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양식: (해당과정, 단원, 페이지, 문제번호)
예: 내공수련 300페이지 전기화학 29번 질문입니다.~
1. 질문이 여러개인 경우 반드시 각 질문에 번호를 붙여주세요.
2. 문제의 그림이나 사진을 첨부하시면 답변을 빨리 받으실 수 있습니다.
3. 이렇게 풀면 왜 답이 안나오나요? 유형의 질문에는 답변드리지 않습니다.
1. 기본기 수련을 공부하다가...산화수 규칙에 관해서 헷갈려서 질문 게시판을 미리 질문하신 분들을 보며... 개념 정리를 했는데
혹시 오개념있으면 알려주세요!
#처음에는 산화수 규칙을 기준으로 원자 1개를 기준으로 산화수를 매긴다
#공명 구조가 나오면, (어떠한 구조를 그리냐에 따라 같은 원자라도 산화수가 다르다고 느낄 수 있음) 따라서 "산화수 규칙에 근거한 전하량"을 기준으로 따진다
-단, 동일한 분자내에서만 공명구조가 다를 때, 각 원소마다 형식전하는 다르지만, 산화수는 같은 원자이면 모두 같다(이때의 산화수가 바로 산화수 규칙 근거한 산화수!)
-산화수 규칙에 나와있지 않은 원자들은 전기음성도를 기준으로 따진다
-전이금속의 산화수는 제일 마지막에 매기고, 이온의 산화수는 이온의 전하량으로 따진다
#주족 원소의 경우 원자가 전자 수가 최대 산화수이다. 이 최대 산화수를 벗어나는 경우에만! 루이스 구조를 그린다
-전이금속과 리간드의 산화수 매기는 건 리간드 자체의 전하량으로 따질 것!
공유결합성으로 생각하여 루이스 구조를 매기면 헷갈릴 수가 있다
ex) Ni(co)4
첫댓글 맞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항상 일일이 확인받으실 필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