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1) 용산 주한미군기지의 그림자 효과로 인한 서울03, 04호선의 과도한 기형적 굴곡문제

그림설명 : 미8군 영내를 경유하지 않게 하기 위해 03, 04호선이 기형적으로 굴곡된 모습
2. 대안제시
(1) 독립문-서대문-서울역-녹사평-고속터미널 간 shortcut 설치

3. 대안제시 구체
(1) 용산 미8군은 현재 단계적인 기지 반납을 하고 있으며, 그 결과 이촌역 일대 반납부지는 국립중앙박물관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무엇보다도 장기적으로 한수 이북의 주한미군 기지들이 평택 등 한수 이남으로 이전될 계획에 있으며, 용산 소재 미8군 사령부의 전면적 이전도 이 계획에 포함되었다. 따라서, 미8군의 완전 이전 후에는 해당 지역에 대한 지하철 건설공사 등이 자유로워진다.
(2) 반환될 미 8군 영내는 시유지 또는 국유지화 되어 도심녹지화될 예정이다. 따라서 부지매입비용이 줄어든다.
(3) 독립문-서대문-서울역-용산고-녹사평-서빙고-고속터미널만 정차하는 것을 기준으로, 독립문-고속터미널 간 운행소요시분이 현행 25분에서 14~15분으로 10여분 단축될 수 있다. (표정속도 40km/h 기준)
(4)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다이어그램 운용을 제안한다.

(5) 일산선구간과 연계한 다이어그램은 다음과 같다. 일산선구간의 다이어그램은 예전에 제안한 관련 제안의 것을 그대로 활용하였다. (제안의 연속성 유지)
(A) 본선:지선 열차운행 비율은 1:1 이 된다.
(B) 지선열차는 RH기준으로 본선열차를 2편 추월할 수 있다.
(C) 본선은 애시당초 고속 광역운행을 목적으로 건설된 구간은 아닌 만큼, 전구간 완행열차만 운행된다. 이것은 현재와 동일하므로, 새로운 열차운행 패턴 도입으로 인한 승객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잇점 역시 있다.
(D) 지선에는 1:1 의 비율로 일산신도시 급행열차와, 구파발행 완행열차가 운행된다. shortcut으로 인한 시간단축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조치로, 일산에서 반포동 고속터미널까지 현행 60분에서, 40분으로 20여분 단축될 수 있다.
4. 건설비용 및 경제성 계산
(1) 9.5km의 복선터널 신설이므로, km당 1천억원으로 계산하여 약 1조원 정도의 예산 필요.
(2) 미8군 반환부지 전역을 공원화하기보다는 일부를 매각 또는 개발하여 수익금으로 건설비용 중 상당액을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3) 건국대학교의 경우, 건대입구역 역세권 1만5천평 부지 개발을 통해 5~6천억원의 수익을 올림.
(4) 특히 역세권을 체계적/집중적으로 개발할 경우, 지하철 이용 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음.
저 노선보단 양재~강남~옥수로 이어지는 직행선로가 더 필요하지 않을까요.
강남대로구간에 신설노선을 뚫는것은 신분당선과 중복됩니다...
아, 신분당선을 생각 못했군요,
세금이.. 아깝다....
좀 딴지를 걸어보자면 일산에서 강남접근은... 차후 신분당-경의선 직통이면 커버 가능할 것 같습니다.(좀 먼 이야기이긴 하지만) 그럼 결론적으로 노선중복에 이중으로 돈 쓰는 꼴이 될텐데요. 경의선이야 급행을 굴릴 계획이 있구요.
동의합니다. 제시된 노선이 용산지역을 지나는것이 그곳에 부도심수준의 개발이 이루어져서 역 수요가 생긴다- 라는 측면도 있지만 시간단축의 의미가 더 크다면 경의-신분당선 직결쪽이 더 낫겠네요.
신분당선이 신사역에서 한강 건너서 한남역으로 들어가게 될텐데, 신사역에서 3호선이랑 환승하기 편하게 설계 잘 하면 제시노선에 비해 크게 떨어지는바 없을거라 봅니다.
흠....신분당선이 물론 현재 '예정'이긴 합니다만.. 경원선(중앙선)과 거의 겹치는 루트로 용산역으로 향하는걸로 계획에서 본적이 있는데, 그러면 약간 우회루트가 됩니다. 그건 그렇다 치고, 일단 급행루트를 뚫어놓는다고 가정을 한다면 일산보다는 오히려 서울 서북부지역이 직접수혜권으로 들어옵니다.
대표적으로 은평구나 서대문구, 범위를 조금 멀리잡는다면 화정지구 정도에서 시간단축 효과가 크겠죠.
일산선의 우회를 생각해볼때 용산에서의 우회는 -__- 가볍게 웃으며 넘어 갈 수 있죠-_-;;
신분당선을 정녕 아싸리 신사-서울역-충정로-신촌-가좌로 만들 수는 없는 걸까요 -_-;
3호선 을 저렇케 지선화 하는것은 찬성입니다. 솔직히 3호선 너무 굽어서 가는대만 언제가냐 라는식으로 갔습니다. 솔직히 3호선을 직선화 시키면 시간이 단축될턴대 용산미8군 덕택에 굽었지만 그래도 수요가 탄탄히 늘어나니 나름대로 좋습니다. 일단 차라리 3호선 지선구간을 본선으로 3호선 고속터미널~경복궁역구간을
지선구간화 하는것도 어떨까요? 그리고 강남구간중 신사~양재구간도 신분당선하고 직결운행시켜버리는것도 좋치않을까요?
고속터미널-서빙고-삼각지-남영-충정로-독립문으로 하는것은 어떨까요? (제생각임)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