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악산 산행신청 안내
1. 산행지 : 모악산(전북 완주군)
2.산행일자 : 2024년 2월 3일 토요일
07시30분 부산역출발~감전지하철역 북부산세무서~남해고속도로
3.산행코스
도립미술관~대원사~수왕사~모악산 정상~천일암~천룡사~도립미술관
약10km 4시간
4.산행회비 : 인당 3만원
5.모악산
이 산은 저평한 호남평야에 우뚝 솟은 산이어서 예로부터 미륵신앙의 본거지가 되었다. 산의 이름도 ‘엄뫼’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를 한자로 표기하여 모악이 되었다. 서쪽 사면에 있는 금산사(金山寺)는 599년(법왕 1)에 창건된 것으로 신라 불교의 5교9산(五敎九山)의 하나이며, 여러 보물을 소장하고 있다.
금산사 미륵전(국보, 1962년 지정)은 겉보기에는 3층이나 실제로 통층(通層)으로 되어 있으며, 그 안의 미륵불상은 높이가 11.82m나 된다. 절 안에는 금산사 노주(보물, 1963년 지정)·금산사석련대(보물, 1963년 지정)·금산사 혜덕왕사탑비(보물, 1963년 지정)·금산사 오층석탑(보물, 1963년 지정)·금산사 금강계단(보물, 1963년 지정)·금산사 육각 다층석탑(보물, 1963년 지정)·금산사 당간지주(보물, 1963년 지정)·금산사 심원암 삼층석탑(보물, 1963년 지정)·금산사 대장전(보물, 1985년 지정)·금산사 석등(보물, 1985년 지정) 등의 귀중한 문화재가 있다.
그러나 1968년 보물로 지정된 대적광전은 28칸의 웅장한 목조건물이었는데, 1986년 12월 화재로 소실되었고, 그 안에 있던 비로자나불과 아미타불 불상도 소진되었다. 임진왜란 때는 처영(處英)이 금산사에서 승병 1,000인을 일으켜 왜병을 무찔렀던 장거(壯擧)도 있었다.
또한 옛 기록에는 모악산에 무려 80여 개소의 암자가 있었다고 하는데 현재는 심원암(深源庵)·청련암(靑蓮庵)·용천암(龍天庵)·부도전(浮屠殿)·대원사(大院寺)·귀신사(歸信寺) 등이 있고 미륵신앙의 기도처가 곳곳에 있다. 귀신사는 서쪽 사면의 금산면 청도리에 있는 것으로 676년(문무왕 16)의상(義湘)이 창건하였다고 하며, 이 절에는 김제 귀신사 대적광전(보물, 1985년 지정)·석탑(전라북도 유형문화재, 1974년 지정)·부도(전라북도 유형문화재, 1974년 지정) 등의 문화재가 있다.
미륵신앙이나 풍수지리설 등의 영향으로 여러 신흥종교의 집회소가 있다. 특히 금산면 청도리의 백운동은 모악산이 후천세계(後天世界)의 중심지라 믿어서, 1927년 이후 신도들이 집단 이주하였고 증산교(甑山敎)의 의식인 오대치성(五大致誠)으로 결속되어 종교취락을 이루었다.
1976년모악산도립공원 개발계획이 수립되어 숙박 시설과 토산품 가게의 집단화, 주변의 신흥 종교집단의 단속·철거 등이 이루어졌다. 봄철에는 금산사 입구의 벚꽃이 유명하다.
[네이버 지식백과] 모악산 [母岳山]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첫댓글 1번 신청
강평우, 최석규, 김욱근 2~4번 신청
김주현 선배님 5번 신청
전민자,이명숙 6,7번 신청합니다
김두영 선배님 신청 8번
김남수 선배님 부부 9.10번 신청
44기 서갑귀 부부 11.12번 신청
35기 김영식 선배님 13번 신청
35기 이성규선배님 부부
14.15번 신청
34기 임기옥 홍주덕 16,17번으로 신청합니다
박성제 부부 ★배병현부부★18★19★20★21★ 신청
박정섭
김경희
박영희
22.23.24번 신청
박봉찬.박경근 선배님 25.26번 신청
34기 정동선 선배님 27번 신청
배병현 선배님 지인 정상준님 28번 신청
35기 박태갑 선배님
29번 신청
서진옥.강봉길 선배님 30.31번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