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화역 4번 출구
딸애는 침대에서 자고
나는 바닥에서 잔다
그 애는 몸을 바꾸자고 하지만
내가 너를 어떻게 낳았는데…
그냥 고향 여름 밤나무 그늘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바닥이 편하다
그럴 때 나는 아직 대지(大地)의 소작(小作)이다
내 조상은 수백 년이나 소를 길렀는데
그 애는 재벌이 운영하는 대학에서
한국의 대 유럽 경제정책을 공부하거나
일하는 것보다는 부리는 걸 배운다
그 애는 집으로 돌아오지 않을 것 같다
내가 우는 저를 업고
별하늘 아래 불러준 노래나
내가 심은 아름드리 은행나무를 알겠는가
그래도 어떤 날은 서울에 눈이 온다고
문자메시지가 온다
그러면 그거 다 애비가 만들어 보낸 거니
그리 알라고 한다
모든 아버지는 촌스럽다
나는 그전에 서울 가면 인사동 여관에서 잤다
그러나 지금은 딸애의 원룸에 가 잔다
물론 거저는 아니다 자발적으로
아침에 숙박비 얼마를 낸다
그것은 나의 마지막 농사다
그리고 헤어지는 혜화역 4번 출구 앞에서
그 애는 나를 안아 준다 아빠 잘가
(-이상국)
<시(詩)를 읽어 보자!>
울컥거린다. 자식을 위해 인생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의식적으로 그런 것이 아니라 그냥 쏠리는 거다. 가치관으로 볼 때 자식의 공부 내용이 마음에 들지 않지만, 그게 뭐 대수랴. 애비는 그저 자식이 그리운 것을. 그 애와 나눈 흔적들이 깊이 새겨져 있는 것을. 무조건 주고만 싶은 것을. 이 글을 쓰면서 아들을 슬쩍 보았다. 아직 함께 있어서일까! 언젠가 이 시인의 마음을 알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