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고관리의 가장 큰 출발점입니다.
1. 기초재고 (점포 오픈시 초도재고..그리고 매월 이월되는 월말재고가 다음달에 기초재고가 됩니다. )
2. 당월매입 (당월에 매입한 상품)
3. 당월매출 (당월에 팔린 상품)
4. 기말재고 (기말재고는 다시 다음달 기초재고가 됩니다. )
위 4가지가 일단 기본이구요...장부로 기록이 되든 엑셀로 기록을 하든..포스에 자료를 남기던 간에..
위의 재고들을 '장부재고'라고 합니다.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기록으로 남기니 '장부재고'이지요.....
다시 쉽게 정리하면요...
처음 오픈했을때 있었던 기초재고에 당월매입을 더하고...당월매출을 빼면 기말재고가 됩니다.
(기초재고+당월매입-당월매출=기말재고)
지금있는거 다 더하고...팔린거 빼면...남는게 재고죠....
그러면 장부상으로 재고를 파악할 수 있어서..이 모든 것을 장부재고라고 합니다.
장부재고와 반대되는 개념이 실물재고인데..
말그대로...현재 점포에 남아 있는 실재 상품들을 '실물재고'라고 합니다.
그러면 재고조사란 무엇일까요?
바로 장부재고와 실물재고의 차액을 비교하는 것이 재고조사입니다.
기초재고에서 당월매입을 더하고(그동안 매입전표 정리), 그리고 매출을 공제했더니..(매출은 포스로 쉽게 합산할 수 있죠...)
현재 기말장부재고가 1500만원입니다.
마음잡고 새벽 한가한 시간에 실물재고를 조사해 보았더니...전체 재고가 1400만원입니다.
그러면 로스가 얼마난것일까요...
예...100만원이 로스가 났습니다. 장부상으로 1500만원있어야 하는데...실물이 1400 밖에 없으니...100만원 로스가 난 것이죠...
이정도 기초만 알아도...품목별로 세세하게 얼마나 로스가 난지는 몰라도...
점포가 어느정도 로스가 나는지...그리고 현 재고가 어느 정도인지는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단어들을 정리하면..
1. 기초재고
2. 당월매입
3. 당월매출
4. 기말재고..
그리고 장부재고와 실물재고....요 여섯단어를 이해했다면 재고관리의 반은 이해한 셈입니다.
기본을 이해하셔야...살을 붙여 갈 수 있고...직접 재고조사도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소매점 재고관리는 매가로 관리합니다. 그래서 매가환원법이라는 회계용어를 쓰는데..
제가 올리는 글 조금씩 숙지하다 보면..언제 어느세..매가환원법을 알게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