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전: 김슬옹(2010). 국어교육 내용으로서의 '맥락' 연구. 동국대학교 국어교육학과 박사학위 논문.
참고문헌
- 자료, 사전류 1차 문헌
21세기 세종계획(http://www.sejong.or.k) 세종 말뭉치
Collins Cobuild(1987/2003). Advanced Learner's English Dictionary. HarperCollins Publishers.
The New Oxford Dictionary(1478/1978). Oxford University Press.
Webster's new collegiate dictionary(1948/1981). G. & C. Merriam.
국립국어연구원(1999).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김윤정(2009). 어휘사전. 푸른세상.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1999/2008: 5쇄). 국어교육학 사전. 대교출판.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2002/2007). 동아 연세초등국어사전. 두산동아.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2008). 연세 한국어사전. 두산동아.
이정남·배영남·김용석(2000: 3판). 언어학 사전. 박영사.
조성식 외 편저(1990). 영어학 사전. 신아사.
토박이 사전편찬실 엮음(2008). 보리 국어사전. 보리.
- 교육과정 1차 문헌
교육인적자원부(2001).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국어-.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인적자원부(2006).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안 토론회 자료집.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인적자원부(2007).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교육과학기술부(2008a).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Ⅲ(국어, 도덕, 사회).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2008b).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Ⅱ(국어, 도덕, 사회).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2008c).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②(국어, 도덕, 사회). 교육과학기술부.
- 교육과정 2차 문헌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4a). 국어과 교육내용 적정성 분석 및 평가. 연구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4b). 국어과 교육과정 실태 분석 및 개선방향 연구. 연구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5a). 국어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5b).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공청회. 연구 자료 ORM 2006-56.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노은희 외(2008).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 연구 개발(연구 보고 CRC 2008-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논증 대상용 자료
강소리(2000). 학교에 못 가고 있습니다(건의문). <참여마당신문고>(www.epeople.go.kr)
박지원/신호열·김명호 옮김(2007). 연압집 [중](5권). 돌베개.
안도현(2004). 연탄재, <외롭고 높고 쓸쓸한(시집)>. 문학동네. 11쪽.
정연안․김희아(2000). 한석봉에 대하여. <초등 국어 교과서 해설서 4학년 2학기>. 교육인적자원부.
- 2009년 검인정 중학교 국어/생활국어 교과서
권영민 외(2009). 중학교 국어/생활 국어 1-1/1-2. 새롬교육.
김대행 외(2009). 중학교 국어/생활 국어 1-1/1-2. 천재교육.
김상욱 외(2009). 중학교 국어/생활 국어 1-1/1-2. 창비.
김종철 외(2009). 중학교 국어/생활 국어 1-1/1-2. 디딤돌.
김형철 외(2009). 중학교 국어/생활 국어 1-1/1-2. 교학사.
남미영 외(2009). 중학교 국어/생활 국어 1-1/1-2. 교학사.
노미숙 외(2009). 중학교 국어/생활 국어 1-1/1-2. 천재교육.
박경신 외(2009). 중학교 국어/생활 국어 1-1/1-2. 대교.
박영목 외(2009). 중학교 국어/생활 국어 1-1/1-2. 천재교육.
방민호 외(2009). 중학교 국어/생활 국어 1-1/1-2. 지학사.
송하춘 외(2009). 중학교 국어/생활 국어 1-1/1-2. 박영사.
오세영 외(2009). 중학교 국어/생활 국어 1-1/1-2. 해냄에듀.
왕문용 외(2009).중학교 국어/생활 국어 1-1/1-2. 대교.
우한용 외(2009). 중학교 국어/생활 국어 1-1/1-2. 두산동아.
윤여탁 외(2009). 중학교 국어/생활 국어 1-1/1-2. 미래엔컬처그룹.
윤희원 외(2009). 중학교 국어/생활 국어 1-1/1-2. 금성출판사.
이남호 외(2009). 중학교 국어/생활 국어 1-1/1-2. 미래엔컬처그룹.
이삼형 외(2009). 중학교 국어/생활 국어 1-1/1-2. 디딤돌.
이숙 외(2009). 중학교 국어/생활 국어 1-1/1-2. 유웨이중앙교육.
이숭원 외(2009). 중학교 국어/생활 국어 1-1/1-2. 좋은책신사고.
이용남 외(2009). 중학교 국어/생활 국어 1-1/1-2. 지학사.
이충우 외(2009). 중학교 국어/생활 국어 1-1/1-2. 웅진씽크빅.
조동길 외(2009). 중학교 국어/생활 국어 1-1/1-2. 비유와상징.
- 국내 문헌
고영근 외(2001). 한국 텍스트학의 제 과제. 역락.
고영근(1999). 텍스트이론. 아르케.
고춘화(2008). 사고력 함양을 위한 읽기 쓰기의 통합적 접근 모색-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 연구> 31. 211-240쪽.
권경원(1991). 담화해석과 맥락의 역할에 관한 연구. <어문학연구> 1. 목원대학교 어문학연구소. 53-71쪽.
권순희(2008). 내용 분석과 재구성을 통한 초등학교 국어교과서 운용 방안. <한국초등국어교육> 36. 박이정. 5-40쪽.
권영문(1996). 맥락과 의미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박사학위논문.
권재일(1995). 국어학적 관점에서 본 언어 지식 영역의 지도의 내용. <국어교육 연구> 2. 서울 대학교 사범 대학 국어교육 연구소. 159-175쪽.
권정은(2008). 문화교육과 고전시가의 맥락적 정보. <새국어교육> 79호. 5-24. 한국국어교육학회.
김광해(1995). 언어 지식 영역의 교수 학습 방법. <국어교육 연구> 2. 서울 대학교 사범 대학 국어교육 연구소. 209-254쪽.
김국태(2002). 맥락 중심 쓰기 교재 구성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규훈(2008). 공감적 듣기교육 연구.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 논문.
김대행 외(2006). 하이퍼텍스트의 언어문화 이해교육. 서울대학교 출판부.
김대행(1995). 국어 교과학의 지평. 서울대학교 출판부.
김대행(2002). 내용론을 위하여. <국어교육연구> 10.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7-37쪽.
김대행(2005). 수행적 이론의 연구를 위하여. <국어교육학연구> 22. 국어교육학회. 5-29쪽.
김대행(2006). 국어생활·국어문화·국어교육. <국어교육>. 119호. 한국어교육학회. 1-30쪽.
김대희(2008). 호주의 자국어 교육과정에서의 매체 언어 교육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학 연구> 33. 국어교육학회. 267-295쪽.
김도남(2002). 상호텍스트성을 바탕으로 한 읽기 지도 방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김도남(2002). 텍스트 이해 교육의 접근 관점 고찰. <국어교육학연구> 15. 국어교육학회. 127-167쪽.
김도남(2007). 국어 교과서 개발을 위한 교육내용요소 선정 기준 탐색: 읽기 영역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75호. 한국국어교육학회. 61-89쪽.
김동환(2002). 문화 교육으로서의 국어교육. <국어교육학연구> 15. 국어교육학회. 1-22쪽.
김동환(2008). 비평 능력 신장을 위한 문학 독서 교육. <독서연구> 20-2. 독서교육학회. 111-138쪽.
김명순(2002). 인성 발달을 돕는 독서 지도 방안. <독서연구> 7. 한국독서학회. 169-202쪽.
김명순(2003). 활동의 개념과 국어교육. <청람어문교육> 26. 청람어문교육학회. 109-128쪽.
김명순(2004). 독서 작문 통합 지도의 전제와 기본 방향. <독서연구> 11. 한국독서학회. 61-81쪽.
김명순(2008).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교육 내용의 변화와 의미 :읽기 영역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80. 한국국어교육학회. 27-47쪽.
김무길(2002). 듀이와 비트겐슈타인의 언어관: 교육적 시사. <교육철학> 8권 28호. 1-28쪽.
김봉순(2004). 독서와 작문 통합 지도의 전망: 비문학 담화를 중심으로. <독서연구> 11. 한국독서학회. 83-122쪽.
김봉순(2007). 읽기 교육을 위한 연구 과제. <국어교육> 123. 한국어교육학회. 1-29쪽.
김상욱(2009).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속 문학 영역의 비판적 검토. <국어교육> 128호. 한국어교육학회. 47-72쪽.
김성도(1999). 로고스에서 뮈토스까지: 소쉬르 사상의 새로운 지평. 한길사.
김성도(2007). 소쉬르 사상의 미완성과 불멸성: 소쉬르 사유의 인식론적 스타일에 대하여. <기호학연구> 21. 월인. 129-158쪽.
김성태(1997). 언어․신체․주체 - 중국의 형이상학에 나타난 언어와 주체. <철학사상> 7권.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김소영(2006). 건의문 쓰기의 지도 방안 연구. <우리말연구> 19. 357-382쪽.
김슬옹(1997). 개념적 의미에 대한 몇 가지 오해에 대하여-왜 개념적 의미는 담론적 의미인가. <담화와 인지> 4권 2호. 담화인지학회. 51-75쪽. 김슬옹(2009). 담론학과 언어분석-맥락·담론·의미-. 한국학술정보(주). 재수록(2부 1장).
김슬옹(1998). 언어분석을 위한 맥락설정 이론. <목원어문학> 16. 목원대학교 국어교육과. 5-65쪽. 김슬옹(2009a). 담론학과 언어분석-맥락·담론·의미-. 한국학술정보(주). 53-107쪽. 재수록(2장 맥락 설정과 언어 분석)
김슬옹(2005). 언어 분석 방법론으로서의 담론학 구성 시론. <사회언어학> 13권 2호.한국사회언어학회. 43-68쪽. 김슬옹(2009). 담론학과 언어분석-맥락·담론·의미-. 한국학술정보(주). 재수록(1부 1장)
김슬옹(2009).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맥락’ 범주의 핵심 교육 전략. <국어교육학연구> 36. 국어교육학회. 255-286쪽.
김슬옹(2010). 2007년 국어과 교육과정 ‘문법’ 영역 쟁점에 따른 ‘맥락’ 범주 문제. <[한]국어교육에서 통합적 문법 교육> 한국문법교육학회·고려대 국어소통능력연구센터 공동학술대회(한국문법교육학회 12차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한국문법교육학회. 85-107쪽.
김시진(2006). 상황맥락을 활용한 어휘력 신장 효과의 연구. 홍익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영민(1997). 컨텍스트로. 패턴으로. 문학과지성사.
김영진(1994). 비트겐슈타인의 언어놀이와 오스틴의 화행. <철학연구> 34-1. 철학연구회. 241-268쪽.
김익환(2003). 맥락의 특성과 언어 사용과의 관계. <영어교육연구> 26호. 한국영어교육연구학회.
김재봉(1994). 맥락의 의사소통적 기능1: 맥락의 선택과 맥락효과. <인문과학연구> 16. 조선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1-18쪽.
김재봉(2007).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맥락의 수용 문제. <새국어교육> 77호. 한국국어교육학회. 9-97쪽.
김정란(2008). 사회적 상호작용 말하기를 위한 언어 사용 외적맥락 고찰. <새국어교육> 78호. 한국국어교육학회. 99-120쪽.
김정우(2007).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과 특징. <한말연구> 20호.한말학회. 101-129쪽.
김종문 외(1998). 구성주의 교육학. 교육과학사.
김종철(2007). 학문과 국어교육. <국어교육> 122호. 한국어교육학회. 23-44쪽.
김종철(2010). 고등학교 국어 '심화 선택' 체제 개편 방향. <국어교육> 131호. 한국어교육학회. 93-117쪽.
김태자(1993). 맥락 분석과 의미 탐색. <한글> 219호. 한글학회. 79-113쪽.
김판수․박수자 외(2000/2003: 2쇄). 구성주의와 교과교육. 학지사.
김현주(2010). 맥락에 기초한 독자의 의미 구성 연구.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영채(1998). 사고력: 이론, 개발과 수업. 교육과학사.
김혜련(2010). 지식의 개념적 성격에 대한 고찰-‘격물치지론(格物致知론)’을 중심으로. <국어과 교육과정 설계와 학문적 쟁점(한국어교육학회 제269회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어교육학회. 93-112쪽.
김혜숙(1991). 현대국어의 사회언어학적 연구: 국어의 운용실태와 방향. 태학사.
김혜숙(2004). 사회언어학 연구의 방법론 고찰. <새국어교육> 67. 한국국어교육학회. 143-172쪽.
김혜숙(2004). 사회언어학의 이론과 전개. <사회언어학> 12권 1호. 한국사회언어학회 95-122쪽.
김혜숙(2005). 사회언어학 연구와 국어교육의 연계성-국어교육에 미치는 사회언어학적 영향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141. 국어국문학회. 379-405쪽.
김혜숙(2005). 프랑스․독일․호주의 자국어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한국언어문화학> 제2권 2호.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39-88쪽.
김혜숙(2009). 사회 방언과 국어교육. <42회 국어교육학회 발표집>. 국어교육학회. 재수록: 김혜숙(2009). 사회문화적 의사소통과 국어교육: 사회 방언과 국어교육. <국어교육학 연구> 35. 국어교육학회. 33-63쪽.
김혜정(2002). 텍스트 이해의 과정과 전략에 관한 연구: ‘비판적 읽기’ 이론 정립을 위한 학제적 연구.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김혜정(2004). 읽기 쓰기 통합 활동에서 의미구성의 내용과 이행 과정 연구. <독서연구> 11. 한국독서학회. 141-180쪽.
김혜정(2009). 읽기의 맥락과 맥락 읽기. <독서연구> 21. 독서교육학회. 33-79쪽.
남정희(2005). 상황맥락을 고려한 말하기 쓰기 교육 방안 연구: 윤흥길 ‘장마’를 대상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노명완·박영목 외(2008). 문식성 교육 연구. 한국문화사.
노명완·박영목·권경안(1988). 국어과교육론. 갑을출판사.
노명완·이차숙(2002). 문식성 연구. 박이정.
노은희(1993). 상황 맥락의 도입을 통한 말하기 지도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문관식(2005). 상황맥락 탐색 활용을 통한 듣기 말하기 능력 신장 방안. 인천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셀 푸꼬 외 4인/이정우 편역(1990). 구조주의를 넘어서. 인간사.
미카엘 드 생 쉐롱/김웅권 옮김(2008). 엠마누엘 레비나스와의 대담 1992-1994 : 보록: 레비나스 철학과 유대교 사상 사이에서. 동문선.
민현식(2000). 국어교육을 위한 응용국어학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박갑수 외(2000). 국어 표현・이해 교육. 집문당.
박병학(1986). 발문법 원론. 세광.
박상진(2003). 컨텍스트의 이론-데리다와 구조주의적 마르크스주의를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 20. 현대문학이론학회. 197-225쪽.
박상철(2006). 통합교과 교육과정. 주요 문제와 개선 방향. <초등교육연구> 19-1. 37-52쪽.
박수자(1993). 읽기 전략 지도 교재 구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사학위 논문.
박수자(2007). 구성주의 이론의 국어교육학적 의의. <독서연구> 18호. 한국독서학회. 1-26쪽.
박수자(2009). 문맥의 특성과 읽기 지도. <한국초등국어교육> 39. 박이정. 157-188쪽.
박수연(2004). 상황 맥락 중심 작문 지도 방안 연구; 중학교 정보전달 글쓰기를 중심으로.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영목(2002). 독서 교육 연구에 있어서의 사회․문화적 접근. <독서연구> 7. 한국독서학회. 1-18쪽.
박영목(2005). 국어과 교육과정의 새로운 방향.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새로운 교육과정의 방향 설정(국어교육학회 30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국어교육학회. 47-64쪽.
박영목·한철우·윤희원(1996). 국어교육학 원론. 교학사.
박영민(2004). 문식성 발달 연구를 위한 학제적 방법론. <새국어교육> 67. 한국국어교육학회. 21-42쪽.
박영민(2005). 사회구성주의 학습 이론과 독서의 본질. <독서연구> 14. 한국독서학회. 229-248쪽.
박영순(2004). 한국어 담화․텍스트론. 한국문화사.
박옥화(1992). 지식분류의 역사적 고찰. <사회과학연구> 3.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5-45쪽.
박은경(2007). 맥락 중심의 시 교수·학습 방법 연구 : 신경림의 시를 중심으로. 부산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인기(1994). 문학교육과정의 구조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인기(1995). 문학 현상과 국어교육학의 이론화 전략. 최현섭 외 4인 공저. <국어교육학의 이론화 탐색>. 일지사.
박인기(1997). 국어교육학의 생태학적 지평과 발전 전략. <한국초등국어교육> 13.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박인기(2000).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목표에 대한 검토. <한국초등국어교육> 16.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3-55쪽.
박인기(2001). 문학교육과정의 구조와 이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박인기(2002). 문화적 문식성의 국어교육적 재개념화. <국어교육학연구> 15. 국어교육학회. 23-47쪽.
박인기(2003). 생태학적 국어교육의 현실과 지향.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169-192쪽. 재수록: 박인기(2003). 생태학적 국어교육의 현실과 지향. <한국초등국어교육> 22.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1-36쪽.
박인기(2005). 국어교육학 연구의 방향: 재개념화 그리고 가로지르기. <국어교육학연구> 22. 국어교육학회. 37-123쪽.
박인기(2006). 국어교육과 타 교과교육의 상호성. <국어교육> 120호. 한국어교육학회. 1-30쪽.
박인기(2008). 문화와 문식성의 관계 맺기. 노명완·박영목 외(2008). 문식성 교육 연구. 한국문화사. 78-98쪽.
박정진(2008). 국어수업의 질문활동 연구. 한국문화사.
박정진·이형래(2009). 읽기 교육에서의 콘텍스트: 의미와 적용. <독서연구> 21호. 한국독서학회. 9-31쪽. 박정진(2009). 국어교육학 정체성 탐구. 소통. 11장(289-308, 재수록)
박정호․양운덕․이봉재․조광제 엮음(1996). 현대 철학의 흐름. 동녘.
박창균(2007). 말하기·듣기 수업에서의 맥락화 유형 분석. <국어교육학연구> 28. 국어교육학회. 361-392쪽.
박창균(2008). 듣기·말하기 교육에서 맥락 설정에 관한 연구. 고려대 국어교육과 박사학위 논문.
박태호(2000a). 장르 중심 작문 교육의 내용 체계와 교수․학습 원리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태호(2000b). 장르 중심 작문 교수 학습론. 박이정.
박형우(2006). 국어 지식 교육 내용의 변천 연구. <국어교육> 119. 한국어교육학회. 431-456쪽.
박형우(2010). “2007년 국어과 교육과정 ‘문법’ 영역 쟁점에 따른 ‘맥락’ 범주 문제(김슬옹)”에 대한 토론문. <[한]국어교육에서 통합적 문법 교육> 한국문법교육학회·고려대 국어소통능력연구센터 공동학술대회(한국문법교육학회 12차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한국문법교육학회. 108-110쪽.
변홍규(1994/1995:증보개정). 질문제시의 기법. 교육과학사
부산광역시교육청(2009). 세계 각국의 교육과정 및 운영 사례. 부산: 육일문화사.
서혁(2004). 호주의 교육 체제와 자국어 교육과정. 우리말교육연구소 엮음. <외국의 국어 교육과정 2>. 나라말.
손경민(2006). 소설의 사회문화적 맥락 지도 연구.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손병룡(1998). 의사소통에서 맥락의 역할. <영미어문학연구> 14. 영미어문학회. 373-397쪽.
손병룡(1999). 맥락의 종류와 발화 해석. <영미어문학연구> 15집 2호. 영미어문학회. 267-290쪽.
손병룡(2001). 정보전달에서 맥락의 역할. 경상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손영애(2007). 새로운 국어과 교육과정 시안에 대한 몇 가지 소론. <국어교육> 122호. 국어교육학회. 117-144쪽.
송현정(2006). 교육과정 개정 시안 문법 영역의 개정 방향과 과제. <문법 교육> 5. 한국문법교육학회.
송현정(2006). 국어과 교육내용 적정성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 121. 한국어교육학회. 25-55쪽.
송현정(2006). 국어과 선택과목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개발(연구보고 CRC 2006-17).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송현정(2006). 문법 교육의 이해와 실제. 한국문화사.
신명선(2003). 지적사고처리어의 특성과 그 국어교육적 필요성에 대한 고찰. <어문학> 81. 한국어문학회. 25-48쪽.
신명선(2006). 통합적 문법 교육에 관한 담론 분석. <한국어학> 31. 한국어학회. 245-278쪽.
신명선(2008a).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법 교육 내용에 대한 고찰. <국어교육학 연구> 31. 국어교육학회. 357-392쪽.
신명선(2008b). 의미. 텍스트. 교육. 한국문화사.
신명선(2009). 문법 교육 내용에 관한 담론 분석. <교과 교육 내용 개선 방안을 위한 워크숍-국어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41-50쪽.
신지연(2007). 시(詩) 텍스트의 일곱 가지 텍스트성. <텍스트언어학> 23.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1-44쪽.
신헌재·이재승 편저(1994). 학습자 중심의 국어교육. 서광학술자료사.
신호철(2007). 국어교육의 상보적 통합. <문법교육> 7. 한국문법교육학회. 49-72쪽.
신호철(2009). 국어교육에서 연계성의 개념과 양상 -문법 영역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81. 한국국어교육학회. 183-211쪽.
심영택(2002). 국어적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 연구. <국어교육> 108. 한국어교육학회. 115-179쪽.
심영택(2008). 문식성 교육과 국어 교사의 역할. <문식성 교육 연구> (노명완. 박영목 외 엮음). 한국문화사. 208-223쪽.
안지혜(2005). 맥락(Context)에 기반한 시 교육 방안 연구. 성신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양운덕(1997). 푸코의 권력계보학: 서구의 근대적 주체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경제와 사회> 35. 한울.
오유리(2009). 맥락 중심 소설 읽기교육 방법 연구.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오은영(2008). 상황 맥락을 반영한 쓰기 교수·학습 방법-요청하는 글 쓰기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오지원(2008). 사회적 소통의 맥락 이해를 통한 고전소설 교육방법 연구 : <임진록>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우리말교육연구소 엮음(2004). 외국의 국어 교육과정 2:캐나다, 미국, 호주. 나라말.
우한용(1997). 문학교육과 문화론. 서울대출판부.
원진숙(1997). 언어, 언어학 그리고 언어교육. <한국어학> 6. 한국어학회. 19-33쪽.
원진숙(2001). 구성주의와 작문. <구성주의와 국어교육>(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전국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83-106쪽. <한국초등국어교육> 18(2001). 81-106쪽. 재수록.
원진숙(2009). 지식 기반 정보화 사회의 문식력 신장을 위한 국어교육의 개선 방향. <한국초등교육> 19-2호. 서울교육대학교. 21-32쪽.
유광찬(2000). 통합교육의 탐구. 교육과학사.
유숙현(2010). 맥락을 활용한 시 교육 방안. 대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유재익(1969). contextual Theory와 Prosodic Phonology에 있어서의 Malinowski와 Firth에 관한 소고. <논문집> 5. 대전공업전문학교. 15-27쪽.
윤병희(1999). 교육과정학의 학문적 성격 재개념화를 위한 비판적 시론. <교육과정연구> 17권 2호. 393-410쪽.
윤재웅(1996). 서정주 시 연구.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 논문.
이경화(2008). 텍스트 이해 과정과 맥락의 소통. <문식성 교육 연구> (노명완. 박영목 외 엮음). 한국문화사. 332-354쪽.
이경화·김혜선(2008).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의 상세화 원리 체계화 연구. <국어교육학 연구> 33. 국어교육학회. 525-555쪽.
이관규(2007). 2007년 국어과 문법 교육과정의 개정 특징과 문법 교육의 방향. <청람어문교육> 36호. 청람어문교육학회. 53-80쪽.
이광래(2007). 해체주의와 그 이후. 열린책들.
이광우 외(2008).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8-7-1.
이광우 외(2009).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2009-10-1.
이도영(1998). 언어 사용 영역의 내용 체계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이도영(2000). 표현 이해 교육 내용으로서의 지식, 기능, 전략. 박갑수 외 <국어 표현․이해 교육>. 집문당. 147-172쪽.
이미종(2008). 이론적 지식은 왜 가르쳐야 하는가? :피터즈의 선험적 정당화 논의의 한계와 그 극복 방안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46권 3호. 163-191쪽.
이삼형(1994). 국어과 교육 내용 설정의 두 축-내용의 합목적성과 수준. <한국국어교육연구회 논문집> 52.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이삼형(2005). 새로운 국어과 교육과정의 틀.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새로운 교육과정의 방향 설정(국어교육학회 30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국어교육학회. 187-199쪽.
이상태(1993). 국어교육의 길잡이. 한신문화사.
이상태(2007). 국어과 교육의 환원론적 설계. <국어교육연구> 40. 국어교육학회. 191-212쪽.
이성만(2010). 텍스트언어학의 계보, 대상 그리고 경향. <언어과학연구> 52. 119-148쪽.
이성영(1995). 국어교육의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이성영(1995). 언어지식 영역 지도의 필요성과 방향. <국어교육연구>2.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연구소. 97-124쪽.
이성영(2001). 구성주의적 읽기 교육의 방향. <구성주의와 국어교육>(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전국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55-76쪽. <한국초등국어교육> 18(2001). 57-79쪽. 재수록.
이성영(2007a). 구성주의 읽기 평가의 내용과 방법. <독서연구> 18. 한국독서학회. 125-155쪽.
이성영(2007b). 2007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성과 문제점. <우리말교육현장연구> 창간호. 우리말교육현장학회. 103-128쪽.
이성영(2010). ‘독서’ 과목의 구조. <국어교육> 131. 한국어교육학회. 141-168쪽.
이성은(1994). 총체적 언어 교육. 창지사.
이수진(2007). 국어과 주제중심 통합 단원의 개발 방안 탐색. <국어국문학> 145호. 국어국문학회. 437-465쪽
이원표(2001). 담화분석-방법론과 화용 및 사회언어학적 연구의 실제. 한국문화사.
이은희(1994). 언어 영역의 위상과 내용 선정 방식에 관한 연구. <선청어문> 22. 서울대 국어교육과.
이은희(2000). 텍스트언어학과 국어교육. 서울대학교출판부.
이재기(2005). 문식성 교육 담론과 주체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재기(2006). 맥락 중심 문식성 교육 방법론 고찰. <청람어문교육> 34. 청람어문학회. 34-99쪽.
이재승(1992). 통합 언어(whole language)의 개념과 국어교육에의 시사점. <국어교육> 79. 한국어교육학회. 73-89쪽.
이재승(2002). 언어 기능 통합 지도의 배경과 층위. <한국초등국어교육> 25.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139-162쪽.
이재승(2004). 읽기와 쓰기 통합 지도의 방법과 유의점. <독서연구> 11호. 한국독서학회. 275-299쪽.
이재승(2006). 통합적 국어교육의 개념과 성격. <한국초등국어교육> 31. 171-192쪽.
이재승(2008). 새 국어 교과서 개발의 쟁점. <한국초등국어교육> 38.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73-405쪽.
이종열(2003). 국어지식 영역 내용체계의 통합적 재구성 방안. <문학과 언어> 25. 문학과언어연구회. 127-160쪽.
이주섭(2001). 상황 맥락을 반영한 말하기․듣기 교육의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이창덕 외(2010). 화법 교육론. 역락.
이호형(2006). 한국과 호주의 국어교육적 특성 고찰. <대학원논문연구논집> 36. 동국대학교 대학원. 149-196쪽.
임선하(1993). 창의성에의 초대. 교보문고.
임성우(2005). 맥락과 주변장의 상관관계에 관한 고찰. <독일어문학> 31. 한국독일어문학회. 335-354쪽.
임언 외(2008). 미래 사회의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8-7-2.
임천택(2007). 새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선정 범주 ‘맥락’의 현장 소통 방안. <청람어문교육> 36호. 청람어문교육학회. 109-141쪽.
장경희․최미숙(1999/2008). 맥락.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1999/2008: 5쇄). 국어교육학 사전. 대교. 231-232쪽.
장덕순(2009). 맥락 중심의 자기 질문하기가 설명적 텍스트의 독해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장윤상(2009). 상위이론의 관점에서 본 Dell Hymes, Willam Labov, 그리고 John Gumperz의 사회언어학 특징 비교 분석. <사회언어학> 17권1호. 한국사회언어학회. 33-60쪽.
전윤경(2004). 맥락 중심 읽기․쓰기 통합 교재 구성 방안 연구.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광숙(2004). 한․미․호 초등 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 비교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덕순(2009). 맥락 중심의 자기질문하기가 설명적텍스트의 독해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옥년(2007a). 독서의 정의적 영역과 독자 발달. <독서연구> 17-1. 한국독서학회. 139-180쪽.
정옥년(2007b). 글쓰기 위한 읽기의 성격과 전략. <작문연구> 5. 작문교육학회. 75-103쪽.
정재찬(2006). 소통과 연대를 위한 국어교육. <국어교육> 120호. 한국어교육학회. 31-70쪽.
정혜승(2002).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연구. 박이정.
정혜승(2007).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비판적 점검. <우리말 현장연구> 1. 우리말교육현장학회. 163-188쪽.
정혜승(2008a). 문식성 개념 변화와 교육과정적 함의. 노명완·박영목 외(2008). 문식성 교육 연구. 한국문화사. 169-191쪽.
정혜승(2008b). 문식성 교육의 쟁점 탐구. <교육과정평가연구> 11-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61-185쪽.
조성오(1994: 개정3판). 철학 에세이. 동녘.
조영남(1998). 구성주의 교수-학습. 김종문 외(1998). 구성주의 교육학. 교육과학사. 151-180쪽.
조용기(1998). 구성주의 교육의 구성. 김종문 외(1998). 구성주의 교육학. 교육과학사. 133-149쪽.
조희정(2007). 가상 맥락을 도입한 글쓰기 교육 연구. <국어교육학 연구> 30. 국어교육학회. 501-537쪽.
주세형(2006). 문법 교육론과 국어학적 지식의 지평 확장. 역락.
주세형(2009). 할리데이 언어 이론의 국어교육학적 의미. <국어교육> 130호. 한국어교육학회. 173-204쪽.
진선희(2007a). 개정교육과정(2007) 국어과 교육 내용 ‘맥락’의 교재화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7-2.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77-308쪽.
진선희(2007b). 문학 소통 ‘맥락’의 교육적 탐색. <문학교육학> 26. 문학교육학회. 220-253쪽.
진선희(2009). 국어과 교육 내용 '맥락'의 구현 방향. <국어교육연구> 45. 국어교육학회. 245-286쪽.
진지숙(2007). 협동 학습을 통한 건의문 쓰기 수업 모형 연구. 전남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천경록(1995). 기능, 전략, 능력의 개념 비교. <청람어문학> 13. 청람어문학회. 316-330쪽.
최경봉(2006). 문법 교과서의 내용 체계상 문제점과 개선 방안. <국어국문학> 142. 국어국문학회. 431-463쪽.
최규홍(2007). 국어과 교수․학습 모형 연구-언어 사용 기능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35. 청람어문교육학회. 109-128쪽.
최명원(2002). 언어와 언어 사용에 있어서 맥락의 의미. <독일어문학> 19. 477-495쪽.
최미숙 외(2008). 국어교육의 이해. 사회평론.
최민자(2010). 통섭의 기술. 모시는사람들.
최성덕(2006).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성’과 ‘계속성’에 관한 연구. <문법교육> 5. 한국문법교육학회. 137-169쪽.
최영은(2009). 맥락 단서를 활용한 어휘력 신장 방안.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최영환(1995). 언어 능력 신장의 관점에서 본 언어 지식 영역의 지도 내용. <국어교육연구>2.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177-208쪽.
최영환(1995). 언어 사용 전략의 자동화와 초인지. <국어교육학 연구> 5. 국어교육학회. 1-22쪽.
최영환(1997). 기능과 전략 중심의 교육과정 설계 방안. <국어교육> 95.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47-173쪽.
최인자(2001). 문식성 교육의 사회·문화적 접근. <국어교육연구> 8.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국어교육연구소. 191-220쪽.
최인자(2006). 청소년 문학 독서경험의 질적 이해를 위한 맥락의 탐구. <독서연구> 16. 한국독서학회. 163-197쪽.
최인자(2008). 문학 독서의 사회, 문화적 모델과 맥락 중심 문학교육의 원리. <문학교육학> 25. 한국문학교육학회. 427-449쪽. 노명완·박영목 외(2008). 문식성 교육 연구. 한국문화사. 118-135쪽. 재수록.
최창렬(1983). 맥락과 발화의미. <어학> 10. 전북대학교 어학연구소. 51-63쪽.
최창렬(1999). 말과 의미. 집문당.
최창렬․심재기․성광수(1986). 국어의미론. 개문사.
최현섭 외 6인(1996: 2판). 국어교육학. 삼지원.
한민경(2008). 맥락 중심 읽기 방법 연구. 한국교원대 석사학위 논문.
허재영(2006). 국어과 교육의 이해와 탐색. 박이정. 29-40쪽.
홍상오(1984). 맥락과 의미결정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석사학위논문.
황기동(2007). 초기 맥락의 형성에 대한 연구. <영미어문학연구> 23-1. 영미어문학회. 5-25쪽.
황미향(2009). 국어과 교수․학습 개선 방안-쓰기 ‘맥락’ 체험으로서의 프로젝트 접근법-. <청람어문교육> 39. 343-372쪽.
황재웅(2008). 맥락 중심 읽기와 텍스트 유형의 상관성 고찰-비문학 텍스트를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38. 청람어문교육학회. 309-337쪽.
- 외국어 문헌과 번역서
Auer, P and Di Luzio.(1992). The contextualization of Language. Amsterdaum: John Benjamins.
Auer, P.(1992). Introduction: John Gumperz'approach to contextualization. In Peter Auer and Aldo DiLuzio(eds.). The Contextualization of Language: 1-37. Amsterdam: John Benjamins.
Auer, P.(1995). Content and contextualization. In Verschueren, J., Ostman, J.-O., and Blommaert,J.(eds.). Handbook of pragmatics. 1-19. Amsterdam: John Benjamins.
Austin, J.L.(1962/1965). How to do Things with Words. Oxford University Press.김영진 옮김.(1992). 말과 행위. 서광사.
Bakhtin, M.(1986). Speech Genres and Other Late Essays. (trans.)Caryl Emerson & Michael Holquist. Univ. of Taxas.
Baron.Naomi S.(1994). Do words have meaning? Dictionaries. definitions. and context. New Departures in Linguistics. George Wolf(ed).(1992). New York: Garland(Semiotica 99. 1994. Walter de Gruyter에 재수록).
Barthes, R.(1957). Mythologies. Paris: Le seuil.
Beaugrande, R & Dresseler, W.(1981). Introduction to Text Linguistics. London: Longman. 김태옥․이현호 공역(1991). 담화․텍스트 언어학 입문. 양영각. 김태옥 역(1995). 텍스트 언어학 입문. 한신문화사.
Benveniste. Emile.(1966). Problèms de linguistique générale. Ⅰ. Gallimard. 황경자 옮김(1992). 일반언어학의 제 문제 Ⅰ. 민음사.
Benveniste. Emile.(1974). Problèms de linguistique générale Ⅱ. Gallimard. 황경자 옮김(1992). 일반언어학의 제문제 Ⅱ. 민음사.
Berns. M.(1990). Contexts of Competence: Social and Cultural Considerations in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London and New York: Plenum Press.
Blass, R.(1990). Relevence Relations in Discourse. Cambridge: Cambridge UP.
Blommaert,Jan.(2001). Context is/as critique. Critique of Anthropology 21/1: 13-32.(special issue on Discourse and Critique, ed. J. Blommaert, J. ollins, M. Heller, B.Rampon, S. Slembrouck, and J. Verschueren).
Blommaert,Jan.(2005). Discourse: A Critical Introduc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Blommaert,Jan.(ed.).(1999). Language Ideological Debates. Berlin: Mouton de Gruyter.
Brinker,K.(1985). Linguistische Textanalyse. Berlin: E.Schmidt 이성만 역(1994). 텍스트 언어학의 이해. 한국문화사
Brown, H. Douglas.(2001). Teaching by Principles:An Interactive Approach to Language Pedagogy. NY:Longman. 권오량 김영숙 옮김(2008). 원리에 의한 교수: 언어 교육에의 상호작용적 접근법. 피어슨에듀케이션코리아.
Bruner,J.S.(1996). The Culture of Educa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anale & Swain.(1980). Theoretical Bases of Communicative Approches to Second language and Testing. Applied Linguistics 1. PP.1-47.
Chierchia. Gennaro and Sally McConnell-Ginet. 1990. Meaning and Grammar. Cambridge: The MIT Press.
Chomsky,N.(1957).Syntactic Structures.The Hague:Mouton/Co. 이승환 이혜숙 공역(1966). 변형-생성문법의 이론. 범한서적.
Clark, H. & Carlson, T.(1981). Context for Comprehension. in J. Long and A. Baddeley(Eds.), Attention and Performance. NJ: Erlabum.
David R.Russell.(2009). Texts in contexts: theorizing learning by looking at genre and activity. Richard Edwards. Gert Biesta and Mary Thorpe (eds).(2009). Rethinking Contexts for Learning and Teaching : Communities. Activiites and networks. London and New York:Routledge. pp. 17-30.
Deleuze, Gilles.(1981). Difference et repetition. Paris: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김상환 옮김(2004). 차이와 반복. 민음사.
Deleuze. Gilles.(1969). Logique du sens. Paris: Editions de Minuit. 이정우 옮김(1999). 의미의 논리. 한길사.
Derrida. Jacques.(1972). La dissémination. aux éditions du seuil.
Dijk. T.A. & Kintsch.W.(1983). Strategies of Discourse Comprehension. Academic Press. Inc.
Duranti,A and Goodwin,C.(eds.).(1992). Rethinking Contex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Eagleton. Terry.(1991). Ideology: An Introduction. London & New York: Verso 여홍상 옮김(1994). 이데올로기 개론. 한신문화사.
Eco. Umberto.(1984). Semiotics and the Philosophy of Language. Indiana University Press. 서우석・전지호 옮김(1987/1997). 기호학과 언어철학. 청・하.
Edward O.Wilson.(1999). Consilience_The Unity of Knowledge. New York: Vintage Books A Division of Random House. INC.최재천・장대익 옮김(2007). 통섭. 사이언스북스.
Fairclough, N. (1995). Critical Discourse Analysis. London: Longman.
Fairclough, N. (1995). Media Discourse. Edward Arnold.이원표 역(2004). 대중매체 담화 분석. 한국문화사.
Fairclough, N. (ed.).(1992). Critical Language Awareness. London : Longman.
Fairclough. N.(1989). Language and Power. London and New York: Longman.
Figueroa,E.(1990). Sociolinguistic Metatheory: An Utterance-based Paradig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eorgetown University.
Figueroa,E.(1994). Sociolinguistic Metatheory. Oxford: Pergamon.
Firth. J.F.(1957). Papers in Linguistics 1934-1951. London: Oxford Up.
Foucault. Michel.(1966). Les mots et les choses. Paris: Gallimard. 이광래(역)(1987). 말과 사물. 서울: 민음사.
Foucault. Michel.(1969). L’archeologie du savoir. Paris: Gallimard. 이정우(옮김)(1992). 지식의 고고학. 서울: 민음사.
Foucault. Michel.(1971). L’ordre du discours. Paris: Gallimard. 이정우(옮김)(1998). 담론의 질서. 서울: 서강대학교출판부.
Freedman, A. & Medway, P.(1994). New Views of Genre and There Implications for Education, in Freedman & Medway eds., Learning and Teaching Genre, Boynton/Cook Publishers.
Gee,J.P.(1999). An introduction to discourse analysis: Theory and method. London: Routledge.
Gee,J.P.(2001). Reading as situated language: A Sociocognitive perspective. Journal of Adolescent & Adult Literacy 44, Th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pp 714-725. Robert b.Ruddell, Norman J.Unrau (eds).(2004). Theoretical Models and Processes of Reading(Fifth Edition) 1-4.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pp.116-132.
Gert Biesta.(2009). Pragmatism's contribution to understanding learning-in-context. Richard Edwards, Gert Biesta and Mary Thorpe (eds).(2009), Rethinking Contexts for Learning and Teaching : Communities, Activities and network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pp.61-73.
Gibbs. Raymond.W.Jr.(1994). The poetics of min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von, T.(1989). Mind, Code and Context. Essays in Pragmatics. Lond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Goodman, Y. M. (1989). Roots of the whole-language movement.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Volume 90.
Göran Therborn.(1980). The Ideology of Power and the Power of Ideology. Verso Edition and NLB괴란 테르본/최종렬 옮김(1994). 권력의 이데올로기와 이데올로기의 권력. 백의.
Gumperz, J.(1972). Introduction. In Gumperz,J., and Hymes, D. (eds.), Directions in Sociolinguistics: The Ethnography of communiaction: 1-25, London: Blackwell.
Gumperz, J.(1982). Discourse Strategi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Gumperz, J.(1992). Contextualization revisited. In Auer, P., and DiLuzio, A. (eds.), The Contextualization of Language. pp.39-53. Amsterdam: John Benjamins.
Halliday,M.A.K and Hasan,R.(1976). Cohesion in English.. London: Longman.
Halliday,M.A.K and Hasan,R.(1989). Language, Context, and Text: aspects of language in a social-semiotic perspective. Oxford University Press.
Halliday,M.A.K.(1978). Language as Social Semiotic: The social Interpretation of Language and Meaning. London: Edward Arnold.
Halliday,M.A.K.(1985/1994: 2nd ed).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London: Edward Arnold.
Halliday,M.A.K.(2002/J.Webster ed.). Linguistic Studies of Text and Discourse. Continuum: London and New York.
Harris.Roy.(1990). On redefining linguistics. In The Foundation of Linguistics Theory. N.Love(ed). London: Routledge.
Havermas, J.(1984).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Vol. 1. Reason and the Rationalization of society. London: Heinemann.
Hayakawa. S.Ⅰ.(1964/1978). Language in Thought and Action. London: George Allen & Unwin Ltd.
Hjelmslev.Louis/Trans by Francis J.Whitfield.(1961). Prolegomena to a Theory of Language.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Hunt E.(1994). Problem Solving. in Steinberg R.J. Ed.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London: Academic Press Ltd.
Hymes, D.(1964). Introduction: Toward ethnographies of communication. In the communication, (eds). J.J.Gumperz and D.Hymes.Washington.D.C: American Anthnopological Association. pp.1-34.
Hymes, D.(1966). Two types of linguistic relativity (with examples from Amerindian ethnography). In Bright, W. (ed.), Sociolinguistics: Proceedings of the UCLA Sociolinguistics Conference, The Hague: Mouton. pp. 114- 158.
Hymes, D.(1974). Foundations in Sociolinguistics: An Ethonographic Approach.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Irene C. Fountas, Gay Su Pinnell.(2001). Guiding Readers and Writers Grades 3-6. Heinemann.
Jakobson, Roman.(1963). Essais de linguistique Générale. Minuit 권재일 옮김(1989/1994). 일반언어학이론. 민음사.
Jean-Jacques Lecercle.(2002). Deleuze and Language. Newyork: Palgrave Macmillan.
Joseph. John.・Talbot J.Taylor.(1990). Ideologies of Language.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Kate Miller.(2009). Implications for researching learning contexts. Edited by Richard Edwards, Gert Biesta and Mary Thorpe. Rethinking Contexts for Learning and Teaching.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pp 162-172.
Katz. J.J.(1972). Semantic Theory. Harper &Row.
Kempson. R.M.(1977). Semantic Theor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허광일・이석주・박양귀 공역(1980). 의미론. 한신문화사.
Kristeva, Julia.(1974). La Révolution Du Langue Poetique. Paris: Editons du Seuil. 김인환 옮김(2000). 시적 언어의 혁명. 동문선.
Labov, W.(1966). The Social Stratification of English in NewYork. Washington, DC: Center for Applied Linguistics.
Lakoff. George and Mark Johnson.(1980). Metaphors We Live B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노양진・나익주 옮김(1995). 삶으로서의 은유. 서광사.
Lakoff. George.(1987). Women. Fire. and Dangerous Things.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이기우 옮김(1994). 인지 의미론. 한국문화사.
Leech. Geoffrey.(1974/1981). Semantics. Harmondworth: Penguin Books.
Lobov, W.(1972). Sociolinguistic Patterns.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Louis Althusser.(1965/1986). Pour Marx. Ed. La Decouverte. 고길환・이화숙 역(1990/1992). 마르크스를 위하여. 백의/Trans by Ben Brewster.(1977). For Marx. London(NLB). The Penguin Press.
Louis Breger.(1974). From Instinct to Identity: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Prentice-Hall,Inc. 홍강의・이영식 옮김(1998). 인간 발달의 통합적 이해: 본능에서 정체성으로의 발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Ludwig Wittgenstein.(1953). Philosophische Untersuchung(2001. Blackwell). 이영철 옮김(2006). 철학적 탐구. 책세상.
Lyons.J.(1968). Introduction to Theoretical Linguis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Lyons.J.(1977a). Semantics.(1.Vol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Lyons.J.(1977b). Semantics.(2.Vol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Lyons.J.(1981). Language, Meaning and Context. London: Fontana. 현대언어학연구회 역(1984). 언어, 의미와 상황맥락. 한신문화사.
Lyons.J.(1995). Linguistic Seman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M.A.K.Halliday and Ruqaiya Hasan.(1989). Language, Context, and Text: aspects of language in a social-semiotic perspective. Oxford University press.
M.K.뮤니츠/박영태 옮김(1997). 현대 분석 철학. 서광사.
Malinowski,.B.(1923). The Problem of Meaning in primitive language. Appendix to C.K. Ogden and I.A.Richards. The Meaning of Meaning. London.: Routledge &Kegan Paul.
Martin Jonghak Baik.(1995). Language, Ideology, And Power, English Textbook of Two Koreas. Seoul: Thaehaksa.
Martin, J. R.(1985). Process and text: two aspects of semiosis. In Benson,J.and Grevas,W.eds. Systemic perspectives in discourse. Vol 1. Norwood,NJ: Ablex, pp. 248-274.
Martin, J. R.(2000). Close reading: Functional linguistics as a tool for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n Unsworth, L. (ed.), Researching Language in schools and Communities: Functional Linguistic Perspectives: 275-302. London: Cassell.
Mary Jett-Simpson. Lauren Leslie.(1997). Association, Authentic Literacy, Wisconsin Reading. 원진숙 역(2004). 생태학적 문식성 평가. 한국문화사.
Mary Thorpe and Terry Mayes.(2009). The implications of learning contexts for pedagogical pratice. Richard Edwards, Gert Biesta and Mary Thorpe.(eds). Rethinking Contexts for Learning and Teaching.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pp 149-161.
Mathewson, G. C.(2004). Models of attitude influence upon reading and learning to read. In Ruddel & Unrau(Eds.). Theoretical models and processes of reading(5th).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1431-1461. Newark, DE.
McConnell-Ginet. Sally.(1989). The sexual (re)production of meaning: a discourse-based theory. In Frank and Treichler.
Mey. Jacob L.(1993). Pragmatics. Cambridge: Blackwell. 이성범 옮김(1996). 화용론. 한신문화사.
Michael Polanyi.(1958). Personal Knowledge: Towards a Post-Critical Philosoph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표재명·김봉미 옮김(2001). 개인적 지식. 아카넷.
Michael Toolan.(1996). Total Speech: An Integrational Linguistic Approach to Language (Post-Contemporary Interventions). Duke University Press.
Michel Pêcheux/Trans by Harbans Nagpal.(1975). Language. Semantics And Ideology. Francois-Maspero.
Mills, Sara.(1997). Discourse. New York: Routledge. 김부영 역(2001). 담론. 인간사랑.
Milroy and Milroy.(1990). Language in Society: Sociolinguistics. Collinge.
Milroy, L.(1983). Comprehension and context: successful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ve breakdown. Edited by Peter Trudgill. Applied Sociolinguisitics. Academic Press. pp. 7-31.
Myers, J. W.(1993). Making Sense of Whole Language. Bloomington: Phi Delta Kappa Educational Foundation.
N.N.Spivey.(1997). The constructivist metaphor : reading, writing, and the making of meaning. 신헌재 외 옮김(2002/2004: 개정판). 구성주의와 읽기:쓰기, 의미구성의 이론. 박이정
New Zealand Ministry of Education.(2007). The New Zealand Curriculum. Wellington: New Zealand Ministry of Education.
Nunan. David.(1993). Introducing Discourse Analysis. London: Penguin.
OECD.(2003).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DeSeCo). OECD Press.
Osgood. C.E. Suci. G.J.&Tannenbaum. P.(1957). The Measurement of Meaning.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Palmer. F.R.(1981). Semantics(2nd).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현대언어학연구회 옮김(1984). 의미론. 한신문화사.
Paris,S.G., Lipson,M.Y., & Witson,K.K..(1983). Becoming a strategic reader.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8.293-326.
Pêcheux. Michel.(1971). La Semantique et La Coupure Saussurienne: Langue. Langage. Discours/Choisis et Presentes Par Denise Maldidier.(1990). L’inquietude Du Discours. Editions Des Cendres.
Pêcheux. Michel.(1975). Les verites de La Palice. Francois-Maspero/Trans by Harbans Nagpal.(1982). Language. Semantics And Ideology. New York: St. Martin’s Press.
Quasthoff.U.M.(1997). context. In Encylopedia of Language and Educati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Netherland. pp. 730-737.
Quine,W.V.(1960). Words and Objects. Cambridge Massachusetts: MIT Press.
Rapoport. Anatol.(1950). Science and the Goals of Man. Harper & Brothers. 안동환 옮김(1977). 과학과 인간의 목표. 한국문화사.
Rex.L,Green.J,Dixon.C.(1998). What Counts When Context Counts?: The Uncommon "Common" Language of Literacy Research, Journal of Literacy Research 30(3). pp.405-433
Richard Edwards, Gert Biesta and Mary Thorpe (eds).(2009). Rethinking Contexts for Learning and Teaching: Communities. Activites and network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Richard Edwards.(2009). Introduction: Life as a learning context?. Richard Edwards, Gert Biesta and Mary Thorpe (eds).(2009). Rethinking Contexts for Learning and Teaching : Communities, Activities and network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pp. 1-13.
Robert b.Ruddell, Norman J.Unrau (eds).(2004). Theoretical Models and Processes of Reading(Fifth Edition) 1-4.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Roland Barthes.(1973). Le Plasir de texte. Paris: Seuil. 김희영 옮김(1997). 텍스트의 줄거움. 동문선.
Roland Barthes.(1984). Le bruissement de la langue. Paris: Seuil(Translated by) Richard Howard.(1989). The Rustle of Language. Berkeley and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Rosenblatt, L. M.(1978). The reader, the text, the poem. Carruthers Illinois university Press.
Ryle, Gilbert.(1949). The Concept of mind. London: Hutchinson's University Library. 이한우 역(1994). 마음의 개념. 문예출판사.
Ryle, Gilbert.(1994). Plato's progress. Bristol: Thommes Press.
Saussure/Edited by Bally. Charles and Sechehaye. Albert.(1972). Cours de Linguistique Generale. Payot. 최승언 옮김.(1990). 일반언어학 강의. 민음사.
Schaff. Adam.(1967). Die Sprache und das menschliche Handelen. <Essays über die Philosophie der Sprache> 윤명노 역(1987). 언어와 인간행위. <철학 오늘의 흐름>. 동아일보사.
Schegloff, E.(1997). Whose text? Whose context? Discourse and Society 8: 165-187.
Schiffrin. Deborah.(1994). Approaches to discourse. Oxford: Blackwell.
Smith, .P.L: Ragan.T.J.공저/김동식・정옥년・장상필 공역(2002). 교수설계이론의 탐구. 원미사.
Sperber, D., and D. Wilson.(1986). Relevance: Communication and cognition. Oxford: Blackwell(Second edition 1995). 김태옥・이현호 옮김(1993/2010). 인지적 화용론-적합성 원리와 커뮤니케이션 . 한신문화사.
Sternberg, Robert J., ed.(1994).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cademic Press.
Steve Fox.(2009). Contexts of teaching and learning: an actor-network view of the classroom. Richard Edwards, Gert Biesta and Mary Thorpe (eds).(2009), Rethinking Contexts for Learning and Teaching : Communities, Activities and network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pp.31-43.
Tamsin Haggis.(2009). Beyond 'mutual consititution': looking at learning and context from the perspective of complexity theory. Richard Edwards, Gert Biesta and Mary Thorpe (eds).(2009). Rethinking Contexts for Learning and Teaching : Communities. Activities and network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pp. 44-60.
Taylor. John.(1995). Linguistic Categoriz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조명원・나익주 옮김(1997). 인지언어학이란 무엇인가-언어학과 원형 이론. 한국문화사.
Terry Eagleton.(1991). Ideology: An Introduction. Verso/여홍상 옮김(1994). 이데올로기 개론. 한신문화사.
Tomas, G. P.(1986). Mutual Knowledge: A Theoretical Basis for Analyzing Audience, College English 48.6
Toolan. M.(1997). What i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nd why are people saying such terrible things about it? Language and Literature 6: 83-103.
V.N.Vološnov.(1929). Marksizm I filosofija jazyka. Lenigarad/Trans by Ladislav Matejka and I.R.Titunik.(1986). Marxism And The Philosophy of Language. Harvald University Press/송기한 역(1988). 마르크스주의와 언어철학. 겨레./송기한 옮김(2005). 언어와 이데올로기. 푸른사상.
Van Dijk.(1978/1980)/정시호 옮김(1995). 텍스트학. 민음사.
Van Dijk.(1997). What is political discourse analysis? In Blommaert, J., and Bulcaen, C. (eds.). Political Linguistics: 11-52. Amsterdam: John Benjamins.
von Glaserfeld,E.(1991). Constructivism in Education.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Curriculum. Oxford: Pergamon Press. pp.31-32.
von Glaserfeld,E.(1995).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Teaching. Constructivism in Education 1. P.Steffe&J.Gale,eds. Hillsdale Nj: Lawrence Erbaum Associates, Publishers. pp.3-15.
Vygotsky, L.S.(1934)/Edited and translated by Eugenia Hanfmann and Certrude Vakar.(1962). Thought and Language. THE. M.I.T.PRESS. 신현정 역(1985). 사고와 언어. 성원사.
W.Hanks.(2006). Context. 번역: 김혜정(2009). 읽기의 맥락과 맥락 읽기. <독서연구> 21. 독서교육학회. 34-41쪽.
Widdowson,H.G.(1977). Teaching Language as Communi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Widdowson,H.G.(1979). Explorations in Applied Lingu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Widdowson,H.G.(1995). Discourse analysis: A critical view, Language and Literature 4: 157-172.
Widdowson,H.G.(1996). Reply to Fairclough: Discourse and interpretation: Conjectures and refutations. Language and Literature 5: pp.57-69.
Widdowson,H.G.(1998). The theory and practice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pplied Linguistics 19: 136-151.
Widdowson,H.G.(2004). Text, Context, Pretext: Critical Issues in Discourse Analysis. Blackwell Publishers.
Witte, S. P.(1992). Context, Text, Intertext: Toward a Constructivist Semiotic of Writing. Written Communication 9(2). pp.237-308.
다이안 맥도넬(1992)/임상훈역(2002). 담론이란 무엇인가. 한울.
마페졸리․르페부르 외/박재환, 일상성・일상생활연구회 옮김(1994). 일상생활의 사회학. 한울아카데미.
스테파니 하비․앤 구드비스/남택현 옮김(2009). 독서 몰입의 비밀. 커뮤니티.
<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