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말 모음
가
가랭이(다리사이) 가리 (가루) 가매(가마) 가새(가위) 가세(가장자리에) 가시네(처녀) 가실하다 (가을걷이하다)
가심(가슴) 가직한(가까운) 가찹다 (가깝다) 각다분하다(일감 정리모양) 각단지다 (정리가잘되었다))
간나구(간사스런사람) 간뎅이붓다(겁이없다) 간짓대(장대) 감재(고구마) 강단지다(일잘한다) 강생이(강아지)
개개(가십시오) 개댁이(고양이) 개떡(밥위얹어만든빵) 개리다 (가리다) 개볍다(가볍다) 갤치다 (가르치다)
갱물(강물) 갱신 (몸을 가누는 일) 거러지(거지) 거렁뱅이(거지) 거이 (- 것이) 거짓깔(거짓말) 건드렁(거나하다)
꼬랑내(고릿내) 건사하니(근사하게) 겅개(반찬) 고리탑탑(너무옛스럽다) 고상( 고생) 고쟁이(여자속바지)
곡간(곡식창고) 골마리 (허리춤) 공구리다 (단단히 다지다) 공연시( 공연히) 과실(과일) 괴기(고기) 괴비 (호주머니)
굉기하다 (신기하다) 구댕이(웅덩이) 구더리(구더기) 구리구리하다(퀴퀴하다) 구석(귀퉁이) 구시(먹이그릇)
구신(귀신) 구진것(나쁜 것) 군지(그네) 궁근다(뒹굴다) 궁댕이(궁둥이) 귀도볽다(잘 듣는다) 귀뚝(굴뚝)
귀싸댕이(뺨을치다) 귀영치(귀퉁이) 귓구녕(귓구멍) 그란디(그런데) 그람시로(그렇게 해놓고) 그러코롬(그렇게)
근다고(그런다고) 근천시럽다 (옹색하다) 글먼(그러면) 금메(글쎄) 긍께(그러니까) 기경 (구경) 길초에다(길목에다)
까금(뒷산) 까마구(가마귀) 까시락(가스랭이) 까죽(가죽) 까지(가지) 깍데기(깍두기) 깐닥깐닥(천천히움직이다)
깔그막(언덕) 깨구락지(개구리) 깨벗고(발가벟고) 깽매기(꽹과리) 깽이(괭이) 꺼머튀튀하다(거머수름하다)
꺼생이(지렁이) 꺼정 ( -까지) 꺽정(걱정) 꼬꼬비(세밀히) 꼬라지(보기싫은모습,성질) 꼬랑지(꼬리) 꼬랑창(물있는고랑)
꼬방(광) 꼬치(고추) 꼭감(곳감) 꼰대기(번데기) 꼴랑지(꼬리) 꼴창(골짜기)
끄시렁구(배 멜때 새총가지 같이 생긴 큰 나무가지위에다 돌맹이 놓고 쓰던 물건)
나
나락(벼) 나래지어(빨리지어) 나무새(나물) 나사지다(나아지다) 나찹게(낮게) 낙낙허게(넉넉히) 난닝구(런닝셔츠)
남치기(나머지) 낭구(나무) 냅두시오(그냥두시요) 냅둬야(그냥두어라) 냉갈(연기) 냉게놓다(남겨놓다)
넉나갔다(혼났다) 널(관) 넘(남) 넙턱지(넙적다리) 넝출(넝쿨) 노두(징검다리) 노름쟁이(투전꾼) 논꼬랑(논구렁)
논수밭(텃밭) 놉(날일꾼) 눈깔(눈동자) 눈탱이(눈껍질부위) 느거메(너희어머니) 느러지다(여기저기널려있는모양) 느자구(버릇) 니야카(리어커)
다
다구지다(똑똑하다) 단도리하다(준비하다) 달갈(달걀) 달게다(달래다) 달머리(달무리) 달브다(다르다)
담바꿀(다름박질) 담박질(달리기) 당각(성냥) 당글게(재를 긁어 내는 기구) 당아(아직) 대그빡 (머리) 대꼬(데리고)
대빡(머리) 대아지(돼지) 대야지개기(돼지고기) 대통(대나무통) 댐배(담배) 댕기다(다니다) 댕기다(당기다) 더수기(어깨)
더터갖고(더듬어가지고) 덕석(멍석) 뎁대(오히려) 도구대(절구공이) 도구통(절구) 도라고(달라고) 도롱태(굴렁쇠)
도리방석(둥근방석) 도장밥(인주) 도채비(도깨비) 도치(도끼) 돈산다(팔아돈만들다) 동내안암팍(동리남자아녀자들)
동냥치(거지) 돼다(힘들다) 돼야지(돼지) 되나케나(아무렇게나) 되작되작(뒤집어서) 두루박(두레박) 딛꼬(데리고)
딜이다(들이다) 따대기지마(여러말하지마) 따순밥(따뜻한밥) 땀세(때문에) 때깔(모양) 때알(딸기) 땍가우(거위)
땔사크다(매우크다) 땡개불다(던저버리다) 떼꼽자구(때) 떼작떼작(누덕누덕) 또가리(또아리) 또랑(도랑)
뚜드러(두들겨서) 뛰다(맞붙다) 뜽금웂다(느닷없다) 띠놓다(떼어놓다)
라....찾아 주세요
마
마느레(마누라) 막보기(마지막인양) 말기다(못하게하다) 말래(마루) 매누리(며느리) 매롭다(마렵다) 매물(매밀)
맨맛하다(만만하다) 맨사댕이(옷않입은몸) 맬갑시(이유없이) 맴( 마음) 맷둥(묘) 맹년(명년) 맹키로 (-처럼) 머땀세(뭐떼문에)
머스마(총각) 멋이야!(뭐!) 멍치다(더럽히다) 메댕이(큰 나무뭉치) 멤생이(염소) 명념하다(명심하다)
명지베(명주베) 모가지(목) 모냥(모양) 모다(모두다) 모랭이 (모퉁이) 모르다 (마르다) 모지락시럽다 (모질다)
모지래다(모자라다) 모트다(모으다) 목간(목욕) 목심(목숨) 몬차도(만져도) 몰라서(말려서) 몰랑하다(만만하다)
몰쌍하다(만만하다) 몽댕이(몽둥이) 몽리(고집) 무너나다(물러나다) 무담시(공연히) 무서짐스로(무서워지면서)
무시(무우) 무신(무슨) 묵근다(묶다) 묵사지(복사지) 문대다(문지르다) 문지(빈대떡) 물동우(물동이) 물팍(무릎)
뭐땀새(뭐떼문에) 뭔수(무슨수) 미영(목화) 밉직하다(밉살스럽다)
바
바가치(바가지) 바끄럭(밥그릇) 반돈박(중간) 발그잡잡(벌건얼굴) 발꾸락(발가락) 발싸심하다(어쩔줄모르다)
밥택이(밥알) 방애깐(방앗간) 배때(배 짤때 사이사이 넣는 조각) 배때지(배) 배락(벼락) 배람박(바람벽) 버짐(버즘) 번덕지(너른공간)
번연히(뻔히) 벌로듣다(귀기울여듣지않다) 보고자프면(보고싶으면) 보담은(보다는) 보둠다(껴안다) 보새기(작은그릇)
보선(버선) 보초웂다 (버릇없다) 보트다(마르다) 복깨트(호주머니) 복성(복숭아) 본께로(보니까) 볼충하다(벌충하다)
볼태기(뺨) 봅다(밟다) 부삽(아궁이) 부지땅(부지깽이) 부지땅(불때는막대기) 북감자(감자) 불퉁스럽다(퉁명스럽다) 붕알(불알)
비게(베게) 비내(비녀) 비땅(부엌에서 불을 지필때 쓰던 물건) 비문히(어련히) 비여다(베어다) 비우짱이웂다 (비위가없다)
빙신(병신) 빠굼살이(손꼽놀이) 빤뿌리(담배피는도구) 빼다지(서랍) 빼따구(뼉다귀) 뻐굼(거품) 뻐친다(힘들다)
뽀사지다(부셔지다) 뽀짝(바짝) 뽄(본보기) 뽈강짜서(힘주어짜서) 뽐부(펌프) 뿌랑구(뿌리) 뿌사리(황소)
삐대다(느릿느릿 움직이다) 삐비(잔듸싹) 삥아리(병아리)
사
사둔(사돈) 삭신(몸) 산두(밭벼) 살강(그릇시렁) 상나무(향나무) 상추(상치) 새꺼(새참) 새끄데기(새로운)
새내끼(새끼) 새다리(사닥다리) 새북 (새벽) 새살(잔소리) 새와젓(새우젓) 색우(석유) 생뚱하다(엉뚱하다)
생애(상여) 생이(상여) 서끈다(섞는다) 서답(빨래) 서숙(조) 석끌(서까레) 선상님(선생님) 성님(형님) 성문(정갱이)
소락데기(소리) 소시랑(쇠스랑, 삼지창 같이 생긴 농기구) 소양(소용) 소지(청소) 소항치(송아지) 속아지(속마음) 속케(솜)
손구락(손가락) 손지(손자) 솔(부추) 솔차니(상당히) 솔찬하다(대단하다) 송쿠(소나무껍질) 송쿠리(바구니) 쇄양치(송아지)
수꾸락(숫가락) 숭(흠) 지럭지(길이) 숭구고(심고) 숭내(흉내) 시다(헤아리다) 시상(세상) 시암(샘) 시한(겨울) 시청하다(간섭하다)
실가리(시래기) 실꾸리(실꾸러미) 심파허다(힘 빠지다) 심들다(힘들다) 싸게싸게(빨리빨리) 싸납다(사나웁다)
싸목싸목(천천히) 쌍놈(상놈) 쌔(혀) 쏘내기(소나기) 쓰겄다 (좋다,-해야겠다) 쓰봉(바지) 씨부렁(중얼중얼)
씨압시(시아버지) 씨엄시(시어머니) 씨연헌거(시원하구나) 씨잘대없이(쓸데없이) 씰게(쓸개)
아
아부지(아버지) 아제(아저씨) 아짐(아주머니) 아짐씨(아주머니높임말) 아짐챤하게(미안하게) 아칙 (아침(밥)
암디서나(아무데나) 암말도(아무말도) 암사타나다(아무렇지않다) 암시랑(아무렇지) 앗따(그러지말고)
앙거(앉어) 앙즌자리(앉은자리) 앵간하다(어지간하다) 야그(이야기) 야물게(단단하게) 야찹다((낮다)
양발(양말) 양석(양식) 양신(많이) 어디관데(어디길레) 어룽진다(얼룩진다) 어처크름 (어떻게) 얼렁얼렁(빨리빨리)
얼릉(빨리) 엇지까이(어떻게할까) 에롭다 (어렵다) 에맨 (애매한) 에진간하다(어지간하다) 여러서(부끄러워서)
여시(여우) 역부러(일부러) 연연히(매년) 염빙하네(맘에들지않네) 엿장시(엿장수) 영축웂이(영락없이)
영판조타(아주좋다) 옇고서(넣고서) 예펜네(부인) 오가리(옹기) 오돌게(뽕나무 열매) 오랑께(오너라)
오매우짜까(어쩌면 좋을까) 오매존거 (매우좋다) 오메(어머니) 오셔(오십시오) 오신도신(오손도손)
오지개서(오죽하면) 오지다 (너무좋다) 옥찌시(옥수수) 올란지도(올려는지) 올시한(올 겨울) 옹댕이(짚으로만든그릇)
와따(와!) 왔삭(오싹) 외막(원두막) 요망한(행실이바르지못한) 용개질(용두질) 우멍한(음흉한) 우새시럽다(창피하다)
욱에(위에) 울어매(우리어머니) 웃통(상체) 워매매(어머머) 워쩌크름(어떻게) 이녁(자기) 이따가(나중에)
이므렁께(잘아는사이니까) 임제(임자) 입다실거(입노름할 것)
자
자근아부지(작은아버지) 자세한다(비싸게군다) 자슥(자식) 자우라지다(기울어지다) 자울다(졸다) 잔생이도 ( 조금도)
잣대받대하다(거만스럽다) 똥장군(분뇨운반통) 장깡(장독대) 장꼬방(장독대) 장시(장사) 쟁긴(잠긴) 저범(젓가락)
전디다(견디다) 젓통(유방) 정개(부엌) 정내미(정의 다른말) 정심(점심) 정제(부엌) 젙에(곁에) 조단조단(조목조목)
조랭이(고기잡는망) 조사먹다(쪼아먹다) 졸갱이질(모진 괴로움) 좃다(뾰족한것으로찍어내다) 종그다 (벼르다)
종당에넌(결국에는) 종우때기(종이조각) 주댕이(입) 주렁(지팡이) 줌시로(주면서) 즈그집(그사람집) 지 (김치)
지발(제발) 지부가(제비가) 지스락(추녀) 지심(잡초) 지안 (지난) 지와(기와) 지집(계집) 진직(진작) 질(길)
질로(제일로) 질쌈(길쌈) 짐치(김치) 징상스럽게(무척) 징허다 (징그럽다) 짚새기(짚신) 짜구(자귀)
짜납다(아까웁다) 짜자나다(부끄럼이많다) 짝두(작두) 짬맨다(묶는다) 째깐하다(작다) 째다 (도망가다)
쨈미다 (잡아묶다) 쩌그 (저기) 쪼간(조금) 쪼까먹은(조금먹은) 쪼깐한(조그마한) 쪼깨(조금) 쪼빡(바가지)
쬐금(조금) 찌갱이(찌꺼기) 찌끄래기(지스래기) 찌새붕께(찌르니까) 찌시(수수) 찡기다 (끼이다)
차
차댕이(자루) 창아리(창자) 초꼬지불(호롱불) 초집(초가집) 촐래소리(피리소리) 춤볼라(침발라) 치깐(변소)
치매(치마) 코(올가미) 콩노물(콩나물) 크내기(아가씨) 탁백이집(막걸리파는집) 탁했다 (닮았다) 태옥(종아리)
택아지(턱) 퇴겡이(토끼) 툭시발(옹기그릇) 퉁(얼) 맞다(면박을 당하다)
카.....찾아주세요
타
터럭(털)
파
팍팍(힘들다) 패대기치다(던져버리다) 포도시(겨우) 포리(파리) 포리똥(주근깨) 폴깨를(팔뚝을) 폴새(벌써)
폿(팥) 폿(팥) 푸대(포대) 푸정가리(나물) 푸지다(푸짐하다) 푹하다(포근하다) 피창(순대) 핑갓다와(빨리갔다와)
하
하대끼( -하듯이) 하라부지(할아버지) 하먼이라(그렇지요) 학독(양념가는그릇) 한나(하나) 한당께(-할예정입니다)
한질(큰길) 할랑가(할려는지) 함마니(할머니) 함뽕(한입에) 핫바지(한복바지) 합수(분뇨) 항께 (하니까)
해찰 (딴청) 핵교(학교) 행투(행동거지) 허새비(허수아비) 허천병(무조건먹는병) 허친(뿌려진) 헹수님(형수님)
호랑(호주머니) 호랭이(호랑이) 호로자식(후래아들) 호맹이(호미) 홀태질(홀태수확) 화리(화로) 환장허겄네(미치겠네)
흠치없이(험없이) 히놀놀하다( 핼쓱하다) -갑네( -가 보네) 능갑다(-는가 보다) -능겨(-는가) -당마요.(단 말이요)
-ㄹ상불르다(-ㄹ성싶다) -해싸다(-해대다)
첫댓글 완전히 국보급 전라도 사투리 집대성했네요*^^*
맘에드요야..ㅎㅎ
고생 하셨네요 반복해서 계속 읽어볼께요
눈 앞퍼 카페 회원 다 탈퇴 시킬려나 오소리 잡네
꺽정이가 걱정이네요 ..ㅎㅎㅎㅎㅎ공부 너무 마니 했네 ...고맙습네다
아따~있긴 있소야~ㅋㅋㅎㅎ~근디 우리딸이 없소야~
가랭이가 우리 말이요 다리사이가 우리말이요 난가랭이인디... 좌우간 겁나게 욕바부러오
징하게 욕봤소 ! 너무 재미있어서 읽다가 웃고 읽다가 웃고...어린시절 골목에서 아련히 들리던 이야기에 섞인 따뜻한 사투리들입니다.
담아갑니다 감사
배때(베짤때 사이사이 넣는 대나무 조각), 끄시렁구(베멜때 새총가지같이 생긴 큰 나무가지 우게다 돌맹이 놓고 쓰던 물건) 소시랑(쇠스랑, 삼지창 같이 생긴 농기구, 보리갈때 밭에서 나라시할 때 쓰던 ..), 송쿠리, 옹뎅이, 메댕이(나무큰망치), 더수기(어깨), 당글게(불고무래), 비땅....
첨가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곳에 우리말 사전이 있었군요... "겁나게 욕바부러소" ㅎㅎ / 담아 갑니다.
너무나 유식해진 느낌입니다 글쓰는데 도움 많이 되겠어요
너무 웃었더니 눈물이 다 날 것 같네요. 혹시 여기 소설 쓰시는 분이 오시면 남도 사투리의 보물창고라고 하겠네요.
장군(분뇨 운만통)은 표준말입니다. 흔히 똥을 담아 밭에다 버리는 똥장군을 생각 하지만, 도자기로 만들어 술이나 물을 담는 장군도 있습니다.
똥장군으로 바꾸었습니다 ㅎㅎ
합바지(한복바지)는 핫바지가 맞고 겨울에 바지에 솜을 넣은 것을 말 합니다. 저고리에 솜을 넣으면 핫저고리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한복바지라고 다 핫바지는 아님니다. 물론 이 말은 표준말이구요.
핫바지로 수정했습니다
치깐(변소)는 한자어 측간(厠間)에서 변한 말이 겠지요. 측간 ㅡ>칙간 ㅡ> 치깐
곡간(곡식 창고) 穀間도 표준어 지요. 관련된 말로 창고를 지키는 하인을 고직이라고 했다더군요.
뻐치다는없는것 같네요 ㅎㅎㅎ 우리언니나 어머니 힘들시면 아이고 뻐치다 하십니다요 ㅎㅎㅎ
겁나게 정겨운 우리 말 들으면 듣을수록 우리말이 정나요~~~ ㅋㅋㅋㅋ 맞자랴?? ~~~~
(표준말과 . 사투리) 전남 해남쪽에서 많이 사용하는것 같네요.) 본인도 동창 친구들 만나면 사투리을 사용 하는데 좋은 정보 감쇠.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