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LG UHDTV가 국내에서는 다소 고가이긴 하지만, 그래도 아쉬운 대로 TV마니아들에겐 구입해볼만한 가격정도는 된것 같습니다. 그래서인지 최근 많은 분들이 삼성-LG UHDTV를 구입하시지만, 막상 구입하고 나면, UHD영상은 정말 구경하기가 힘든 게 사실입니다.
그리고 현재 UHD AV의 최대 숙원이었던 HDMI 2.0지원이 이제는 어느 정도 해소가 되어 가고 있지만, 문제는 지금부터가 아닐까 합니다. 즉, HDMI 2.0지원이 된다고 출시가 되는 제품들이, 호환성 검증이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특히 UHD AV기기들이 아직은 다소 부담스런 가격이어서, 혼자서 모든 UHD AV기기를 구입하여, Test해보기엔, 더욱 부담스러운 게 사실입니다. 그렇다고 관련한 내용들에 대한 검증이 인터넷 상에 올려진 내용도 거의 없어 답답하기만 합니다.
그래서 현재 카페 우수회원 5~6명과 함께 UHDTV는 물론, UHD AV관련 기기들을 나누어서 구입하여, Test를 해보고 있습니다. Test를 하는 목적은 검증과 호환성, 활용성을 찾아보기 위해서입니다.
▶UHDTV관련 UHD AV기기 Tes내용 1.삼성-LG UHDTV 화질/기능 검증→HDMI 2.0지원 여부 확인 및 호환성 여부. UHD화질 부분 집중 확인.
2.국내 UHD방송 화질 검증→케이블TV(UMAX), KT스카이라이프(위성), IPTV(VOD)→30fps Vs 60fps Vs 질감(4:2:0 Vs 4:2::2)
3.지상파/케이블TV UHD방송 녹화/재생→녹화는 문제가 없으나, HEVC(H.265)디코더가 없어 재생에 문제→HEVC(H.265)디코더 내장 재생기를 찾고 있는 중.
4.일본 BS/CS 위성 4K 세톱박스 수신/녹화/재생 →일본 4K UHD방송 국내 수신 여부와, 위성 4K 세톱박스로 HEVC(H.265)/4K@60fps로 녹환된 국내 UHD방송 파일 재생 여부 확인
5.4K UHD미디어 재생기→HEVC/4K@60fps 파일 재생기 현재 H.264 4K UHD소스는 PC나 재생기가 있어서, 재생엔 문제가 없지만, 문제는 HEVC(H.265)/4K@60fps로 녹화한 파일을 마땅히 재생할 재생기가 없어, 이에 대한 재생기를 최우선 과제로 찾고 있음.
6.HDMI 2.0지원 AV리시버 앰프 호환성 확인→HDMI 2.0지원 사운드바 까지 포함해서 알아보고 있음. 기존 AV리시버 앰프나 HDMI 셀렉터 등이 HDMI 2.0(4K@60Hz) 지원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UHDTV를 원활하게 사용하시려면, 6월부터 새로이 출시되는 AV리시버 앰프나 HDMI 셀렉터 등에 대한 호환 검증이 있어야 할 것으로 보임.
7.HDMI 2.0지원 HDMI케이블 Test 현재 HDMI 2.0(4K@60Hz)으로 세팅 사용 시, HDMI 케이블 품질이 좋지 않을 경우, 3~5m정도의 단거리 에서도 노이즈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특히 10m이상에서는 심하게 노이즈가 발생하여, 이 부분에 대한 집중적인 검증도 진행 중. 물론 3040x2160@30Hz(HDMI 1.4) 연동에는 문제가 없어, 많은 분들이 기존 HDMI 케이블이 4K 구현에 문제가 없다고 하지만, 현재까지 확인된 바로는 HDMI케이블이 HDMI 2.0(4K@60Hz) 구현엔 상당한 특성을 타는 것으로 확인이 되고 있음.
8.HDMI 2.0기능에 대한 확인 현재 HDMI 2.0지원 AV기기들이 속속 나오고 있지만, HDMI 2.0지원이라해도, 일부 기능만 지원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 이 부분에 대한 검증과 호환성 작업이 따라주어야 한다고 봅니다. 즉, HDMI 2.0에서 32채널의 오디오와 1536kHz의 오디오를 지원하는 제품은 아예 없고, 또한 컬러비트(8/10/12bit)나 색 색 샘플링(4:2:0/4:2:2/4:4:4)도 제한적으로 지원이 되어, 여러 확인이 필요한 실정.
9.LCD(LED) TV는 4K UHD영상의 프레임(60/120fps)과 질감(10/12bit, 4:2:2/4:4:4)을 제대로 구현 할 수 있는가? 현재까지 확인된 바로는 LCD(LED)가 4K@60fps을 구현하는 데는 다소의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있어, 패널 응답속도가 빠른 4K OLED TV가 최적이라는 지적도 있어, 앞으로 4K OLED TV가 출시가 되면, LCD(LED)형 UHDTV와 4K OLED TV를 객관적으로 화질(색감/부드러움/명암비/시야각) 비교를 통한 신중한 검증도 필요한 상황.
☞UHD방송 발전 방향
10.회원님들과 UHDTV과련 정보 교환을 환영합니다. UHD영상은 이제 시작이기 때문에, 앞으로 해소해야할 과제들이 많고, 또한 호환성 검증도 더 뒤따라져야 합니다. 특히 새로운 기술이기에, TV제조사와 재생기 같은 부분이 상호 호환이 안 될 때, 제조사들은 자신들 문제가 아니라며 발뺌하기 일쑤이기 때문에, 회원들 간 정보 공유가 필수입니다.
특히 지금과 같은 상황에선, 카페 일부 우수회원 5~6분의 Teat만으로는 UHD AV관련 호환성 Test를 모두 할 없기 때문에, 회원님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었으면 합니다. UHDTV관련한 그 어떤 내용도 좋으니, 제품을 사용하시다가 문제가 있거나, 좋았던 점등을 카페 게시판을 통해 올려 주셔도 되고, 게시판에 글을 올리기가 부담스러우시면, 운영자 메일(daumlgb@hanmail.net)이나 쪽지로 연락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첫댓글 정말 수고가 많습니다. 회원으로서 함께 동참하지 못해 죄송할 따름입니다. 운영자님은 현재 UHD영상을 어떻게 즐기고 계시는지요?
저는 현재 외산 저가형 70인치 UHDTV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다만, 작년에 세이키 39인치 UHDTV를 구입하였다가 올 3월에 삼성 28인치 UHD모니터를 구입하면서, 세이키 UHDTV는 처분을 하였습니다. 그런데, 외산 저가형 제품이 출시가 계속 지연이 되어, 더 이상 기다리기가 모해서, 최근에 케이블 UHD방송의 UHD화질(4K@60fps)을 확인해 보고, 삼성-LG UHDTV의 기능과 화질, HDMI 2.0지원을 확인해 보기 위해, 얼마 전 LG 49인치 UHDTV(UB8500)를 샘플로 구입을 하였습니다. LG제품을 구입한 이유는 제가 현재 거주하는 지역이 티브로이드 서비스 지역이라, LG UHDTV만 케이블 UHD방송을 시청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부득이 LG 49인치 UHDTV를 구입하여 사용 중인데, 현재 UHD영상 소스는 PC(미디어서버)로 H.264로 제작된 100여편의 4K UHD소스를 감상중이며, 특히 4K 3D(상하방식)소스는 정말 좋습니다. 그리고 또 다른 재생기는 H.264지원 4K UHD미디어 플레이어94K@30Hz)가 있는데, 이놈이 색감도 좋고, 부드럽게 재생이 되어, 60Mbps정도로 제작된 4K UHD영상도 잘 재생이 됩니다. 다만, 현재 제가 사용 중인 AV리시버가 1080p까지만 지원이 되어, HDMI분배기랑 함께 교체를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참고로 LG 49인치 UHDTV(UB8500)는 4096X2160@25Hz까지 지원이 됩니다. 또한 4K 해상도에서, 3D블루레이를 재생하면, 3D영상을 Full HD로 감상이 가능합니다.
@이군배 죄송한데, UHD소스 조금만이라도 구할 수 없을까요?
@전수현 쪽지 드렸습니다.
@이군배 죄송한데 저도 UHD소스 구할 수 있을까요?ㅠ
@이종민[UHD] 이거 본문 글과는 다른 쪽으로... ㅋㅋ. 님의 전화번호를적어서, 저에게 메일이나 쪽지를 주세요.
@이군배 마지막 줄에 '4096X2160@25Hz'는 오타인가요?
@현은수 아닙니다. 저도 좀 이상하긴 한데, PC랑 연동시 4096x2160@25Hz까지 잡히는데, 화면비가 맞지 않는데도, 꽉채워서 잡히네요. 그리고 더 이상한건 HDMI모드를 3840x2160@30Hz로 잡고, TMT6으로 영화를 보고 나오면, 화면 해상도를 자꾸 최적의 해상도인 4096x2160@25Hz로 잡으라고 나오네요. 이 부분에 대한 연구가 좀 더 있어야 할것 같습니다.
@이군배 답변 고맙습니다. 일본 BS/CS 위성 4K 세톱박스 수신/녹화/재생의 경우 경기도 지역에서도 확인이 되는지 궁금하네요. 일본어 방송이긴 하지만 컨텐츠 확보에 큰 역할을 할 것 같아서 기대하고 있습니다.
@현은수 저도 이번 일본 UHD방송을 많이 기대하고 있는데, 6월 26일 샤프에서 세톱박스가 나오면, 곧바로 들여와서 시험 Test를 하려고 합니다. 현재 일본에 계신 지인을 통해, 예약 신청을 해놓고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모든 정보 공유는, 국내 방송 시청 문제가 아니기에 주로 프리미엄회원 방 게시판을 통해 공지를 하려고합니다. 그리므로 프리미엄 회원에 가입을 하지 않으셨으면 가입을 하시기 바랍니다.
3D영상 감상기대되는군요
운영자님 말씀대로 대기업 제품과 기존 셋톱과의 호환성문제 발생시 기존셋톱의 문제로 몰아가고 있습니다.
관련문제에 대해서 진행중이라 자료를 올릴 수 없지만 조만간에 정리하여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