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세상에 살면서 빚을 지지 않고 살 수는 없을 것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태어나면서부터 대략 2,000여만 원의 빚을 지고 태어난다고 합니다. 코로나 19 때문에 국채 발행이 늘고 재난 지원금 지급이 늘어나면서 국민들의 빚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사람들은 아주 사소한 것에서부터 아주 많은 빚을 지고 살아갑니다. 나는 평생에 빚을 많이 지고 살아왔습니다. 나는 정말로 빚을 많이 지고 살아서 평생 빚 갚기에 정신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빚진 사람들의 심정을 누구보다 잘 안다고 생각하는데 요즘 들어서 내가 빚을 얻었어도 빚인 줄도 모르고 살았고 그 빚을 갚지도 않았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특별히 친구들에게는 많은 빚을 지고 살아왔습니다. 경제적으로 어려웠을 때 나를 많이 도와주기도 하였고, 마음으로 힘들었을 때 많은 힘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내가 아팠을 때 나를 도와준 많은 사람들을 나는 절대로 잊을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그 많은 은인들 중에서도 부모와 가족을 차치하고라도 나에게 형제와 같이 사랑을 베풀어주신 많은 분들을 나는 일일이 열거할 수도 없을 만큼 많다는 것을 나이가 들어서야 깨달았습니다. 그리고 절대로 빚으로 헤아릴 수 없고 값으로 따질 수도 없는 엄청난 은총을 주신 하느님께는 나는 언제나 빚쟁이로 살았다는 것을 느끼지 않을 수 없습니다. 하느님께서 나를 사랑하시는 아버지이시니 나에게 빚 독촉을 하시지 않아서 그렇지 사실은 나는 그 빚 독촉을 받는다면 나는 하루도 살아날 길이 없을 것입니다. 매일 숨 쉬는 것까지도 돈으로 갚아야 한다면 나는 도저히 갚을 능력이 없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대림시기와 사순시기에 판공성사(判功聖事)를 봅니다. 처음에 판공이 무슨 뜻인지 몰라서 공소 회장님에게 여쭈어보았더니 잘 몰라서 그걸 설명해 주실만한 분을 찾아서 물어봐도 자세히 설명해 주시지 않아서 무슨 소리인지 궁금해 한 적이 있었습니다. 지금처럼 인터넷이 발달되지 않은 때에 그 뜻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 사람들이 별로 없었기 때문이고, 그 뜻을 알고 있어도 명확하게 설명하기도 어려웠을 것입니다.
‘판공성사[判功聖事, annual confession, confessio annua]란 모든 신자가 부활 대축일과 성탄 대축일을 앞두고 의무적으로 받는 고해성사.’라고 되어있습니다. 그러나 한문으로는 공로[공(功)]를 헤아려 판단[판(判)]한다는 뜻입니다. 판공성사제도는 우리나라에만 있다고 합니다. 다른 나라에서는 항상 판공성사를 본다는 뜻이겠지요.
판공의 진정한 의미는 하늘나라에 들어가기에 합당한지 자기 스스로 중간결산(中間決算)을 해 보는 것입니다. 스스로 자신이 실천한 모든 것을 판단해서 자신의 삶을 정산(精算)해 보는 것입니다. 특히 하느님 사랑과 사람 사랑에 대해서 어떻게 실천하면서 살았고, 하느님의 은총에 대해서 어떻게 응답(應答)하면서 살았는지, 자신이 쌓은 공로가 얼마나 되는지, 그것을 스스로 성찰해서 판단해 보는 것이 판공입니다. 그 판공(辦功)한 것을 가지고 자신을 반성하고 자신이 하느님과 세상 사람들에게 부족한 것들과 잘못한 것들을 용서 청하고 새롭게 하느님께로 삶을 전향(轉向) 하기로 마음을 정하는 것이 판공성사(判功聖事)입니다. 그것을 우리나라는 일 년에 두 번 은총의 시기에 받도록 하는 것입니다.
한국교회는 신자들이 매년 의무적으로 판공성사를 받도록 하고 있습니다. 한국교회의 아름다운 전통이라고 할 수 있는 ‘판공’은 신앙의 의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결코 이것이 부담스럽거나 강제적인 의무에 그치지 않음을 잘 알고 있습니다. 매년 판공성사에 참여하는 신자 수가 줄어드는 것은 개탄스러운 일입니다. 이는 판공을 단지 하나의 의무로만 받아들이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마음과 영혼을 정화하는 은총의 선물임을 깨닫는다면, 판공성사를 부담스러운 의무로 받아들일 일은 없을 것입니다. 부담스러운 일이 아니라 오히려 자기 스스로 그런 판공의 시간을 가지려고 노력해야 하는 것이 자기 발전을 위해서 바람직한 일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말씀하시는 것처럼 어마어마한 빚을 탕감해 주시는 하느님께 내가 공로를 세워 조금이라도 빚을 덜어내려는 노력이 판공성사입니다. 내가 자주 중간결산을 해 봐야 최종 결산에서 그래도 수월하게 천국에 들어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래야 하느님을 뵐 수 있지 않겠습니까?
첫댓글 판공의 진정한 의미는 하늘나라에 들어가기에 합당한지 자기 스스로 중간결산(中間決算)을 해 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