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월평빌라 ㅣ 이웃사랑복지재단
 
 
카페 게시글
월평 공부방 2025년 직원교육사업 『새로운 케어기술』 2차 공부 안내
홍채영(직원) 추천 0 조회 12 25.08.12 15:56 댓글 4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25.08.12 16:00

    첫댓글 임명숙 선생님 2차 공부 나눔
    5장
    1. 수발이 필요 없는 조건을 만든다. 케어란 특별한 방법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정상 생활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2. 기저귀를 때기 위한 3가지 세트.
    ①안전 손잡이 ②높이를 조절한 침대 ③이동식 변기
    6장
    1. 목욕의 의미- 목욕은 중요한 생활 습관중 하나.
    2. 기계식 욕조의 4가지 문제점
    ① 욕조 안에서 자세가 불안하다. ② 처음부터 끝까지 수동적이다
    ③ 떨어지면 위험하다 ④ 운반 이동 할때 무섭다
    7장
    1. 자연스런 동작에 대해 다시 생각한다. 케어 본래의 역할은 케어 이용자의 주체성을 이끌어 내서 자립할 수 있도록 유도 하는 것이다.
    2. 다리를 벌리는 동작- 옆으로 누우면 가능하다.
    8장
    1. 돌아 눕기의 3요소
    ①무릎을 세운다. ②손을 올린다. ③머리와 어깨를 든다.
    2. 안전 간호법은 특수한 경우에만 의식이 없거나 모든 일을 수발 받아야 하는 사람 등 특수한 경우에만 사용하는 방법이다.

  • 25.08.13 17:09 새글

    5장
    - 노화나 장애가 있어도 수발을 받지 않고 케어 이용자가 혼자 힘으로 화장실을 갈 수 있도록 연구하는 것이 배설 케어의 기본이다.
    - 걸을 수 없어도 일어설 수 있는 사람은 많다. 침대에서 일어날 수만 있으면 배설은 화장실에서 할 수 있다.
    - 앉으니까 복압과 중력이 영향을 미쳐 체내에 남아있던 변이 모두 나온 것이다.
    - 누운 자세로 여성이 배뇨하는 경우, 미리 허벅지 사이에 휴지를 2~3장 접어서 대주면 옆으로 셀 염려가 없다. 배설 후에는 빨리 처리하고 환기에 신경쓴다.
    - 일정 시간이 지났는데 기저귀가 젖어 있지 않을 때는 배뇨를 스스로 조절하게 할 기회이다.
    - 자연 배변을 위해서는 직장의 수축력, 복압, 중력 등 3가지 힘이 필요하다.
    - 변의를 느꼈을 때, 즉 배변하고 싶다고 생각했을 때가 직장이 반사에 의해 수축하려고 할 때이다. 이 배변의 기회를 놓치면 반사가 억제되어, 대변이가득 차 있는데도 불구하고 반사도 변의도 일어나지 않고 악성 변비가 되므로 설사나 관장에 의논해야 한다.

  • 25.08.13 17:14 새글

    6장
    - 침상에서만 생활하는 사람이나 혼자 일어서지 못하는 사람도 앉기만 하면 목욕할 수 있다. 휠체어에 앉을 수 있는 사람을 일부러 누운 상태로 목욕시킬 필요는 없다.
    - '착환탈건'이 기본
    - 자세를 안정시키려면 몸을 앞으로 숙이는 것이 포인트
    - 평소의 동작을 이용한다: 발을 끌어당기고, 몸을 앞으로 숙이면, 자연이 엉덩이가 뜨기 때문에 일어설 수 있다.
    - 입욕제 사용에 주의한다: 입욕제를 넣으면 물이 탁해져서 바닥이 보이지 않아 케어 이용자가 두려워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한다.

    7장
    - 케어는 생리학적인 동작부터 이해해야 한다.
    - 의자에서 일어설 때, 발을 조금 끌어당기고 앞으로 숙이면 자연스럽게 엉덩이가 올라간다.

  • 25.08.13 17:19 새글

    8장
    - 갓난아이의 돌아눕기 동작에서 배운다.
    - 돌아눕기 동작의 3요소: 두 무릎을 충분히 세운다. 두 손을 힘껏 똑바로 위로 올린다. 머리와 어깨를 든다.
    - 돌아눕기 3요소를 이용한 케어: 검지를 무릎에 댄다.(어꺠와 허리의 중앙에 선다.) 케어하는 사람쪽으로 당긴다.
    - 기본은 모두 일상적인 동작에 있다. 어려운 경우일수록 원리 원칙에 맞춰 다시 생각한다. 그러면 '손을 움직이는 사람은 어떻게 한다'든가, '발을 움직이는 사람은 이렇게 한다.'는 방법이 생각날 것이다. 사지 마비인 경우에도 3가지 요소 중 한 가지, 즉 '머리와 어깨를 든다'는 것을 잊지 않는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