혀의 앞뒤 위치에 따라 |
전설 모음 |
ㅣ, ㅔ, ㅐ, ㅟ, ㅚ |
후설 모음 |
ㅡ, ㅓ, ㅏ, ㅜ, ㅗ | |
혀의 높낮이에 따라 |
고모음 |
ㅣ |
중모음 |
ㅔ | |
저모음 |
ㅐ | |
입술 모양에 따라 |
원순 모음 |
ㅗ, ㅚ, ㅟ, ㅜ |
평순 모음 |
ㅏ, ㅓ, ㅣ, ㅡ, ㅐ, ㅔ |
② 이중 모음 : 소리를 내는 도중에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처음과 나중에 달라지는 모음
혀의 위치가 ‘ㅣ'자리에서 시작되는 것 |
ㅑ, ㅕ, ㅛ, ㅠ, ㅒ, ㅖ |
혀의 위치가 ‘ㅗ/ㅜ'자리에서 시작되는 것 |
ㅘ, ㅙ, ㅝ, ㅞ |
혀의 위치가 ‘ㅡ'자리에서 시작되는 것 |
ㅢ |
2. 자음 : 목 안 또는 입 안의 어떤 자리가 완전히 막히거나 공기가 간신히 지나갈 만큼 좁혀지거나 하여 발음 기관의 장애를 받고 나는 소리
소리를 내는 자리에 따라 |
입술 소리 |
ㅁ, ㅂ, ㅃ, ㅍ |
잇몸 소리 |
ㄷ, ㄸ, ㅌ, ㅅ, ㅆ, ㄴ, ㄹ | |
센입천장 소리 |
ㅈ, ㅉ, ㅊ | |
여린입천장 소리 |
ㄱ, ㄲ, ㅋ, ㅇ | |
목청 소리 |
ㅎ | |
소리는 내는 방법에 따라 |
파열음 |
ㄱ, ㄲ, ㅋ, ㄷ, ㄸ, ㅌ, ㅂ, ㅃ, ㅍ |
마찰음 |
ㅅ, ㅆ, ㅎ | |
콧소리(비음) |
ㅁ, ㄴ, ㅇ | |
흐름소리(유음) |
ㄹ | |
파찰음 |
ㅈ, ㅉ, ㅊ | |
소리의 울림에 따라 |
울림소리(유성음) |
ㅁ, ㄴ, ㅇ, ㄹ |
안울림소리(무성음) |
유성음을 제외한 나머지 15개 자음 | |
어감에 따라 |
예사소리 |
ㄱ, ㄷ, ㅂ, ㅅ, ㅈ |
된소리 |
ㄲ, ㄸ, ㅃ, ㅆ, ㅉ | |
거센소리 |
ㅋ, ㅌ, ㅍ, ㅊ |
1. 음운
(1) 뜻 :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
(2) 특징 : 말소리를 가장 작은 단위로 나누면 자음과 모음으로 나뉘는데 이 자음이나 모음은 하나만 바뀌어도 말의 뜻이 달라진다.
-능동부 → 아랫 입술, 혀 뿌리
2. 자음과 모음
(1) 모음 : 허파에서 나오는 공기의 흐름이 목청을 울리면서 입 안에서 아무 장애도 받지 않고 나는 소리로 단모음과 이중 모음이 있다. (21개)
① 단모음 : 발음할 때 입술이나 혀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모음(10)
→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
단모음은 소리낼 때 입술 모양, 혀의 최고점 위치, 혀의 높낮이에 따라 나뉜다.
② 이중 모음 : 발음할 때 입술의 형태가 바뀌는 모음(11)
→ㅑ, ㅒ, ㅕ, ㅖ, ㅛ, ㅠ, ㅘ, ㅙ, ㅝ, ㅞ, ㅢ
?ㅚ, ㅟ : 단모음 발음이 원칙이나, 이중 모음도 허용
(2) 자음 : ?허파에서 공기가 나올 때에 입안에서 장애를 받고 나는 소리
?소리나는 위치에 따라 입술소리, 혀끝소리, 센입천장소리, 여린입천장 소리, 목청소리로 나뉜다.
?또 발음할 때 입 안이나 코 안에서 울림이 일어나는가 일어나지 않는가에 따라 울림소리와 안울림소리로 나뉜다.
?안울림소리는 그 세기에 따라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로 나뉜다. 된소리는예사소리보다 더 강하고, 단단한 느낌을 주고, 거센소리는 그보다 더 거센 느낌을 준다.
소리의 청탁(淸濁), 조음(調音)위치에 따라
예사소리 : ㄱ, ㄷ, ㅂ, ㅈ, ㅅ
된소리 : ㄲ, ㄸ, ㅃ, ㅉ, ㅆ
거센 소리 : ㅋ, ㅌ, ㅍ, ㅊ
입술소리 : 두 입술 사이에서 나는 소리 → ㅂ, ㅃ, ㅍ,ㅁ
혀끝소리 : 혀끝과 윗잇몸 사이에서 나는 소리 → ㄷ,ㄸ, ㅌ, ㅅ, ㅆ, ㄴ, ㄹ
구개음 : 혓바닥과 경구개에서 나는 소리 → ㅈ, ㅉ, ㅊ
연구개음 : 혀의 뒷부분과 연구개에서 나는 소리 → ㄱ, ㄲ, ㅋ, ㅇ
목청소리 : 목청 사이에서 나는 소리 → ㅎ
① 조음방법에 의한 분류
파 열 음: ㄱ, ㅋ, ㄲ, ㄷ, ㅌ, ㄸ, ㅂ, ㅃ, ㅍ
마 찰 음: ㅅ, ㅆ, ㅎ
파찰음: ㅈ, ㅊ, ㅉ
비 음: ㄴ, ㅁ, ㅇ
유 음: ㄹ
② 조음위치에 의한 분류
양 순 음 (입술소리): ㅁ, ㅂ, ㅍ, ㅃ
치 조 음 (혀끝소리): ㄴ, ㄷ, ㅌ, ㄸ, ㅅ, ㅆ, ㄹ
경구개음 : ㅈ, ㅊ, ㅉ
연구개음 : ㄱ, ㅋ, ㄲ, ㅇ
성 문 음 (목청소리): ㅎ
(1) 음성과 음운
1) 음성 - 사람의 발음 기관을 통하여 나는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소리. 같은 'ㄱ'이라도 ' 고기'에서 두 'ㄱ'은 서로 다른 소리가 되는데, 이런 하나 하나를 말한다. 말의 뜻을 구별해 주지 못한다.
2) 음운 -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단위로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소리.
1> 서로 다른 소리를 같은 소리로 인식. 예)'고기'에서 두 'ㄱ'
2>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 예)'달, 돌, 둘, 들'에서 'ㅏ, ㅗ, ㅜ, ㅡ', '굴, 꿀, 둘, 물, 불, 풀, 술, 줄'에서 '초성'
3> 우리 글 자음?모음의 표기 하나 하나.(자음 19개, 단모음 10개, 이중 모음 11개)
3) 음성적 실현 - 하나의 음성으로 묶여지는 음성들.
1> 같은 음운이라도 발음할 때마다 조금씩 달라지거나
2> 한 음운이 앞?뒷소리의 영향을 받아 조금씩 달리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예)'고기'의 두 'ㄱ'은 음운 /ㄱ/의 음성적 실현. 영어에서는 'ㄱ, ㅋ'을 구분하지 못하며 한 개 음운의 음성적 실현일 뿐이다.
4) 음성 기관
+발동부 → 허파 +발성부 → 후두, 목청 +조음부 -고정부 → 윗 입술, 인두 벽
2. 국어의 음운
1) 모음 - 발음 기관의 아무런 장애를 받지 않고 순조롭게 나는 소리. 홀로 발음될 수 있음.
1> 단모음 - 아무리 길게 내더라도 그 소리를 발음하는 도중에 입술이나 혀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모음.(ㅏ,ㅓ,ㅗ,ㅜ,ㅡ,ㅣ,ㅐ,ㅔ,ㅚ,ㅟ)
2> 이중 모음 - 소리를 내는 도중에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처음과 나중이 달라지는 모음.
㈀ 혀의 위치가 'ㅣ'자리에서 시작되는 것 →ㅑ,ㅕ,ㅛ,ㅠ,ㅒ,ㅖ
㈁ 혀의 위치가 'ㅗ/ㅜ'자리에서 시작되는 것 →ㅘ,ㅙ,ㅝ,ㅞ
㈂ 혀의 위치가 'ㅡ'자리에서 시작되는 것 →ㅢ
3> 반 모음 - 이중 모음의 앞에서 짧게 발음되는 'ㅣ[j]' , 'ㅗ/ㅜ[w]'. 온전한 모음이 아니기 때문에 '˘' 표시를 하여 구별한다.
4>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의 종류들
예사소리(平音)(ㄱㄷㅂㅅㅈ)된소리(硬音(ㄲ,ㄸ,ㅃ,ㅆ,ㅉ)거센소리(激音)(ㅋ,ㅌ,ㅍ,ㅊ,ㅎ)
울림소리, 안울림소리의 뜻과 종류들
울림소리(울대(성대)의 울림이 있는 소리 자음 ㅁㄴㅇㄹ과 모든 모음)
안울림소리(울대의 울림이 없는 소리 예사소리, 거센소리, 된소리로 나눔)
2) 자음 - 목 안 또는 입 안의 어떤 자리가 완전히 막히거나, 공기가 간신히 지나갈 만큼 좁혀지거나 하여 발음기관의 장애를 받고 나는 소리.
1> 소리를 내는 자리에 따라 ; 입술 소리, 혀끝 소리, 구개음, 연구개음, 목청 소리
2> 소리를 내는 방법에 따라 ; ㈀ 파열음 -ㄱ,ㄲ,ㅋ,ㄷ,ㄸ,ㅌ,ㅂ,ㅃ,ㅍ
㈁ 마찰음 -ㅅ,ㅆ,ㅎ ㈂ 비 음 - ㅁ,ㄴ,ㅇ ㈄ 파찰음 -ㅈ,ㅉ,ㅊ
㈃ 유 음 ㄹ- [r] -설전음. 혀끝을 잇몸에 가볍게 대었다가 뗌.
[l] -설측음. 혀끝은 잇몸에 댄 채 공기를 그 양 옆으로 흘림.
3>소리의 울림에 따라
㈀ 울림 소리(유성음) - 비음(ㅁㄴㅇ), 유음(ㄹ) 모든 모음은 유성음
㈁ 안울림 소리(무성음) - 나머지 15개 자음
4> 어감에 따라 ;예사 소리(평음), 된소리(경음), 거센 소리(격음)
어감의 분화
(1) 어감(語感)의 분화
- 단어의 기본적인 의미는 그대로 두고 단어의 어감만을 다르게 하는 일로 주로 의성부사와 의태부사에서 나타난다.
1)모음의 어감 :
1>양성모음(ㅏ,ㅐ,ㅑ,ㅗ,ㅘ,ㅚ,ㅛ)
- 밝고,날카롭고,작고,가볍고,강하고,얇고
2>음성모음(ㅓ,ㅔ,ㅕ,ㅜ,ㅝ,ㅟ,ㅠ,ㅡ,ㅣ)
- 어둡고,둔하고,크고,무겁고,약하고,두껍고
예)살랑살랑:설렁설렁, 대굴대굴:데굴데굴, 촐촐:철철
2)자음의 어감
+예사소리 - 순하고 부드럽고
+된소리 - 강하고 단단하고
+거센소리 - 크고 거칠고
예)달각달각:딸깍딸깍, 덜썩:털썩, 나불나불:나풀나풀, 수군수군:쑤군쑤군, 빙빙:삥삥:핑핑, 단단:딴딴:탄탄
3)기타 모음의 어감
예)얌치:염치, 그것:고것, 가짓말:거짓말, 야무지다:여무지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세요.
퐁당을 좋아하십니까? 퐁당은 요즈음 수출을 합니다. 백퐁당, 물퐁당, 총각퐁당, 파퐁당 등은 모두 퐁당의 종류입니다. 저는 퐁당 없이는 한 끼도 못 먹습니다. |
1. 윗글 중 밑줄 친 ‘퐁당’의 본래 낱말로 알맞은 것은?
① 김치 ② 햄버그 ③ 게임 ④ 밥 ⑤ 피자
2. 실제 언어 생활에서 이러한 일이 일어난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3. 2번 문제와 관련된 내용은 언어의 어떤 특성을 말하고 있나요?
① 언어의 역사성 ② 언어의 사회성 ③ 언어의 법칙성
④ 언어의 자의성 ⑤ 언어의 창조성
4. 다음은 언어의 어떤 특성을 말하고 있을까?
지현 : 왜 지푸라기를 가지고 장난하세요? 조상 : 새끼 꼬는 걸 보고 장난이라니! 괘씸한지고. |
① 언어의 역사성 ② 언어의 사회성 ③ 언어의 법칙성
④ 언어의 자의성 ⑤ 언어의 창조성
5. 다음 보기글과 관련이 있는 예로 적당한 것은?
같은 대상을 표현하던 말들이 서로 경쟁하다가 한쪽이 이기면 다른 한쪽의 말은 자연히 사라진다. |
① 자동차, 전화, 우주선 ② 어사, 지갑, 지달 ③ 즈믄-천, 온-백, 벗-친구
④ 보리밥, 풋나물, 간장 ⑤ 피자, 햄버그, 텔레비젼
6.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가장 작은 소리의 단위를 ( )이라 한다. 음운에는 ( )과 ( )이 있다.
7. 다음 단어에 쓰인 음운들을 차례대로 써 보자.
(1) 부모님
(2) 친구
8. 발음 할 때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변하지 않는 모음은?
① ㅢ ② ㅗ ③ ㅞ ④ ㅖ ⑤ ㅒ
9. 다음 중 모음에 대한 설명 중 바른 것은?
① 입술을 둥글게 하여 소리내는 모음 : ㅗ, ㅜ, ㅚ, ㅟ
② 혀의 최고점 앞쪽에 소리나는 모음 : ㅣ, ㅔ, ㅐ, ㅟ, ㅚ
③ 혀의 최고점 뒤쪽에 소리나는 모음 : ㅡ, ㅓ, ㅏ, ㅜ, ㅗ
④ 혀의 높낮이에 따라 혀의 높이가 높은 모음 : ㅐ
⑤ 혀의 높낮이에 따라 혀의 높이가 낮은 모음 : ㅣ
10. 자음의 소리 나는 위치를 바르게 연결해 보자.
?여린입천장과 혀 뒤 ? ㅁ, ㅂ, ㅃ, ㅍ
?두 입술 ? ㄴ, ㄷ, ㄸ, ㄹ, ㅅ, ㅆ, ㅌ
?센입천장과 혀바닥 ? ㅈ, ㅉ, ㅊ
?윗잇몸과 혀끝 ? ㄱ, ㄲ, ㅋ
?목청 사이 ? ㅎ
11. 코를 막고 발음을 할 수 없는 소리는?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ㄹ ⑤ ㅂ
12. 다음 ( )에 들어가기에 알맞은 자음을 쓰시오.
? ㄱ - ㄲ - ( )
? ㄷ - ( ) - ㅌ
? ㅈ - ( ) - ㅊ
※ 교과서 글을 읽고 다음 표를 완성해 보자.
1. 모음 : 발음기관의 장애를 받지 않고 순조롭게 나는 소리
① 단모음 :
혀의 앞뒤 위치에 따라 |
전설 모음 |
|
후설 모음 |
| |
혀의 높낮이에 따라 |
고모음 |
|
중모음 |
| |
저모음 |
| |
입술 모양에 따라 |
원순 모음 |
|
평순 모음 |
|
② 이중 모음 :
혀의 위치가 ‘ㅣ'자리에서 시작되는 것 |
|
혀의 위치가 ‘ㅗ/ㅜ'자리에서 시작되는 것 |
|
혀의 위치가 ‘ㅡ'자리에서 시작되는 것 |
|
2. 자음 : 목 안 또는 입 안의 어떤 자리가 완전히 막히거나 공기가 간신히 지나갈 만큼 좁혀지거나 하여 발음 기관의 장애를 받고 나는 소리
소리를 내는 자리에 따라 |
입술 소리 |
|
잇몸 소리 |
| |
센입천장 소리 |
| |
여린입천장 소리 |
| |
목청 소리 |
|
소리는 내는 방법에 따라 |
파열음 |
|
마찰음 |
| |
콧소리(비음) |
| |
흐름소리(유음) |
| |
파찰음 |
|
소리의 울림에 따라 |
울림소리(유성음) |
|
안울림소리(무성음) |
|
어감에 따라 |
예사소리 |
|
된소리 |
| |
거센소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