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심 2023년 11월 번개산행 안내
- 화성행궁(華城行宮) 트레킹 –
◎ 일 자: 2023. 11. 11. (둘土)
◎ 산행지: 화성행궁+성곽길(서장대~장안문~지동시장~팔달문)(서장대 145.5mL/ 6km/경기 수원시)
◎ 만남장소 및 시간: ① 수원역AK플라자 버스정류장/10:00→버스66, 66-4, 60→신풍루10:50
② 신풍루(新豊樓)/10:50
◎ 일정 및 트레킹 코스
수원역(10:00)→신풍루(新豊樓)(11:00) → 화성행궁 → 신풍루(11:50) → 점심(12:00~13:00) → 팔달산 서장대 (西將臺) (13:30) → 화서공원 → 수원화성 → 장안문 → 방화수류정 → 동장대 → 창룡문 → 지동시장(15:30) → 뒤풀이 장소 → 팔달문 → 수원역(17:30)(산행거리 약 6km, 이동시간 2.5~3시간, 총 산행시간 4시간)
◎ 회비: 3만원(점심 만원+뒤풀이 2만원)(가족: 동일)
◎ 교통비: 각자 부담
◎ 준비물: 음료수, 행동 간식과 당일 산행에 적합한 복장
◎ 뒤풀이: 날머리 인근 맛집
※ 인터넷, 전화 또는 문자 등으로 참여의사 표명바랍니다.
☞ 문의 및 연락처 도우미
도우미 한창희 010-3260-0901, 산행대장 최동우 010-5496-5951
※ 참고사항
수원 화성행궁(水原 華城行宮)은 정조가 능원에 참배할 때 머물던 임시 처소로서, 평소에는 부사(府使) 또는 유수(留守)가 집무하던 곳으로 활용되던 행궁이다. 1789년(정조 13년) 수원 신읍치 건설 후 팔달산 동쪽 기슭에 건립되었다. 정조는 1789년 10월, 아버지 사도세자의 무덤인 현륭원을 옮긴 이후 1800년(정조 24년) 1월까지 12년 간 13차례에 걸쳐 화성에 행차했고, 이때마다 행궁에 머물렀다.
화성행궁은 팔달산 정상의 서장대 아래의 산기슭을 중심으로 경사지가 펼쳐지고, 시가지가 시작되는 곳의 평지에 위치해 있다. 구조는 앞쪽으로 긴 장방형 구조이다.
정문인 신풍루 양쪽으로 남군영과 북군영이 있으며 신풍루로 들어서면 왼쪽으로는 서리청과 비장청, 오른쪽으로는 집사청이 위치해 있다.
576칸[間]으로 정궁(正宮) 형태를 이루며 국내 행궁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했지만 대한제국 시기에 경기도 관찰부, 수원 군청, 자혜의원, 학교 등이 자리하면서 용도 변경이 있었고, 1910년 8월 일제강점기 이후에는 낙남헌을 제외한 대부분 시설이 일제의 민족문화와 역사 말살 정책 및 병원과 학교 건물 증개축 등으로 파괴되었다. 1980년대 말, 뜻있는 지역 시민들이 복원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꾸준하고 적극적인 복원운동을 펼친 결과, 화성축성 200주년인 1996년 복원공사가 시작되어 마침내 482칸으로 1단계 복원이 완료되어 2003년 10월 일반에게 공개되었다. 2023년 현재 객사인 우화관과 별주, 장춘각을 비롯한 나머지 94칸에 대한 2단계 복원이 진행 중이다.
매주 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아침 11시부터 30분 동안 무예 24기 보존회가 무예 시범을 보인다.
https://ko.wikipedia.org/wiki/%EC%88%98%EC%9B%90_%ED%99%94%EC%84%B1%ED%96%89%EA%B6%81
※ 인터넷, 전화 또는 문자 등으로 참여의사 표명바랍니다.
☞ 문의 및 연락처 도우미
도우미 한창희 010-3260-0901, 산행대장 최동우 010-5496-5951
공 심 산 우 회
첫댓글 화성행궁 산행은 멋진 계획임
참가합니다. 영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