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 개장 준비로 분주
○ 한·중 교류의 새로운 중심이 될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Incheon International Ferry Terminal, 연수구 송도동 300-1)이 2016년 12월 첫 삽을 뜬지 3년 6개월만인 오는 15일 화물기능의 우선 개장을 앞두고 있다.
○ 국제여객부두와 터미널이 개장하게 되면 1883년 인천항 개항 이후 항만에서의 단일 건축물로는 가장 큰 규모의 시설이 된다.
○ 인천항만공사(www.icpa.or.kr, 사장 최준욱)는 부두시설물 최종 점검 및 카페리 선박 접안 테스트를 비롯해 CIQ*, 선사 등 상주기관들의 입주가 속속 마무리되는 등 개장준비가 순조롭게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 (CIQ) 사람이나 화물의 입출국에 필요한 통관, 입국심사, 검역절차를 담당하는 기관의 약자 / 세관(Customs), 출입국(Immigration), 검역(Quarantine)
○ 새로운 부두와 터미널이 개장하게 되면 연태, 대련, 석도, 단동, 영구, 진황도(6개 항로, 기존 제1국제여객터미널), 위해, 청도, 천진, 연운항(4개 항로, 기존 제2국제여객터미널) 등 중국 10개 도시와 인천항을 잇는 카페리선박이 지속적으로 입출항할 예정이다.
○ 15일 개장하는 카페리 부두 및 국제여객터미널은 5만톤급 선석을 포함해 총 7개의 선석*에 기존 부두보다 카페리선박의 화물 양하역이 최대한 용이하도록 RORO선***, LOLO선**** 전용부두를 각각 개설하였고, 건물 규모는 지상 5층 연면적 약 6만 5,660㎡로, 기존 제1·2국제여객터미널**을 합친 것보다 1.8배 넓어졌다.
* (선석수) 카페리 5만톤급 1선석, 3만톤급 6개 선석
** (연면적) 제1국제여객터미널 25,588 ㎡, 제2국제여객터미널 11,257㎡
*** RORO(Roll on/Roll off) 화물을 실은 차량을 그대로 싣고 부두와 선체를 연결하는 가교를 통해 선내로 들어가는 방식
**** LOLO(Lift on/ Lift off) 선박 또는 안 벽에 장치한 크레인으로 들어서 컨테이너를 배에 싣는 방법
○ 터미널 건물은 오대양의 파도를 형상화한 다섯 개의 곡선형 지붕으로 웅장한 멋을 더했으며, 교통약자들의 불편함이 없도록 장애물 없는 실내환경을 조성했다. 또한, 지열을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을 도입하여 에너지효율을 높인 것도 특징이다.
○ 기존 제1국제여객터미널(연안항)과 제2국제여객터미널(내항)로 분리된 여객부두 및 터미널은 이원화의 불편함이 있었으나, 하나의 여객부두와 터미널로 일원화하여 신설 건축 개장하게되어 효율성이 증대될 전망이다.
○ 또한, 기존 내항을 이용해 제2국제여객터미널에서 출발하던 4개 항로(위해, 청도, 천진, 연운항)는 갑문을 통과할 필요가 없어져 입·출항 시간이 각각 1시간 가량씩 단축된다.
○ 특히, 국제여객부두는 화물처리 효율성이 대폭 증대된다. 기존 하역사별 산재되어 운영되던 CY(컨테이너야드)를 On-Dock* 내에서 모두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컨테이너 화물 양적하의 효율성과 생산성 증대가 예상된다.
* (기존) 하역사별 Off-Dock CY, 보세장치장 → (변경) On-Dock CY, 통합장치장
* (On-DOCK CY) 부두 울타리 내부 컨테이너 장치장으로써 컨테이너 부두 바깥쪽에 별도로 떨어져있는 Off-DOCK CY와 비교하여 물류비 절감 및 효율성 증대
○ 부두에 인접한 On-Dock에는 20피트 컨테이너를 최대 7,490개(냉장·냉동컨테이너 288개 포함, 컨테이너 환산단위로는 7,490TEU)를 한 번에 쌓아놓을 수 있으며, 이를 일렬로 세울 경우 약 45km* 정도 된다.
* 20ft(6.09m) x 7,490개 = 45,614m / 서울 ↔ 수원 거리 약 40km
○ 기존 제1·2국제여객부두에서 ‘19년도에 처리한 카페리 물동량은 428,402TEU이며 향후 연간 69만TEU까지 처리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카페리 선박을 활용한 전자상거래 물동량 유치 등 인천항 물동량 증대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 인천항 카페리 물동량(TEU) : (‘17) 442,351 → (‘18) 437,845 → (‘19) 428,402
○ 다만, 코로나19 확산으로 지난 1월 28일부터 국제여객 운송은 전면 중단된 상태이지만 카페리 선박을 통한 컨테이너 화물은 지속적으로 운반되어 ‘20년 5월말까지 14.5만TEU를 처리했다.
○ 인천항만공사 이정행 운영부문 부사장은 “코로나19로부터 국민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국제여객 운송을 잠시 중단하고 있다”면서, “당분간은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의 또 다른 기능인 카페리 화물 물동량 확대에 매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 이를 반영하듯, 올해 카페리 물동량의 한 축을 담당하는 Sea&Air(육·해상 복합운송) 물동량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Sea&Air 물동량은 최근 전자상거래 급증과 중국 항공운임 상승을 기회 삼아 5월 누계실적이 전년동기(11,301톤) 대비 108.9% 증가한 2만 3,606톤을 기록 중이다.
* (Sea&Air) 해상운송과 항공운송을 혼합한 운송방식으로 해상운송의 저렴성과 항공운송의 신속성의 장점을 조합한 운송방식
○ 더 나아가, 한-중간 카페리&항공을 활용한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해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연계하여 ’컨테이너‘가 필요없는 복합일관운송(RFS)이 도입되게 되면 트럭-선박 간 하역절차 없이 신속하게 운송하여 소량다품종 상품운송이 유리해 앞으로 국제여객터미널을 중심으로 한 Sea&Air 화물처리는 더욱 더 증대될 전망이다.
○ 올해 5월까지의 카페리 물동량도 14.5만TEU를 기록하며, 코로나19 상황임에도 작년 같은 시기의 16.5만TEU와 근소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 한편, 개장일인 15일 국제여객부두 및 터미널에 처음 입항하는 선박은 위동항운의 뉴골든브릿지7(New Golden Bridge Ⅶ_NGB Ⅶ)이다.
○ NGB Ⅶ은 인천항과 ’위해‘(중국)를 오가며, 승객 724명 화물 325TEU를 한 번에 실어나를 수 있다. 총톤수는 30,322톤으로 인천항을 이용하는 카페리선들 중 세 번째로 큰 덩치를 자랑한다.
○ 해당 선박은 15일 오전 9시 국제여객터미널에 첫 입항한 뒤 오전 10시 입항 환영을 할 예정이며, 행사는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하여 최대한 간소하게 실시한다.
○ 인천항만공사 이정행 운영부문 부사장은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은 코로나19로 화물처리 기능을 우선 개장하지만, 코로나가 극복되고 국제여객운송이 재개될 경우를 대비해 여객 개장준비에도 더욱 신경 쓸 것”이라면서, “새로운 터미널을 명실상부 한·중 교류의 중심기지로 육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말했다.
출처: 인천항만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