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후강직 기전에 대해 답을 쓸 때 "글리코겐이 혐기적 해당과정을 거쳐서 젖산을 생성하고 젖산에 의해 액틴과 미오신이 결합하여 액토미오신이 되어 수축된 경직상태를 일으킨다." 로 쓸려고 하는데 여기에 ATPase 활성화, ATP분해, pH저하 된다는 키워드가 꼭 들어가야 안전한 서술이 될까요~?
첫댓글안녕하세요. 최근 몇년간의 출제 경향을 보면, 논술처럼 길게 써라 하는 문제가 거의 사라졌습니다. 대부분의 문제가 1점 아니면 2점이며, 1점을 받기 위해서 우리가 써야할 키워드는 대체로 하나, 많아야 2~3개로 봅니다. 즉, 사후강직에 대해서 써라.. 하고 이 짧은 질문에 대해 우리가 아는 것을 모두 쏟아내야 하는 문제는 최근 경향이 아니라는 것이지요. 그래서 나온다 하더라도, 사후 강직 중 어느 특정 부분을 찍어서 구체적으로 문제가 나올 것 같아요. 밑줄 그은 해당 부분의 이유라던가. 그럼 그 질문이 묻고 있는 핵심을 파악한 후, 그에 대한 답이 되는 키워드 하나.. 또는 많아야 2~3정도 골라서 답하시면 될듯 합니다.
첫댓글 안녕하세요. 최근 몇년간의 출제 경향을 보면, 논술처럼 길게 써라 하는 문제가 거의 사라졌습니다.
대부분의 문제가 1점 아니면 2점이며, 1점을 받기 위해서 우리가 써야할 키워드는 대체로 하나, 많아야 2~3개로 봅니다.
즉, 사후강직에 대해서 써라.. 하고 이 짧은 질문에 대해 우리가 아는 것을 모두 쏟아내야 하는 문제는 최근 경향이 아니라는 것이지요.
그래서 나온다 하더라도, 사후 강직 중 어느 특정 부분을 찍어서 구체적으로 문제가 나올 것 같아요. 밑줄 그은 해당 부분의 이유라던가.
그럼 그 질문이 묻고 있는 핵심을 파악한 후, 그에 대한 답이 되는 키워드 하나.. 또는 많아야 2~3정도 골라서 답하시면 될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