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직원교육사업 『장애인복지론』 공부 안내
1. 공부 책: 장애인복지론/이선우 이수경
2. 참가: 이상화, 김장호, 도은주, 신아름; 4명
3. 날짜: 8월 11일(월), 8월 18일(월), 8월 25일(월)/ 3층 공부방
4. 방법: 한 단원 씩 미리 공부하고 공부한 내용 공유
2025년 8월 11일 월요일
1. 장애의 정의와 모델
2. 장애범주와 장애유형별 특성
3. 장애인구와 실태
4. 장애인복지의 역사
2025년 8월 18일 월요일
5. 장애와 사회복지실천이론
6. 장애와 차별
7. 장애인소득보장제도
8. 장애인고용정책
2025년 8월 27일 수요일
9. 보건복지서비스정책
10. 장애인활동지원제도
11. 주거
12. 편의시설과 이동권
13. 장애인복지의 전망과 과제
첫댓글 장애인 복지론을 공부했다. 외국나라및 우리나라의 장애인복지의 역사, 사회복지 실천이론,장애인 소득보장제도및 고용정책,보건복지서비스정책, 장애인활동지원제도 등 대학에서 사회복지학을 처음 접하는 신입생이 된 듯했다. 월평빌라에서 새활재활교사로 근무하기에 장애인복지론책이 수월하게 다가온 부분도 있었다. 우리나라도 장애인 복지제도가 잘 발달되어있는 국가처럼 장애범주가 포괄적이고 광범위하게 적용되길 바란다.
예전에는 장애인들이 어떻게 살았을까? 살기 어려웠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 영화에서 보았던 스파르타 시대에는 신체 기형인 영아는 가족의 재산과 관계없이 죽였고 그것이 법으로 의무화 되었다는 게 놀라웠다. 과거의 농촌에서는 마을 공동체의 일원으로 받아들여졌는데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장애인들은 시설로 분리되기 시작한 것 같다. 과거에 대중교통을 주로 이용하는 시대에는 장애인들이 교통을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현대에 들어서면서 자가용을 이용하면서 활동 범위가 넓어진 것 같다. 여러 교통 가운데 선박이 장애인이 이용하기에 제일 어려움이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