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한국 이정우 기자] 탈세·횡령 등의 의혹으로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이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 잘못된 것이 있다면 바로잡아야 하지만 긍정적인 부분도 간과해서는 안된다는 것이 건설업계 일각의 지적이다.
1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부영그룹은 임대주택사업을 개척해 무주택 서민의 ‘주거 사다리’ 역할을 해오며 국가 경제에 이바지하는 등 긍정적인 측면이 두드러진다는 것이다.
실제 정권이 바뀔 때마다 빠짐없이 등장하는 주거정책이 임대주택 보급이다. 국토교통부의 2016년 주택업무편람에 따르면 우리나라 장기 공공임대주택 재고율은 5.9%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 8%에 못 미친다.
1990년대 초만 해도 부영그룹을 아는 사람보다 모르는 사람이 훨씬 더 많았다. 당시 부영그룹의 시공능력 평가 순위가 70~80위권에 불과해 재계에서 거의 주목을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부영그룹은 부침과 위기 때마다 이를 극복하고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으면서 서민의 주거 안정을 위한 ‘사다리’ 역할을 묵묵히 해냈다. 부영그룹은 결국 1990년대 후반들어 국민주택기금 지원을 통해 급성장의 계기를 거머쥐게 된다.
1990년대 당시 해마다 3000~1만5000여 가구의 임대주택이 공급됐다. 그런데 다른 기업들에게 심각한 타격을 주었던 1997년 외환위기는 되레 부영그룹에 호재로 다가왔다. 건설업계의 줄도산으로 신축 아파트 물량 부족은 전세난 해소를 위한 정부 시책으로 이어졌다. 임대주택 공급 수를 오히려 늘리는 기회가 온 것이다.
당시만 해도 임대 아파트는 저소득층의 주거지라는 편견으로 대기업 건설사들이 임대주택건설사업을 기피했다. 지금은 대기업들이 공공임대사업에 발을 들여놓고 있지만, 당시 민간업체들은 공공임대사업에 대해 사업성이 낮다며 꺼려왔던 게 사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부영그룹은 민간기업으로 임대주택 사업에 적극 진출해 큰 역할을 해냈다는 것이 회사측의 설명이다. 아울러 외환위기 때 어려웠던 건설업이 다시 일어날 수 있도록 국가경제의 밑거름이 되는 한 축의 역할을 한 것도 바로 부영그룹이라는 것이 업계의 관측이다.
부영그룹은 서민 주거안정을 위한 임대주택사업뿐 아니라 장학금, 교육지원, 군부대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공헌활동을 펼치며 기업 이윤을 사회에 환원하는 사회책임경영도 실천하고 있다.
부영그룹은 지금까지 사회공헌 활동에 총 5600억원을 쏟아부었으며 2014년 ‘국내 500대 기업 중 매출액 대비 기부금 비중이 가장 높은 기업’ 1위에 오르기도 했다.
하지만 부영그룹을 바라보는 세간의 시선이 마냥 고운 것은 아니다.
부영그룹은 임대주택 사업을 추진하면서 임대주택법(현 민간임대특별법)에 따라 연 금리가 2~3%의 주택도시기금을 공공임대주택자금대출이라는 명목으로 지원 받아왔다. 또 최근 경기도 화성동탄2지구 부영아파트에서 9만여건의 하자가 발생했다며 이중근 회장이 검찰에 고발당하기도 했기 때문이다.
어느 기업이나 공(功)과 과(過)의 양면성이 있으며, 이는 부영그룹도 마찬가지다.
부영그룹 역시 부정적 이미지가 없지는 않지만 공공임대주택 사업을 개척해 주택산업의 한 축을 세우고 사회공헌활동으로 기업 이윤을 사회에 환원한 공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이중근 회장이 구속될 경우, 그룹에 최악의 위기가 올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만약 이 회장이 구속된다면 우선 임대주택사업이 크게 축소되고 위축될 것"이라며 "아울러 그룹이 위기에 빠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