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로 배우는 댄스스포츠(11회)
오늘의 주제: 프리암 리듬(Free Arm Rhythm)
1. 기초 프리암 포지션(Basic Free Arm Position)
프리암(Free Arm)은 홀드(hold) 하지 않는 팔을 말한다. 예를 들어 왼손-오른손 홀드(hold)를 한다면 남자는 오른팔 여자는 왼팔이 프리암(Free Arm)이 된다. 노 홀드(No hold)에서는 양쪽 팔이 모두 프리암(Free Arm)이 된다.
원칙적으로 프리암(Free Arm)을 고정시키거나 옆구리로 드랍(drop) 해서는 안 된다,
가장 표준적인 프리암 라인(free arm line)은
숄더라인(shoulder line) 아래쪽으로 유지하며, 팔굽치 부터 팔을 조금 밑으로 기우리고 팔목은 약간 구부리며 손을 밑으로 향한 상태로 옆으로 뻗는 것이다.
다음 기초 프리암 포지션(free arm position)을 규칙적으로 연습해야 하며 보다 정교하고 발전된 자세를 탐구하기 위해 몸에 익혀야 한다.
A. 제 1 포지션(1st Position): 허리 아래로 다운(down)한다.


B. 제2 포지션(2nd Position) : 숄더라인(shoulder line)과 평행하게 뻗는다.


C. 제 3 포지션(3rd Position) : 한 팔을 머리위로 올린다.


D. 제 4 포지션(4th Position) : 양팔을 힙(hip)에.


E. 제 5 포지션(5th Position): 양팔을 머리위로 들어 올린다.

2. 기타 프리암 포지션(Alternative free arm positions).
A. 슈팅(shooting):
허리 높이에서 팔을 뒤로 움츠리면서 파트너 또는 관중을 손가락으로 가리키기.
B. 피스팅(fisting):
특별한 동작을 강조하기 위해 주먹 쥐기. 드물게 사용함.
C. 코밍(combing):
여자가 프리암(free arm)으로 자신의 머리를 뒤로 쓰다듬기.
D. 싯라인(sit line):
체중은 한발에, 다른 발은 단지 볼(ball)만 플로워(floor)에 댄 상태로 양쪽 무릎을 구부리고, 양손을 양쪽 허벅지에 놓기.
3. 프리암 리듬(free arm rhythm).
팔과 손의 움직임에는 반드시 리듬(rhythm)이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프리암(Free Arm) 동작은 부드럽고 유연해야 하며 음악과 바디 리듬(body rhythm)과 코디네이션(Co-ordination)을 이루어야 한다.
그리고,
프리암 리듬(free arm rhythm)은 반드시 바디 리듬(body rhythm)과 함께 시작되어야하고 등 근육에서 나와 팔을 통해 손과 손가락으로 흐른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프리암(free arm) 움직임은 바로 립 케이지(rib cage)동작 을 만들어내는 어께 체중의 세틀링(shoulder weight settling)에서 시작된다.
그러므로
모든 댄서들은 등 근육을 움직여 팔 움직인다는 것을 느끼도록 훈련되어야 한다.
용어설명
프리암(Free Arm): 홀드 하지 않는 팔.
프리암 리듬(free arm rhythm): 프리암을 율동적으로 움직이는 것. 룸바의 포워드 워크(Forward Walk)에서 팔의 움직임이 좋은 예. 댄스스포츠 발전 초기에는 손의 위치를 어께 위로 올리지 못하고 과장하지 못함. 1960년 후반에서야 프리암을 사용해 감정을 표현하기 시작함. 프리암 리듬(free arm rhythm)을 익히기 위해서는 고전 발레의 포르 드 브라(Port de Bras)를 이용해 연습하는 것이 좋다. 아이쇼레이션(Isolation) 연습 1 연습 2 연습 3. 블랙플 콩그래스: 마거래트 래이몬드의 드림 커낵션.
홀드(hold): 손을 잡다.
노 홀드(No hold): 양손을 잡지 않고 춘다.
드랍(drop): 아래로 떨어뜨리다.
프리암 라인(free arm line): 프리암을 유지하는 선
숄더라인(shoulder line): 좌측 어깨와 우측 어깨를 잇는 가상의 직선.
프리암 포지션(free arm position): 프리암을 사용하는 위치. 어떤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높이로 프리함을 유지하느냐. .
다운(down): 아래로 향하다.
힙(hip): 골반 주위의 근육
슈팅(shooting): 총을 쏘다. 손가락 끝으로 가르키다.
피스팅(fisting): 주먹질 하기.
코밍(combing): 빗으로 머리를 빗다.
싯라인(sit line): 한발에 체중을 싣고 다른 발은 발끝만 바닥에 대고 구부린 상태로 엉거주춤 앉은 자세.
볼(ball): 엄지발가락 아래 두툼함 부분.
플로워(floor): 마루. 춤추는 바닥.
리듬(rhythm): 율동. 강약에 따라 움직임.
바디 리듬(body rhythm): 몸의 율동.
코디네이션(Co-ordination): 조화, 어울림.
립 케이지(rib cage): 좌 우 갈비뼈 아랫부분.
어께 체중의 세틀링(shoulder weight settling): 어깨 체중을 아래로 다운시키는 것.
아이쇼레이션(Isolation) 연습1
○ 양발을 어깨 넓이로 벌리고 토우 턴 아웃(Toe Turn Out)시킨다.
○ 카운트2에 양손의 손등을 접근시킨다.
○ 카운트3에 손바닥을 뒤집고 양 팔 굽(Elbow)을 양쪽 옆구리를 스친다.
○ 카운트4.1에 천천히 양팔을 들어올린다. 팔 굽(Elbow)를 먼저 올리고 나서 팔목(Wrist)을 편다.
아이쇼레이션(Isolation) 연습2
○ 양발을 어깨 넓이로 벌리고 토우 턴 아웃(Toe Turn Out)시킨다.
○ 힙(Hip)과 상체를 분리시켜 좌 우로 움직인다.
○ 어깨를 움직이려 하지 말고 배의 근육을 움직여 상체를 움직일 것.
아이쇼레이션(Isolation) 연습3
○ 손가락에 너무 힘을 주지 말 고 팔은 자연스러운 커브(Curve)를 이룰 것.
○ 카운트 2에 왼쪽으로 아이쇼레이션(Isolation) 하면서 오른팔을 끌어오기 시작한다. 이때 왼팔은 왼쪽으로 쪽 뻗는다.
○ 카운트 3에 오른팔 굽(Elbow)이 오른쪽 옆구리를 스친다. 이때 왼팔은 오른쪽으로 끌어당기기 시작한다.
○ 카운트 4.1에 천천히 오른팔을 들어올리면서 오른쪽으로 아이쇼레이션(Isolation)한다. 이때 왼팔 굽(Elbow)은 왼쪽 옆구리를 스친다. 다시 처음부터 반복한다.
○ 룸바의 사이드스텝(Side Step)이나 쿠카라차(Cucarachas)에서 실제 응용해 본다.
블랙플 콩그래스: 마거래트 래드몬드의 드림 커낵션.
김재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