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고
보물 소개
문화재 안내
보물 소개
유형 문화재 중에서 역사적, 학술적, 예술적, 기술적 가치가 큰 것을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정부가 지정한 문화재
보물 12점
문화재 소개
국보 소개
보물 소개
지방유형 문화재 소개
사천왕석등
| Stone Lamp of the Four Heavenly Kings
보물 제15호, 신라 성덕왕 19년(720년)경 제작된 사천왕석등은 우리나라 석등의 정형이라고 할 수 있는 8각주의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 높이 3.9m에 이르는 이 석등은 지대석, 하대, 중대(간주), 상받침대, 상대(화사석), 옥개석으로 구성되어 있고, 가장 중요한 상대의 각 면에 사천왕상이 새겨져 있어 사천왕석등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마애여래의상
| Rock-carved Seated Buddha
보물 제 216호, 마애여래의상은 사리각 옆 추래암(墜來岩) 암벽에 조각되어 있는 불상으로서 둥근 얼굴과 감은 듯이 뜬 눈, 그리고 두툼한 입술, 반듯한 어깨, 유난히 잘록한 허리 등 비사실적 추상성을 띠고 있습니다. 의자가 된 연봉은 연꽃잎이 불상 주위를 둘러싸고 있으며, 발아래 지면에는 절반만 조각된 연화문상석이 놓여 있습니다.
*전체 높이 6.18m, 연화대좌석 높이 2.84m, 평면 연화석 폭 2.27m
대웅보전
| Daeungbojeon Hall
보물 제915호, 얕은 기단 위에 서 있는 중층인 이 건물은 신라 진흥왕 14년(553년) 의신조사가 창건하고, 인조 2년(1624년)에 벽암대사가 중창한 것으로 총 120간, 건평 170평, 높이 약 20m에 이르는 대규모의 건축물입니다. 내부에는 앉은키가 5.5m, 허리둘레 3.9m에 이르는 국내 소조불 좌상으로 가장 크다고 알려진 3신불(三身佛)이 안치되어 있습니다. 중앙에 봉안한 불상은 진실로 영원한 것을 밝힌다는 진여의 몸인 법신 비로자나불상 이고, 법신불을 중심으로 좌측에 안치한 불상은 과거의 오랜 수행에 의한 과보로 나타날 보신의 노사나불(노사나불)상이며, 우측은 중생을 제도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화신으로 나투신 석가모니불상입니다.
대웅전에 모셔진 부처님은 실내 안존불로서는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불상입니다. 세 분 부처님을 좀 더 쉽게 설명하면, 우리 사람에게는 정신 즉 마음이 있고, 공부를 하면 지식이 있게 되는 즉 덕이 있고, 사람마다 제각기 육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람이면 누구나 다 이 셋을 포용하고 있습니다. 법당의 가운데 부처님은 마음을, 왼쪽 부처님은 덕을, 그리고 오른쪽 부처님은 육신을 뜻한 것입니다. 이렇듯 부처님은 원래 한 분이지만 우리 중생들이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세 몸(三身)으로 모셔 놓은 것입니다.
원통보전
| Wontongbojeon Hall
보물 제916호로 지정되어 있는 원통보전은 법주사 창건 당시 의신조사(義信組師)에 의해 지어진 건물로서 776년에 진표율사(眞表律師)가 중창하고, 임진왜란 떼 소실된 것을 1624년 벽암대사(碧巖大師)가 다시금 복원하였습니다. 전각 내부에는 앉은키 2.8m, 허리둘레 1.9m의 거대한 목조의 관음보살좌상(보물 제1361호)이 자비가 넘치는 상호로 봉안되어 있습니다. 원통보전은 정방형(正方形)의 특이한 건축양식으로서 조선 중기의 미묘하고도 화려한 건축미를 보여주고 있고, 주심포계(柱心包系)의 단층 건물로 사모지붕에 절병통으로 조성된 특유의 형식을 지니고 있습니다.
괘불탱화
| Hanging Painting
보물 제1259호, 조선 영조 42년(1766년)에 제작된 길이 14.24m, 폭 6.79에 이르는 초대형 탱화입니다. 큰 화폭에 오색구름과 더불어 꽃무늬가 화려하게 수놓아져 전체 미륵불의 모습을 장엄하고 있습니다. 미륵불은 원형의 광배(光背)와 몸의 신광(身光)을 갖추고 있으며, 손에는 용화수 가지를 들고 있는 모습입니다. 야단법석(야회법회)때 설치합니다. 금어(金魚:탱화를 그리는 스님)주훈스님 등 14명의 스님들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희견보살상
| Stone Standing Bodhisattva
신라 33대 성덕왕 19년 (720년)경에 조성된 입상으로 향로를 머리에 이고 있으며, 향로 용기의 면에는 연화문이 조각되어 있고, 보살상은 앞가슴 부분의 법의가 벌어져 있고, 힘이 들어간 듯한 근육이 조각 자체를 강하게 느껴지게 합니다. 구원겁토록 부처님께 향불을 공양하고 있는 희견보살의 모습을 조성해 놓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높이 약 2m, 붉은 화강석 재료의 조각상입니다. 보물 제1417호
철확
| Iron Pot
신라 성덕왕 때 주조되었다고 전해오며 높이 1.2m, 직경 2.87m, 두께 10.8cm의 거대한 이 쇠솥은 신도 3만 명이 먹을 장국을 끓이던 솥이라고 하기도 하며, 임진왜란 당시 승병들이 이 솥을 이용하여 배식하였다고도 전해오고 있습니다.
*보물 제1413호
신법천문도병풍
| Folding Screen of Sinbeop cheonmundo (Celestial Charts)
보물 제848호, 관상감의 안국빈(安國賓) 등 6명이 북경천문대 대장이었던 선교사 대진현(戴進賢, Kogler, I.)의 성표(星表:기산점 1723년)를 사용, 한양에서는 볼 수 없는 남쪽 하늘의 별까지 포함하여 제작한 신법천문도가 그려져 있다. 1곡을 한 폭으로 보면 높이 183. 5㎝, 너비 56㎝로 8폭 전체의 길이가 451㎝나 되는 대형이다.
제1폭에는 신법천문도설(新法天文圖說)이라는 제자(題字) 옆에 당시의 천문학적 지식을 510자로 설명하고, 그 왼쪽에 해와 달, 그리고 천리경(千里鏡:지금의 망원경)으로 본 5개의 행성의 모양을 위에서부터 토성·목성·화성·금성·수성의 순서로 크기와 색깔을 달리하여 그렸다. 제2·3·4폭을 합한 세 폭에 지름이 각각 165㎝, 162.7㎝, 161㎝ 되는 대·중·소의 원이 삼중으로 그려져 있는데, 가운데 원과 안쪽 원에는 조(條)와 간(間)이 각각 180개로 되어 있어서 모든 방위를 360등분하고 있다. 따라서 조와 간 사이는 1°에 해당된다.
제5·6·7폭의 세 폭은 위의 제2·3·4폭과 같은 양식으로 만들어졌는데, 여기에서는 황도의 남극을 중심으로 남쪽 하늘의 별들을 수록하고 있다. 여기에도 적도가 그려져 있으나, 북쪽 하늘과는 달리 대원의 하단에서 위로 23.5° 되는 점과 대원의 좌우 양끝을 연결하는 반원으로 적도를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 대원의 좌우 양끝은 북쪽 하늘과는 반대로 왼쪽 끝이 춘분점, 오른쪽 끝이 추분점이 된다. 제8폭에는 이 천문도 제작에 참여한 6명의 관상감 관원들의 직위와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법주사대웅전소조삼불좌상
| Clay Seated Vairocana Buddha Triad
2003년 2월 3일 보물 제1360호로 지정되었다. 불상 크기는 비로자나불 509㎝, 노사나불 492㎝, 석가모니불 471㎝이다. 점토로 만들어졌으며, 본존불인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왼쪽에 노사나불, 오른쪽에 석가모니불을 배치한 삼존불상으로 보존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1626년(인조 4)에 조성되었고, 1747년(영조 23)에 불상에 다시 금칠을 하였다.
비로자나불상은 네모진 얼굴에 기다란 귀, 건장하면서 굴곡이 없는 몸체와 무릎 때문에 둔중해 보인다. 머리에는 중앙계주와 정상계주가 있고 수인(手印)은 지권인(智拳印)을 취하고 있다. 법의(法衣)는 양어깨를 모두 덮은 통견(通肩)으로 대의 자락이 팔목에서 대칭되게 흘러내리고 있다. 노사나불상은 형태가 본존불과 거의 비슷하며, 수인은 왼손과 오른손이 뒤바뀐 하품중생인(下品中生印)을 취하고 있다. 머리에는 큼직한 중앙계주가 있다. 석가모니불상은 비로자나불상·노사나불상과 체형, 얼굴모습 등이 거의 같고 양식은 비슷하다. 수인은 석가여래불의 전형적인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으로, 무릎 위에 올린 오른손의 손끝이 땅을 향하고 있다. 한편 노사나불상과 석가여래불상은 수인이나 불상의 성격이 서로 다른 데도 불구하고 법의 착용법이 같다. 전체적으로 장대한 체구에 비하여 얼굴은 동안(童顔)이며 옷주름을 두텁게 표현하였다.
목조관음보살좌상
| Wooden Se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2003년 2월 3일 보물 제1361호로 지정되었다. 불상의 크기는 높이 235cm, 너비 147cm이다. 1655년(효종 6)에 조성된 이 관음보살좌상은 법주사 원통보전(보물 916)에 주존불로 봉안되어 있다.
연화좌 위에 결가부좌로 앉아 있는 이 불상은 머리에는 중앙에 화불을 모신 다음 화염보주로 호화롭게 꾸민 보관을 쓰고 있다. 배 부분에도 복갑(腹甲) 같은 둥근 꽃장식 판을 두르고 있어서 전반적으로 장식성이 두드러진다. 불단 양옆에는 남해용왕과 남순동자(南巡童子)의 조각상을 배치하였다. 더구나 조선 말기에 그린 관음탱이 후불탱으로 걸려 있어 더욱 두드러져 보인다. 네모난 얼굴에 두 눈을 아래로 내려뜨고 있어 인상이 근엄해 보인다. 수인(手印)은 오른손은 가슴선까지 올리고 왼손은 배 높이에 둔 채 엄지와 중지를 맞댄 하품중생인(下品中生印)을 취하고 있는데, 마치 실제 인물의 손을 대하듯 곡선적이고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생동감이 넘쳐난다. 두 손은 다른 보살상처럼 가냘프다기보다는 크고 굵은 손가락들의 움직임이 크다. 양쪽 어깨를 덮은 천의(天衣) 자락은 신체의 곡선을 따라 자연스럽게 흘러내려 부피감 있는 곡선미가 드러난다.
복천암수암화상탑
| Stupa of Buddhist Monk Suam at Bokcheonam Hermitage
조선 전기의 고승 혜각존자(慧覺尊者) 신미(信眉 ; 1405년경~1480년)의 부도로 1480년(성종 11)에 조성되었다. 신미는 성종 때 영의정에 추층된 훈(訓)의 장자로, 이름을 수성(守省)이라 했고 수암(秀庵)이라 불렸다. 그의 둘째 동생이 김수온(金守溫 ; 1410~1481)이므로 1405년 무렵 태어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는 성균관에 입학했다가 출가하였으며, 세종28년(1446년) 무렵 세종과 조우하여 여러 대군의 총애를 받았다. 당시 유생들의 거센 반대를 무릅쓰고 판선교종직(判善敎宗職)을 제수받았으며 국가적인 행사인 수륙제를 관할하였다. 문종대에 선교양종을 통솔하는 위치에 올랐으며, 세조대에는 불경간경사업을 주도하며 세조의 존경을 받고 그의 두 제자 학열(學悅)과 학조(學祖)와 더불어 삼화상으로 불렸다. 그의 부도는 제자인 학조의 부도와 함께 속리산 복천암에 봉안되어 있으며, 2004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에서 보물 제1416호로 지정되었다.
복천암학조등곡화상탑
| Stupa of Buddhist Monk Hakjo at Bokcheonam Hermitage
연산군 때의 고승인 학조대사 등곡(燈谷 ; 1432~1514)의 부도로서 1514년(중종 9)에 조성되었는데, 등곡의 스승인 신미대사(信眉大師)의 부도 뒤편에 있다. 학조화상은 1464년(세조 10) 속리산 복천암에서 왕을 모시고 스승 신미와 함께 대법회를 열었고, 1467년(세조 13) 금강산 유점사를 중창하고 봉선사에 주석한 후 김천 직지사에 머물면서 1488년(성종 19) 인수대비의 명으로 해인사를 중수하고 진관사, 대자사, 낙산사를 중수하였다. 1500년(연산군 6)에는 왕비 신씨의 명으로 해인사 고려대장경 3부를 인행하여 발문을 짓는 등 조선전기에 활동한 고승이다. 1514년(중종 9) 그의 부도가 속리산 복천암과 함께 김천 직지사에 세워졌다. 2004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3호에서 보물 제1418호로 승격되었다.
법주사 법회차량 확인
불교신문
속리산 국립공원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템플스테이 닷컴
대한불교조계종 출가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405(사내리 209)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본사
법주사 대표전화 043)543-3615(8655), 원주실 043)543-4755, 팩스043)543-3620
로고
Copyright (c) beopjusa.org All rights reserved.
개인정보 취급 방침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
/introduce/heritage/treasure-introdu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