니라.
수보리야 보살은 응당 이처럼 보시하
여 상(相)에 머물지 않느니라. 어찌한 까닭
이랴? 만약 보살이 상에 머물지 않고 보시
하면 그 복덕을 가히 생각으로 헤아릴 수
없느니라.』
『수보리야 남. 서. 북방과 사유(四維)와,
상하 허공을 가히 생각으로 헤아릴 수 있느
냐?』
『못하겠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보살이 상(相)에 머묾이
없는 보시의 복덕도 또한 다시 이와 같아야!
생각으로 헤아릴 수 없느니라. 수보리야,
보살은 다만 가르친 바와 같이 머물지니라.』
제 五 분 바른 도리를 실답게 봄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너는
몸 모양으로써 여래를 볼 수 있겠느냐?』
『못 보겠습니다. 세존이시여, 몸 모양으
로써 여래는 볼 수 없습니다. 왜냐 하오면
여래께서 말씀하시는바 몸 모양은 곧 몸 모
양이 아니옵니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르셨다.
『무릇 있는 바 상(相)은 다 이것이 허망
하니 만약 모든 상이 상 아님을 보면 곧 여
래를 보리라.』
제 六 분 바른 믿음은 희유하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어떤 중생이 이와 같은 말
씀의 글귀를 보고 자못 실다운 믿음을 낼 자
가 있사오리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르셨다.
『그런 말을 하지 말지니라. 여래가 멸도
에든 뒤 후 五 백 세에 이르러 계를 가지고
복을 닦는 자가 있어서 능히 이 글귀에 신
심을 내며 이로써 실다움으로 삼으리라. 마땅
히 알라. 이 사람은 한 부처님이나 두 부처님
이나 셋 네다섯 부처님에게 선근(善根)을
심었을 뿐만 아니라, 이미 한량없는 천만 부
처님께 모든 선근을 심었으므로 이 글귀를
듣고 한 생각에 청정한 믿음을 내는 자니라.
수보리야, 여래는 이 모든 중생이 이와
같이 한량없는 복덕을 얻는 것을 다 알며
다 보느니라. 어찌한 까닭이라 이 모든
중생은 아상도 없으며, 인상 중생상 수자상
도 없으며 법상도 없으며, 또한 법 아닌 상
도 없기 때문이니라. 어찌한 까닭인가 하면
이 모든 중생이 만약 마음에 상을 취하면
곧 아상과 인상과 중생상과 수자상에 착함
이 되며 만약 법상을 취하더라도 곧 아상과
인상 중생상 수자상에 착함이 되느니라. 어
찌한 까닭이랴? 만약 법 아닌 상을 취하더
라도 이는 곧 아상과 인상 중생상 수자상에
착함이 되느니라.
이런 까닭으로 마땅히 법을 취하지 말아야!
하며 마땅히 법아님도 취하지 말아야 하느
니라. 이러한 뜻이므로 여래는 항상 말하되
「너희들 비구는 나의 설법을 뗏목으로 비
유한 바와 같다고 아는 자는 법도 오히려
마땅히 버려야 하거늘 어찌 하물며 법 아님
이랴」 하느니라.』
제七분 얻을 것도 없고 설할 것도 없음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느냐? 여래가
설한 바 법이 있느냐?』
수보리가 말씀드렸다.
『제가 부처님의 말씀하신바 뜻을 이해하
옴 같아서는 정한 법이 없는 것을 이름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 하옵고, 역시 정한
법 없는 것을 여래께서 가히 설하셨나이다.
무슨 까닭인가 하오면 여래가 설하신 바 법
은 다 취할 수 없사오며 말할 수도 없아오
며 법도 아니오며 법 아님도 아니기 때문입
니다. 이유를 말씀드리오면 일체 성현(聖
賢)이 다 무위법(無爲法)을 쓰시어 차별이
있기 때문입니다.』
제八분 법에 의하여 출생함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만약
어떤 사람이 三천대천세계에 가득 찬 필보
를 가지고 보시에 쓴다면 이 사람이 얻을
바 복덕이 얼마나 많겠느냐?』
수보리가 말씀드렸다.
『심히 많사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
오면 이 복덕이 곧 복덕 성이 아니오니 이
까닭에 여래께서 복덕이 많다 말씀하심입
니다.』
『만약 다시 사람이 있어 이 경 가운데서
四구게만이라도 받아지니고 다른 사람을
위하여 말해주면 그 복이 저보다 나으니라.
수보리야 왜냐하면 일체 모든 부처님과 모
든 부처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법이 다
이 경으로 좇아 나오는 까닭이니라. 수보리
야, 이른바 불법이라 하는 것도 곧 불법이
아니니라.』
제九분 하나의 상(相)도 없어야 함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수다원
(須陀洹)이 능히 「내가 수다원과를 얻었다.」
하는 생각을 가지겠느냐?』
수보리가 말씀드렸다.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 하오면
수다원은 이름을 성류(聖流)에 든다 하오나!
실로는 들어간 바가 없아와 형상이나 성.
향. 미. 촉. 법에 들어가지 아니하오니 이를
수다원이라 이름하옵니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사다함
(斯陀含)이 능히 내가 사다함과를 얻었다
하는 생각을 가치겠느냐?』
수보리가 말씀드렸다.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 하오면 사
다함은 이름이 일 왕래이오나 실로는 오고
가는 바가 없으니 이를 사다함이라 이름
하옵니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아나함
(阿那含)이 능히 생각하기를 「내가 아나함
과를 얻었다」 하겠느냐?』
수보리가 말씀드렸다.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 하오면 아
나 함은 이름을 오지 않는다 하오나 실은 오
지 아니함이 없사오니, 이 까닭에 아나함이
라 이름하옵니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아라한
(阿羅漢)이 능히 생각하기를 「내가 아라한
도를 얻었다」 하겠느냐?』
수보리가 말씀드렸다.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 하오면 실
로 법이 없음이 이름이 아라한이옵니다. 세
존이시여, 만약 아라한이 생각하기를 「내
가 아라한 도를 얻었다.」 하오면 곧 아상과
인상과 중생상과 수자상에 착함이 되옵니
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게서 저를 무쟁삼매
(無諍三昧)를 얻은 사람 가운데에서 가장
으뜸이라 말씀하셨으니 이는 욕심을 여윈
제일의 아라한이라 하심이옵니다. 세존이
시여, 그러하오나 저는 욕심을 여윈 아라한
이라는 생각을 하지 안 사 옵니다. 세존이시
여, 제가 만약 「내가 아라한 도를 얻었다.」
고 생각한다면 세존께서는 곧 수보리에게
아란나행(阿蘭那行)을 즐기는 자라고 말씀
하시지 아니하시련만 수보리가 실로 행하
는 바가 없사오므로 수보리는 아란나행을
즐기는 자라고 이름하셨습니다.』
제 十 분 정토(淨土)를 장엄함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르셨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옛적에 연등불 회상에 있었을 때 법에 얻은
바가 있었겠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연등
불 회상에 계실 때 법에 있어 실로 얻은바
가 없사옵니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보살이
불국토를 장엄한다고 하겠느냐? 』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 하오면 보
살이 불국토를 장엄함은 곧 장엄이 아니옵
고 그 이름이 장엄하옵니다.』
『이 까닭에 수보리야, 모든 보살 마하 살
은 마땅히 형상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 말며
마땅히 성. 향. 미. 촉. 법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 아니하고, 응당 머문 바 없이
그 마음을 낼지니라.
수보리야, 비유컨대 만일 어떤 사람이 있
어 몸이 수미산 왕만 하다면 네 생각에 어떠
하냐? 그 몸이 크다고 하겠느냐?』
수보리가 말씀드렸다.
『심히 크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 하오
면 부처님께서는 몸이 아님을 말씀하시어
큰 몸이라 이름하셨습니다.』
제 一 一분 무위복(無爲福)이 수승함
『수보리야, 항하 가운데에 있는바 모래
수와 같은 항하가 또 있다면 어떻게 생각하
느냐 저 여러 항하에 있는 모래를 얼마나
많다 하겠느냐?』
수보리가 말씀드렸다.
『심히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다만 저 여
러 항하만이라도 오히려 많아 셀 수 없사옵
거든 하물며 어찌 그 모래이오리까!』
『수보리야, 내가 이제 진실한 말로 너에
게 이르노니 만약 선남자 선여인이 있어 저
항하의 모래 수의 삼천대천세계에 가득찬
칠보를 가지고 보시에 슨다면 얻을 바 복이
많겠느냐?』
수보리가 말씀드렸다.
『심히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르셨다.
『만약 선남자 선여인이 있어 이 경 가운
데서 내지 사구게 만이라도 받아지니고 다
른 사람을 위하여 말해주면 그 복덕이 앞에
말한 복덕 보다 훨씬 수승하니라.』
제 一 二분 바른 가르침을 존중히 함
『그리고 또 수보리야, 이 경을 설함에서
는 내지 사구게등 만이라도 마땅히 알아라.
아곳은 일체 세간의 천상과 인간과 아수라
가 다 마땅히 공양하기를 부처님의 탑묘(塔
廟)와 같이할 것이거늘 어찌 하물며 사람
이 있어 능히 다 받아지니며 읽고 외움이
랴. 수보리야,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은 가
장 높은 제일가는 희유한 법을 성취하리라.
만약 이 경전이 있는 곳이면 곧 부처님과
존중하신 제자가 계심이 되느니라.』
제 一 三분 법다이 받아지님
그때 수보리가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이 경을 마땅히 무어라 이
름하오며, 저희들이 어떻게 받들어 가지오
리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르셨다.
『이 경은 이름을 금강반야바라밀이라 하
나니 이명자로써 너희들은 마땅히 받들어
가질지니라. 무슨 까닭이랴. 수보리야, 여
래가 말한 반야바라밀이 곧 반야바라밀이
아니라 그 이름이 반야바라밀이니라. 수보
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설한바
법이 있느냐?』
수보리가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설하신 바가
없아옵니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삼천대천
세계에 있는 가는 먼지를 많다 하겠느냐?』
수보리가 말씀드렸다.
『심히 많사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이 모든 가는 먼지는 그 이름이 가는
먼지이며 여래가 설한 세계도 세계가 아니
라 그 이름이 세계니라.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삼십이상
으로써 여래를 보겠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삼십이상으로
여래를 볼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래께
서 말씀하신 삼십이상이옵니다.』
『수보리야, 모래수와 같은 목숨을 바쳐 보
시하더라도 만약 다시 어떤 사람이 이 경
가운데서 내지 사구게 만이라도 받아지니
며 다른 사람을 위하여 말해주면 그 복이
심히 많으니라.』
제一四 분 상을 여의어 적멸함
이때에 수보리는 이 경을 설하심을 듣고
깊이 그 뜻을 깨달아 눈물을 흘리고 슬피 울
면서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희유하오이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심히 경전을 설하심은 제가
옛적으로부터 내려오면서 얻은바 혜안(慧
眼)으로도 일찍이 이와 같은 경은 얻어 듣
지 못하였사옵니다.
세존이시여, 만약 다시 어떤 사람이 이
경을 얻어듣고 신심이 청정하면 곧 실상
(實相)이 나오리니 이 사람은 마땅히 제일
희유한 공덕을 성취함을 알겠사 옵니다. 세
존이시여 이 실상이라는 것은 곧 이것이 상
이 아니오니 이런고로 여래께서 실상이라
말씀하셨습니다. 세존이시여, 제가 지금
이와같은 경전을 얻어듣고 믿어 알고 받
아 지니기는 족히 어려울 것이 없사오나 만
약 오는 세상 후오백세에 어떤 중생이 이
경을 얻어듣고 믿어 알고 받아 지닌다면 그
사람은 곧 제일 희유함이 되겠사옵니다.
이유를 말씀드리오면 그 사람은 아상이
없사오며 인상도 없사오며 중생상도 없사
오며 수자상도 없는 까닭이옵니다. 왜냐하
오면 아상이 곧 상이 아니오며 인상과 중생
상과 수자상이 곧 상이 아니옵니다.
왜 그러냐 하오면 일체 모든 상을 여읨을
곧 모든 부처님이라 이름하기 때문입니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르셨다.
『옳다 그렇다. 만약 다시 어떤 사람이 있
어 이 경 말씀을 듣고 놀라지도 아니하고
겁내지도 아니하고 두려워하지도 아니하면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은 심히 희유함이 돼
느니라. 어찌한 까닭이랴? 수보리야, 여
래가 말한 제일 바라 밀이 곧 제일 바라 밀이
아니요. 그 이름이 제일 바라밀이니라.
수보리야, 인욕바라밀도 여래가 인욕(忍
辱)바라밀이 아님을 말함이니라.
어찌한 까닭이랴? 수보리야, 내가 옛적
에 가리 왕에게 몸을 베이고 끊김을 당하였
을 적에 내가 저 때문에 아상이 없었으며 인상
이 없었으며 중생상이 없었으며 수자상도
없었더니라. 왜냐하면 내가 옛적에 마디마
디 사지를 찢기고 끊길 그때에 만약 나에게
아상과 인상과 중생상과 수자상이 있었던
들 응당 성내고 원망하는 마음을 내었으리
라.
수보리야, 또 여래가 과거 오백세 동안
인욕선인이 되었을 대를 생각하니 저 세상
에서도 아상이 없었고 인상도 없었고 중생
상도 없었고 인상도 없었고 중생
상도 없었고 수자상도 없었느니라.
이 까닭에 수보리야, 보살은 응당 일체상
을 여의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발할지
니 마땅히 형상에 머물러 마음을 내지 말
며, 성. 향. 미. 촉. 법에 머물러 마음을
내지 말고 응당 머문바 없는 마음을 낼지니
라.』
만약 마음이 머뭄이 있으면 곧 머뭄 아님
이 되느니라.
이 까닭에 여래가 말하기를 「보살은 마
땅히 마음을 형상에 머물지 아니하고 보시
한다」 하느니라.
수보리야, 보살은 일체중생을 이익 하기
위하여 응당 이와 같이 보시하느니라.
여래가 말한 일체 모든 상은 곧 이것이
상이 아니며 또 말한 일체중생도 곧 중생이
아니니라.
수보리야, 여래는 진리의 말을 하는 자
며, 진실을 말하는 자며, 여여(如如)한 말
을 하는 자며, 거짓말을 하지 않는 자며,
다른 말을 하지 않는 자니라.
수보리야, 여래가 얻은 바 법인 이 법은
실다움도 없고 헛됨도 없느니라.
수보리야, 만약 보살이 마음을 법에 머물
러거 보시하면 마치 사람이 어둠에 들어감
에 곧 보이는 바가 없는 거와 같고, 만약 보
살이 마음을 법에 머물지 아니하고 보시하
면 사람이 눈이 있고 햇빛이 밝게 비침에
가지가지 색을 보는 거와 같으니라.
수보리야, 장차 오는 세상에서 만약 어떤
선남자 선여인이 있어서 능히 이 경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면 곧 여래가 불 지혜로써
이 사람을 다 알며 이 사람을 다 보나니 모
두가 헤아릴 수 없고, 가 없는 공덕을 성취
하게 되리라.』
제 一 五분 경을 지니는 공덕
『수보리야, 만약 어떤 선남자 선여인이
있어 아침에 항 하의 모래 수와 같은 몸으로
써 보시하고, 낮에 다시 항하의 모래수와
같은 몸으로 보시하며, 다시 저녁때에도
또한 항하의 모래수와 같은 몸으로 보시하
여 이와 같이 무량백천만억겁 동안을 몸으
로써 보시하더라도 만약 다시 어떤 사람이
있어 이 경전을 듣고 믿는 마음으로 거슬리
지 아니하고 그 복이 저보다 수승하리니 어
찌 하물며 이 경을 베끼고 받아지느냐며 읽고
외우며 남을 위하여 해설해 줌이랴,
수보리야 간추려 말할진대 이 경은 생각
할 수도 없고 측량할 수 없고 가 없는 공덕
이 있느니라.
여래는 대승(大乘)에 발심한 자를 위하
여 이 경을 설하며 최상승(最上乘)에 발심
한 자를 위하여 이 경을 설하느니라.
만약 어떤 사람이 능히 이 경을 받아지니
고 읽고 외우며 널리 사람들을 위하여 설명
한다면 여래는 이 사람을 모두 알며 이 사
람을 모두 보나니 이 사람은 헤아릴 수 없
고 일컬을 수 없고 끝날 수 없고 생각할 수
없는 공덕을 성취하게 되리라.
이와 같은 사람들은 곧 여래의 아뇩다라
삼먁삼보리를 짊어짐이 죄나니 어찌할까
닭이랴. 수보리야, 만약 작은 법을 즐기는
자라면 아견과 인견과 중생견과 수자견에
착하게 되므로 능히 이 경을 받아 듣고 읽
고 외우며 사람들을 위하여 해설하지 못하
느니라. 수보리야, 어떠한 곳이든 이 경이
있는 곳이면 일체 세간의 천상과 인간과 아
수라 등이 마땅히 공양하는 바가 되리니 마
땅히 알라. 그곳은 곧 탑이 됨이라. 모두가
응당 공경하고 절하며 에워싸고 가지가지
꽃과 향을 그곳에 뿌리게 되리라.』
제一六분 능히 업장을 깨끗이 함
『다시 또 수보리야, 선남자 선여인이 있
어 이 경을 받아 지니며 읽고 외우더라도
만일 사람들에게 업신여김이 되면 이 사람
은 선제죄업으로 마땅히 악도에 떨어질 것
이로되 금세 사람들이 업신여김으로써 곧
선세죄업이 소멸되고 마땅히 아뇩다라삼먁
삼보리를 얻게 되느니라.
수보리야, 내가 과거 무량아승지겁을 생
각하니 연등불을 뵈옵기 그 이전에도 八백
四』 천만 억이나 유타의 여러 부처님을 만나 모
두 다 공양하고 받들어 섬기어 헛되이 지냄
이 없었더니라. 만약 다시 또 어떤 사람이
있어 앞으로 오는 말세에 능히 이 경을 받
아지니고 읽고 외워서 얻을 바 공덕은 내가
저곳에서 모든 무처님께 공양한 공덕으로
는 백분의 一도 되지 못하며, 천만억분의
一도 되지 못하며 내지 숫자가 있는 대로
비교하고 비유할지라도 능히 미칠 바가 못
되리라.
수보리야, 만약 어떤 선남자 선여인이 앞
으로 오는 말세에 이 경을 받아지니고 일고
외워서 얻을 바 공덕을 내가 다 갖추어 말
한다면 혹 어떤 사람은 듣고 곧 마음이 산
란하여 의심하며 믿지 아니하리라.
수보리야, 마땅히 알아라. 이 경은 뜻도
가히 생각할 수 없고 그 과보도 또한 생각
할 수 없느니라.』
제一七분 마침내는 아(我)가 없음
그때에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선남자 선여인이 아뇩다라
삼먁삼보리심을 발하였사오니 어떻게 응당
머물며 어떻게 그 마음을 다스려야 하오니
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르셨다.
『만약 선남자 선여인이 아뇩다라삼먁삼
보리심을 발하였을진대 응당 이와 같은 마
음을 내어야 하느니라. 「내가 마땅히 일체
중생을 멸도하리라. 일체중생을 멸도 하여
마쳐서는 실로는 다시 한 중생도 멸도 된 중
생이 없다.」 하라.
수보리야, 왜냐하면 만약 보살이 아상과
인상과 중생상과 수자상이 있으면 곧 보살
이 아니니 그 까닭이 무엇이랴. 수보리야,
실로 법이 있지 않음이 아뇩다라삼먁삼보
리를 발함이 되느니라.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연등불 회상에서 법이 있어 아뇩다라삼먁
삼보리를 얻었겠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제가 부처님께
서 설하신 그 뜻을 아는 바로는 부처님이
연등불 회상에서 법이 있어 아뇩다라삼먁
삼보리를 얻으심이 아니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옳다 그렇다 수보리야, 실로 법이 있지
아니하여서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느니라. 수보리야, 만약 법이 있어 여
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을진대
연등불이 나에게 수기(授記)를 주시면서
「네가 내세에 마땅히 부처를 이루리니 호
를 서가모니라 하리라」 하시지 않았으련만
실로 법이 있지 아니함으로써 아뇩다라삼
먁삼보리를 얻었으므로 이런고로 연등불께
서 나에게 수기를 주시며 말씀하시기를,
「네가 내세에 마땅히 부처를 이루리니 호
를 서가모니라 하리라」 하셨느니라.
왜냐하면 여래라 함은 곧 모든 법이 여여
(如如) 하다는 뜻이니라.
만약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여래가 아
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 한다면 수보
리야, 실로 법이 있지 아니함으로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느니라. 수보리
야, 여래가 얻은바 아뇩다라삼먁삼보리 이
가운데는 실다움도 없고 헛됨도 없느니라,
그러므로 여래가 말하기를 「일체법이 다
이것이 불법이라」 말하느니라. 수보리야,
말한바 일체법이란 것도 곧 일체법이 아니
니 그러므로 일체법이라 이름하느니라.
수보리야, 비유컨대 사람의 몸이 장대
(張大) 함과 같으니라.』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말씀하신 사람의
몸이 크다고 하신 것은 곧 이것이 큰 몸이
아니옵고 그 이름이 큰 몸이옵니다.』
수보리야, 보살도 또한 이와 같나니 만약
말하기를 「내가 마땅히 무량 중생을 멸도
하리라」한다면 이는 곧 보살이라 이름할
수 없느니라. 어찌한 까닭이랴 수보리야,
실로 법을 두지 않음을 보살이라 이름하느
니라. 이런고로 여래가 말하기를 「일체법
이 아도 없고 인도 없고 중생도 없고 수자
도 없다」 하느니라.
수보리야, 만약 보살이 말하기를 「내가
마땅히 불국토를 장엄하리라」 한다면 이는
보살이라 할 수 없나니 왜냐하면 여래가 말
하는바 불국토 장엄은 이것이 장엄이 아니
요, 그 이름이 장엄이니라.
수보리야, 만약 보살이 아(我)와 법이 없
음을 통달한 자면 여래는 이 사람을 참된
보살마하살이라 말하느니라.』
제一八분 하나의 몸은 한 가지로 봄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육안(肉眼)이 있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육
안이 있습니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천안(天眼)이 있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는 천안이
있습니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혜안(慧眼)이 있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는 혜안이
있습니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법안(法眼)이 있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는 법안이
있습니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불안(佛眼)이 있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는 불안이
있습니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저 항
하 가운데 있는 모래를 여래가 말한 적이
있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그
모래를 말씀하셨습니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저 한
항하 가운데 있는바 모래 수만큼의
불 세계가 다시 있다면 얼마나 많다하겠느
냐?』
『심히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이 수보리에게 이르셨다.
『저 국토 가운데 있는바 중생의 가지가
지 마음을 여래가 다 아느니라. 어찌한 까
닭이냐? 여래가 말한바 모든 마음이 다
이것이 마음이 아니뇨, 그 이름이 마음인
까닭이니라.
이유가 무엇이냐? 수보리야, 지나간 마
음도 얻을 수 없으며 현재의 마음도 얻을
수 없으며 미래의 마음도 얻을 수 없느니
라.』
제一九분 법계를 통하여 교화하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만약
사람이 있어 삼천대천세계에 가득찬 칠보
를 가지고 보시에 쓴다면 그 사람이 이 인
연으로 얻는 복이 많다 하겠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그 사람은
이 인연으로 심히 많은 복을 얻겠습니다.』
『수보리야, 만약 복덕이 실다움이 있을
진대 여래가 복덕 얻음이 많다고 말하지 않
으련만 복덕이 없는고로 여래가 많은 복덕
을 얻는다고 말하느니라.』
제二0분 색(色)과 상(相)을 여의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를
가히 색신(色身)이 구족한 것으로써 볼 수
있겠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를 마땅히
색신이 구족한 것으로써 볼 수 없사옵니다.
왜냐 하오면 여래께서는 말씀하시는 색신이
구족하다 하심이 곧 구족한 색신이 아니옵
고 그 이름이 구족한 색신이옵니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를
가히 모든 상이 구족한 것으로써 보겠느
냐?』
『아니옵니다 센존이시여, 여래는 모든
상이 구족한 것으로써 볼 수 없사옵니다.
어찌한 까닭인가 하오면 여래께서 말씀하
신 모든 상의 구족함이 곧 구족이 아니옵고
그 이름이 상의 구족이옵니다.』
제二一분 설하되 설한 바 없다
『수보리야, 너는 여래가 생각하기를 「내
가 마땅히 설한 바 법이 있다」 한다고 이르
지 마라. 이런 말 하지 말지니 어찌한 까닭
이냐? 만약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여래
가설한 바 법이 있다」고 한다면 이는 곧 여
래를 비방함이 되나니 내가 설한 바를 알지
못한 연고니라. 수보리야, 법을 설한다는
것은 법이 없음을 가히 말하는 것이니 그
이름이 법을 설함이니라.』
그때에 혜명(慧命) 수보리가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자못 어떤 중생이 미래세
에 이 법을 설하심을 듣고 믿는 마음을 내
오리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야, 저가 중생이 아니며 중생 아
님도 아니니, 어찌한 까닭이냐? 수보리
야, 중생 중생이라 하는 것은 여래가 중생
아님을 말하는 것이니 그 이름이 중생이니
라.』
제二二분 법은 가히 얻을 것이 없음
수보리가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아뇩다라삼먁
삼보리를 얻으심은 얻은 바가 없음이 되옵
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옳다 그러니라 수보리야, 내가 아뇩다
사삼먁삼보리에 있어 내지 조그마한 법도
없음이 없으니 이를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
이름하느니라.』
제二三분 깨긋한 마음으로 선을 행함
『다시 또 수보리야, 이 법이 평등하여 높고
낮음이 없으니 그 이름이 아뇩다라삼먁
삼보리니라. 아도 없고 인도 없고 중생도
없고 수자도 없이 일체 선법(善法)을 닦으
면 곧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느니라.
수보리야, 말한바 선법이라고 하는 것은
여래가 곧 선법 아님을 말하는 것이니 그
이름이 선법이니라.』
제二四분 복과 지혜는 비교하지 못함
『수보리야, 만약 三천대천세계 가운데
있는바 모든 수미산 왕만 한 칠보 무더기를
가지고 어떤 사람이 보시에 쓰더라도 만약
또 사람이 있어 이 반야바라밀경이나 내지
四구게 등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며 다른
사람을 위하여 말해 주면 앞의 복덕으로는
백분의 一도 미치지 못하며 백천만억분의
一도 되지 못하며 내지 숫자가 있는 대로 비
교하고 비유할지라도 능히 미치지 못하느
니라.』
제二五분 교화하여도 교화함이 없음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너희들
은 여래가 이런 생각을 갖는다고 이르지 말
라. 「내가 마땅히 중생을 제도한다」고. 수
보리야, 이런 생각을 하지 말라 함은 어찌한
까닭이냐? 실로는 여래가 제도할 중생이
없나니 만약 중생이 있어 여래가 제도할진
댄 여래는 곧 아와 인과 중생과 수자가 있
음이니라.
수보리야, 여래가 아(我)가 있다고 말하
는 것은 곧 아가 있음이 아니거늘 범부인
사람들이 이를 아가 있다고 하느니라. 수보
리야, 범부라는 것도 여래는 곧 범부가 아
님을 말하는 것이니 그 이름이 범부니라.』
제二六분 법신(法身)은 상이 아님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가히
三十二상으로써 여래를 볼 수 있겠느냐?』
수보리가 말씀드렸다.
『그러하옵니다. 三十二상으로써 여래를』
보겠사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야, 만약 三十二상으로써 여래를
볼진대 전륜성왕(轉輪聖王)도 곧 여래이겠
구나.』
수보리가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제가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바 뜻을 이해하옴 같아서는 응당 三十二상
으로써 여래를 볼 수 없사옵니다.』
그때에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만약 형상으로 나를 보려거나
음성으로 나를 찾는다면
이사람은 사도(邪道)를 행함이라.
여래는 능히 보지 못하리라.』
제二七분 끝남도 멸함도 없음
『수보리야, 네가 만약 생각하기를 「여래
는 구족한 상을 쓰지 아니하는 연고로 아뇩
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 한다면 수보리
야, 이런 생각 하지 말지니라. 「여래는 구
족한 상을 쓰지 않는 연고로 아뇩다라삼먁
삼보리를 얻었다」고.
수보리야 네가 만약 생각하기를 「아뇩
다라삼먁삼보리심을 발한 자는 모든 법의
단멸(斷滅)을 말함이라」 한다면 이런 생각
하지 말지니 어찌한 까닭이냐? 아뇩다라
삼먁삼보리심을 발한 자는 법에 있어 단멸
상을 말하지 않느니라.』
제二八분 받지도 않고 탐내지도 않음
『수보리야, 만약 보살이 항하의 모래수
와 같은 세계에 가득 찬 칠보를 가지고 보시
에 썼더라도 만약 다시 사람이 있어 일체
법이 아(我)가 없음을 알아 인(忍)을 얻어
이루면 이 보살이 앞의 보살이 얻는 공덕 보
다 나으리라. 어찌한 까닭이랴? 수보리
야, 모든 보살이 복덕을 받지 않는 연고
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어찌하여 보살이 복덕을
받지 안 사 옵니까?』
『수보리야, 보살은 지은바 복덕을 응당
탐착하지 아니하나니 이 까닭에 복덕을 받
지 않는다고 말하느니라.』
제二九분 거동은 안전되고 고요함
『수보리야, 만약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여래가 혹 온다거나 혹 간다거나 혹 앉는
다거나 혹 눕는다」고 한다면 이 사람은 내
가 설한바 뜻을 알지 못함이니라. 어찌한
까닭이냐? 여래는 어디로조차 오는 바도
없으며 또한 가는 바도 없으므로 여래라 이
름하느니라.』
제三0 분 하나에 합한 이치의 모양
『수보리야, 만약 선남자 선연인이 있어
三천대천세계를 부수어 가는 먼지를 만들
었다 하면 네 생각에 어떠하냐 이 가는 먼
지가얼마나 많다 하겠느냐?』
『심히 많사옵니다. 세존이시여, 어찌한
까닭인가 하오면, 만약 이 가는 먼지가 실
로 있는 것일진대 부처님께서 곧 저 가는
먼지라 말씀하시지 않았으리다. 까닭이
무엇인가 하오면,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는
가는 먼지가 곧 가는 먼지가 아니오며 그
이름이 가는 먼지이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말씀하신바 三천
대천세계도 곧 세계가 아니옵고 그 이름이
세계이옵니다. 왜냐 하오면 만약 세계 가실
로 있는 것일진대 곧 이것은 하나로 뭉친
모양이오니 여래께서 말씀하시는 하나로
뭉친 모양도 곧 하나로 뭉친 모양이 이니옵
고 그 이름이 하나로 뭉친 모양이옵니다.』
『수보리야, 하나로 뭉친 모양이라 하는
것은 이것이 말할 수 없는 것이어늘 다만
범부인 사람들이 그것에 탐착하느니라.』
제三一분 지견(智見)을 내지 아니함
『수보리야, 만약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여래가 아견(我見)과 인견(人見)과 중생
견(衆生見)과 수자견(壽者見)을 말하였다」
하면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 사
람이 내가 말한 뜻을 아는 것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이 사람은 여
래의 설하신바 뜻을 알지 못함이옵니다.
어찌한 까닭인가 하오면 세존께서 말씀하
신 아견과 인견과 중생견과 수자견은 곧 아
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이 아니옵고 그 이름
이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이옵니다.』
『수보리야,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발
한자는 일체 법에 응당 이와 같이 알며 이
와 같이 보며 이와 같이 믿고 이해하여 법
상(法相)을 내지 말지니라. 수보리야, 말
한바 법상이란 것도 여래가 곧 법상이 아
니요 그 이름이 법상임을 말하느니라.』
제三二분 응화(應化)는 참이 아님
『수보리야, 만약 어떤 사람이 무량아승
지 세계에 가득찬 칠보를 가지고 보시에 썼
더라도 만약 보살심을 발한 선남자 선여인
이 있어 이 경을 지니며, 내지 四구게 등이
라도 받아지니고 읽고 외우며 다른 사람을
위하여 풀어 말하면 그 복이 저보다 나으리
라. 어떻게 사람을 위하여 풀어 말할까?
상(相)에 집착하지 않고 본래 모습 그대로
흔들리지 말지니라.
어찌한 까닭이랴? 일체 함이 있는 모든
법은 꿈이며, 환(幻)이며, 물거품이며, 그
림자 같으며, 이슬과 같고 또한 번개와도
같으니 응당 이와 같이 관(觀)할지니라.』
부처님께서 이 경을 설하여 마치시니 장
로 수보리와 모든 비구니와 우바새 우
바이와 일체 세간의 천상과 인간과 아수라
등이 부처님의 말씀 하심을 듣고 모두 크게
환희하여 믿고 받아 받들어 행하니라.
금강반야바라밀경 끝
금강반야바라밀경찬
어시아문 선남자 선녀인 수지독송
차경찬일권 여전금강경삼십만편 우득
신명가피 중성제휴 국건대력칠년 비
산현령 유씨여자연일십구세신상 지칠
일득견염라대왕 문왈일생이래 작하인
연 여자 답왈 일생이래 편지득금강경
우문왈 하불념금강경찬 여자답왈 연
세상무본 왕왈 방여환활 분명기취경
문 종여시아문 지신수봉행 도계오천
일백사십구자 육십구불 오십일세존팔
십오여래 삼십칠보살 일백삼십팔수보
리 이십륙선남자 선녀인 삼십팔 하이
고 삼십육 중생삼십일 어의운하 삼십
여시 이십구 아녹다라 삼먁삼보리 이
십일보시 십팔복덕 일십삼 항하사 십
이미진 칠개삼천대천세계 칠개삼십이
상 팔공덕 팔장엄 오바라밀 사수다원
사사다함 사아나함 사아라한 차시 사
과선여인여아석 위가리왕 할절신체 여
아왕석 절절지해시 약유아상 인상 중
생상 수자상 일일무아견 인견중생건
수자견 삼비구니 수내칠사구게.
마하반야바라밀
금강경 영험록
옛날 당(唐)나라에 강백달(强伯達)이라는 사람이 원화 九년
(八一四)에 방주라는 곳에서 악질 병을 만나서 오랫동안 고생
을 하다가 백달이 대풍창 병이 들어서 세상에서는 버린 사람으
로 인증을 하였다. 부모와 형제가 근심하고 약을 써도 약효도 없고
해서 생명은 살아있으나 육신은 부르터서 차마 볼 수 없으므로
부자지간에 수의하고 식량을 가지고 백달을 짊어지고 심심산곡
의 바위 속에다가 버렸습니다. 부자간에 가슴이 아프도록 눈물
을 흘리고 작별하였습니다. 백달은 몇 달을 지내는 동안 식량도
다 먹고 병고에 신음하는 중에 스님 한 분이 오셔서 하시는 말
씀에 네가 금강경 사구게를 외우면 이 병이 낫는다고 하기에 백
달이 그 스님의 가르침을 들은 후 입을 놀리지 않고 수일간을지
송하였더니 하루는 호랑이가 와서 잡아먹을 듯이 하기에 겁이
나서 눈을 감고 지성으로 금강경 사구게만 지송하였더니 호랑
이가 그 부르터 아픈 곳을 핥아주고 어름같이 찬 약을 부쳐 주
니 별안간에 아픈 고통이 없어지고 범은 가고 병은 차도가 있
었다.
또 그 이튿날 스님이 다시 와서는 산에서 풀 한 묶음을 갖다
주시고 저편에 물을 가리키면서 아픈 곳을 이 풀로 물에다가 씻
어내라 하기에 백달이 고마워서 목이 메도록 울면서 예배를
백배나 하니 스님께서 손수 등을 문질러 주고 씻어주니 풍병이
다 났었다. 완전히 낫은 후에 백달은 다시 집에 돌아와서 부모
형제를 상봉하고 병이 나은 말씀하였다. 병은 금 강경 사구
게를 외운 영험으로 이렇게 나았습니다. 하였다.
사구게 왈
『약이색견아 이음성구아 시인행사도 불능견여래』라
하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