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인은 계모(繼母) 및 유모(乳母)를 의미하고 남자에게는 아버지의 첩 또는 어머니의
형제를 나타내고, 여자에게는 어머니의 형제를 나타낸다.
이 육신의 특성은 복수(福壽)를 해치고 식신(食神)을 파극한다 . 이것이 편인을 도식(盜食)이라 고 부르는 소이(所以)이다. 편인은 또한 파재, 실권(失權), 병재, 이별, 고독, 박명, 색난 등을
의미하는 고로, 사주에 편인이 많으면 어떤 형태로서도 불행은 찾아오기
마련이다.
또 성질도 처음에는 부지런하나 곧 권태를 느껴 나중에는 태만하여져서
매사를 용두사미로 끝내기 쉽다. 비록 도량은 넓으나 변덕이 많은 단점이 있다.
그러나 편업(偏業)에는 적합한 점이 있어 학자, 예술가, 의사, 승려, 배우 등으로
이름 있는 사람들의 사주에는 편인이 많다.
편인이 관살을 만나면 이와 같은 특성이 증가되나, 편재를 만나면 억제된다.
* 사주 중에 편인이 많으면 일찍 부모와 이별하고, 처자와도 인연이
박하여 재화가 있거나 명예를 해치는 일이 있다 특히 여자의 경우에는 더욱
심하다.
* 사주 중에 편관과 식신이 있고 편인을 만나면 재복이 한결 같지
아니하며, 신체가 왜소하다.
* 년주에 편인이 있으면 조업을 파하는 경향이 있으며, 양(養)과 동주하면
계모에 의하여 양육된다.
* 월지에 편인이 있으면 의사, 배우, 운명가, 이발사등 편업에 적합하다.
그러나 쇠, 병, 사, 절등의 십이운성과 동주하면 인기가 없고, 또 사주에
식신이 있으면 손윗사람이 방해를 받으며 신체가 허약해진다.
* 월지에 편인이 있고 사주에 재와 관살이 있으면 부귀한다 특히 편재가
있으면 편인의 흉조는 없어진다.
* 일지에 편인이 있으면 남녀를 불문하고 결혼운이 나쁘며, 다시 사주에
식신이 있으면 유아시 어머니의 젖이 부족했던 일이 있다.
* 사주에 편인과 인수가 있으면 두 가지의 직업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
* 편인과 비견이 동주하면 타인의 양자가 되거나 계모가 있을 수며,
겁재와 동주하면 타인으로 인하여 실패가 많으며 혼담에 장해가 있다.
* 편인과 장생(長生)이 동주하면 생모와 인연이 박하고, 목욕(沐浴)과 동주하면
계모의 양육을 받을 수가 있는데 그 계모가 부정한 경향이 있다.
* 편인과 관대(冠帶)가 동주하면 甲, 丙등 양일생은 어릴 때 아버지와 이별
수가 있으며 乙, 丁등 음일생은 계모 또는 의모의 양육을 받는다.
* 편인과 건록이 동주하면 비록 부귀하는 집안에 태어났더라도 십삼세
전후하여 부친과 이별하며 집안이 영락된다. 그리고 의사나 학자에 적합하다.
* 편인과 제왕이 동주하면 계모로 인하여 고생하며, 쇠(衰), 병(病), 사(死), 절(絶),
묘(墓)등과 동주하여도 편친과 이별할 수가 있으며 노고가 많다.
* 여자 사주에 편인이 많고 다시 식신이 있으면 자식에게 해가 많다.
그리고 유산등 산액이 있다.
* 천성과 지성이 모두 편인이면 남편과 인연이 박하고, 상관과 동주하면
남편 및 자식과 인연이 없다.
12. 인수(印綬)
인수는 남자에게는 어머니 및 장모를 의미하고 여자에게는 어머니와
사촌형제들을 의미한다. 그리고 남녀 공히 손자를 의미할 때도 있다.
인수는 지혜, 학문 및 총명등의 특성이 있으므로 인수가 있으면 자기 멋대로
하는 결점도 있기는 하나 인의를 알고 자비심이 있으며 또 종교를 경신하고
군자 및 대인의 풍격이 있으며, 그 자질이 온후단정하여 신망을 얻으며
자산풍부, 복수쌍전, 무병식재, 산업진흥, 가도번영, 생애안락등의 경향이
있다
사주에 정재가 있으면 이와 같은 길상이 감퇴되나, 정관이 있으면 길조가
더욱 증가된다.
* 사주에 인수가 너무 많으면,
(1) 남자는 처와 이별 수가 있으며 자식은 그 수가 적거나 불효하다
(2) 여자는 어머니와 이별 수가 있다.
(3) 인수가 많은 것은 어머니가 많은 것을 의미하므로 서모가 있거나
유모가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 년간에 인수가 있고 초년 대운이 양호하면 양가(良家)의 자손이다.
* 년간에 인수가 있고 월간에 겁재가 있으며, 인수가 쇠(衰), 병(病), 사(死)등
쇠약한 십이운성과 동주하면, 비록 상속인의 자격은 있으나 아우가 대신
상속하게 된다.
* 월간에 인수가 있고 이것이 형충되면 외가(外家)가 영락(榮落)한다.
* 월주에 인수가 있고 이것이 형충되지 아니하면 문장으로 이름을
떨칠 수 있으며, 월지에 인수가 있으면 그런 경향이 더욱 많으며 성질이
총명하고 말이 적으며 용모와 인격이 고상한다. 그리고 사주에 관살이 있으면
부귀한다.
* 사주에 인수가 많고 관살이 없으면 예술로서, 이름을 떨치나, 고독한
경향이 있다.
* 사주에 인수가 있으면 자식복이 있으며 교묘한 재주가 있다.
* 신왕 사주에 인수가 많으면 자식이 적고 빈고(貧苦)하다.
* 인수 있는 사주에 정재가 많으면 어머니와 이별 수 있으며, 매사에
막힘이 많다. 그리고 재운을 만나면 악사한다
* 인수와 비견이 동주하면 형제 또는 친구를 위해 진력하는 일이 많고,
겁재와 동주하면 진력하더라도 결과가 좋지 못하다.
* 인수와 식신이 동주하면 타인의 존경과 신용을 받으며 이익이 많다.
편재와 동주하면 가정이 원만하고 사업상 이익이 많다.
* 인수와 상관이 동주하면 어머니와 의견충돌이 있으며 정재와 동주하면
처와 어머니 사이가 나쁘다.
* 인수와 관살이 동주하면 명리가 많고, 여자는 남편과 자식복이 있다.
* 편인과 동주하면 결단심이 없으며 양인과 동주하면 심신에 괴로운
일이 많다.
* 인수와 장생이 동주하면 부모가 단정하고 어머니가 현명하거나 타인의
은애를 많이 받는다.
* 인수와 관대가 동주하면 양가의 자손이며, 목욕과 동주하면 직업상
과실이 많고, 어머니가 청상과부로 지내는 수가 있다.
* 인수와 건록이 동주하면 가운이 좋을 때 출생하였으며 제왕과 동주하면
부친이 데릴사위인 경우가 있다.
* 인수와 사, 묘, 절, 병과 동주하면 부모덕이 박하다.
* 인수가 왕성하고 신왕이면 주색을 좋아한다.
* 여자 사주에 인수가 많으면 남편과 일찍 이별하고 자식과도 인연이
없으며, 시부모와도 사이가 나쁘다.
* 인수와 정재가 있으면 시어머니와 뜻이 맞지 아니한다
* 여자 사주에 인수가 있고 정재가 너무 많으면 음란하거나 천부가 된다.
* 여자 사주에 관성이 경미하고 인수가 왕성하면 남편 대신 생존경쟁에
시달리며 늙어서 남의 집살이를 한다.
* 여자 사주에 인수와 상관 및 양인이 동주하면 부자와 인연이 없으며
여승이 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