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초 한전에 농사용전기를 신청하였습니다. 하청업체에서 나와서 전신주설치작업을 하는데
작업량이 밀렸다고 한달반을 기다렸네요.. 드디어 7월중순에 전신주설치가 끝났습니다.
이제 전기설비업자에게 계량기와 분전함설치를 의뢰합니다. 한전비용 24만원을 포함하여
총 60만원이 들었습니다. 여기까지가 최소한의 농사용 전기설치비용입니다.
그다음 하우스내부로 전기을 인입하고 전등과 콘센트등을 설치하는데 비용은 별도입니다.
전기업자에게 콘센트 2개와 전등 3개를 설치하는데 비용을 물어보니 72만원을 달라고 합니다.
인건비만 40만원입니다.. 너무 비싸서 제가 직접하기로 했습니다.
설치비용은 약 자재비 18만원정도에 기타 소모품비용 7만원 소요되었습니다..
물론 제 인건비는 제외입니다..^^
농사용전기 신청비용..

계량기와 분전함 설치.

분전함내부.

전기용량이 충분하도록 2.5파이 굵은 전선연장릴(리드선)을 구입하였습니다.
누전차단기도 달려있어서 편리합니다..

아뿔사.. 일자형코드라 분전함뚜껑을 닫으려니 안닫히네요..ㅠㅠ
다시 ㄱ 자형 코드로 바꿔 달아야겠습니다..

콘센트를 뜯어서 해봐도 안되고..

일단 전선을 전선주름관에 넣고 땅에 매립하여 하우스내부로 인입하기로 합니다.

전선을 보호하기위해 전선주름관을 구입하여 끼워넣습니다...
통으로 된것도 있고 가운데 갈라진것도 있습니다. 넣기 편한것은 갈라진것입니다.
통으로 된것은 요비선도 필요하고 복잡합니다. 각기 장단점이 있네요..


주름관에 모두 넣고 넓은 절연테이프로 피복합니다. 그리고 그 옆의 빨간 천막호스로
다시 2중으로 감싸서 땅에 매립시 습기에 대비합니다..

천막호스에 넣기전에 코드를 절단합니다. 나중에 ㄱ 자형코드로 교체할 예정입니다.

코드 머리를 일단 절단..

절단후 천막호스에 밀어넣습니다. 쉬워보여도 작은 구멍에 직선으로 반듯이 넣어야 들어갑니다.
조금만 구부려지면 안들어가는 어깨도 아프고 힘든 작업이더군요..^^

드디어 다 끼워넣었습니다..
이제 땅에 매립하여도 습기에는 걱정없습니다..

코드를 절단해보니 선이 세가닥입니다.
그중 녹색선이 접지선입니다. 새 ㄱ 자형코드에 연결할때 주의해야합니다..

녹색의 금속나사 부분이 접지선 연결부위입니다.
나머지 두곳은 그냥 전선을 연결하면 됩니다...

드디어 전신주에 연결할 전선을 완성했습니다.

전신주 분전함 콘센트에 연결합니다. 잘들어가고 뚜겅도 잘닫힙니다...ㅎ


땅에 매립합니다..


매립후 다시 흙으로 덮어줍니다..


하우스안으로 인입된 전선..


적당한 위치에 판재를 대고 콘센트를 연결하여 고정합니다..

작업실 건너편 물탱크쪽으로 전선이 넘어가는데 햇빛에 전선이
삭을것 같아서 전선주름관을 덧대었습니다..


다시 리드선(1.5파이 27m, 누전차단기부착형)을 펌프쪽으로 끌어옵니다.
파이프에 판재를 대고 콘센트를 부착하여 고정합니다..

작업실쪽 전등(삼파장, 55w)을 설치했습니다. 시중에서 파는 10m짜리 작업등입니다..


하우스 중간위치에 다시 삼파장등을 설치했습니다.
전등위 갓은 1000원짜리 연질플라스틱 접시콘을 사다가 만들었습니다.
은박테이프를 부착하여 반사광막도 만들었네요..^^

물탱크, 펌프쪽 공간의 전등입니다...

이렇게 하우스내로 전선인입과 전등설치를 모두 완성하였습니다.
직접 하우스를 지으실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되고자 올려봅니다..
다음에는 자동관수(스프링쿨러)장치를 직접 설치하고 그 사진들을 올려보겠습니다.
인건비만 60만원을 달라고 해서 직접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