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hibition |
포스터를 클릭하면 상세정보가 새 창으로 연결됩니다. 전시 진행 및 전시장 방문 가능 여부를 꼭 확인하세요! |
|
| | 티나 이코넨 그린란드 Greenland 2024-11-22 ~ 2024-12-21 | 공근혜갤러리 02.738.7776 | konggallery.com 핀란드 사진 작가 티나 이코넨 Tina Itkonen의 첫 한국 개인 전 《그린란드 Greenland》를 개최한다. 티나는 1995년부터 그린란드를 정기적으로 여행하며 북극 지방의 자연 풍경과 원주민 이누이트(Inuit)족의 생활모습을 사진에 담아왔다. |
| | 차영석 Jouissance 2024-11-08 ~ 2024-11-28 | 이화익갤러리 02.730.7818 | leehwaikgallery.com 차영석 작가는 2007년 한국예술종합학교 조형예술과 예술사를 마치고, 한국 예술종합학교 조형예술과 전문사를 졸업했다. 2009년 금호 영 아티스트로 선발되어 금호미술관에서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자신만의 독보적인 작품세계를 꾸준히 보여주고 있다. |
| | 박진흥 광기 光記 드리워지다 Archive of the Light: Cast 2024-11-06 ~ 2024-11-30 | 갤러리반디트라소 02.734.2312 | gallerybandi.com 박진흥 작가의 작품세계가 전환기에 접어든 시점에 개최하는 첫 번째 전시라는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다. 작가는 그 동안 ‘쉼’과 ‘명상’을 주제로 한 작품세계를 구축하며 자아를 대변하는 인체 심볼 이미지와 오브제들을 그려왔다. |
| | 김선 빙렬, 마음새-몸새-이음새 2024-11-05 ~ 2024-11-30 | 갤러리나우 02.725.2930 | gallery-now.com 백자 달항아리를 평면 캔버스 위에 담백하고 순수하게 재현한 김선 작가는 〈달항아리의 꿈〉을 소재로 옅은 회백색과 푸른 에너지를 머금은 영롱한 빛을 빙열 효과(섬세한 갈라짐) 속에서 극대화 시켜 왔다. 축적된 재료들의 혼합으로 자신만의 시스템을 만들고, 과학적인 재료학에 근거해 연구와 실천을 되새긴 결과다. |
| | 손의시간, GRAND WEAVER 2024-10-25 ~ 2024-12-01 | 한솥아트스페이스 02-2033-9642 | hansot_artspace 손의 시간과 사유, 노동이 담긴 작품들을 통해 전지구적 최대의 당면 과제인 “지속가능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다. 한 번 쓰고 버려진 것, 여러 기원을 지닌 재료들과 물건들을 저마다의 미학적 방식으로 재사용하는 작가 7인의 작품을 통해 예술에서의 지속가능성을 다양한 관점에서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기를 희망한다. |
| | 임순남 모두의 얼굴 Every Face 2024-10-15 ~ 2024-11-28 | (재) 박서보재단,ARTBASE 26SQM | parkseobofoundation.org 태어나며 부여된 얼굴에 곧 휘발되어 사라질 말과 표정이 흔적을 남기고, 생각이 얹히고, 세월이 쌓인다. 그렇게 얼굴은 개인의 고유한 형상으로 자리한다. 임순남은 이를 인물화처럼 대상을 재현하는 방식으로 그리지는 않는다. 대신 얼굴을 관찰한 이미지에 자신의 상상을 덧붙이는 작업을 한다. |
| | 선과 색의 시선 Perspective of Lines and Colors 2024-10-10 ~ 2024-11-27 | 필갤러리 02.795.0046 | fillgallery.com 현대사회의 현상에서 인간 관계, 인간의 내면, 등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다양한 관계들에 대한 기억을 김정한, 김지훈, 서웅주 세 작가들이 어떠한 예술적 시선으로써 바라보는지, 또한 어떤 시각적 조형언어를 사용하여 재구성하는지 보여주는 전시이다. |
| | 두 개의 숨 권영우·김창열 2024-08-27 ~ 2024-12-01 | 제주도립김창열미술관 064-710-4150 | kimtschang-yeul.jeju.go.kr 자연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기 위해 치열하게 고민했던 두 작가의 예술 여정을 조명한다. 권영우 김창열 작가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자연의 본질을 탐구한 예술적 여정을 따라가며, 작품 속에서 자연스럽게 드러난 철학적 성찰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