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④ |
2 |
⑤ |
3 |
② |
4 |
⑤ |
5 |
① |
6 |
② |
7 |
① |
8 |
② |
9 |
④ |
10 |
② |
11 |
① |
12 |
② |
13 |
③ |
14 |
③ |
15 |
④ |
16 |
⑤ |
17 |
③ |
18 |
④ |
19 |
① |
20 |
① |
해설
1. [출제의도] 불교의 수행 자세 이해하기
보시(布施)는 자비의 마음으로 다른 존재에게 아무런 조건 없이 널리 베풀어 주는 것을 의미한다. (을)에게는 이웃의 어려움을 외면하고 있기에, 바라밀의 수행 자세 중 보시가 요청된다.
2. [출제의도] 노자와 플라톤의 이상 사회 이해하기
(가)는 노자, (나)는 플라톤이 제시한 이상 사회이다. 노자는 소국과민(小國寡民)을 주장하였으므로 국가의 적극적 역할을 중시한다고 볼 수 없다.
3. [출제의도] 정명 사상 이해하기
지문은 정명(正名) 사상에 대한 공자와 자로의 대화이다. ①은 의(義), ③은 서(恕), ④는 예(禮), ⑤는 경(敬)이다.
4. [출제의도] 장자 사상 이해하기
지문은 장자의 사상이다. 그는 도(道)의 관점에서 만물을 평등하게 보고, 물아(物我)의 분별을 잊는 정신적 자유의 경지를 추구했다.
5. [출제의도] 순자의 인성론 이해하기
순자는 「성악편(性惡篇)」에서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이익을 좋아하고, 감각적 쾌락을 가지고 있다고 하며 화성기위(化性起僞)를 주장했다. ②는 맹자, ④는 법가, ⑤는 공자의 견해이다.
6. [출제의도] 도덕 규범의 상대성 추론하기
칼라트인과 그리스인의 장례 문화에서 상대주의적 입장을 추론할 수 있다. 문화를 상대주의적 입장에서 보면 각 문화를 독특한 환경과 사회·역사적 상황에서 이해하게 된다. ㄴ, ㄹ은 도덕 규범을 절대론적 입장에서 말하고 있다.
7. [출제의도] 자아 실현의 조건 이해하기
지문을 통해 절제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절제란 좀 더 큰 목적 달성을 위해 주어진 충동과 욕망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다. ②는 창의성, ③은 건강, ④는 조화로운 인간 관계, ⑤는 공정성에 대한 설명이다.
8. [출제의도] 루소의 이상 사회 이해하기
루소는 빈부 격차가 거의 없는 소농(小農)으로 구성된 정치 공동체가 직접 민주주의에 의해 운영되는 민주 사회를 이상 사회로 제시하고 있다. ㄹ은 공산주의 사회이다.
9. [출제의도] 자유 의지와 책임 이해하기
지문의 출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윤리학」이다. 지문은 덕과 부덕, 선행과 악행의 선택이 개인에게 달려있기 때문에 윤리적 책임 또한 자신이 져야 한다는 의미이다.
10. [출제의도] 선종의 견해 이해하기
선종은 돈오(頓悟), 이심전심(以心傳心), 불립문자(不立文字)를 주장한다. ㄴ은 교종, ㄷ은 소승 불교의 견해이다.
11. [출제의도] 유가와 묵가의 사상 비교하기
지문은 묵가의 입장에서 유가를 비판하는 내용이다. ㉠은 유가, ㉡은 묵가 사상가들이다. 유가는 존비친소의 구별과 분별적 사랑을 주장했고 묵가는 겸애의 윤리를 주장했다. 묵가는 유가가 지나치게 형식에 얽매여 예의범절을 중시하는 것을 비판하면서, 허례 허식에서 벗어나 생산에 힘쓸 것을 주장하였다.
12. [출제의도] 신유학의 특징 이해하기
(가)는 성리학, (나)는 양명학이다. 두 사상은 성선설을 바탕으로 도덕성의 보존과 함양을 통해 성인(聖人)이 되는 것을 학문의 목표로 삼고 있다.ㄴ은 성리학의 선지후행(先知後行), ㄹ은 양명학의 격물(格物)에 대한 해석이다.
13. [출제의도] 한비자와 홉스의 인성론 이해하기
지문은 한비자와 홉스(T. Hobbes)의 인성론이다. 한비자는 성악설을 주장한 순자의 영향을 받아 인간은 이기적이며 간사한 지혜가 있기 때문에 믿을 수 없고 오직 상과 벌로써만 조종할 수 있다고 보았다. 홉스는 인간이 이기적이기 때문에 자연 상태에서는 대립, 갈등과 투쟁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14. [출제의도] 다양한 사회 사상 이해하기
그림의 틀을 이용하여 다양한 사상을 분류할 수 있다. ①은 집단주의, ②는 민족주의, ③은 사회주의, ④와 ⑤는 자유주의를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①은 (C)와 (D), ②는 (D), ④와 ⑤는 (B)에 위치한다.
15. [출제의도] 인간의 특성 이해하기
동학, 불교, 합리주의는 인간을 평등하다고 본다. 동학은 사람들이 모두 한울님을 모시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신분 차별과 남녀 차별을 반대한다. 불교는 모든 사람을 부처가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평등하다고 본다. 합리주의는 인간이 이성을 가지고 있다는 면에서 평등한 존재라고 주장한다.
16. [출제의도] 유가와 도가의 하늘 비교하기
도가에서의 하늘은 사람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자연 법칙이다. 즉, 하늘이 인간 또는 다른 존재에게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대하지 않기 때문에 하늘은 그저 자연일 뿐이다. ①, ②, ③, ④는 유교에서 말하는 하늘과 관련이 깊다.
17. [출제의도] 실학의 인간관 이해하기
지문은 실학자 정약용의 성기호설이다. 실학에서는 인간을 자연 앞에 독존하는 자율적 인격의 주체로 파악하고, 누구나 평등하게 자신의 욕구를 발현하여 충족시켜 나가는 혈기(血氣)적이고 현실적인 존재로 본다.
18. [출제의도] 충(忠)의 의미 이해하기
지문의 ‘이것’은 충이다. 충은 마음[心]의 중심[中]으로, 자기 자신 및 타인 그리고 국가에 대해서 조금의 속임이나 꾸밈없이 온 정성을 기울인다는 의미이며, 서(恕)와 함께 인(仁)을 실천하는 길이다. ㄱ은 의(義), ㄷ은 예(禮)에 대한 설명이다.
19. [출제의도] 로하스족의 생활 분석하기
로하스(Lifestyle Of Health And Sustainability)는 건강과 지속 가능성을 추구하는 삶의 방식을 말한다. 웰빙이 개인의 육체적․정신적 건강의 조화를 통해 행복한 삶을 추구한다면, 로하스족은 사회적 실천과 미래 세대의 건강과 행복한 삶을 강조한다.
20. [출제의도] 전통 윤리의 형성 배경 이해하기
(가)는 유교, (나)는 불교, (다)는 도교 사상이다. 유교는 인간 관계를 중시하고 도덕 규범의 기반을 정립하여 자신을 절제하고 예절과 의리를 실현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불교는 참된 자기와 세상에 대한 깨우침을 중시하였으며, 중생을 구제하는 자비의 정신을 심어 주었다. 도교는 서민들의 생활 속에 녹아들어 서민의 어려움을 해결해 주는 역할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