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극적대표성(상징적측면)과 적극적 대표성(행동적측면)의 개념이 잘 이해가 안가는데 설명 좀 해주세요 ㅠㅜㅜ
소극적 대표성이 그러니까 인구지향이라는 것이 인구 비례에 맞게 뽑는다는 건가요?ㅜㅜ
적극적 대표성은 인구지향에 정책지향이 결합된거라 하는데 인구지향의 개념과 정책지향의 개념도 잘 모르겠습니다...
누가 설명 좀 해주세요 ㅜㅜ
첫댓글 출신성분(어느 집단 출신이냐의 문제겠죠.)이 태도를 결정을 한다는 것이 소극적 대표입니다. 말 그대로 행동으로 이어진다기 보다 가치관 등이 출신집단에 대해 우호적일 것이라는 의미로 이해하시면 쉽겠네요. 그리고 적극적 대표란 이 태도가 행동으로 이어진다고 이해하시면 되겠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저기 고수님인것 같은데 이 행정학 심화학습에서 제 바로 아래 글(요소비교법과 점수비교법에 대한 이해)에 대해서도 답변 해주시면 안될까요?ㅜㅜ
첫댓글 출신성분(어느 집단 출신이냐의 문제겠죠.)이 태도를 결정을 한다는 것이 소극적 대표입니다. 말 그대로 행동으로 이어진다기 보다 가치관 등이 출신집단에 대해 우호적일 것이라는 의미로 이해하시면 쉽겠네요. 그리고 적극적 대표란 이 태도가 행동으로 이어진다고 이해하시면 되겠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저기 고수님인것 같은데 이 행정학 심화학습에서 제 바로 아래 글(요소비교법과 점수비교법에 대한 이해)에 대해서도 답변 해주시면 안될까요?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