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FRS와 K-GAAP의 주요 차이에 대한 이해 |
구분 |
K-GAAP |
K-IFRS |
요약 |
규칙 중심 회계(일관성 중시)개별재무제표 중심의 공시체계제한적인 공정가치 회계 적용상대적으로 적은 공시 항목정책적 목적에 따른 회계처리 |
원칙 중심 회계(실질의 반영)연결재무재표 중심의 공시체계공정가치 회계 확대 적용공시 항목의 확대거래 실질에 맞는 회계처리 |
자산평가 |
역사적 원가 중심 |
공정가치 평가 확대 |
감가상각방법 |
감가상각방법 의무적 재검토 규정 없음 |
매년 감가상각방법 및 내용연수 적정성 재검토 |
대손충당금 |
추정에 의한 충당금 설정 허용 |
객관적 대손사유 발생 시 대손충당금 설정 허용 |
퇴직급여 추계 |
기존 직원의 일시 퇴직시 지급할 금액으로 산정 |
임금상승률∙퇴직률 등을 감안하여 보험수리적 방법으로 산정 |
영업권 |
내용연수에 따라 정액법 상각 |
상각 없이 손상만 반영 |
상환우선주 분류 |
상환 우선주를 일률적으로 자본으로 분류 |
상환 우선주를 실질에 따라 자본 또는 부채로 분류 |
손익계산서 |
손익계산서( 구분계산 적용) |
포괄손익계산서(성격별 및 기능별) |
재무상태표 |
구분표시 및 유동성 배열, 자본항목 5분류 |
최소 구분표시 및 유동성 순서 또는 혼합법 가능, 자본항목 언급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