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각.기계각
«
모터에 관련된 책을 보다보면 전기각, 기계각이라는 용어가 많이 등장한다.
거기 보면 무슨 파이가 어쩌고 저쩌고 하는식으로 시작해서 헷갈리는데
간단히 생각해보자..
일단 기계각은 그냥 모터가 눈으로 봤을때 한바퀴 돌았다는 뜻이다.
그럼 전기각이란 무엇이냐..
모터의 전기적인 상태가 한바퀴 돌았다는 뜻이다. --;

3상 모터 설명에서 볼 수 있는 그림이다.
여기서는 3상이 중요한것이 아니므로 대충 넘어가고...^^;
만약 실제로 이렇게 생긴 모터가 있다면 이 모터는
기계각 360 = 전기각 360 도이다.
N극 기준으로 생각하면 A'-> B-> C'-> A-> B'-> C 이런 위치로 돌면 전기적으로 한바퀴를 돈것이고,
그것이 기계적으로 한바퀴를 돈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 모터는 A'-> B-> C'-> A-> B'-> C 이것이 한셋트가 있는것이 아니라
이게 4쌍 12쌍 이런식으로 여러개 있는 경우가 많다.
만약 A'-> B-> C'-> A-> B'-> C 이 4셋트 있는 전동기라면
기계각 360도 = 전기각으로는 360*4 = 1440 도가 되는 것이다.
전기각이 중요한 이유는 보통 우리가 모터를 제어할때 별도의 엔코더 등으로 속도를 알아내는 경우도 많지만
모터 자체의 전류 흐름를 파악하여 모터의 회전 속도를 알아내는 경우가 많다.
즉 3상 모터의 전기각 120도 간격으로 모터의 위치를 파악할수 있다.
만약 전기각이 실제 기계각과 같다면 우리는 모터의 위치를 120로 밖에 알수가 없다.
하지만 전기각이 실제 기계각의 12배라면...
기계각 360 도 = 전기각 360*12 ==> 전기각 120도 간격으로 센싱이 가능하므로 36단계로 위치 검출 가능.
즉 실제 모터의 모터의 위치는 기계각 10도 간격으로 파악할수 있는것이다..
일단 전기각과 기계각의 개념만 알아두길.
만약 3상 4극 2층권 24슬롯 유동전동기는 전기각과 기계각이 어떤가요?
라는 질문을 하고 싶다면 책을 보면 나와있을것이다.. --;;
http://maxpulse.tistory.com/150 에서 인용
전기각과 기하각
기계각이란 그냥 우리 육안으로 보아 발전기가 1바퀴 돌면 그냥 1회전이 됩니다.
그 각도는 1회전일때 360도 입니다.
반면, 전기각은 발전기 내부의 자극의 수에 따라 달라집니다.
N극과 S극을 한번 거치면 전기각으로 360도가 되는 겁니다.
(N극에서 시작 S극으로 가서, 다시 N극으로 가면 1바퀴 360도 입니다.)
4극 발전기를 예로 들면.
4극발전기는 N극 2개, S극 2개가 배치되어 있습니다.
그러면 기계각으로 1회전하면 전기각으로는 N, S극을 두번 거치게 됩니다.
기계각이 360도 회전하면, 전기각은 720도가 되는 것이지요.
6극이라면 N,S극이 3개씩 있겠지요.
이럴땐 기계적으로 1회전에 전기적으로는 3회전 되겠죠.
공식으로 나타내면
전기각 = 기하각 * (P/2)
가 됩니다.
--------------------------------------------------------------------
권선에 전기를 흘려 전자석을 만들고, N극과 S극이 형성되는데,
N극 => S극 => N극 (원상태로 돌아옴) N극과 S극 다시 N극으로 1바퀴 돌아오면
전기각으로 1바퀴가 됩니다.
만일 극수(p)가 2이면 물리적(기하적)으로 1바퀴 돌때 N극과 S극이 1번씩 나타나지만,
극수가 4이면 물리적으로 1바퀴를 돌면서 극수를 세어보면,
N극, S극, N극, S극 이런식으로 N극 2번 S극 2번 나타납니다.
전기적으로는 N극에서 S극 다시 N극으로 돌아오면 전기각으로 1바퀴 돌았다고 보는
겁니다. 물리적으로는 반바퀴 밖에 못 돌았지만.
4극일 때에는 물리적 1바퀴가 전기적으로 2바퀴가 됩니다.
질문의 (공식은 전기각은 =기하각*(p/2) 내용은 그런식으로 전기각이 기하각의
배수가 된다는 설명입니다.
전동기의 극수가 많아지면 대개 전동기의 회전 속도가 낮아지는데,
전기각의 속도가 대개 일정한데 비해, 극수에 따라 기하각이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전기각은 전동기의 회전수를 구하는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http://cafe.daum.net/jongpil11/C7zH/4?docid=1JSvS|C7zH|4|20091201094037&q=%C0%FC%B1%E2%B0%A2 에서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