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약안전사용 |
|
일반 유의사항 |
1. 일반 유의사항 |
(1) 포장지에 표시된 유효성분, 독성, 적용작물, 대상 병해충 또는 잡초 사용농도, 사용량, 사용시기 및 횟수 외 주의사항 등 농약 설명서를 반드시 읽어 준수해야 한다. (2) 농약은 어린이나 글을 모르는 노약자 등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3) 건강이 좋지 않거나 극도로 피곤해 있는 사람은 절대로 살포작업을 해서는 안된다. (4) 농약 살포 전 살포기구나 보호 장비는 항상 점검하며, 이상 유무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5) 농약의 안전 사용기준과 취급제한 기준을 반드시 지킨다. (6) 농약은 반드시 의약품, 식료품 또는 사료의 보관 장소와 구분하여 보관한다. (7) 파프리카 재배 시 사용가능농약 목록 및 사용지침에 포함된 농약만을 사용하고, 동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농약을 사용할 때는 반드시 국립농산물 품질관리원 또는 농업기술센터의 자문과 지도를 받아야 한다. |
2. 제품 개봉 |
(1) 농약 제품을 취급할 때는 반드시 마스크, 방제복, 고무장갑 등을 착용해야 한다. (2) 수화제나 분·입제 제품을 개봉할 때는 약봉지를 아래로 추슬러 개봉 부위에 약이 없도록 한 후 절취선 등을 따라 가능한 한 가위나 칼을 이용해 개봉한다. (3) 유·액제 등 병을 개봉할 때는 농약병이 움직이지 않도록 꼭 잡고 조심스럽게 겉마개를 연 후 속마개는 겉마개의 나사 홈을 이용하여 개봉하도록 하고 입으로 물어서 빼내는 일이 절대 없도록 해야 한다. (4) 약가루나 약액이 튀어 눈에 들어가거나 호흡할 때 흡입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3. 농약 희석 |
(1) 희석용물은 반드시 깨끗한 물을 사용하도록 한다. (2) 다른 농약과 섞어 뿌리고자 할 때에는 반드시 혼용이 가능한지를 확인한 후, 사용한다. (3) 물을 타는 배수를 반드시 지키도록 한다. (4) 조제작업은 바람을 등지고 할 것이며 어린이나 가축이 가까이 오지 못하도록 한다. (5) 살포액의 희석 시 약제가 피부에 묻지 않도록 모자, 마스크, 장갑, 방제복 등 보호장비를 반드시 착용하고 노출부분을 가능하면 적게 한 후 희석해야 하고,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유의한다. (6) 동시에 2가지 이상의 약제를 섞지 않도록 한다. (7) 유제는 먼저 소량의 물에 희석한 후 소정량의 물을 서서히 부어 골고루 혼합하며, 수화제는 소량의 물과 죽과 같은 상태로 농약을 풀어 소정량의 물을 부우면서 섞어 지도록 해야 한다. (8) 제4종 복합비료(영양제)와 농약을 섞어서 살포하는 것은 약해의 원인이 될 수도 있으므로 각별히 유의한다. (9) 작업이 끝나면 모든 기구는 반드시 깨끗이 씻어 두어야 한다. (10) 농약빈병이나 빈 포장지의 내용물은 깨끗이 쏟아내고 반드시 한 곳에 모아야 한다. |
4. 살포 작업 |
(1) 약제가 피부에 묻지 않도록 모자, 마스크, 장갑, 방제복 등 보호장비를 반드시 착용하고 살포작업을 해야 한다. (2) 농약을 살포 할 때는 반드시 바람의 방향에 따라 바람을 등지고 작업을 하는 것이 안전하며, 살포작업은 한낮 뜨거운 때를 피하여 아침·저녁 서늘할 때 실시한다. (3) 살포작업은 한사람이 계속하여 2시간 이상 작업하는 것은 피해야 하며 두통, 현기증 등 기분이 좋지 않을 때는 작업을 중단하고 휴식을 취하거나 다른 사람과 교대로 살포한다. (4) 식물 전멸약(비선택성 제초제)은 작물이 있는 근처에서는 절대 사용하지 말고, 사용한 후에는 반드시 방제기구를 깨끗이 씻는다. (5) 살포작업 중에는 담배를 피우거나 음식물 섭취를 금해야 하고, 휴식을 취할 때에도 담배를 피우거나 음식물을 먹기 전에 반드시 손, 얼굴 등 노출 되었던 부분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 (6) 살포작업 지역에는 사람과 가축의 접근을 막도록 하고 대리감시자가 없으면 농약이나 방제장비가 있는 곳을 떠나서는 안 된다. (7) 살포작업 중 노즐이 막혔을 때는 가느다란 나뭇가지나 풀줄기 등을 이용해 뚫도록 하고 입으로 불어서 뚫는 일은 절대 없도록 해야 한다. (8) 살포액은 가능한 한 살포하는 날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양만큼만 만들어 살포하도록 한다. (9) 한 약제의 살포가 끝난 후 다른 약제를 살포하고자 할 때, 특히 제초제를 사용한 후에는 반드시 방제기구를 깨끗이 씻은 후 다시 사용토록 해야 한다. |
5. 살포 작업 후 조치사항 |
(1) 살포작업을 한 후에는 살포기구를 닦지 않고 그대로 두면 다음 약제 살포시에 약해 발생 원인이 되므로 반드시 닦는다. (2) 방제장비를 씻어낸 물이 하천, 우물 등 수원지로 흘러들어 가게 해서는 안된다. (3) 작업자는 농약 사용 내역을 농약살포일지에 작성, 관리해야 한다. (4) 살포지역에는 “농약 살포지역”임을 알리는 표지판 등을 설치하여 어린이 등 외부인과 가축의 출입을 막도록 한다. (5) 사용하지 않은 농약은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고 직사광선을 피할 수 있는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6) 살포작업이 끝나면 입안을 물로 헹구고, 손·발·얼굴 등과 온몸을 깨끗이 씻은 후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작업에 사용했던 방제기구 및 보호장비는 잘 세척해야 한다. (7) 농약은 잘 밀봉한 뒤 햇빛을 피해 건조하고 서늘한 장소에 보관한다. |
6. 농약중독 시 응급조치 |
(1) 중독증상이 있을 때는 즉시 작업을 중지하고 안정을 취해야 하며, 반드시 의사의 지시를 받는다. (2) 잘못하여 먹었을 때는 바로 소금물을 먹여 토하게 하고, 의사의 치료를 받는다(약제별 해독방법 참조) (3) 유기인계 농약의 해독제로는 팜(정제, 주사제) 및 아트로핀(주사제)이 있으며, 카바메이트계 농약의 해독제로는 아트로핀(주사제)이 있다. 그러나 해독제는 반드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사용한다. |
국립원예특작과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