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자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추자면에 속한 군도. 면사무소 소재지는 대서리이다. 인구는 1,586명이다.
상추자도와 하추자도 2개 섬이 있으며, 두 섬 사이는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상추자도의 면적은 1.3 ㎢, 하추자도의 면적은 4.15 ㎢이며, 면사무소는 상추자도에, 관내 하나뿐인 중학교는 하추자도에 위치한다. 추자면 인구의 대부분이 이 두 섬에 거주한다.
부속 유인도서로 횡간도와 추포도가 있다. 두 섬의 거주민을 다 합쳐도 20명 남짓이며 가파른 지형 탓에 모노레일을 이용해 섬을 오르내린다. 인구 감소로 추포교습소는 1983년, 횡간분교는 1991년 폐교되어 추자초등학교로 통합되었다. 둘 중에서는 태양광 발전소가 있는 횡간도가 그나마 구색을 갖추었다. 추포도에는 현재 단 1가구만이 거주하며, 낚시꾼들을 대상으로 한 민박업으로 생계를 유지한다고 한다.
추자면 지역은 여러 섬들이 속해 있는데, 사수도도 추자면에 속해 있다.
제주항에서 직선거리로 약 50km 떨어져 있으며, 제주해협의 중간 지점에 있다. 상추자도·하추자도·추포도·횡간도의 유인도와 38개의 무인도를 관할한다. 1821년에 전라도 영암군에 귀속되었다는 기록 이전에는 정확하게 어디 소속이었는지 확인이 어렵지만, 1881년부터 1891년까지 제주목에 잠시 속해 있다가 다시 영암군 소속으로 복구되었으며, 1896년에 신설되는 완도군에 편입되었다. 실제로 완도와 추자도는 제주도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지만, 그래도 보길도처럼 완도군 남쪽에 속한 섬들과는 제주도보단 가까운 편이었다. 이후 1914년 군면 대폐합 때 제주도에 편입되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행정구역상으로는 제주특별자치도이지만 문화권은 제주도보다는 전라남도 쪽으로 분류된다. 방언 역시 제주도 방언이 아닌 서남 방언이 사용된다. 과거에는 생활권도 제주시보다는 오히려 목포시, 전주시와와 더 밀접한 편이었으나 요즘은 확실히 제주시와의 교류가 더 많아지는 추세. 제주도 본도와는 다른 특이한 매력을 느낄 수 있어 나날이 관광객들이 늘고 있고 바다낚시 명소로도 유명하다.
추자도에 사람이 최초로 거주한 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백제와 신라 시대에 탐라의 조공이 있었던 점에서 미루어 그 당시 제주도와 육지를 왕래하는 선박들이 추자도를 자주 경유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고려 시대에는 후풍도(候風島)로 불렸으며, 제주도와 전라도를를 잇는 뱃길의 중간 기착지 역할을 하였다. 1271년 삼별초의 난이 일어났을 때 삼별초를 토벌하려 제주로 가던 여몽연합군 병력이 폭풍우를 피해 추자도로 대피했다는 고려사 기록이 있다. 고려 말 목호의 난을 진압하기 위해 제주도로 향했던 최영도 풍랑을 피하기 위해 추자도에 잠시 기착하였고, 이 때 추자도 주민들에게 선진 어업기술을 전수해주었다. 주민들은 사당을 세워 최영 장군의 은덕을 기렸으며 그 사당은 현재까지도 남아있다 (제주도 기념물 제11호).
고려말에는 왜구의 침입이 극심하여 1350년 충정왕 때 추자도 주민들을 이주시켰으며 조선 시대에도 공도정책으로 주민들이 섬을 비워야 했고, 성종 시기인 1490년에 왜구들이 들어와 고기잡이와 해산물 채취를 했다는 기록이 있다. 다시 추자도에 주민들이 들어온 시기는 임진왜란 직후이다.
구한말에는 전라남도 영암군, 완구군 등에 귀속되어 있다가 1914년 조선총독부가 제주도(島)에 편입시켰다.
1932년에는 추자도 주민들이 일본인 어민들의 횡포에 저항한 사와다 그물망 사건이 일어났다.
1944년에서 1945년 시기에는 결7호 작전으로 인해 추자도에 갱도진지가 10개 정도 구축되었다.
8.15 광복 이후 제주도(道)가 신설될 때 추자도는 북제주군 소속이 된 이래 현재까지 쭉 제주특별자치도 소속이다. 그러나 거리상 제주도 본도보다는 전라남도에 더 가까운 편. 완도군 보길도와의 거리는 25 km 남짓. 다만 완도나 진도 본섬과의 거리는 약 50 km로 제주도와의 거리와 거의 비슷하다. 따라서 호남 문화권으로 분류되며 방언 역시 서남 방언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지형도 유일하게 제주 지역 중에서는 현무암 지형이 아니기도하다.
위의 사유로 추자도 출신 사람들은 행정구역 상으로는 제주특별자치도 출신이지만 타지역 사람들 앞에서 "제주 사람"이라고 밝히긴 애매한 부분이 있다. 왜냐하면 제주사람이라고 하면 보통 섬 이름 제주도(島)를 떠올려서, 추자도 출신인데 제주도와 관련하여 이것 저것 이야기할 게 뻔하기 때문. 그래서 '추자도'라고 하거나 '제주도 위쪽에 있는 추자도'라고 이야기할 수밖에 없다. 즉, 어느 지방에 있는 건지 정체성에 혼란이 온다. 인천광역시의 서해 5도(황해도 문화권)나 대만 진마지구(푸젠성 문화권)와 비슷하다.
추자도 주민들은 자녀 교육 등의 이유로 제주시 본토 또는 목포에 집을 한 채 더 갖고 있으면서 필요에 따라서 옮겨다니면서 사는 사람들이 흔하다. 과거에는 경제적으로 목포의 영향력이 더 강했지만 요즘에는 제주도 인구가 늘어나고 경제력이 커지면서 제주시로부터 물건을 들여온다든지 하는 경우도 많다. 조선시대에는 경제적으로 전주의 영향력이 더 강했었다.
산행코스 : (추자도항에서 버스이동) 돈대산입구 ~ 돈대산 ~ 추자교 ~ 추자도 등대 ~ 나바론하늘길 ~ 용둠벙 ~ 추자도 성당 ~ 추자항(8.3km, 3시간 30분)
합송 규암보건지소(02:50) ~ 부여군청(03:00) ~ 부여보건소(03:05) ~ 동부농협(03:10)
진도항(팽목항) 출발(08:00)→추자도항 도착(08:45), 추자도항 출발(17:35)→진도항 도착(18:20)
###선박 예약을 위한 신분증 지참 필수###
회 장 : 류인규 010-8842-1125
총 무 : 전남규 010-4202-0318
총 무 : 박영순 010-5320-3037
산대장: 유재길 010-8818-7300
산대장: 이흥주 010-8806-8233
산대장: 성휘경 010-2727-7980
회비 : 160,000원(왕복 배편, 아침&점심-추자도&저녁 포함) / 40명 기준 금액이며 신청자 저조 시 취소될 수 있음
입금통장 : 농협 351-1258-4091-73 전남규(부여솔내음 산악회)
준비된 산행은 모두를 안전하게 합니다.
산행중에 발생하는 사고는 각자 본인의 책임이니, 안전 사고에 주의합시다.
준비물 : 도시락, 식수, 여벌옷, 양말, 자켓, 아이젠, 스페츠, 렌턴, 우의, 보온의류 등
- 산행 중 일어나는 안전사고와 개인의 질병으로 일어나는 사고는 본인 책임입니다.
이 점 유의하시고 안전하고 즐거운 산행하시기 바랍니다.
- 부여 솔내음산악회는 비영리단체이므로 어떠한 안전사고에 대해서도 민,형사상 책임을
지지 않으며 그 의무도 없음을 알려드리며 산행 신청함과 동시에 위 내용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 특히 비회원을 동행하거나,대리신청할시 위 사항을 반드시 숙지시켜주시기 바라며
위 내용에 동의 하신분만 산행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기상악화를 대비하여 우비와 방한복을 준비합시다. 준비된 산행이 여러분들을 안전하게 합니다.
* 산행시간을 지킵시다. 자신과 회원 상호 간 약속이며 예의입니다.
지인 1명 신청요
36)회장님 지인 한분.
김영양.김동식
박순희.이차남 .유경화 신청합니다
37~41)김영양님,김동식님,박순희님,이차남님,유경화님 환영합니다.
함께해요
42)발레리노 함께합니다.
신청합니다.
43)방랑자님.
신청합니다
44)성휘경 산대장님 함께합니다.
토끼처럼 지인 신청합니다
45)토끼처럼 지인한분.
우리 버스가 45인승이라 45번 이후는 대기순번으로 갑니다.
이동주 대리 신청 합니다
대기1)이동주님.
오케이 대기합니다.
대기2)오케이님.
신현미님 대기 신청요
대기3)신현미님.
박영순
닉몌임 미성 갑니당.
대기4)박영순 총무님.
한희라님 신청합니다.
대기5)한희라님.
신청
대기6)아지스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