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 야마(Yama) 와 5개 니야마(Niyama)
아쉬탕가요가 제 1단계 야마(Yama)는 문자 그대로 금욕이라는 뜻으로 정숙고결하게 살기위한 수행의 규칙 또는 방법이다. 야마는 외부 세상과 거래할 때 하지 말아야 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10 야마는 샨딜리야와 바라하 우파니샤드 그리고 하타 요가 프라디피카 등의 수많은 문헌에 금법으로 성문화되었다. 파탄잘리는 그의 요가 수트라에 단지 5가지 야마만을 목록화하였다. 아힘사 ,사티야 ,아스테야,브라흐마차리야 ,아파리그라하
아쉬탕가요가 제 2단계 니야마(Niyama) (권계,勸戒) 야마(금계)의 적용은 보편적인 것에 반하여, 니야마는 개인적인 수행에 적용하는 행동 규율입니다. 파탄잘리는 다섯가지 니야마를 가르친다. 권고계는 자기자신의 청정함, 만족,(고통을)받아들이나 고통을 일으키지 않은, 영적인 서적들을 공부하고 하느님을 숭배한다.사우짜,산또샤,따밯아,솻따야,잇솨라 부라니따나아
요가수련8단계-금계 [야마 : YAMA]
1단계 - 금계 [야마 : YAMA] 신에게 의지하지 말고 스스로 노력해서 지키자는 계율 사회도덕적인 계율 5종류
1. AHIMSA 아힘사 : 살생하지 말라는 것만 않다.
(SAMSKRIT) 범어 로 힘사의 반대말은 어힘사인데 한국말과 영어로 번역하다가 아힘사 가됬다.힘사의뜻은 나 의 생각,말,행을 통하여 우주에 존재하는 어떻어한 만물에게도 마음을 아프게 하고나 육체적으로 피해를 주는 행을 의미한다. 그런행을 하지마라야하는 마음 가짐을 Ahimsa 아힘사 라고합니다. 무시, 험담, 비웃음, 권력남용, 불행기원, 불행 무관심의 금계와 살려라, 사랑해라, 비폭력, 불살생의 권계가 있다. 이 들의 수행에 있어 그 효과적인 준수를 생각하며 대응명상이 도입된 것은 금계나 권계도 도덕적, 구도덕적 계율 그것만으로 끝나지 않고 명상적 행법으로 연계시키는 면모를 보이는 것이며 사회적 질서 목록도 있겠지만 개인의 구도적 실행에 숨은 뜻이 있다.
2. SATYA 사티야 : 있는 그대로 정직하게 살아가라.거짓말 하지 말라. 정직하면 그가 말하는 대로 행동과 경과가 일치하여 이루어진다 요가는 진실한 사실들에 대한 바른 이해를 추구하여 지복의 경지에 이르고자 하는 것 정직은 큰 힘이다 부지런하고 성실하라. 정직은 우주의 힘이 편승하여 가세하기 때문이다. 정직은 성공의 지름길이다.
3. ASTEYA 아스테야 : 남의 것을 도둑질할것이나 생각이라도 하지 말라. 자신의 노력으로 자신의 땀의 댓가로 살아라. 도둑질 하지 않는 계행이 이룩되면 모든 방향으로부터 재물이 그에게 모여든다. 남의 것을 도둑질 하지 않으며 신뢰가 이루어져서 누구나 재물을 그에게 보관하고 관리하도록 맡긴다. 그리고 그 보수를 주기 때문에 재물이 저절로 모인다. 근면한 생황이 이룩되므로 부지런하다. 부지런하면 그 사람을 고용하려 한다.
4. BRAHMACARYA ,브라흐마차리야 :탐음하지 말라 .정조를 지키고 정액을 아껴라. 금욕하면 정력이 얻어진다는 수행중인 경우를 강조한 것이며 지나친 성욕의 억제를 말한다. 정력이란 심신의 힘이 일어나는 원천이며 이것을 아껴서 구도적인 에너지로도 사용해야 한다는 가르침이다. 금욕을 통해 남의 생각을 움직이는 능력까지 개발된다고 전해지고 있다.
5.APARIGRAHA ,아파리그라하 : 탐욕하지 말라 필요한 만큼만 원하고 취하라. 모아서 쌓아두지 말라. 탐욕하지 않으면 자신의 과거, 현재, 미래를 안다 생명유지와 탐구적 이해로 만족하라는 가르침이다. 어떤 것을 탐내는 것에 집착하면 다른 많은 것과 더 큰 것을 잃기 때문이다. 남의 칭찬이나 존경을 받고자 하는 것에 집착하는 것은 정신적 탐욕이다. 탐욕은 거짓과 도둑질로 발전하기 쉽다. 자연과 생명의 이해로 그 자체로서도 기쁨이 크며 행동 그 자체로도 큰 기쁨이 이미 있는 것이다. 나의 소유보다는 우리의 공유를 생각하고
탐하여 쟁취하려는 것보다는 내가 먼저 무엇을 줄 것인가를 생각하라는 가르침이다.
요가수련8단계의 2단계 :권계 [니야마: NIYAMA]
권계(勸戒 NIYAMA) 행하면 행복해 진다는 것을 나타냄 - 개인적 규범
1.SAUCHA 사우짜 : 정화 (淨化 )
마음의 거울로 자신의 참모습을 본다. 몸과 마음이 정화되면 명질이 청정하여 밝고 행복한 느낌이 생기고 정신집중이 잘 되고 제감이 잘되며 직관력이 생긴다. 아사나 수행을 통해 전 육체를 정상적으로 조절하며 지나친 방임으로 야기된 독소나 불순물을 제거한다.
2. SANTOSHA 산또샤:만족(滿足 ) 만족의 계행이 이룩되면 최고의 행복에 이른다. 만족스러움을 모르는 사람은 집중할 수 없다. 가장 큰 불행은 자신이 만족할 만한 것을 이미 가지고 있으면서 그것을 알지 못하고 탐욕하는 것이다.
3. TAPAH따밯아 :고행 (苦行 ) 열심히 노력하여 닦는다는 것은 춥고, 덥고, 배고픔과 목마름 등에 대한 자기 극복의 수행이며, 고행은 인간의 원죄적 자각과 속죄 그리고 자기상실과 자아확대의 모든 수준이 포함되어 진행되어진다. - 육체적 고행: 절제와 비폭력, 청결, 건강 - 언어적 고행: 거짓말하지 말고 진실을 말하라. - 마음적 고행: 희비에 대한 부동, 평온 유지, 진리를 깨우치는 명상
4. SVADHYAYA 솻따야 : 학구 (學究 ) 앎의 기쁨, 이해의 기쁨, 요가에서는 끊임없이 배움의 자세로 살라로 가르친다. 우리의 인생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전 인생이 배움을 위한 과정이며, 영적 진화를 위한 교육과정이다. 교육은 사람속에 내재하는 최상의 것을 끌어내는 것이다. 인생을 건강하고 행복하고 평화롭게 만들기 위해서, 맑은 장소에서 신성한 공부를 정규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무지는 시작은 없지만 끝이 있다. 지식은 시작은 있지만 끝이 없다.
5. ISVARA PRANIDHANA잇솨라 부라니따나아: 염신(念神 ) 하느님에 대한 믿음이 있는 이는 절망하지 않고, 스스로를 맑힐 수 있다. 항상 진리, 절대자, 자연의 이치를 생각하고 그 원리대로 살아가라. 그러나 자재신 이스라와는 내재된 참된 자기를 지칭하고 자신의 요가 수행을 돕는 스승과 같은 입장이며 우주 창조와 같은 종교적 신은 아니다. 헌신하면서도 보답을 바라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