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국이형의 60갑자와 시간, 그리고 동양의학은 나에게 많은 한의학에 대한 생각을 하게 하고 있다.
오늘 아침 레지던트 3년차 임정아 선생이 방약합편 상통에 대한 정리를 했다.
오랜만에 공부해보는 처방학이라 너무나도 재미있게 들었다.
정리도 잘했고..
인터넷출전.
방약합편처방편에 활용된 약초들의사용빈도.
[사용빈도수] / [약초명]
200回 이상 / 감초
150 - 199回 / 당귀
100 - 149회 / 백출, 인삼, 진피, 천궁
50 - 99회 / 반하, 방풍, 백복령, 백작약, 숙지황, 육계, 적복령, 창출, 황련, 후박.
40 - 49회 / 강활, 건강, 길경, 목향, 승마, 시호, 지각, 향부자, 황기
30 - 39회 / 맥문동, 백지, 부자, 생지황, 소엽, 적작엽, 치자, 택사, 황련.
20 - 29회 / 마황, 목통, 빈랑, 사인, 신곡, 산약, 세신, 오미자, 오약지실, 청피, 행인, 형개, 황백.
10 - 19회 / 갈근, 건지황, 괄루인, 소회향, 상백피, 남성, 대복피, 대황, 두충, 만형자, 맥아, 목단피, 박하, 백복신, 산사, 산수유,생강, 상백피, 연교, 오수유,우슬, 원지, 익지인, 저령, 지모, 지골피, 초과, 침향, 패모, 홍화, 사향, 서각, 주사
6 - 9회 / 계피, 계지, 고본, 구기자, 귤홍, 도인, 등심초,목과,방기, 백두구, 봉아출, 백편두,백강장,산조두,삼릉, 상륙,석창포, 연육, 위령선, 유향, 육두구, 육종용, 의이인, 아교주,오매, 용뇌, 정향, 조각자, 차전자, 천마, 천문동,초두구, 천초, 축사, 산사자, 파고지, 파두,현호색, 회향, 녹용, 오령지, 우황, 금박, 박초, 석호, 석웅황, 활석.
5회 / 가자, 국화, 대조, 몰약, 소자, 죽여, 진범, 천화분,하고초,향수
4회 / 구맥,금은화,고백반,나복자,마아초,백개자,백부자,앵속각, 포황, 하수오, 현삼, 전갈
3회 / 감실, 괴화, 마자인,백자인,석두,선화, 소목,애엽,우방자,인진호, 우담남성,지유,천오, 청대, 초룡담, 영양각,천산갑,자석, 청몽석
2회 / 강황, 갱미, 관동화, 날계, 박초,목적,백단향,백질려,백합, 비해, 백밀, 사군자, 상산,생율, 속단, 은행, 자단,자원, 자초용, 정력자, 죽엽,천연자,천죽황, 초결명, 파극천,편축, 편뇌, 필발, 해동피, 호도, 호초, 흑두, 흑축,구각상, 선퇴, 양신, 경분, 붕사,용골,진사,한수석
1회 / 가자피, 감수, 고련금피, 곤포,귤핵, 금앵자,노회, 단삼,도지, 대극, 대복자, 대두황권, 동규자,두시, 백련, 백선피,백축, 백초상, 보골지, 복령피, 비마인, 사단,사과, 사당, 산두근, 상기생, 생강피, 생귀, 생구채, 생리,생무근,생우, 생하엽, 서점자, 새비육, 소맥,사삼,소합유,소회향, 시상,시체, 안식향,양강,여지핵, 오가피, 욱이인, 울금, 원청,유지,익모초,인동, 적두, 적소두, 적전, 점두등, 정향피,조각인, 종유분, 죽력, 진창미, 창이자,총백, 추맥, 춘다,청상자, 토복령, 통초,필진가,한식면, 해금사, 해대,해조, 호동루, 호황연,황과루, 황미,황상엽,황송절,계내금,계장,녹각교, 모려, 백화사,열갑,상표초,석결명,양육,웅담,이어,자하거, 저제, 진주, 호골, 해분, 해삼, 해표초, 노감석,담반, 대자석, 식염, 양기석, 은박, 자서경, 적석지.
<方藥合編>
----------------------------------중풍보약----------------------------------
上統 1 신력탕(腎瀝湯)
腎臟風으로 인한 語音蹇吃을 다스린다.
上統 2 지황음자(地黃飮子)
熟地黃4 巴戟4 山茱萸4 肉蓯蓉4 石斛4 遠志4 五味子4 白茯苓4 麥門冬4 附子2 官桂2 石菖蒲2
中風으로 말을 못함과 발을 못씀과 腎이 虛한데 또 氣厥해서 氣가 혀밑까지 이르지 못하는 증를 다스린다
[活套] 虛한 사람과 노인은 熟地黃을 倍로 하고 人蔘을 加한다. ① 虛火가 傷한 데는 黃連을 조금 가하여 引經하게 한다. ② 空心服한다.
@ 熟地黃 : 보신
石斛 :胃陰補, 兼腎水 (cf. 胃陰補하는 약: 石斛, 麥門冬/ 麥門冬은 胃陰補와 兼肺水)
노인들이 입에 냄새 나면서 밤중에 물을 마시는 것은 위음이 부족한 것
遠志 石菖蒲 : 목소리가 나오지 않을 때 (心腎교제)
石斛 :목소리 안 나올 때도 씀 (옛날에 노래 하는 사람들이 목소리가 잘 나오게 하려고 차 끓여 마심)
上統 3 가미대보탕(加味大補湯)
黃芪3 人蔘3 白朮3 白茯苓3 當歸3 川芎3 白芍藥3 熟地黃3 烏藥2 牛膝2 杜冲酒炒 2 木瓜2 防風2 羌活2 獨活2 薏苡仁2 附子1 沈香1
木香1 肉桂1 甘草1
좌우 半身不遂와 氣血이 크게 虛한것을 치료한다.
[活套] 虛가 심하면 중량을 倍加한다.
@ 중풍에만 쓰는 것이 아니라 산후 관절이 아프다 체절통이 있는 경우 병후에 체절통이 있는 경우 너무 허약해 가지고 팔다리가 저리다고 하는 경우
흔히 중풍에서 좌측이 마비된 것: 혈허 어혈/ 우측이 마비된 것: 기허 담화에 의한 것이라고 보는데 이 처방은 기혈이 허약하고 음양이 모두 허약하고 좌우 상관 없이 쓰고 싶을 때 (좌탄 :육계 백작약 하수오/ 우탄: 황기 백출 반하등을 가감)
上統 4 만금탕(萬金湯)
風을 다스리고, 虛를 補하며 手足風을 治療한다. [適應症] 小兒麻痺, 半身不遂, 手足無力症
上統 5 팔보회춘탕(八寶廻春湯)
일체의 風虛諸證을 다스리며, 祛風하고, 和氣하고,活血하는 큰 효험이 있다.
------------------------------------양허----------------------------------
上統 6 이중탕(理中湯)
人蔘8 白朮8 乾薑8 甘草4
太陰腹痛과 自利 不渴을 다스린다. ① 原方에 秦皮와 靑皮를 加한 것을 治中湯이라고 한다.
[活套] 小建中湯과 合方한 것을 建理湯이라고 하는데 脾胃虛冷과 積聚와 氣가 上攻한 것을 다스린다. ② 五苓散과 合方한 것은 理苓湯이라고 하는데 陽虛浮腫을 다스린다. ③ 蛔積에는 桂枝, 附子, 花椒, 烏梅를 加한다. ④ 氣虛에는 人蔘을 五 내지 七錢으로 倍量한다. ⑤ 음달에는 理苓湯에 茵陳을 加하고, 泄瀉에는 肉豆蔲, 車前子를 加한다.
@ 입안에 침이 고임, 침흘리는 아이들, 멀미하는 아이들,
(cf 이중탕: 태음병/ 진무탕 사역탕: 소음병)
建理湯 : 腺병체질아이들 (흉선의 발달이 너무 많이 되어 가지고 과민 반응을 일으키는 것)
아스피린 같은 약 먹고 입술이 새파래 지는 아이들, 감기가 빠지지 않고 걸리는 아이들, 모발이 초췌해 지는 아이들, 아토피성 피부, 걸핏하면 배아프다고 하는 아이들 보약으로 씀.
참고: 건중탕(위궤양을 치료하는 항궤양작용이 있음- 궤양에 오패산을 쓰는 것은 당장 진통, 지혈 시키려는 목적. 근본적인 치료는 건중탕 이용)
上統 7 진무탕(眞武湯)
白茯苓12 白芍藥12 附子12 白朮8
少陰病의 腹滿, 腹痛, 小便不利 혹은 下痢 또는 嘔吐를 다스린다. ① 옛 이름은 玄武湯이라고도 한다.
[活套] 맥이 沈細하고 無力하면 人蔘을 5錢 혹은 1兩을 加한다.
@ 신양허를 돌이키는 역할.
腎陽虛→腎陰, 腎水를 잡지 못함→腸間膜 사이에 머뭄→泄瀉(반드시 晨泄은 아님)
→凌心→心悸
→上冲→어지럼→振振欲擗地(넘어질 듯한 느낌)
→肌肉에 영양공급내지는 혈액공급을 시켜줄 수 없음→ 근육이 바들바들 떨림
저혈압에 이용
上統 8 사역탕(四逆湯)
甘草12 乾薑10 生附子1
三陰(주로 少陰)病으로서 脈이 遲하고 身痛 및 四肢厥冷한 것을 治療한다.
@ 사지 궐역하는 증상 즉 차가운 기미가 발목을 넘어서고 무릎을 넘어설 때
上統 9 부자이중탕(附子理中湯)
附子4 人蔘4 白朮4 乾薑4 甘草4
속이 차고 입을 다물어 벌리지 못하고 몸이 뻣뻣한 것을 치료한다. ① 일방에는 吳茱萸, 肉桂, 當歸, 陳皮, 厚朴 등을 加味하기도 한다.
[活套] 理中湯, 建理湯등을 참조
上統 10 보음익기전(補陰益氣煎)
熟地黃40 人蔘8 山藥8 當歸4 陳皮4 甘草4 升麻2 柴胡4
陰虛로 인한 寒熱, 瘧疾, 大便秘結을 다스리며, 陰이 不足하여 病邪가 外侵한데에 신효하다. ① 外邪가 없으면 柴胡를 뺀다. ② 火가 浮하면 升麻를 뺀다.
[適應症] 말라리아
@ (보중익기탕-황기,백출+숙지황 당귀)
上統 11 이음전(理陰煎)
熟地黃20 當歸12 乾薑8 肉桂4 甘草4
脾와 腎의 虛를 다스리는 데 溫潤하게한다. 즉 理中湯의 變方이다.
@ 연세 드신 분들 속이 냉하면서 감기기운까지 걸렸을 때
虛冷한 것을 溫補하는 통치방 (+滋潤)
노인감기
------------------------------------여름보약--------------------------------
-
上統 12 생맥산(生脈散)
麥門冬8 人蔘4 五味子4
더운 여름 끓인 물 대신에 항상 服用한다. ① 黃芪와 甘草를 각 一錢씩 加하거나, 혹은 生黃栢 二分을 加하면 氣力이 湧出한다.
[活套] 香薷와 白扁豆를 加하면 더욱 좋은데(醍醐湯)과 합류해도 좋다.
@ 향유: 열성의 약(以熱治熱)
맥미지황탕: 당뇨
上統 13 청서익기탕(淸暑益氣湯)
蒼朮6 黃芪4 升麻4 人蔘2 白朮2 陳皮2 神麯2 澤瀉2 黃柏1 當歸1 乾葛1 靑皮1 麥門冬1 甘草1 五味子1
긴 여름철에 四肢가 困하고 身熱이 나고, 煩渴하고, 泄瀉를 하고, 自汗이 나는 것 등을 치료한다.
@ 熱傷氣 (보중익기탕 + 생맥산)
上統 14 삼귀익원탕(蔘歸益元湯)
當歸4 白芍藥4 熟地黃4 白茯苓3 麥門冬3 陳皮3 知母3 黃柏3 人蔘2 甘草1 粳米 1撮 五味子10粒
더위를 먹어 식욕이 감퇴되고 脉이 빠르고 無力한 것을 치료한다.
@ 보기 보혈 보음 보양 + 원기소모 보충
어린아이들 여름에 밥 안먹고 땀 자꾸 흘림, 미열, 목이 따금따금 아픔,
보중익기탕에 생맥산만 가미한 청서익기탕 보다 훨씬 효과 좋은 약
-------------------------------습-------------------------------------------
上統 15 승습탕(勝濕湯)
白朮12 人蔘3 乾薑3 白芍藥3 附子3 桂枝3 白茯苓3 甘草3
습기많은 땅에 않거나 눕거나 혹은 비와 이슬에 젖어서 몸이 무겁고 다리가 약해지고 泄瀉하는 것을 치료한다
上統 16 삼기음(三氣飮)
熟地黃12 杜冲4 牛膝4 當歸4 枸杞子4 白茯苓4 白芍藥4 肉桂4 細辛4 白芷4 附子4 甘草4
풍,한,습 三氣가 허해졌기 때문에 근골이 비통한 것과 痢疾후의 鶴膝風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약을 술이나 소주에 10여일 침했다가 서서히 服用해도 좋다.
[活套] 氣虛에는 人蔘을 加한다. ① 冷痺로 屈伸하지 못하면 穿山甲, 全蝎, 葱白을 加하고 술을 조금 넣어서 데워 먹고 땀을 낸다.
-------------------------------------------------------------------------------
上統 17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
黃芪20 當歸8
肌熱, 大渴, 目赤하며 脉이 洪大하고 虛하여, 세게 누르면 無力해지는 症勢가 白虎湯과 흡사하다. 오직 白虎湯은 맥이 壯實하지 않은 법이니 白虎湯을 잘못사용하면 반드시 죽는다. ①일명 歸芪湯이다.
[活套] 人蔘, 熟地黃, 肉桂, 附子 따위를 加減할 수 있다. 黃連을 조금 加하여 引經한다.
-----------------------------------------------------------------------------
上統 18 청리자감탕(淸離滋坎湯)
熟地黃2 生乾地黃2 天門冬2 麥門冬2 當歸2 白芍藥2 山茱萸2 山藥2 白茯苓2 白朮2 牧丹皮2 澤瀉2 黃柏2 知母2 甘草2
陰虛火動, 潮熱, 盜汗, 痰喘 등을 다스린다. ① 空心에 服用한다.
[活套] 痰이 盛한데는 橘皮, 貝母를 加한다. ② 陽虛하며 便滑한데는 쓰지 못한다.
@ 갱년기 증후군, 자율신경실조증, 고혈압(간양상항)
---------------------------------소화기 보약-----------------------------------
上統 19 전씨이공산(錢氏異功散)
白朮4 白茯苓4 人蔘4 橘皮4 木香4 甘草4
脾胃가 虛弱하고 飮食이 먹히지않고 심장과 가슴이 복잡하고 더부럭 한것을 치료한다. [活套] 挾滯에는 山査, 神麯, 砂仁 따위를 加한다. ① 泄瀉에는 五苓散을 合方한다. ② 虛痢에는 檳榔, 吳茱萸, 黃連, 桂心 따위를 加한다. ③ 暑熱에는 香薷, 白扁豆를 加한다. ④ 傷寒, 元氣虛弱, 身熱, 口渴, 脈虛하거나 혹은 泄瀉를 하는 데는 乾葛을 加하든지 人蔘을 倍加한다.
@ 어린애들, 노인이 가스가 포만, 배가 거들먹 하고 가슴은 답답한 느낌이 들때
上統 20 향사육군자탕(香砂六君子湯)
香附子4 白朮4 白茯苓4 半夏4 陳皮4 白豆蔲4 厚朴4 砂仁2 人蔘2 木香2 益智仁2 甘草2
음식생각이 없는것을 다스린다. 食後에 倒飽하는 자는 脾가 虛하기 때문이다.
[活套] 脾虛에는 人蔘 三 ~ 四錢을 넣는다. ① 虛冷에는 生薑과 桂를 넣는다. ② 酒滯에는 良薑을 加한다. ③ 食鬱에는 枳實과 黃連을 加한다.
@ 육군자탕이 있으므로 담체성→수분대사가 안 된다는 말(복부 진수음, 가슴답답, 심계, 어지럼)
cf. 전씨이공산은 항상 가스차는데 사용, 향사육군자탕은 식후 가스차는데 사용
@ 귀작육군자탕-육군자탕에 당귀와 백작약을 넣음 (간경에 작용하는 약으로 만듬)
간기가 횡역하여 비위장계통의 허약한 틈을 타서 비위장계통의 기능을 문란하게 한 경우
(간염, 초기 간경화)
월경기 비위장계통의 증상: 월경기에 매식거리고 토하려함, 울렁증, 머리아픔
만성 신장염 (얼굴이 누렇게 뜸, 부음, 다크써클, 저단백혈증)
上統 21 삼출건비탕(蔘朮健脾湯)
人蔘4 白朮4 白茯苓4 厚朴4 陳皮4 山査肉4枳實3 白芍藥3 砂仁2 神麯2 麥芽2 甘草2
脾를 건전하게 하고, 胃를 補養하고, 음식을 소화시킨다.
[活套] 氣虛에는 人蔘을 倍加한다. ① 腹冷하고 蛔가 動하면 生薑, 桂枝, 烏梅, 花椒 등을 加한다.
@ 통증이 있으며, 식후에 통증 감소하는데 사용
上統 22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黃芪6 人蔘4 白朮4 甘草4 當歸身2 陳皮2 升麻1 柴胡1
수고로운 노동이 매우 심한 것 혹은 식사시간을 놓쳐 몸에 열이 나고 저절로 땀이나는 것을 치료한다. ① 黃栢 三分 紅花 二分을 加하면 心으로 들어가서 凉血한다. ② 自汗에는 附子, 麻黃根, 浮小麥을 加한다. ③ 痢疾이 오래 되어 물갈이 되는 데는 附子를 加한다. ④ 鼻塞에는 麥門冬과 山梔子를 加한다. ⑤ 遺尿에는 山藥과 五味子를 加한다. ⑥ 痢後噦에는 附子, 竹茹, 生薑을 加한다. ⑦ 滑泄에는 訶子와 肉豆蔲를 加한다. ⑧ 孕婦의 小腹墜와 氣陷에는 升麻와 防風을 加한다. ⑨ 全身이 麻痺되는 氣虛에는 木瓜, 烏藥, 香附子, 靑皮, 防風, 川芎을 가하고, 桂枝도 조금 加한다. ⑩ 肺寒과 脫肛에는 訶子 一錢과 樗根白皮를 조금 加한다. ⑪ 陶氏補中益氣湯은 人蔘, 白朮, 黃芪, 當歸, 柴胡, 陳皮를 합쳐서 七分에다가 生地黃, 川芎, 羌活, 防風 각 七分과 甘草 五分을 가하고 혹은 升麻를 빼고 葱白, 生薑, 대추를 넣는다. 內外感의 頭痛, 身熱, 自汗을 다스린다.
[活套] 黃芪와 白朮을 빼고 熟地黃과 山藥을 加한 것은 補陰益氣煎이라고 한다. ⑫ 땀이 많으면 桂枝 二錢, 防風 一錢과 浮小麥, 烏梅를 加한다. ⑬ 氣가 虛해서 尿澁이 되면 檳榔, 木香을 加하고 혹 車前子, 澤瀉를 加하기도 한다. ⑭ 虛痢로 下重하면 檳榔, 木香, 黃連을 加하며, 혹 吳茱萸를 加하기도 한다. 腹痛에는 桂心을 加하고, 熱이 있을 때는 大黃을 加하면 약간 유리하다. ⑮ 芪가 虛하고 潮熱이 있으면 柴胡를 倍로 하고 鱉甲을 加한다.
上統 23 익위승양탕(益胃升陽湯)
白朮6 黃芪4 人蔘3 神麯3 當歸身2 陳皮2 甘草2 升麻1 柴胡1 生黃芩1
內傷의 여러가지 증세와 血脫을 다스린다. 氣를 補益하는 옛 聖人의 法은 먼저 胃氣를 調理하여 生發하는 氣를 돕게 하였다.
[活套] 崩漏, 帶下가 오래가면 人蔘을 三錢 ~ 五錢으로 增量하거나 혹은 熟地黃, 乾薑, 炒黑한 荊芥, 炒黑한 地楡 따위를 加한다. ① 또, 오래된 便血이 과다한 것과 元氣가 떨어진 것을 다스린다.
上統 24 응신산(凝神散)
人蔘4 白朮4 白茯苓4 山藥4 白扁豆2 粳米2 知母2 生地黃2 甘草2 地骨皮1 麥門冬1 竹葉1
內傷熱中을 다스리며 胃氣를 收斂하고, 肌表를 淸凉하게 한다.
[活套] 食慾不振에는 砂仁과 白豆蔲를 加한다.
上統 25 삼령백출산(蔘苓白朮散)
人蔘12 白朮12 白茯苓12 山藥12 甘草12 薏苡仁6 蓮肉6 桔梗6 砂仁6 白扁豆6
대병후에 비위를 고르고 돕는데 쓰인다.
[用法] 이상의 약제들을 가루로 하여 매 二錢씩 대추탕으로 조하한다. ① 剉取(잘게 썰어서)일냥에 生薑 三쪽 대추 이알을 넣고 달여 먹어도 좋다.
[活套] ② 痞滿증세에는 薏苡仁을 빼고 陳皮와 白豆蔲를 가한다 ③ 下血이 오래된 것에는 地楡, 荊芥, 炒黑한 乾薑과 烏梅를 가한다 ④ 氣陷된 데에는 升麻와 防風을 加한다.
@ 桔梗: 모든 약을 싣고 달리는 열차의 역할
蓮子肉, 薏苡仁, 山藥: 신생조직을 빨리 촉진, (補脾와 滲濕)
上統 26 태화환(太和丸)
白朮160 白茯苓100 白芍藥100 神麯100 麥芽100 便香附80 當歸80 枳實80 龍眼肉52 白豆蔲52 半夏48 陳皮40 黃連40 山査肉40 甘草28 人蔘20 木香20
脾胃虛損, 不思飮食, 體瘦, 面黃을 다스리며 胸膈을 열어 상쾌하게하고 鬱을 맑게하며 痰을 삭힌다.
[活套] 20貼으로 分作해서 써도 좋다
@ 삼출건비탕 합 향사육군자탕
太和丸으로 補하고 保和丸으로 瀉하고 이 두 가지만 잘해도 됨
上統 27 구선왕도고(九善王道羔)
蓮肉160 山藥160 白茯苓160 薏苡仁160 麥芽80 白扁豆80 芡仁80 柿霜40 砂糖800
정신을 기르고 원기를 돕고 비위를 건강히 하고 입맛을 돋군다.
[活套] 가루에 찹쌀가루 5되를 넣고 시루떡을 만들어 볕에 말려서 내키는 대로 먹는데 미음으로 넘긴다.
-------------------------------------------------------------------------------
上統 28 대조환(大造丸)
紫何車1具 生乾地黃160 龜板60 杜冲60 天門冬60 黃柏60 牛膝48 麥門冬48 當歸身48 人蔘40 五味子20
脈이 虛하고 血氣가 衰弱한 것을 治療한다.
[調劑法] ① 紫河車 一具를 泔浸했다가 깨끗이 씻어서 木器에 담아 長流水에 一刻(약 십오분)쯤 水浸하여, 생기가 돌거든 작은 瓦盆에 담아 시루에 넣고 쪄서 익은 다음 꺼내어, 먼저 自然汁을 따라서 따로 두었다가 건더기 紫河車를 돌절구에 천번 찧은 것에 붓고 고루 섞는다.
[用法] 나머지의 生乾地黃 이하 十味의 약제를 가루로 만들어 ①의 紫河車膏와 함께 쌀풀로 버무려 짓찧어서 梧子大로 丸을 만든다. 먹을 때는 溫酒나 鹽湯으로 백알씩 하루 두번 먹는다.
上統 29 용부탕(茸附湯)
鹿茸10 附子10
氣와 精과 血이 虛해지고 消耗된 것과 潮熱 및 盜汗을 다스린다.
上統 30 녹용대보탕(鹿茸大補湯)
肉蓯蓉4 杜冲4 白芍藥3 白朮3 附子3 人蔘3 肉桂3 半夏3 石斛3 五味子3 鹿茸2 黃芪2 當歸2 白茯苓2 熟地黃2 甘草1
虛勞, 少氣와 一切의 虛損을 다스린다.
------------------------------ 허로보약----------------------------------------
上統 31 쌍화탕(雙和湯)
白芍藥10 熟地黃5 黃芪5 當歸5 川芎5 桂皮3 甘草3
氣와 血이 함께 손상되었거나 房事後의 勞役 혹은 勞役후의 房事 및 大病 후의 氣乏과 自汗을 다스린다 ① 이것은 建中湯과 四物湯을 合方한 것이다.
@ 응용: (+생맥산, 육미, 패독산, 보중익기탕, 오적산, 불환금정기산)
어린이 보약: 건중탕/ 어른보약: 쌍화탕
芪歸健中湯의 변방(건중탕합 황기 당귀)
上統 32 팔물탕(八物湯)
人蔘5 白朮5 白茯苓5 甘草5 熟地黃5 白芍藥5 川芎5 當歸5
氣와 血이 다 虛한 것을 다스린다. ① 일명 八珍湯이다. ② 虛淋에는 黃芪, 虎杖根, 黃芩, 牛膝 등을 가한다.
[活套] 子瘧이 오래된 데에 人蔘과 熟地黃을 배로 하고 柴胡, 條芩, 砂仁등을 加한다. ③ 한다에는 桂枝, 黃芪, 防風을 가한다. ④ 두통에는 天麻와 細辛을 加한다.
上統 33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人蔘5 白朮5 白茯苓5 甘草5 熟地黃5 白芍藥5 川芎5 當歸5 黃芪4 肉桂4
氣와 血이 다 虛한 것을 다스린다.
[活套] 一切의 虛損에는 모든 증세에 따라 加減할 수 있다. ① 대개 癰疽의 病邪가 아직도 깨끗하지 않으면 金銀花, 皂角刺, 穿山甲 따위를 加하고, 혹은 膿流淸水하거나 오래도록 收斂되지 않으면 人蔘, 肉桂, 黃芪를 倍로 하고 生薑, 附子, 蓮肉 따위를 加한다.
@ 上統 94(가미십전탕) 십전대보탕 가 진피 오약 오미자; 치옹저 궤후 보기혈 배통 생기
上統 34 고진음자(固眞飮子)
熟地黃6 山藥4 人蔘4 當歸4 黃芪4 黃柏4 陳皮3 白茯苓3 杜冲3 甘草3 白朮2 澤瀉2 山茱萸2 破故紙2
陰陽 兩虛와 氣血不足, 潮熱, 自汗, 혹은 泄瀉, 脈弱, 咳嗽, 痰多 등을 다스리는데 중년인은 常服해도 좋다.
[活套] ① 大虛에는 人蔘과 熟地黃을 倍로 한다. ② 虛冷에는 黃柏을 빼고 肉桂와 附子를 加한다.
@ 육미 합 십전대보탕; 신음허 증상 뚜렷
上統 35 인삼양영탕(人蔘養榮湯)
白芍藥8 當歸4 人蔘4 白朮4 黃芪4 肉桂4 陳皮4 甘草4 熟地黃3 五味子3 防風3 遠志2
勞損과 氣血不足, 氣短, 少食, 寒熱, 自汗 등을 다스린다.
@ 쌍화탕 :미열, 한증 없음
십전대보탕: 한증
인삼양영탕: 한열
재생불량성 빈혈, 안공건결증, 씨쿠밴증후군( 누선과 타액이 분비가 잘 안됨)
---------------------------------심신교제--------------------------------------
上統 36 고암심신환(古庵心腎丸)
熟地黃120 生乾地黃120 山藥120 白茯神120 當歸80 澤瀉80 黃柏80 山茱萸40 枸杞子40 龜板40 牛膝40 黃連40 牧丹皮40 鹿茸40 生甘草20 朱砂40
腎虛有熱, 怔忡, 盜汗, 遺精을 다스린다.
[用法]이 藥味들을 가루로 만들어 꿀로 반죽하여 梧子大 만큼 환을 지어 朱砂를 입혀서 空腹에 鹽湯이나 溫酒로 백알씩 삼킨다.
[活套] 열이 없으면 黃連과 黃柏을 뺀다. ① 咳嗽에는 橘皮와 貝母를 加한다. ② 虛가 심하면 熟地黃과 鹿茸을 倍로 가하고 人蔘을 加한다. ③ 혹은 二十貼으로 만들어 쓴다.
@ 심열을 내리는 데는 청리자감탕이 더 낫고 신수를 보강하는데에는 고암심신환이 더 낫다.
청리자감탕 보다 보의 성격이 더 강함
上統 37 구원심신환(究原心腎丸)
菟絲子120 牛膝40 熟地黃40 肉蓯蓉40 鹿茸40 附子40 人蔘40 遠志40 白茯神40 黃芪40 山藥40 當歸40 龍骨40 五味子40
虛勞와 水火不濟로 인한 怔忡, 盜汗, 遺精, 赤濁 등을 다스린다.
[用法] 이 藥味들을 가루로 하여 菟絲酒에 沈했다가 삶아서 梧子大로 糊丸해서 대추탕으로 70~90알씩 먹는다.
上統 38 공진단(拱辰丹)
鹿茸8 當歸8 山茱萸8 麝香1
체질이 선천적으로 허약하더라도 이 약은 天元一氣를 굳혀서 水를 오르게 하고 火를 내리게 하므로 백병이 생기지 않는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하여 酒麵으로 버무려 梧子大로 丸을 지어서 溫酒나 鹽湯으로 칠십알 내지 백 알씩 먹는다. 혹은 湯으로 하여 쓰기도 한다.
[活套] 人蔘과 熟地黃을 넣으면 더욱 좋다. ① 냉에는 肉桂와 附子를 加한다. ② 기침에는 橘皮와 貝母, 五味子를 加한다. ③ 麝香대신으로 沈香이나 혹은 木香을 넣는다.
@ 귀용탕(녹용 당귀)/ 사향 대신 목향, 사인 넣어 환으로 만들어 어린이 보약으로 사용
上統 39 귤피전원(橘皮煎元)
橘皮200 甘草132 當歸40 萆薢40 肉蓯蓉40 吳茱萸40 厚朴40 官桂40 陽起石40 巴戟40 石斛40 附子40 菟絲子40 牛膝40 鹿茸40 杜冲40 乾薑40
脾와 腎이 함께 虛한 것과 오래된 瘧疾 또는 痢疾을 치료한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해 놓고 먼저 술 한 되 다섯 홉에다 橘皮가루를 타서 磁器에 담아 엿처럼 달인 다음 나머지 십육가지의 약가루를 넣고 고루 이겨서 梧子大로 환을 지어, 공복에 溫酒나 鹽湯으로 오십 내지 칠십알씩 服用한다.
[活套] 陽起石은 燥血의 염려가 있으니 빼고 人蔘과 熟地黃을 加하면 매우 좋다. 이는 남원 삼람 任應會의 방법이다. ① 二十貼으로 분작해서 사용해도 좋다.
上統 40 육미지황원(六味地黃元)
熟地黃320 山藥160 山茱萸160 白茯苓120 牧丹皮120 澤瀉120
腎水不足을 치료한다.
① 五味子 4냥을 가한 것을 <腎氣丸>이하고 한다. 이는 肺의 원천을 滋養하여 腎水를 나게 하는 것이다.
② 肉桂와 附子炮를 각 1냥씩 加하면 <八味元>인데, 命門陽虛를 다스린다.
③ 陰虛浮腫에는 牛膝과 車前子를 가하여 쓰는데 <金匱腎氣丸>이라고 한다.
④ 遺尿無度에는 澤瀉를 빼고 益智仁을 加한다.
⑤ 노인 및 孕婦의 轉脬에는 澤瀉를 倍로 한다.
⑥ 冷淋으로 먼저 추워서 떨고 洩하지 못하는 데는 <八味元>이 좋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하여 梧子大로 蜜丸을 지어 溫酒나 鹽湯으로 50~70알씩 服用한다.
⑦ <腎氣丸>의 五味子를 1냥으로 하여 俗用하기도 한다.
[活套] 또한 20첩으로 분작해서 쓰기도 한다.
⑧ 陰虛浮腫에는 熟地黃을 減하고, 牛膝, 車前子, 桂枝, 附子 등을 加한다.
⑨ 黃疸이 겸했으면 인진을 加한다.
⑩ 傷寒이 過經하여 虛熱이 不退하고 입이 燥하고 혀가 마르고 脈이 虛한 증세 등에는 人蔘을 배로 하고 麥門冬, 橘皮 따위를 加한다.
⑪ <加減八味元>을 消渴에 구복하면 영구히 없어진다. 질병이 消除되었으면 腎氣가 회복된 것이다.
[適應症]모든 腎疾患, 膀胱疾患, 佝僂病, 바세도우氏病, 白內障, 便秘, 四肢煩熱, 肺結核
上統 41 증익귀용환(增益歸茸丸)
熟地黃160 鹿茸160 五味子160 大當歸160 山藥80 山茱萸80 大附子80 牛膝80 官桂80 白茯苓40 牧丹皮40 澤瀉40
신장이 쇠약한 것을 치료하여 정기를 보하고 陽를 기른다.
[用法] 위의 藥味들의 분말을 녹각교 반근에 섞어서 석기에 담아 술을 조금 넣고 녹여 梧子大로 환을 지어 空腹에 溫酒나 鹽湯으로 50~70알씩 服用한다. 또 한 가지의 방법은 鹿角膠를 作末하여 술에 버무려 丸을 지어도 좋다.
上統 42 쌍보환(雙補丸)
熟地黃320 菟絲子320
氣血을 평균하게 補하여 乾燥하지도 않고 熱도 나지 않도록 한다.
[用法] 위의 藥味들의 분말을 술에 버무려 梧子大로 糊丸을 지어 70알씩 술로 服用한다.
上統 43 이신교제단(二神交濟丹)
白茯神120 薏苡仁120 酸棗仁80 枸杞子80 神麯80 白朮80 柏子仁40 芡仁40 生乾地黃40 麥門冬40 當歸40 人蔘40 陳皮40 白芍藥40 白茯苓40 縮砂40
心, 脾, 腎 三經의 虛損을 다스린다.
[用法] 이 藥味들의 粉末을 熟水 4잔으로 이긴 것과 꿀 4냥을 버무려 삶아서 山藥末 4냥으로 풀을 쑤어 梧子大로 丸을 지어 50~70알씩 미음으로 服用한다. ① 이상의 十六味 중에서 ‘神’자가 붙은 藥味가 八味씩 맡았으니 十六味인데, 거기에 八節을 합하면 모두 24냥쭝이 되니, 곧 二十四氣가 합하여 1세가 되는 셈이다.
上統 44 인숙산(仁熟散)
柏子仁4 熟地黃4 人蔘3 枳殼3 五味子3 桂心3 山茱萸3 甘菊3 白茯神3 枸杞子3
心과 膽이 虛하여 두렵고 겁나 혼자 누워있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用法] 溫酒으로 2錢씩 調服한다.
[適應症] 노이로제
上統 45 소건중탕(小建中湯)
白芍藥20 桂枝12 炙甘草4 黑糖40
虛勞, 裏急, 腹痛, 夢遺, 咽乾등을 다스린다. ① 自汗에 黃芪를 加해서 쓰는 것을 黃芪建中湯이라고 한다. ② 血瘀에 當歸를 가해서 쓰는 것은 當歸建中湯이다. ③ 理中湯과 合方한 것은 建理湯인데, 虛冷, 腹痛을 다스린다.
[活套] 積氣와 疝氣가 上攻하면 茴香, 吳茱萸, 胡椒, 玄胡索, 全蝎 따위를 加한다. ④ 회충이 창궐하면 龍眼肉 五錢과 花椒, 烏梅, 使君子 따위를 加한다. ⑤ 虛가 심하면 人蔘 三~五錢을 加한다.
------------------------------남녀보약--------------------------------------
上統 46 우귀음(右歸飮)
熟地黃12~80 山藥8 枸杞子8 杜冲8 山茱萸4 附子4 肉桂4 甘草4
이것은 火를 補益하는 약인데, 陽이 衰弱해지고 陰이 勝勢한 것을 다스린다. ① 氣虛에는 人蔘과 白朮을 加한다. ② 假熱에는 澤瀉를 加하든지 冷水沈해서 冷服한다. ③ 人蔘과 當歸를 가한 것을 補元煎이라고 한다.
[活套] 氣虛에는 人蔘과 白朮을 加한다.
@ 숙지황 산약 산수유는 육미중에 보하는 약
cf) 좌귀음 : 육미- 택사 목단피 + 구기자 자감초
우귀음은 남자 대영전은 여자에게 쓰는 처방
上統 47 대영전(大營煎)
熟地黃12~20~28 當歸8~12~20 枸杞子8 杜冲8 牛膝6 肉桂4~8 炙甘草4~8
眞陰이 虧損된 것 및 婦人의 月經遲延으로 血少한데 筋骨과 心腹의 疼痛 등에 쓰는 藥이다.
@ 혈허, 한체
1. 몸이 차고 생리가 잘 안나옴(통증이 심함)
2. 허약한 여자, 유산된 여자, 몸이 냉, 무릎이 시리면서 아랫배 까지 아픔
上統 48 양의고(兩儀膏)
人蔘300 大熟地600
精氣가 大虧한 것을 다스린다.
[用法] 이상의 두가지 藥味를 甛水(단물)이나 長流水 15梡에 담아 1宿 沈했다가 뽕나무 장작의 약한 불과 센불로 삶아서 농즙을 낸다. 만일 藥味의 즙이 덜 나왔으면 물을 서너 완 다시 붓고 조려 취즙해서, 먼저 받아 놓은 농즙과 아울러 조려서 磁罐에 넣고 重湯해 조린다. 膏藥이 되면 흰꿀 반 근을 혼합한 다음 이 것을 收藏하였다가 백탕에 타서 수시로 服用한다.
上統 49 정원음(貞元飮)
熟地黃80 甘草12 當歸12
마치 喘息처럼 氣短해서 호흡이 위험스러울 정도로 촉급한 것을 다스린다. 婦人血海가 항상 虧損되는 사람에게 이 증세가 가장 많다. ① 氣虛에는 人蔘을 加한다. ② 手足厥冷에는 官桂와 附子를 加한다.
@ 숙지황, 당귀: 보혈
숙지황 백복령: 흑백탕 (해열) 건조해서 열이 발생한 경우 潤하게 해서 解熱 (노인 혹은 임신 중)-이런 경우 20g씩 다량으로
대영전을 쓰면 되므로 무시
----------------------소화기 보약----------------------------------------
上統 50 비화음(比和飮)
人蔘4 白朮4 白茯苓4 神麯4 藿香2 陳皮2 砂仁2 甘草2 陳倉米2
胃虛로 인한 嘔吐, 즉 음식 소리만 들어도 구역이 나고, 약이란 말만 들어도 구역질을 하는 따위를 다스린다.
[用法] 먼저 順流水 세 되에 伏龍肝을 넣고 거품을 일게 한 다음 깨끗한 물 한 되 반을 받아 七分쯤 되게 달여서 하루 세 번 冷服한다.
[活套] 虛가 심하면 人蔘을 5~7錢으로 增量하고 白豆蔲 1錢을 加한다. (+반하 지실 목향 향부자 오약)
@ 伏龍肝: 빨갛게 달군 후 찬물에 넣은 후 윗물을 마시도록 한다.
임신오조: 연근을 갈아서 소금을 약간 넣어 마신다.
1. 반하사심탕
2. 온담탕(이진탕+지실,죽여)+ 등심(이수삼습, 청심강화), 황연
3. 보생탕
4. 허가 극심(말간 물을 토함): 태화환
5. 걸쭉한 걸 토:보화환
6. 비화음
---------------------노인 기침, 천식-------------------------------------------
上統 51 금수육군전(金水六君煎)
熟地黃10 當歸4 半夏4 白茯苓4 陳皮6 甘草4 白芥子3
肺와 腎이 虛寒하고 水泛 때문에 痰이 된 것과 咳嗽, 喘急 등을 다스린다. ① 大便이 活하면 當歸를 빼고 山藥을 넣는다. ② 痰에는 白芥子를 加한다. ③ 陰寒에는 細辛 五分을 加한다. ④ 寒熱에는 柴胡를 加한다.
[活套] 氣虛에는 人蔘과 胡桃를 加한다. ⑤ 痰盛에는 貝母와 杏仁을 加한다. ⑥ 冷에는 乾薑과 肉桂를 加한다. ⑦ 氣가 회복되지 않으면 破故紙와 五味子를 加한다. ⑧ 燥痰에는 瓜蔞仁을 加한다.
上統 52 청상보하환(淸上補下丸)
六味元 加 五味子60 枳實60 麥門冬60 天門冬60 貝母60 桔梗60 黃連60 杏仁60 半夏60 瓜蔞仁60 黃芩60 甘草20
哮吼와 寒을 만나면 咳嗽가 發하고 痰涎이 胃를 막아 喘急해지는 증세가 오래 낫지 않는 것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의 粉末을 梧子大로 蜜丸을 지어 七十~八十 丸을 미음으로 삼킨다.
[活套] 湯을 만들어 服用해도 좋다.
@ cf) 금수육군전: 痰嗽, 가랑가랑 가래 끓는 소리
청상보하환: 納氣, 쇄액쇄액 숨소리 나는 것
---------------------------애역-----------------------------------------------
上統 53 인삼복맥탕(人蔘復脈湯)
六君子湯 加 麥門冬4 竹茹4 五味子4
咳逆과 無脈을 다스린다.
上統 54 정향시체산(丁香柿蒂散)
丁香4 柿蒂4 人蔘4 白茯苓4 橘皮4 良薑4 半夏4 甘草2
대병 후에 胃中이 虛寒하고 咳逆하는 證을 다스린다.
@ 인삼복맥탕 : 胃虛咳逆, 임신오조에도 쓸 수 있다. (맥문동, 죽여,죽순,죽엽을 가해서 쓸 수 있다. 임신중에는 대나무가 좋다.)
정향시체산 : 胃中虛寒
-------------------------------------------------------------------------------
上統 55 장원탕(壯原湯)
人蔘8 白朮8 赤茯苓4 破故紙4 陳皮3 肉桂2 乾薑2 附子2 縮砂2
下焦가 虛寒하고 中滿, 腫脹하고 小便이 不利하고 上氣로 喘急, 陰囊과 腿部에 浮腫이 나는 증세를 다스린다.
[活套] ① 기침에는 桑白皮를 加한다. ② 다리와 얼굴의 浮腫에는薏苡仁을 加한다. ③ 中氣不運에는 木香과 厚朴을 加한다. ④ 氣鬱에는 沈香과 烏藥을 加한다. ⑤ 虛한 데는 人蔘 三錢과 附子 一錢을 加한다. ⑥ 땀에는 桂枝와 芍藥을 加한다. ⑦ 여름의 喘乏과 汗多에는 麥門冬, 五味子를 가하고 轉側하지 못하는 데는 蒼朮과 澤瀉를 加한다. ⑧ 濕盛에는 赤小豆와 桑白皮를 加한다.
上統 56 복원단(復元丹)
澤瀉100 附子80 木香40 茴香40 川椒40 獨活40 厚朴40 白朮40 橘皮40 吳茱萸40 桂心40 肉豆蔲20 檳榔20
心腎의 眞火라야 脾肺의 진토를 양생할수있는데 심신의 진화가 이미 없어졌으면 (비폐의)진토를 자양할수 없으니 토가 수를 제어하지 못한다. 따라서 腫脹, 喘急, 痼冷, 舌乾, 尿閉 등이 생긴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해서 梧子大로 糊丸을 지어 蘇葉湯으로 오십환씩 하루 세 번 服用한다.
[活套] 혹 십첩으로 분작해서 쓰기도 한다. ① 氣虛에는 人蔘 三~五錢을 쓰기도 한다.
上統 57 사수음(四獸飮)
人蔘4 白朮4 白茯苓4 陳皮4 半夏4 草果4 甘草4 烏梅4 生薑4 大棗4
七情에서 모인 痰과 五臟의 氣虛로 인하여 瘧疾이 오래도록 낫지 않는 것을 다스린다. ①발증 전에 연속해서 수 첩을 服用한다.
[용법] 이 藥味들에다 소금을 조금 섞어 한 식경 두었다가 피지로 싸서 속 안의 것이 축축해질 만큼 水浸해 가지고 불에 묻어 굽는다. 냄새가 나게 더워지면 내려서 달여 먹는다.
[活套] 虛가 심하면 人蔘을 3~5錢으로 增量한다. ② 寒이 많으면 生薑을 五~七錢으로 增量한다.
上統 58 냉부탕(冷附湯)
大附子 炮半枚 生薑 十片
瘧疾이 잘 떨어지지 않으면 이는 담은 실한데 비가 약해서 그 담이 흉격에 정체해 있기 때문이다. ① 水煎해서 하룻 밤 밖에 두었다가 오경에 冷服하면 약력이 하달하게 된다.
[적응증] 말라리아
上統 59 휴학음(休瘧飮)
何首烏20 人蔘16 白朮16 當歸16 炙甘草3
이 약은 瘧疾에 가장 신묘해서, 汗散이 이미 많이 되어 元氣가 회복되지 않은 것을 다스린다. ①혹 陰水와 陽水를 각 한 종지로 달여먹고, 하룻밤 밖에 두었다가 다음 날 일찌기 溫服하고, 식후 오래 있다가 再服한다.
[적응증] 말라리아
上統 60 하인음(何人飮)
何首烏40 人蔘40 當歸12 陳皮12 煨薑20
瘧疾을 치료하는데 신비한 약이며 대개 겨혈이 오래도록 허하여 오랜 瘧疾이 낫지 않는 것을 고친다. ① 혹은 술과 반반으로 달여 쓴다.
[적응증] 말라리아
-------------------------------------------------------------------------------
上統 61 경옥고(瓊玉膏)
生地黃9600 人蔘900 白茯苓1800 白蜜6000
精을 채우고 髓를 補하며 毛髮을 검게하고 齒牙를 나게하고 萬神이 俱足하여 百病을 除去한다.
① 다른 한 處方은 琥珀과 沈香을 각 五錢씩 加한다. ② 天門冬과 枸杞子를 각 1斤씩 가한 것을 益壽永眞膏라고 한다. ③ 또, 한 處方은 天門冬, 麥門冬, 地骨皮를 각 8냥씩 넣는다.
上統 62 반룡환(斑龍丸)
鹿角膠320 鹿角霜320 菟絲子320 柏子仁320 熟地黃320 白茯苓160 破故紙160
장수하는 약이다.
[用法] 위의 藥味 가루들을 酒糊로 丸을 지어 쓰거나, 鹿角膠를 좋은 술에 넣어 녹거든 거기에 藥味들의 가루를 넣고 五味子대로 丸을 지어 오십 알씩 薑鹽湯으로 服用한다.
上統 63 비원전(秘元煎)
山藥8 芡仁8 酸棗仁8 人蔘8 金櫻子8 白朮6 白茯苓6 甘草4 遠志3 五味子2
遺精과 帶濁을 다스린다. ① 虛에는 黃芪를 加한다. ② 熱이 있으면 苦蔘을 加한다. ③ 食後 오래 있다가 服用한다.
@ 苦蔘: 신장이 허해서 대하 또는 遺精 夢精이 오는 경우에는 반드시 넣을 것
비원전의 원은 元陰을 의미 함 (원음을 강하게 해서 상화가 망동한 나머지 남자는 유정이 여자에게는 대하가 그리고 손 발바닥 가슴이 화끈화끈 하게 달아오르고 머리가 어지럽고 등등에 쓸 수 있는 처방)
유정 조루 몽정에는 수렴약을 주는 것이 아니라 상화를 푸는 약을 쓴다.
-------------------------------------------------------------------------------
上統 64 사군자탕(四君子湯)
人蔘5 白朮5 白茯苓5 甘草5
眞氣가 허약한것을 補養하고 氣가 짧고 氣가 적은 것을 치료한다. ① 虛損을 다스리기 위해 當歸와 黃芪를 가하는데, 이것은 人蔘黃芪湯이다. ② 四物湯과 合方한 것은 八物湯이라 한다. 또 黃芪, 肉桂 각 一錢을 가한 것은 十全大補湯이다. ③ 陳皮를 加하면 異功散이고, 陳皮와 半夏를 加하면 六君子湯이다. ④ 虛泄에는 黃芪, 升麻, 柴胡, 防風을 加한다.
[活套] 冷에는 肉桂와 附子를 加한다. ⑤ 浮腫이 나면 猪苓과 澤瀉를 加한다. ⑥ 暑에는 香薷, 白扁豆 白檀香등을 加한다. ⑦ 虛泄에는 五苓散을 合方한다.
上統 65 거원전(擧元煎)
人蔘20 黃芪20 甘草8 白朮8 升麻3
기허함으로 인한 血崩, 血脫을 다스리는데 當歸나 熟地黃으로 듣지 않을 때 쓴다.
上統 66 귀비탕(歸脾湯)
當歸4 龍眼肉4 酸棗仁4 人蔘4 黃芪4 白朮4 白茯神4 遠志4 木香2 甘草1
憂思로 인한 心脾의 勞傷과 健忘, 怔忡을 다스린다. ① 또, 접촉할 때마다 遺精되는 것을 다스린다.
[活套] 氣가 昇降하지 못할 때는 便香附子를 加한다. ② 虛火로 인해 吐血하면 熟地黃 五~七錢 및 검게 炒한 乾薑 一~二錢을 加한다. ③ 崩漏 帶下가 오래 가면 人蔘을 倍로 하고 地楡, 荊防, 升麻 따위를 加한다. 不眠에는 熟地黃 五~七錢을 加한다.
@ 신경쇠약증에서부터 비허증 치료
목향 빼고는 대부분 보약이다. 신경쇠약이 심한 경우 (간화가 치성한 경우) 시호 승마를 가한(상통 98번)가미 귀비탕 이용 + 변향부자
上統 67 진음전(鎭陰煎)
熟地黃80 附子12 牛膝8 澤瀉6 肉桂8 炙甘草4
陰虛 格陽으로 인해 眞陽이 지켜지지 않아 血이 수시로 넘쳐서 大吐 大衄하는 것을 다스린다. 脈이 細하고 四肢가 冷하면 格陽을 다스리고 喉痺, 上熱者는 冷服한다. ① 嘔吐를 겸했으면 炒黃한 건강을 加한다. ② 氣脫이 빨라지면 人蔘을 加한다.
上統 68 사물탕(四物湯)
熟地黃5 白芍藥5 川芎5 當歸5
血病을 治療한다. ① 脚痛 血熱에는 知柏과 牛膝을 加한다. ② 虛陽에는 黃芩을 加하여 浮萍草末로 調服한다. ③ 봄에는 川芎을 배로 하고, 여름에는 芍藥을 배로 하고 가을에는 地黃을 배로 하고, 겨울에는 當歸를 배로 한다. ④ 봄에는 防風을 加하고 여름에는 黃芩을 加하고, 가을에는 天門冬을 가하고, 겨울에는 桂枝를 加한다.
[活套] 合方法은 四君子湯을 보라. ⑤ 血虛로 經水가 不調하면 香附子, 益母草, 吳茱萸, 肉桂, 人蔘 따위를 加한다.
上統 69 육군자탕(六君子湯)
半夏6 白朮6 陳皮4 白茯苓4 人蔘4 甘草2
기가 허하고 담이 성한것을 치료한다.
[活套] 허랭에는 生薑 桂枝를 加한다. ① 汗多에는 桂枝와 黃芪를 加한다. ② 血燥에는 熟地黃, 當歸, 白芍藥을 加한다. ③ 咳嗽에는 貝母, 五味子를 加한다. ④ 氣滯에는 香附子, 木香을 加한다. ⑤ 挾感에는 香附子와 乾葛을 加한다. ⑥ 挾食에는 神麯, 砂仁, 枳實을 加한다. ⑦ 浮腫에는 四苓散을 合方한다.
上統 70 안회이중탕(安蛔理中湯)
白朮4 乾薑3 人蔘3 白茯苓3 花椒三十粒 梅2枚
脾虛와 蟲痛을 다스린다.
[活套] 虛冷에는 人蔘과 生薑을 倍로하고 桂心을 加하거나 龍眼肉 3~5전을 加한다.
@ 화초, 오매는 담낭의 오디근을 자극- 담석증의 통증 위경련에 도움
신장 결석은 배출이 잘 됨, 담낭결석은 배출이 잘 안됨
금전초가 결석 배출에 효과 좋음.
방약합편 상통 84번 삼원음(용안육 20g)
무슨 통증이든지 안회이중탕합삼원음 : 강력한 진통효과 (암통증, 췌장 때문에 오는 통증 등)
만약의 경우 안회이중탕합삼원음으로 해결이 안되면 白茅根加, 혹은 수점산 합방
통증이 많이 심한 경우 백굴채 (애기 똥풀)를 가한다.- 몰핀 작용
上統 71 삼기탕(蔘芪湯)
人蔘4 黃芪4 白茯苓4 當歸4 熟地黃4 白朮4 陳皮4 益智仁3 升麻2 肉桂2 甘草1
氣虛로는 遺尿를 다스린다. ① 노인용으로는 附子를 가한다.
@ 보중익기탕의 변방
황기: 알도스테론 분비 증가시킴(소변양 감소시키는 효능 있음)
삼기탕에 익지인이 들어가 있으므로 오약 산약을 넣으면 효과 좋음.
-------------------------------------------------------------------------------
上統 72 사주산(四柱散)
木香5 白茯苓5 人蔘5 附子5
元臟이 虛寒해서 大便이 滑泄하는 증을 다스린다. ① 이 處方에는 訶子와 肉豆蔲를 가한 것을 六柱散이라고 한다.
上統 73 팔주산(八柱散)
人蔘4 白朮4 肉豆蔲4 乾薑4 訶子4 附子4 罌粟殼4 甘草4
大便이 미끄러지게 설사하여 금할 수 없는 것을 치료한다.
上統 74 오덕환(五德丸)
補骨脂160 乾薑160 吳茱萸80 五味子80 木香80
脾腎이 虛寒하여 飱泄하는 증세를 다스린다. ① 腹痛에는 胡椒를 加한다.
[用法] 위의 藥味들의 粉末을 蒸餠을 만들어 梧子大로 丸을 지어 60알씩 白湯이나 人蔘湯으로 服用한다.
上統 75 사신환(四神丸)
破故紙160 肉豆蔲80 五味子80 吳茱萸40
脾腎이 虛해서 나는 泄痢와 晨泄을 다스린다.
[用法] 藥味들을 作末하여 生薑 8냥과 대추 100알을 함께 삶아 梧子만큼 棗肉丸을 지어 空心에 30~50환을 鹽湯으로 服用한다. ② 破故紙 4냥과 肉豆蔲의 날것이나 煨한 것 二兩을 가지고 위와 같은 방법으로 만든것을 二神丸이라고 하며, 木香 한 냥을 더 가한 것을 三神丸이라고 한다.
@ 과민성 대장 증후군
삼백탕(중통 107)과 합방하여 사용
上統 76 위관전(胃關煎)
熟地黃20 山藥8 白扁豆8 白朮8 乾薑8 炙甘草4 吳茱萸3
脾腎의 寒虛로 인한 泄瀉와 腹痛 冷痢를 다스린다. ① 설사에는 肉豆蔲와 破故紙를 加한다. ② 氣虛에는 人蔘을 加한다. ③ 陽虛에는 附子를 加한다. ④ 腹痛에는 木香을 加한다. ⑤ 활탈에는 烏梅나 혹은 五味子를 加한다. ⑥ 肝侮脾에는 肉桂를 加한다.
上統 77 실장산(實腸散)
山藥40 黃米40
久痢를 다스리는데 赤痢이건 白痢이건 이 處方을 쓰면 黃糞으로 바뀌어 나온다.
[用法] 위의 藥味들의 粉末에 설탕을 치고 熱湯으로 和末해서 적당히 稀稠해지면 천천히 服用한
다.
-------------------------노인변비----------------------------------------
上統 78 제천전(濟川煎)
當歸20 肉蓯蓉12 牛膝8 澤瀉6 升麻3 枳殼3
병후 虛損하여 便秘하는 것을 治療한다. ① 氣虛에는 人蔘을 加한다. ② 火가 있으면 黃芩을 加한다. ③ 腎虛에는 熟地黃을 加한다.
上統 79 윤혈음(潤血飮)
牛膝8 肉蓯蓉8 當歸8 枳殼6 郁李仁6 升麻4
老人과 虛人의 便秘를 다스린다.
@ 殼穀 : 청장년들 특히 여자 중.고등학교 (긴장성) 변비에 차를 끓여 먹는다.
郁李仁 : 단방으로 써도 효과가 좋음(노인, 산후, 병후 허약자) 죽써서 먹는다.
上統 80 교밀탕(膠蜜湯)
蜜 1匙 葱 三本
위의 처방과 같이 老人과 虛人의 便秘를 다스린다.
[用法] 위의 煎水에 阿膠 二錢을 熔化해서 服用한다. 또 檳榔을 가해서 調服해도 좋다.
-------------------------------------------------------------------------------
上統 81 자음건비탕(滋陰健脾湯)
白朮6 陳皮4 半夏4 白茯苓4 當歸3 白芍藥3 生乾地黃3 人蔘3 白茯神3 麥門冬3 遠志3 川芎1 甘草1
일에 임하면 불안하고 어지러운 증세를 다스리는데 이는 心과 脾가 虛怯한 탓이다. 이 處方은 氣血이 虛損되고 痰飮이 있어서 어지럽게 되는 증세를 다스리는 仙藥이다.
[活套] 氣虛에는 人蔘을 3~5錢으로 增量한다. ① 頭風에는 天麻, 防風, 荊芥를 加한다. ② 自汗에는 桂枝와 黃芪를 加한다.
@어깨가 아픈데, 虛인 경우(어깨 관절 구축, 폐용성 구축) 사용할 수 있음
활투 1번의 천마 방풍 형개를 가미하면 반하백출천마탕의 의미까지 포함된다.
울렁거리고 매쓰꺼운 경우
1. 영계출감탕 :배에서 꿀렁거림, 창백 빈혈
2. 반백탕 :울렁거림이 가장 심
3. 당귀작약산 :창백, 빈혈
4. 자음건비탕 :가장 虛(어지럽고 귀울리고 매쓰겁고)
메니에르: 한방에서는 수분대사 이상으로 봄
-------------------------------------------------------------------------------
上統 82 자석양신환(磁石羊腎丸)
磁石120 熟地黃80 石菖蒲60 川芎40 白朮40 川椒40 大棗肉40 防風40 白茯苓40 細辛40 山藥40 遠志40 川烏40 木香40 當歸40 鹿茸40 菟絲子40 黃芪40 官桂25 羊腎兩對
諸般 耳聾을 다스리고, 虛를 補하고, 開竅, 行鬱, 散風, 袪濕한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한 것과 羊腎 兩對를 술에 푹 삶은 술로 버무려 梧子大로 糊丸을 지어 空心에 溫酒나 熱湯으로 오십알씩 服用한다.
* 磁石은 三兩을 下해서 다시 葱白, 木通 각 三兩을 함께 酒煮하여, 한번 끓었을 때 磁石을 꺼내어 물을 말린 것을 二兩을 쓴다.
上統 83 건리탕(健理湯)
人蔘20 乾薑8 桂枝8 白朮4 白芍藥4 甘草2
脾胃虛冷 혹은 積聚 氣上하여 心腹이 刺痛하는 것을 다스린다.그러므로 養脾, 培元하는 약이다.
[活套] 陳皮와 靑皮를 가한것을 治中湯이라고 한다.
上統 84 삼원음(蔘圓飮)
人蔘28 龍眼肉28 橘皮4
蛔厥로 인한 심복통을 다스리는데 이미 溫補해 보아도 통증이 멎지 않으면 이 약으로 潤하게 한다. ① 혹 桂心 一~二 錢을 加하기도 한다.
上統 85 부양조위탕(扶陽助胃湯)
附子8 乾薑6 草豆蔲4 益智仁4 白芍藥4 人蔘4 甘草4 官桂4 吳茱萸2 白朮2 陳皮2
胃脘에서 心臟으로 치밀어 아픈것을 다스린다. 寒氣가 腸胃에 들면 갑자기 痛症이 난다.
上統 86 작약감초탕(芍藥甘草湯)
白芍藥16 甘草8
甘한 것(甘草)은 己요, 酸한 것(白芍藥)은 甲인데, 甲己는 化土한다. 이는(이런 이치로 處方한 것은)張仲景의 妙法이다. 酸으로 收斂하고 甘으로 緩解한다.
[活套] 小兒肝氣에는 靑皮, 釣鉤藤, 木瓜를 加한다. ① 乳滯에는 陳皮, 麥芽를 加한다. ② 挾感에는 乾葛, 蘇葉, 忍冬 따위를 가하는데, 속칭 甲己湯이라고도 한다.
아이들 경기, 소아 간기
------------------------------------운동기질환---------------------------------
上統 87 청아환(靑娥丸)
杜冲160 破故紙160 胡桃 三十枚
腎虛로 인한 腹痛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의 粉末과 生薑 2냥 半으로 낸 즙과 和煉해서 梧子大의 蜜丸을 지어 空心에 溫酒나 鹽湯으로 100알씩 服用한다.
@독활기생탕과 합하여 간신허 요통
육미에 합하여 신허요통을 치료
上統 88 독활기생탕(獨活寄生湯)
獨活3 當歸3 白芍藥3 桑寄生3 熟地黃2 川芎2 人蔘2 白茯苓2 牛膝2 杜冲2 秦艽2 細辛2 防風2 肉桂2 甘草1
肝腎 虛弱으로 인한 筋肉痙攣, 骨痛과 脚膝의 偏枯冷痺를 다스린다. ① 空心에 服用한다.
[活套] 虛冷에는 人蔘, 熟地黃을 倍로 하고 附子를 加한다.
@신허요통 :뼈자체 통증 (육미합청아환)
간신허요통: 어지러움 눈침침 피곤 넓적다리 안쪽통, 근육까지 아플때
상기생은 대부분 가짜가 많음 대신 강활 속단 넣을것
上統 89 大防風湯(大防風湯)
熟地黃6 白朮4 防風4 當歸4 白芍藥4 杜冲4 黃芪4 附子2 川芎2 牛膝2 羌活2 人蔘2 甘草2
鶴膝風을 다스리며 去風, 順氣, 活血, 壯筋한다.
삼기음: 풍한습에 오는 통증
대방풍탕: 대관절
독활기생탕: 간신허
소풍활혈탕: 소관절이나 어깨가 아플 때
------------------------------산증, 탈항----------------------------------------
@疝: 1. 헤르니아 있으면서 통증 2. 하복부와 전음 부위에 염증 없이 통증 3. 하복부와 전음 부위에 염증 있으면서 통증(맹장염, 자궁, 난소염, 고환염, 부고환염)
疝- 실:용담사간탕(열) 반총산(한)
- 허:난간전, 회향안신탕
上統 90 난간전(暖肝煎)
枸杞子12 當歸12 白茯苓8 烏藥8 小茴香8 肉桂8 沈香4
肝과 腎의 寒으로 인한 小腹疼痛과 疝氣를 다스린다. ① 寒이 심하면 吳茱萸, 乾薑, 附子를 加한다. ② 食後 오래 있다가 服用한다.
[活套] 虛에는 人蔘을 加한다. ③ 痛刺에는 全蝎을 三 分을 가해서 調服한다.
@ 하복부가 차고 아프고 전음부위까지 땡기면서 손발도 차고 추위를 많이 타는 경우
여성들 유산 후 혹은 신장 결석등
上統 91 회향안신탕(茴香安腎湯)
人蔘3 白朮3 白茯苓3 茴香3 破故紙3 檳榔3 烏藥3 便香附3 縮砂3 荔枝核3 黃柏2 澤瀉2 玄胡索2 木香2 升麻1 甘草1
左側 睾丸이 계란만큼 크게 편추된 것을 다스린다.
[活套] 冷에는 吳茱萸 5~6 푼을 加한다.
@ 사군자탕+회향,파고지로 덮혀줌 +빈랑 오약 향부자로 기를 소통+ 황백과 택사로 습을 제거
돌미나리즙: 고환부종, 통증에 효과가 좋음
上統 92 삼기탕(蔘芪湯)
人蔘4 黃芪4 當歸4 生地黃4 白芍藥4 白茯苓4 白朮4 升麻2 桔梗2 陳皮2 乾薑2 甘草1
肛門이 虛寒해서 脫出한 것을 다스린다. 肺와 腎이 虛한 사람에게 이 증세가 많은데, 이 약으로 끌어 올려야 한다.
@ 삼기탕(蔘芪湯)은 두 개 (상통 71, 92) 하나는 소변에 하나는 탈항에 쓰는 처방
이 처방은 탈항, 탈음, 위장하수에 쓸 수 있는 처방(보중익기탕가미방)
-----------------------------------------옹저---------------------------------
上統 93 탁리소독음(托裏消毒飮)
金銀花12 陳皮12 黃芪8 天花粉8 防風4 當歸4 川芎4 白芷4 桔梗4 厚朴4 穿山甲4 皂角刺4
癰疽를 다스리는데, 未成된 癰疽는 消盡시키고, 己成의 것은 潰滅시킨다. ① 술과 물을 반반씩으로 달여 먹는데, 病이 下焦에 있으면 물로만 달인다.
[活套] 차차 화농하면서 氣가 虛하면 人蔘 3~5전을 加한다. ② 虛冷하면 肉桂를 또 加한다.
@ 虛증인 경우에는 안에서 생긴 염증에도 이용할 수 있다.( 맹장염, 간염, 유방염)
당뇨병 옹저에 쓸수 있음
신경을 많이 써서 열이 올라 입술 있는 데가 터지거나 뒷목이 근질거리거나 하다면, 무리했으므로 허증이기는 하나 열증이 심한 것이다. 이런 경우는 약을 주는 것이 아니라 하고초만 다량으로 끓여 먹도록 한다. (*하고초는 혈압 강하작용이 강하다. 하고초와 두충을 합쳐주면 혈압 강하 작용이 강함)
上統 94 가미십전대보탕(加味十全大補湯)
十全大補湯 加 陳皮3 烏藥3 五味子3
癰疽를 다스려서, 터진 후에 氣血을 補하고 膿을 排除하고 살이 나게 한다.
@ 탁리소독음은 빨리 곪게 해서 낫게 할려고 할 때
가미십전대보탕은 곪아서 터졌는데 아물지 않을 때
cf) 선방활명음은 실증에 이용
上統 95 자신보원탕(滋腎保元湯)
八物湯 加 牧丹皮4 黃芪4 山茱萸4 杜冲4 肉桂2 附子2
옹저가 터진 후 더디 아무는 증세를 다스린다.
上統 96 국로고(國老膏)
大甘草40
懸癰(肛門과 陰部 사이에 나는 헌데)을 다스린다.
[用法] 大甘草 자른 것을 山間의 長流水 一椀에 담갔다가 아침부터 낮까지 文武火로 천천히 구워서 마르거든 앞서 담갔던 때와 같은 물에 침했다가 다시 굽되, 물이 다 없어질 만큼 되거든 잘게 썰어서 好酒 삼 되로 일 되가 되게 달여서 내키는 대로 二~三 번 空心에 飮服하면 걱정될 것이 없을 것이고 이십일 후에는 반드시 소진될 것이다.
@현옹: 1. 편도, 인후 부은것 2. 항문과 고환 사이염증
편도선이 많이 부은 것: 청화보음탕(중 129)+ 감초 길경/ 외용약: 새우젓을 씻지 말고 손으로 꽉 짜서 그 것을 후라이팬에 넣고 새까맣게 태운 다음 그것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서 상비해 둠. 스트로우로 가루를 찍어서 환자의 인후부위에 분다.
--부인과 질환-------------------------------------------------------------------
上統 97 조경산(調經散)
麥門冬8 當歸6 人蔘4 半夏4 白芍藥4 川芎4 牧丹皮4 阿膠珠3 甘草3 吳茱萸2 肉桂2
月經不順을 治療한다. ① 一名은 溫經湯. 또 일명은 千金調經湯이다.
[活套] 氣虛에는 人蔘을 倍로 한다. ② 附子를 加하면 效力이 더욱 좋다.
@맥문동, 아교주: 養血
寒이 심한 경우 사용: 오수유 육계
지장각피증
빈혈, 피부까칠한 사람, 빼빼한 사람, 예민한 사람
上統 98 가미귀비탕(加味歸脾湯)
歸脾湯 加 山梔4 柴胡4
肝脾의 怒鬱로 인하여 月經이 不通하는 것을 다스린다.
[活套] 便香附子를 加하면 약효가 더욱 절묘해진다.
@ 간화가 있는 경우 (신경쇠약+ 한열왕래)
上統 99 수비전(壽脾煎)
人蔘8 白朮8 當歸8 山藥8 乾薑8 酸棗仁6 甘草4 遠志2
一名 攝營煎이다. ① 脾가 虛해서 攝血이 不能하거나, 혹은 공격약을 誤用해서 脾陰을 犯損했거나 또는 婦人의 無火로 인한 崩淋 등을 다스린다. ② 피가 멎지 않으면 烏梅 혹은 地楡를 加한다. ③ 黃疸에는 文蛤을 가하든지 혹은 鹿角霜을 加한다. ④ 허에는 黃芪를 加한다. ⑤ 氣陷에는 升麻나 白芷를 加한다. ⑥ 陽虛에는 附子를 加한다.
@산후에 피가 계속 나온다. 월경양이 많고 길어진다.
귀비탕 변방
上統 100 복원양영탕(復元養榮湯)
人蔘6 當歸4 白芍藥4 黃芪4 酸棗仁4 地楡4 白朮4 荊芥3 遠志3 甘草1
崩漏과다로 心神恍惚하고 虛暈하는 것을 다스린다.
[活套] 陰陽이 俱虛하면 人蔘을 倍로 하고 熟地黃 3~5전을 加한다. 혹은 肉桂, 附子, 吳茱萸를 加한다.
上統 101 조경종옥탕(調經種玉湯)
熟地黃6 香附子6 當歸身4 吳茱萸4 川芎4 白芍藥3 白茯苓3 陳皮3 玄胡索3 牧丹皮3 乾薑3 官桂2 熟艾2
婦人이 자식이 없고 月經不順한 증세를 다스린다. ① 空心服한다. ② 月經이 오기를 기다려서, 그 날에 服用하고, 다음에는 하루 걸러 한첩씩 服用한다. 약을 다 服用한 후에 성교한다.
[適應症] 月經異常, 不姙症
@조경산: 조금마르고 피부도 거칠은 사람(맥문동, 아교주: 자음)
조경종옥탕: 빼빼한 사람이든 비만인 사람이든 쓸 수 있지만 빼빼하면서 아랫배가 찬 사람에게 더 많이 사용
上統 102 육린주(毓麟珠)
熟地黃160 菟絲子160 人蔘80 白朮80 白茯苓80 白芍藥80 杜冲80 鹿角霜80 川椒80 當歸80 川芎40 甘草40
婦人의 氣血이 俱虛하거나 帶下가 濁한 것을 다스린다. 姙娠하게 하는 여느 여러 방문으로는 효력이 없을 때 이 處方을 첨가해서는 쓴다.
[用法] 위의 藥味들의 粉末을 꿀에 이겨서 彈子大로 丸을 지어 空心에 1~2알씩 먹는다. 술이나 白湯으로 넘기기도 하고, 小丸으로 지어 삼키기도 한다.
@ 麟: 기르다는 뜻
여자의 불임 뿐만 아니라 남자의 불임에도 쓸 수 있음
*불임증에 특별한 약이 있는 것은 아니다.(당귀작약산, 계지보령환, 대황목단피탕, 육린주, 조경종옥탕, 부익지황환 등)
上統 103 부익지황환(附益地黃丸)
熟地黃320 香附子200 山藥160 山茱萸160 益母草160 當歸160 白茯苓120 牧丹皮120 丹參120 澤瀉80 吳茱萸80 肉桂80
血虛로 인해 月經이 不調하고, 受胎할 수 없는 것을 다스린다.
[用法] ① 위의 藥味들의 粉末을 꿀에 이겨서 梧子大로 丸을 지어 空心에 100알씩 미음이나 溫酒으로 삼긴다. ② 湯으로 하여 服用해도 좋다.
上統 104 사물황구환(四物黃狗丸)
熟地黃200 當歸200 川芎200 白芍藥200 便香附200 黃狗
經穴부로조를 다스리며, 양혈하는 큰 효력이 있다.
[用法] 찧어서 梧子大로 丸을 지어 미음이나 溫酒로 100알씩 삼킨다.
--산과 질환---------------------------------------------------------------------
上統 105 보생탕(保生湯)
白朮8 香附子8 烏藥8 橘紅8 人蔘4 甘草4
음식먹는 소리만 들어도 메쓰껍고 혹은 맹을을 토하는 姙娠惡阻症을 다스린다.
[活套] 허해지면 人蔘을 加한다. ① 嘔吐하면 白豆蔲와 竹茹를 加한다.
上統 106 교애궁귀탕(膠艾芎歸湯)
阿膠8 艾葉8 川芎8 當歸8 甘草4
胎動下血과 流産下血을 다스린다.
[活套] 杜冲, 續斷, 白朮, 人蔘을 加하면 더욱 좋다.
上統 107 교애사물탕(膠艾四物湯)
熟地黃4 當歸4 川芎4 白芍藥4 阿膠珠4 條芩4 白朮4 砂仁4 艾葉4 香附子4
胎漏로 인한 腹痛을 다스린다.
[活套] 膠艾芎歸湯 處方을 참조하고 사용한다.
@ 임신중 보약으로 사용 가능
上統 108 안태음(安胎飮)
白朮8 條芩6 當歸4 白芍藥4 熟地黃4 縮砂4 陳皮4 川芎3 蘇葉3 甘草2
姙娠 五~六 개월에 胎動하는 것을 다스리는데, 수 첩을 상복한다. 혹 阿膠를 가하기도 한다.
[活套] 冷하면 條芩을 뺀다. ① 虛하면 人蔘을 가하기도 한다.
上統 109 금궤당귀산(金櫃當歸散)
黃芩2 白朮2 當歸2 川芎2 白芍藥2
임산부가 계속 늘 服用하면 피를 기르고 열을 맑게하며 또 습관성 유산을 하는 사람에게 좋다
[用法] 가루를 만들어 3錢씩 溫酒에 타서 먹는다.
[活套] ① 혹은 달여서 쓰기도 한다. ② 習慣性 虛冷者는 黃芩을 過服하면 안된다.
上統 110 加味八珍湯(加味八珍湯)
八物湯 加 陳皮4 砂仁4 海蔘20
원래 虛弱해서 胎元이 튼튼치 못한 것을 다스려서 건장하게 하고 항상 氣血을 補陽한다. 이러므로 많이 이용된다.
[活套] 虛가 심하면 자주 人蔘을 넣으며 또 杜冲, 續斷, 桑寄生을 加해도 좋다. ① 姙娠한 지 칠~팔 개월이 되면 大腹皮를 가하고, 구 개월이 되면 또 蘇葉을 加한다.
上統 111 불수산(佛手散)
當歸24 川芎16
産月에 임박해서 服用하면 縮胎하여 解産을 용이하게 한다. ① 약이 달여져 갈 무렵에 술을 조금 너고 益母草 三錢을 加하면 效力이 더욱 神妙해진다.
[活套] 臨産에는 大腹皮, 砂仁, 蘇葉을 加한다. ② 氣虛에는 人蔘 三~五錢을 加한다. ③ 血虛에는 鹿茸 三~五錢을 加한다. ④ 處方 紫蘇飮을 참조하고 사용한다.
上統 112 궁귀탕(芎歸湯)
川芎20 當歸20
産前 産後의 여러 질환 및 血暈, 人事不省, 橫産, 逆産, 死胎不下, 血崩이 멎지 않는 것 등을 다스리며 産月에 臨해서 이 약을 服用하면 縮胎되어 解産이 용이해지고 산후에 服用하면 惡血이 저절로 내린다.
上統 113 단녹용탕(單鹿茸湯)
鹿茸40
胞(子宮)는 腎의 계통이므로 이 약으로 腎液을 補하면 難産時에 효력이 신기하게 난다. ① 連服한다.
@녹용을 넣을 때 황정을 넣으면 걸쭉해져서 좋다.
@임신초기: 십전대보탕-인삼+해삼, 속단
중기: 태산반석산
후기: 교애사물탕
말기(7-8개월): 안태음
출산시: 녹용 혹은 불수산
* 잣(백자인): 임신 중 안태에 좋음
--출산 후-----------------------------------------------------------------------
上統 114 이어탕(鯉魚湯)
白朮8 赤茯苓8 白芍藥6 當歸6 橘紅2 鯉魚1
子腫을 다스린다.
* 잉어 한마리를 물에 삶아 한잔반이 되거든 위의 藥味들과 生薑 七片을 넣고 한잔이 되게 달여서 子腫이 없어질 때까지 空心에 服用한다.
上統 115 삼출음(蔘朮飮)
四物湯 加 人蔘4 白朮4 半夏4 陳皮4 甘草2
孕婦의 轉脬로 인한 尿閉를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달여, 먹고 토하도록 한다. 또 먹고 또 토한다.
@ 사물합육군자탕
上統 116 보허탕(補虛湯)
人蔘6 白朮6 當歸4 川芎4 黃芪4 陳皮4 甘草3
出産後의 기혈을 크게 보하는데 비록 잡병이 있어도 마침내는 치료가 된다. ① 열이 가벼우면 茯苓을 배가한다. ② 열이 중하면 술과 黃芩을 加한다. ③ 熱이 심하면 炒黑한 乾薑을 加해서 藥을 이끌고 肝에 들어가 生血하게 한다.
[活套] 氣가 虛해서 숨이 차면 人蔘을 1~2냥으로 증량하고 肉桂, 附子와 黑炒한 乾薑을 加하여 첩수를 따지지 말고 빨리 服用해서 이를 구하도록한다. ④ 眩氣가 겸했으면 荊芥를 加한다. ⑤ 煩熱이 나면 柴胡를 加한다. ⑥ 무릇 産後 百病의 증세에 따라 加減할 수 있는 것은 오로지 이 약이 있을 뿐이다.
上統 117 당귀양육탕(當歸羊肉湯)
羊肉8 當歸3 川芎3 黃芪3 生薑3
出産時의 피로를 治療한다. ① 물 아홉 잔을 붓고 달여서 세 잔이 되면 삼회에 分服한다.
上統 118 당귀황기탕(當歸黃芪湯)
黃芪12 人蔘8 當歸8 升麻8 甘草4
출산후 음부가 나오는 증세를 다스린다. ① 하루에 세번 服用한다.
[活套] 升麻는 減用해도 무방하고, 虛가 심하면 人蔘을 倍로 한다.
@ 보중익기탕에 황기를 다량사용하면 이 처방 보다 효과 좋음
황기는 음탈에 효과 좋음
上統 119 삼출고(參朮膏)
人蔘10 白朮8 黃芪6 陳皮4 桃仁4 白茯苓4 甘草2
産後에 膀胱이 損傷되어 成淋된 것을 다스린다. ① 멧돼지와 양의 방광을 물로 달인 데다가 위의 藥味들을 넣고 다시 달여서 空心에 服用한다.
@ 산후 제일 먼저 쓰는 처방: 생화탕(증보816)(신재용: 오적산 가 현호색 오령지 홍화 산사육)
산사육은 어혈을 풀어주고 혈압을 내려주는 약
산후 보약:
1. 유산 혹은 산후 팔다리 쑤시고 마비된 경우: 가미대보탕
2. 음허한 경우: 육미합사물탕(숙지황 대신 용안육) 백출, 의이인 12g 속단, 용안육 8g(四六湯)-산후에는 관절통이 있으므로
젖을 안 먹일 경우: 인삼, 맥아
젖을 먹일 경우: 하고초, 왕불유행, 목통
--소아 -----------------------------------------------------------------------
上統 120 백출산(白朮散)
乾葛8 人蔘4 白朮4 白茯苓4 木香4 藿香4 甘草4
일명 錢氏白朮散이라고도 하고 淸寧散이라고 한다. ① 吐瀉를 오래 하여 津液이 말라 煩滿하고 내키는 대로 引飮해서 된 慢驚을 다스린다. ② 泄瀉해서는 山藥, 白扁豆, 肉豆蔲를 加한다. ③ 慢驚에는 天麻, 細辛, 白附子를 加한다. ④ 二錢씩 水煎해서 임의를 服用한다. ⑤ 혹 木香과 甘草를 각각 五分씩 줄여서 煎服해도 무방하다.
[活套] 대인이나 小兒가 설사로 氣脫하면 人蔘을 三, 五, 七錢으로 增量하고, 肉豆蔲, 破故紙, 金櫻子, 吳茱萸 때위를 加한다. ⑥ 尿不利에는 澤瀉, 車前子를 加한다. ⑦ 傷寒의 餘熱이 채 가시지 않아 泄瀉를 하는 경우에도 좋다.
@전씨이공산(사군자+ 귤피 목향)(상19): 어린아이 비위허약돕는 보약
전씨백출산: 어린아이 토, 설사해서 경기, 근육경련을 일으키려고 할 때
上統 121 보원탕(保元湯)
人蔘8 黃芪4 甘草4
痘疹이 二~三 일 되어, 根窠는 비록 둥글되 頂陷한 것을 다스린다. 氣가 虛하고 血이 弱해서 잘 모이지 못하면 川芎과 官桂를 가한다. ① 痘疹이 四~五 일 되어, 根窠는 비록 돌기했어도 색은 광택이 나지 않으며, 氣가 弱하고 血이 盛하면 白芍藥, 官桂, 糯米를 加한다. ② 五~六 일 되어 氣가 차고 血이 弱하고 色이 흐린 紅紫色이면 木香, 當歸, 川芎을 加한다. ③ 六~七 일이 되어 成漿이 되지 못하고 氣血이 적어서 寒을 제어할 수 없으면 官桂와 糯米를 加한다. ④ 七~八 일이 되어 毒이 漿으로 되면서도 충만하지 못하면 官桂와 糯米를 加한다. ⑤ 八~九 일이 되어도 漿이 불충만하면 糯米를 加한다. ⑥ 十一~十二 일이 되어 濕潤하고 아물지 않으며 內虛하면 白朮과 白茯苓을 加한다. ⑦ 十三~十五 일이 되어, 독은 비록 다 풀렸으나 혹 雜症이 있으면, 이 약만으로 증세에 따라 가감해 쓸 것이며, 大寒, 大熱의 藥劑를 써서는 안 된다.
上統 122 구미신공산(九味神功散)
黃芪4 人蔘4 白芍藥4 生地黃4 紫草茸4 紅花4 鼠黏子4 前胡2 甘草2
마마가 나오고 독기가 성하여 血紅(紅紫色 血痘)이 전신에 퍼지거나 失血 혹은 吐瀉하기 7일전의 諸症에 服用해서 解毒하는데 좋다.
上統 123 안태음(安胎飮)
人蔘1 陳皮1 大腹皮1 白朮1 當歸1 川芎1 白芍藥1 便香附1 砂仁1 蘇葉1 赤茯苓1 甘草1
잉부의 두진을 다스린다.
適應證 : 胎動腹痛, 流産豫防
中統 1 소속명탕(小續命湯)
防風6 防己4 官桂4 杏仁4 黃芩4 白芍藥4 人蔘4 麻黃4 甘草4 附子2 川芎4
일체 풍증의 초기와 중간에 無汗 表實한 것을 다스린다. ① 다른 處方으로는 防己와 附子가 없고, 當歸와 石膏가 있는 處方도 있는데, ② 熱이 있으면 白附子를 쓰고, 六經이 混淆하고 肢節이 麻痺되면 羌活과 連翹를 加한다.(本草) ③ 手足의 拘攣에는 薏苡仁 한 냥을 加한다.
[活套] 중풍의 시초의 증세는 흔히 感滯를 끼고 발작하니, 먼저 星香正氣散 2첩을 服用한후, 그 허실을 살펴서 이 처방을 쓴다.
中統 2 소풍탕(疎風湯)
羌活3 防風3 當歸3 川芎3 赤茯苓3 陳皮3 半夏3 烏藥3 白芷3 香附子3 桂枝1 細辛1 甘草1
風邪가 中腑로 들어간 것을 다스리는데 手足이 不仁하면 먼저 解表한 후에 愈風散을 써서 조리한다.
[活套] 虛하면 人蔘을 가하고 寒하면 附子를 加하고 熱이 나면 黃芩을 加한다.
中統 3 강활유풍탕(羌活愈風湯)
蒼朮2 石膏2 生地黃2 羌活2 防風2 當歸2 蔓荊子2 川芎2 細辛2 黃芪2 枳殼2 人蔘2 麻黃2 白芷2 甘菊2 薄荷2 枸杞子2 柴胡2 知母2 地骨皮2 獨活2 杜冲2 秦艽2 黃芩2 白芍藥2 甘草2 肉桂1
風病이 中腑 中臟된 데에는 먼저 본약(疎風湯 中統二)을 服用한 후 이 處方을 服用하고 調理한다. ① 또, 內外의 病邪가 다 제거된 다음에는 이 약을 服用하여 諸經을 行導하게 하고, 肝과 腎의 虛를 治療하고 陰陽을 調養한다. 이렇게 오래 하면 大風이 모두 제거되고 淸濁이 분명해져서 榮衛가 調和된다. ② 물로 달여서 朝夕으로 服用한다.
中統 4 성향정기산(星香正氣散)
藿香正氣散 加 南星4 木香4
卒中風으로 人事不省이다가 좀 깨어나고 관절을 움직일 수 있게 된 후에 이 약을 服用해서 기를 조리한다. ① 保元(壽世保元)에는 當歸와 防風이 加味되어 있다.
[活套] 食厥에는 山査, 神麯, 檳榔, 枳實을 加한다. ② 暑厥에는 香薷, 白扁豆, 黃連을 加한다. ③ 風厥에는 淸心元을 調服한다. ④ 氣厥에는 蘇合元을 調服한다.
中統 5 소풍활혈탕(疎風活血湯)
當歸4 川芎4 威靈仙4 白芷4 防己4 黃柏4 南星4 蒼朮4 羌活4 桂枝4 紅花1
四肢와 百節의 流注刺痛을 다스린다. 이 痛症은 風濕, 痰, 死血 때문인데, 그 痛處가 腫脹이 되기도 하고 紅色이 되기도 한다.
[活套] 手臂가 腫痛하면 桂枝를 倍로 하고 薏苡仁을 加한다. ① 脚痛이 생기면 牛膝, 木瓜, 全蝎을 加한다.
中統 6 영선제통음(靈仙除痛飮)
麻黃4 赤芍藥4 防風2 荊芥2 羌活2 獨活2 威靈仙2 白芷2 蒼朮2 片芩2 枳實2 桔梗2 乾葛2 川芎2 當歸尾1 升麻1 甘草1
濕에다 風寒이 겹쳐 濕熱이 나서 肢節 사이로 流注하여 일어나는 통증을 다스린다.
中統 7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
山藥28 甘草20 人蔘10 蒲黃10 神麯10 犀角8 大豆黃卷8 官桂8 阿膠8 白芍藥6 麥門冬6 黃芩6 當歸6 防風6 朱砂6 白朮6 柴胡5 桔梗5 杏仁5 白茯苓5 川芎5 牛黃5 羚羊角4 麝香4 龍腦4 石雄黃3 白蘞3 乾薑3 金箔3 大棗3
卒中風으로 인하여 人事不省하고 痰涎이 壅塞하며 정신이 昏憒하고 언어가 蹇澁하고 口眼이 喎斜되고 手足이 不遂하는 등의 증세를 다스린다. ① 또, 脊心熱, 夢遺를 다스린다.
[活套] 老瘧에는 露薑陰을 調服한다. ② 虛瘧에는 參薑煎湯을 調服한다. ③ 癮疹에는 樺皮金銀花湯을 調服한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하여 棗膏를 넣고 꿀로 여겨 고루 섞어서 一兩쭝으로 十 丸씩을 만들어 金箔을 입힌다. 그리고 一 丸씩을 온수에 타서 먹는다.
中統 8 이기거풍산(理氣祛風散)
羌活2 獨活2 枳殼2 靑皮2 陳皮2 烏藥2 桔梗2 南星2 半夏2 天麻2 川芎2 白芷2 荊芥2 防風2 白芍藥2 甘草2
中風, 口眼喎斜를 다스린다.
中統 9 서각승마탕(犀角升麻湯)
犀角6 升麻5 羌活4 防風4 川芎3 白附子3 白芷3 黃芩3 甘草2
中風으로 코와 이마 사이가 아프고, 입을 열지 못하고 왼쪽 이마와 볼 위가 헐고 마비되는 급증을 다스리는데, 이는 足陽明經이 風毒을 받아 피가 응체하기 때문이다. ① 또, 內外風熱로 인한 齒齦腫痛도 다스린다.
[活套] ② 血虛火焰에는 熟地黃 四~五 錢, 當歸 一 錢을 加한다. ③ 熱實에는 石膏를 加한다. ④ 面腫과 丹毒을 아울러 다스릴 수 있다.
中統 10 오약순기산(烏藥順氣散)
麻黃6 陳皮6 烏藥6 川芎4 白芷4 白殭蠶4 枳殼4 桔梗4 乾薑2 甘草1
일체의 風病을 다스리는데 먼저 이 약을 服用하여 氣道를 疏通시킨 다음에 風病의 藥을 쓴다. 또 癱瘓과 歷節風을 다스린다.
[活套] 氣虛로 痰이 盛한데는 麻黃을 빼고 六君子湯과 合方하든가 혹은 導痰湯과 合方한다.
中統 11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
羌活6 防風6 川芎5 白芷5 蒼朮5 黃芩5 生地黃5 細辛2 甘草2
일명 羌活冲和湯이다. ① 四時(철)을 不問하고, 頭痛 骨折痛이 있고 熱이 나고 惡寒이 나며 땀이 안 나고 脈이 浮緊할 때만 이 약을 麻黃湯 대신으로 쓴다. ② 有汗하면 麻黃湯을 服用하지 못하고, 無汗하면 桂枝湯을 服用하지 못한다. 만일 잘못 服用하면 그 변고란 불가형언이다. 그런고로 이 九味羌活湯법을 만들었으니 三陽(太陽 少陽 陽明)의 금기를 범하지 않고 解表하게 하는 神方이다.
中統 12 갈근해기탕(葛根解肌湯)
葛根4 柴胡4 黃芩4 赤芍藥4 羌活4 石膏4 升麻4 白芷4 桔梗4 甘草2
陽明經病으로 눈이 아프고 코가 건조하고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을 다스려 解肌하는 데 좋다.
中統 13 오적산(五積散)
蒼朮8 麻黃4 陳皮4 厚朴3 桔梗3 枳殼3 當歸3 乾薑3 白芍藥3 白茯苓3 川芎3 白芷3 半夏3 桂皮3 甘草2
風寒에 감상되어 頭痛이 나고 몸이 아프며, 四肢가 逆冷하고, 가슴과 배가 아프고, 嘔吐, 泄瀉가 나며, 內傷으로 冷症이 생기는 등의 증세를 다스린다. ① 挫閃 및 瘀血腫痛에는 麻黃을 빼고 茴香, 木香, 檳榔, 桃仁, 紅花를 加한다. ② 風이 腎을 傷하여 허리의 좌우가 간간이 결리거나 양 발이 뻣뻣해지면 防風과 全蝎을 加한다. ③ 白芷와 桂皮를 제외하고 나머지 藥味들을 炒하면 熟料五積散이다.
[活套] 外感挾滯에는 山査, 神麯, 檳榔을 加한다. ④ 蛔虫이 동하면 烏梅, 화초를 加한다. ⑤ 産後挾滯와 瘀血腹痛에는 麻黃을 빼고 山査 二錢과 玄胡索 一錢을 加한다.
中統 14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
藿香6 蘇葉4 白芷2 大腹皮2 白茯苓2 厚朴2 白朮2 陳皮2 半夏2 桔梗2 甘草2
傷寒陰證과 身痛 등 表證과 裏證을 분간하지 않고 다스린다. 이 약으로 導引經絡하면 變動하지 않는다.
[活套] 南星과 木香을 加한 것을 星香正氣散이라고 하며 대개 中氣, 中風, 痰厥, 食厥등에 먼저 이 약 1~2貼을 써서 그 氣를 바로 잡은 후에 증세에 따라 治療한다. ① 茯苓, 厚朴, 陳皮, 半夏를 각 一錢쭝으로 增量하면 효력이 매우 좋다. ② 暑에는 香薷 二錢쭝, 白扁豆 一錢쭝을 가하는데 茹藿湯이라고 한다. ③ 食傷挾滯에는 山査肉, 神麯, 檳榔, 枳實, 砂仁을 加한다. ④ 外感에 乾葛, 便香附子, 羌活을 가하고, 頭痛에는 川芎을 加하고 肢節痛에는 木瓜를 加하고, 惡寒에는 桂枝를 加한다. ⑤ 子懸과 臨産에는 砂仁을 가해도 좋다. ⑥ 浮腫에는 四苓散을 合方하여 쓰는데 이렇게 한 것을 藿苓湯이라고 하며 氣喘이 되면 蘇梗을 加해도 좋다.
中統 15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
蒼朮8 厚朴4 陳皮4 藿香4 半夏4 甘草4
傷寒陰證의 頭痛, 身痛, 寒熱을 다스린다.
[活套] 外感 및 挾滯는 위의 處方 藿香正氣散에 依據해서 다스리는 것이 좋다.
中統 16 인삼양위탕(人蔘養胃湯)
蒼朮6 陳皮5 厚朴5 半夏5 赤茯苓4 藿香4 人蔘2 草果2 甘草2
傷寒陰證 및 外感風寒, 內傷生冷, 憎寒壯烈, 頭痛, 身痛 등을 다스린다.
[活套] 陳皮와 厚朴, 半夏를 俗方에서는 모두 一錢씩을 쓴다. ① 挾滯에는 山査 二錢, 神麯, 檳榔 各 一錢, 枳實 七分을 加한다. ② 外感에는 乾葛, 便香附 각 一錢, 蘇葉 七分을 가하고 鬱熱에는 豆豉 三十~五十 알을 가하고 熱이 심하면 山梔子 五~七 푼을 또 加한다. ③ 暑에는 香薷와 白扁豆를 加하는데, 이것을 香薷養胃湯이라고 한다. ④ 泄瀉에는 澤瀉, 車前子, 猪苓 따위를 加한다. ⑤ 痢疾에는 神麯, 枳殼, 川黃連 각 一錢과 唐木香 五分, 檳榔末 一錢을 加하여 調服하고 血痢에는 桃仁을 加하고, 腰不利에는 猪苓, 澤瀉를 加한다. ⑥ 瘧疾엔 柴胡, 二錢, 黃芩, 檳榔 각 一錢을 가하고, 草果를 倍로 한다. 老瘧에는 二兩쭝의 生薑汁에 調服한다. ⑦ 孕婦의 雜證도 위의 각 조에 의거하여 蒼朮을 白朮로 바꾸고 半夏를 뺀다. ⑧ 蛔積에는 山査肉, 檳榔, 使君子, 花椒따위를 加한다. ⑨ 冷積에는 桂枝, 乾薑炮 各 二錢을 加하는데 이것을 桂薑養胃湯이라고 한다.
中統 17 향소산(香蘇散)
香附子8 蘇葉8 蒼朮6 陳皮4 甘草2
四時傷寒과 頭痛, 身痛, 寒熱, 傷風, 傷濕, 時氣瘟疫을 다스린다. ① 濕으로 인한 手足麻痺에는 麻黃, 桂枝, 羌活, 白芷, 木瓜를 加한다. ② 川芎과 白芷를 가한 것을 芎芷香蘇散이라고 한다.
中統 18 십신탕(十神湯)
香附子4 蘇葉4 升麻4 赤芍藥4 麻黃4 陳皮4 川芎4 乾葛4 白芷4 甘草4
陰陽 兩感의 風寒頭痛, 寒熱, 無汗을 다스린다.
中統 19 인삼패독산(人蔘敗毒散)
人蔘4 柴胡4 前胡4 羌活4 獨活4 枳殼4 桔梗4 川芎4 赤茯苓4 甘草4
傷寒의 時氣(換節期 流注病)로 인한 發熱, 頭痛, 肢體痛 및 傷風의 咳嗽, 鼻塞, 聲重을 다스린다. ① 天麻, 地骨皮를 각각 조금씩 가한 것을 人蔘羌活散이라 하며, 小兒의 傷風寒, 發熱을 다스린다. ② 荊芥, 防風을 가한 것은 荊防敗毒散이라고 하며, 瘴疫 및 大頭瘟을 다스린다. ③ 荊防敗毒散에 連翹, 金銀花를 가한 것을 連翹敗毒散이라고 하며 癰疽의 初發에 寒熱이 심하여 傷寒같이 보이는 것을 다스린다. ④ 香薷 二錢 黃連 一錢을 加한 것을 消暑敗毒散이라고 한다.
[活套] 斑疹腫毒에는 荊防, 玄參, 黃芩, 黃連, 惡實(牛蒡子), 山査, 金銀花를 증세에 따라 적당히 加한다.
中統 20 향갈탕(香葛湯)
蒼朮4 蘇葉4 白芍藥4 香附子4 升麻4 乾葛4 陳皮4 川芎2 白芷2 甘草2
陰陽의 兩感을 不問하고 頭痛과 寒熱을 다스린다.
[活套] 滯를 兼한 데는 神麯, 檳榔, 枳實, 木瓜 따위를 加한다.
中統 21 궁소산(芎蘇散)
黃芩4 前胡4 麥門冬4 川芎3 陳皮3 白芍藥3 白朮3 蘇葉2 乾葛2 甘草1
妊婦의 傷寒 頭痛과 寒熱, 咳嗽를 다스린다. ① 濟生方에는 黃芩과 前胡가 없다.
[用法] 藥味들을 1첩 썰어서 生薑과 葱白을 넣고 달여서 服用한다.
中統 22 승마갈근탕(升麻葛根湯)
葛根8 白芍藥4 升麻4 甘草4
溫病 및 時令(季節性) 感冒를 다스린다.
[活套] 胃風과 面腫에는 消風散을 合方한다. ① 癮疹, 風毒에는 山査肉, 樺皮, 金銀花, 玄蔘, 牛蒡子, 犀角, 荊防 따위를 加하거나, 혹은 四物湯을 加한다. ② 傷寒인지 痘疹인지 半信半疑면 먼저 이 處方으로 加減하되, 挾滯하면 山査, 秦皮, 神麯 따위를 加하고, 挾感이면 蘇葉, 忍冬 따위를 가한다. ③ 寒熱에는 柴胡를 가하고, 熱이 심하면 黃芩을 加한다. ④ 麻疹 초기에는 葱白, 蘇葉 따위를 加한다.
中統 23 화해음(和解陰)
秋麥12 忍冬12 生栗10 生薑10
傷寒 및 독감을 막론하고 아울러 다스린다. ① 蕎麥(껍질째) 二錢과 葱白 사개를 加하기도 한다. ② 傷食에는 山査와 神麯을 가한다.
中統 24 정시호음(正柴胡飮)
柴胡12 白芍藥8 陳皮6 防風4 甘草4
風寒에 걸려 나는 發熱, 惡寒, 頭痛과 痎瘧을 다스린다. ① 口渴에는 乾葛을 가한다.
中統 25 소시호탕(小柴胡湯)
柴胡12 黃芩8 人蔘4 半夏4 甘草2
少陽病인 半表半裏의 往來 寒熱을 다스린다. ① 일명 三禁湯이다(三禁이란 汗, 吐, 下의 三治療法을 禁하는 境遇를 말함.)
[活套] 食瘧에는 平胃散을 合方하든가 혹은 養胃湯을 合方한다. 暑에는 香薷, 白扁豆를 加하고, 痢疾이 兼發되면 또 檳榔과 黃芩을 加하고, 泄瀉가 겹치면 澤瀉와 猪苓을 또 加한다.
中統 26삼소음(蔘蘇飮)
人蔘4 蘇葉4 前胡4 半夏4 乾葛4 赤茯苓4 陳皮2 桔梗2 枳殼2 甘草2
風寒에 感傷한 頭痛, 發熱, 咳嗽 및 內因의 七情으로 인한 痰盛과 潮熱을 다스린다.
[活套] 담성에는 삼자(蘿菔子, 白芥子, 蘇子)를 加한다. ① 肺熱상에는 人蔘 대신 沙蔘으로 바꾸고 桑白皮, 麥門冬을 加한다. ② 虛冷에는 人蔘을 倍로 하고 桂枝를 加한다.
中統 27 소청룡탕(小靑龍湯)
麻黃6 白芍藥6 五味子6 半夏6 細辛4 乾薑4 桂枝4 甘草4
傷寒으로 表가 不解하고, 心下에 水氣가 있고 乾嘔, 氣逆, 發熱, 咳喘하는 증을 다스린다. ① 이 藥을 먹고 渴하는 것은 裏氣가 溫해져서 水氣가 발산코자 함이다.
中統 28 도씨승양산화탕(陶氏升陽散火湯)
人蔘4 當歸4 白芍藥4 柴胡4 黃芩4 白朮4 麥門冬4 陳皮4 白茯神4 甘草4
撮空(손으로 허공을 휘젖는 짓), 肝熱乘肺, 元氣虛弱, 譫語, 精神昏迷한 것을 다스린다.
[活套] 虛熱하고 脈이 微하면 人蔘을 3~5錢으로 增量하고 熟地黃 5~7錢을 加한다.
中統 29 맥문동탕(麥門冬湯)
甘草12 麥門冬8 粳米20
勞復으로 인해 氣가 끊기려는 것을 다스려 起死回生시킨다. ① 물 두잔을 넣고 먼저 경미를 끓여서 익은 다음 그 쌀을 버리고 甘草와 麥門冬 두 약과 大棗 二枚, 竹葉 十五片을 넣는다. 人蔘을 加하면 더욱 좋다.
[活套] 虛가 甚하면 人蔘 5~7錢 혹은 1~2兩을 加한다. 易怒써 陽氣가 돌고 津液이 생긴다.
中統 30 인삼소요산(人蔘逍遙散)
人蔘8 當歸8 柴胡6 白朮4 白茯苓4 白芍藥4
女勞復으로 인하여 虛弱해진 것을 다스린다.
中統 31 마계음(麻桂飮)
當歸16 麻黃12 官桂8 甘草4 陳皮 隨宜
傷寒, 溫疫, 陰暑, 瘧疾을 다스린다. 㿗疝시킬 수 없는 陰寒邪는 대개 이 약이 아니면 안 된다. 여름에 이 약을 쓰는 것을 불가하다고 하지 말라. 이 處方은 곧 麻黃湯과 桂枝湯의 變方으로서, 效力이 아주 神通해서 特出하다.
中統 32 십신탕(十神湯)
葛根8 赤芍藥4 升麻4 白芷4 川芎4 陳皮4 麻黃4 蘇葉4 香附子4 甘草4
時令不正(節候不順)으로 瘟疫이 流行하는 것을 다스린다. ① 이 處方은 곧 升麻葛根湯과 芎芷香蘇散을 合方한 데다가 麻黃을 가한 것이다.
中統 33 신계향소산(神契香蘇散)
香附子12 蘇葉8 蒼朮6 甘草2
壬申年 봄에 運氣가 盛行할때 아프기 전에는 이 약을 먹어서 豫防하고 아픔이 심할때는 이 약을 먹고 解表한다. ① 甲己生은 芍藥을 가하고, 乙庚生은 麥門冬을 가하고, 丙辛生은 羌活을 가하고, 丁壬生은 木通을 가하고, 戊癸生은 黃芩을 加한다.
中統 34 이향산(二香散)
香附子8 香薷8 蘇葉4 陳皮4 蒼朮4 厚朴2 白扁豆2 甘草2
感冒, 暑風, 身熱, 頭痛, 혹은 泄瀉, 嘔吐 등을 다스린다.
[活套] 挾滯하면 山査肉, 神麯, 檳榔, 枳實, 草果따위를 加한다.
中統 35 향유산(香薷散)
香薷12 厚朴6 白扁豆6
一切의 暑病과 霍亂, 吐瀉를 다스린다. ① 暑泄, 脈虛에는 異功散을 合方하고, 白芍藥, 車前子를 加한 데다가 陳米 백 알과 烏梅, 燈心을 넣고 술을 조금 넣어서 冷服한다.
[活套] 暑霍에는 回生散을 合方하여 神麯, 檳榔, 枳實, 蘇葉, 吳茱萸, 木通 따위를 加하고 氣虛에는 人蔘을 加하고 暑熱이 심하면 黃連을 加하고 嘔逆에는 白豆蔲, 丁香을 加하고 口渴에는 乾葛을 加한다.
中統 36 육화탕(六和湯)
香薷6 厚朴6 赤茯苓4 藿香4 白扁豆4 木瓜4 縮砂2 半夏2 杏仁2 人蔘2 甘草2
心脾의 傷暑, 嘔吐泄瀉, 혹은 藿亂轉筋, 혹은 腫瘧을 다스린다. ① 黃連 一錢을 加한 것을 淸暑六和湯이라고 한다.
[活套] 嘔吐 泄瀉에는 縮脾飮을 合方한다. ② 暑瘧에는 柴胡 一, 二, 三錢과 黃芩, 檳榔, 草果 각 一錢을 加한다. ③ 暑痢에는 人蔘과 縮砂를 빼고 檳榔, 枳殼, 木香 따위를 加한다. ④ 泄瀉에는 猪苓, 澤瀉, 燈心 따위를 加한다. ⑤ 暑霍에는 神麯, 檳榔, 枳實을 加한다. ⑥ 浮腫에는 四苓散을 合方한다. ⑦ 黃疸에는 茵陳, 猪苓, 澤瀉를 加한다.
中統 37 축비음(縮脾飮)
縮砂6 草果4 烏梅肉4 香薷4 甘草4 白扁豆3 乾葛3
여름철 內傷의 生冷, 腹痛, 吐瀉를 다스린다.
[活套] 氣虛에는 人蔘 3~5錢과 白檀香 7分을 加한다. ① 挾滯에는 秦皮, 檳榔, 神麯을 加한다. ② 腰不利에는 猪苓과 澤瀉를 加한다.
中統 38 신출산(神朮散)
蒼朮12 川芎4 白芷4 細辛4 羌活4 藁本4 甘草4
안개와 이슬, 산바람 등을 맞아 頭痛이 나고 목이 뻣뻣한 것을 다스린다.
中統 39 생혈윤부음(生血潤膚飮)
天門冬6 生地黃4 熟地黃4 麥門冬4 當歸4 黃芪4 片芩2 瓜蔞仁2 桃仁2 升麻0.8 酒紅花0.4
燥症으로 인해 피부가 까슬까슬해지고 피가 나는 것을 다스린다.
[活套] 消渴에는 天花粉을 加한다.
中統 40 성심산(醒心散)
人蔘4 麥門冬4 五味子4 遠志4 白茯神4 生地黃4 石菖蒲4
心의 虛熱을 다스린다.
[活套] 心悸亢進으로 不眠하면 龍眼肉, 酸棗仁, 當歸를 加한다.
中統 41 인삼청기산(人蔘淸肌散)
人蔘4 白朮4 白茯苓4 赤芍藥4 當歸4 柴胡4 乾葛4 半夏麯4 甘草2
虛勞, 骨蒸, 潮熱, 無汗을 다스린다. ① 다른 處方에는 黃芩이 있다.
[活套] 밤에 열이 나면 地骨皮와 鱉甲을 加한다.
中統 42 자음강화탕(滋陰降火湯)
白芍藥6 當歸5 熟地黃4 麥門冬4 白朮4 生地黃3 陳皮3 知母2 黃柏2 甘草2
陰虛火動으로 인한 盜汗, 惡熱, 咳嗽, 膽星, 咯血, 肉瘦를 다스린다.
[活套] 기침이 심하면 貝母와 桑白皮를 加한다.
中統 43 향사양위탕(香砂養胃湯)
白朮4 砂仁3 蒼朮3 厚朴3 陳皮3 白茯苓3 白豆蔲3 人蔘1 木香1 甘草1
食慾不振과 痞悶을 다스리는데, 이는 胃寒 때문이다.
[活套] 蔘朮健脾湯을 參考하고 쓰라.
中統 44 회생산(回生散)
藿香20 陳皮20
吐瀉霍亂을 다스린다. 胃氣가 일점이라도 있는 자가 이 약을 먹으면 回生한다. ① 木萸散을 合方한 것을 木萸回生散이라고 한다.
[活套] 食滯에는 山査, 神麯, 檳榔, 枳實을 加한다. ② 氣滯에는 蘇葉, 枳實을 加한다. 혹 蘇合元을 調服하기도 한다. ③ 暑에는 香薷와 白扁豆를 加한다. ④ 口渴에는 乾葛을 加한다. ⑤ 素質이 허하면 人蔘을 加한다. ⑥ 嘔逆에는 丁香, 白豆蔲를 加한다. ⑦ 蛔가 動하면 花椒, 烏梅, 木瓜를 加한다.
中統 45 목유산(木萸散)
木瓜20 吳茱萸20 食鹽20
霍亂, 吐瀉, 轉筋, 逆冷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함께 검게 초해서 탕관에 담아 百沸水 3되를 부어 2되가 되기까지 달여서 冷服하든지 溫服하든지 임의대로 服用한다.
中統 46 생강귤피탕(生薑橘皮湯)
橘皮160 生薑320
乾嘔와 手足의 麻冷을 다스린다.
[用法] 물 7잔을 붓고 3잔이 되도록 달여서 미지근하게 해서 合服한다.(마신다)
[活套] 氣虛에는 人蔘 一~二 兩을 加한다.
中統 47 신향산(神香散)
丁香4 白豆蔲4
嘔噦, 脹滿, 痰飮, 膈噎을 다스린다.
[用法] 藥味들을 作末해서 白湯에 타서 마신다. ① 有寒에는 生薑湯에 타서 마신다.
中統 48 삼요탕(三拗湯)
麻黃6 杏仁6 甘草6
風寒에 들려서 된 咳嗽, 鼻塞, 失音을 다스린다. ① 荊芥, 桔梗 각 一錢을 가한 것을 五拗湯이라고 한다.
[活套] 熱이 있으면 黃芩을 加한다. ② 表鬱에는 蘇葉을 加한다.
中統 49 육안전(六安煎)
半夏8 白茯苓8 陳皮4 杏仁4 甘草4 白芥子3
風寒으로 因한 咳嗽, 痰滯, 氣逆을 다스린다.
[活套] 冬節에는 麻黃과 桂枝를 加한다. ① 頭痛에는 川芎, 白芷, 葛根, 荊芥를 加한다. ② 寒熱에는 柴胡와 蘇葉을 加한다.
中統 50 행소탕(杏蘇湯)
杏仁4 蘇葉4 桑白皮4 陳皮4 半夏4 貝母4 白朮4 五味子4 甘草2
風寒에 傷하여 생긴 咳嗽, 痰盛을 다스린다.
中統 51 이붕고(梨硼膏)
生梨 一箇
天行(流行性 感氣), 咳嗽, 失音, 咽痛, 小兒咳喘을 다스린다.
[用法] 꼭지 주변에 작은 구멍을 내어 硼砂 5푼과 꿀을 채워 넣고 구멍을 봉하고 습지로 싼 다음 황토를 발라 煨熟하여 먹는다
中統 52 오과다(五果茶)
胡桃 十枚 銀杏 十五枚 大棗 七枚 生栗 七枚 生薑 一塊
老人의 氣虛로 外感한 咳嗽를 다스린다. ① 꿀이나 설탕을 타면 더 좋다. 外感의 氣가 없으면 生栗대신 黃栗을 쓴다.
中統 53 삼자양친탕(三子養親湯)
蘇子4 蘿菔子4 白芥子4
咳嗽와 氣急을 다스리고, 脾를 補養하며 食慾을 增進시킨다.
[活套] 肺虛에는 生脈散을 合方하고, 表氣가 있으면 蔘蘇飮을 合方한다.
中統 54 인삼백합탕(人蔘百合湯)
白朮4 白茯苓4 百合4 阿膠珠4 天門冬4 白芍藥3 人蔘3 五味子3 黃芪3 半夏3 杏仁3 細辛1 紅花1 桂枝1 甘草1
結核性 咳嗽로 咯血 하는 것을 다스린다.
中統 55 정천탕(定喘湯)
麻黃12 杏仁6 片芩4 半夏4 桑白皮4 蘇子4 款冬花4 甘草4 銀杏 二十一枚
哮喘을 다스리는 身痛한 處方이다.
[活套] 患者의 表가 實한지를 살핀 후에 써야 한다.
中統 56 해표이진탕(解表二陳湯)
二陳湯 加 蘇葉2 麻黃2 杏仁2 桑白皮2 紫菀2 貝母2 桔梗2
그르렁거리는 喘息을 다스린다.
中統 57 귤피죽여탕(橘皮竹茹湯)
竹茹16 橘皮12 人蔘8 甘草4
胃가 虛하고 胸膈의 열로 因해 되는 咳逆(북받치는 기침)을 다스린다.
中統 58 실비산(實脾散)
厚朴4 白朮4 木瓜4 草果4 大腹子4 附子4 白茯苓4 木香2 乾薑2 甘草2
陰水로 인한 浮腫을 다스리려고 먼저 脾(脾는 土이다.)를 實하게 한다.
[活套] 人蔘을 加하면 더욱 좋다.
中統 59 분기음(分氣飮)
桔梗4 赤茯苓4 陳皮4 桑白皮4 大腹皮4 枳殼4 半夏麯4 蘇子4 蘇葉4 草果2 甘草2
腫脹과 喘急을 다스린다.
中統 60 보중치습탕(補中治濕湯)
人蔘4 白朮4 蒼朮3 陳皮3 赤茯苓3 麥門冬3 木通3 當歸3 黃芩2 厚朴1 升麻1
水病을 通治하여 補中, 行濕, 利水한다.
[活套] 氣虛하면 人蔘을 倍로 하고 熱이 없으면 黃芩을 뺀다.
中統 61 인삼궁귀탕(人蔘芎歸湯)
川芎8 當歸6 半夏6 蓬朮4 木香4 砂仁4 烏藥4 甘草4 人蔘2 桂皮2 五靈脂2 蘇葉2
血脹을 다스린다. ① 이는 瘀血이 엉기어 脹이 된 것이다. ② 入門에서는 烏藥을 빼고 芍藥을 加한 것을 散血消腫湯이라고 하며, 血脹, 煩躁, 水溝를 다스리는데 쓴다.
中統 62 중만분소탕(中滿分消湯)
益智仁3 半夏3 木香3 赤茯苓3 升麻3 川芎2 人蔘2 靑皮2 當歸2 柴胡2 生薑2 乾薑2
蓽澄茄2 黃連2 黃芪2 吳茱萸2 草豆蔲2 厚朴2
中滿과 寒脹으로 大小便이 不通하는 것을 다스린다.
中統 63 목향순기산(木香順氣散)
厚朴4 白茯苓4 澤瀉4 半夏4 蒼朮3 靑皮2 陳皮2 草豆蔲2 人蔘2 當歸2 木香1.5 乾薑1.5 升麻1.5 柴胡1.5 甘草1.5 益智仁1 吳茱萸1
濁氣가 上焦에 있어서 腹部가 脹滿하는 것을 다스리는데, 먼저 中脘에 뜸을 뜬 후에 이 藥을 服用하는 것이 좋다.
中統 64청심연자음(淸心蓮子飮)
蓮子8 人蔘4 黃芪4 赤茯苓4 黃芩3 車前子3 麥門冬3 地骨皮3 甘草3
心火가 타올라서 입이 마르고 煩渴하고 小便이 붉고 삽한 것을 다스린다. ① 또 小便을 따라 나오는 精液 같은 白物을 다스려 心火를 내리는 데 좋다. ② 역시 小便의 赤濁과 白濁도 다스린다. ③ 이 약은 먹지 못해서 渴한 것을 다스린다.
[活套] 먹어서 渴한 데는 人蔘白虎湯이 능하다.
中統 65 생진양혈탕 (生津養血湯)
當歸4 白芍藥4 生地黃4 麥門冬4 川芎3 黃連3 天花粉3 知母2 黃柏2 蓮肉2 烏梅2 薄荷2 甘草2
上焦의 消渴을 治療한다.
中統 66 활혈윤조생진음(活血潤燥生津飮)
天門冬4 麥門冬4 五味子4 瓜蔞仁4 麻子仁4 當歸4 熟地黃4 生地黃4 天花粉4 甘草4
消渴을 通治한다.
中統 67 인진사역탕(茵陳四逆湯)
茵蔯4 附子4 乾薑4 甘草4
陰黃, 肢體逆冷, 自汗 등을 다스린다.
中統 68 과부탕(果附湯)
草果8 附子8
脾寒의 瘧疾로 얼굴이 푸르고 추워서 떠는 것을 다스린다.
中統 69 시진탕(柴陳湯)
柴胡8 半夏8 人蔘4 黃芩4 陳皮4 赤茯苓4 甘草2
痰瘧을 다스린다. ① 또 痰熱로 胸膈이 痞滿한 것을 다스린다.
[活套] 挾食에는 檳榔, 草果, 神麯 따위를 加한다. ② 暑에는 香薷, 白扁豆를 加한다.
中統 70 노강음(露薑陰)
生薑160
痰瘧을 다스린다.
[活套] 熱이 심하고 煩躁하면 淸心元 1알을 조복한다.
[用法] 自然汁을 내어 깁 조각으로 덮고 하룻밤 한데에 두었다가 五更 초에 마신다.
中統 71 평진탕(平陳湯)
蒼朮8 半夏8 厚朴5 陳皮5 赤茯苓5 甘草3
食瘧을 다스린다.
[活套] 挾滯에는 山査, 神麯, 檳榔, 草果, 烏梅를 加한다. ① 熱이 있으면 柴胡 一~二 錢과 黃芩 一~二 錢을 加한다.
中統 72 청비음(淸脾飮)
柴胡4 半夏4 黃芩4 白朮4 草果4 赤茯苓4 厚朴4 靑皮4 甘草2
식학을 다스린다. ① 이 處方은 小柴胡湯, 平胃散, 二陳湯 등을 合方한 것이다. 또 常山 二錢을 가해서 露服하고 토하지 않으면 瘧疾을 떼기에 더욱 좋다. 일명 淸脾湯이다.
中統 73 궁귀별갑산(芎歸鱉甲散)
鱉甲8 川芎4 當歸4 赤茯苓4 赤芍藥4 半夏4 陳皮4 靑皮4
勞瘧을 다스린다.
中統 74 노강양위탕(露薑養胃湯)
生薑8
오래된 瘧疾로서 3일이나 5일에 한 번씩 발작하는 것을 치료한다.
[用法] 汁을 내어 하룻밤 한데에 두었다가 다음 날 일찍 人蔘養胃湯에 타서 空心에 溫服한다.
中統 75 쌍해음자(雙解飮子)
肉豆蔲2 草豆蔲2 厚朴2 大甘草2 生薑2
瘴瘧과 寒瘧을 다스리는데 神效가 있다. ① 일명 交解飮 또는 生熟飮이라고 한다.
中統 76 가감청비음(加減淸脾飮)
小柴胡湯, 人蔘養胃湯 加 桃枝 柳枝 各三寸
모든 瘧疾을 다스린다.
中統 77 시평탕(柴平湯)
柴胡8 蒼朮8 厚朴4 陳皮4 半夏4 黃芩4 人蔘2 甘草2
모든 瘧疾을 치료한다.
中統 78 우슬전(牛膝煎)
當歸12 陳皮12 牛膝8
瘧疾을 떼는 데 효과가 크므로, 病邪는 없어지나 氣血은 약간 허해진다.
[用法] 술 1종지에 1주야 담갔다가 물 1종지를 더 가해서 달여 먹는다.
中統 79 추학음(追瘧飮)
何首烏40 靑皮12 陳皮12 當歸12 柴胡12 半夏12 甘草12
瘧疾을 떼는데 매우 효력이 있다. 氣血이 채 쇠하기 전에 여러번 瘧疾을 屢散시킨 후에도 멎지 않는데 쓴다.
[用法] 우물물과 강물 각 1종지를 붓고 반이 되게 달여서 1주야 한데에 뒀다가 다음날 일찌기 온복하고 식원에 재복한다.
中統 80 황련청심음(黃連淸心飮)
黃連 生地黃 當歸 甘草 白茯神 酸棗仁 遠志 人蔘 蓮肉 各等分
君火가 動함에 따라 相火가 動하여 精液이 나오는 것을 다스린다.
中統 81 칠기탕(七氣湯)
半夏12 人蔘3 官桂3 甘草3
七情의 鬱結로 인해 心腹이 絞痛하는 것을 다스린다.
中統 82 사칠탕(四七湯)
半夏8 赤茯苓6 厚朴5 蘇葉3
七氣가 솜뭉치나 매핵처럼 응결해서 토하려 해도 나오지 않고 삼키려 해도 내려가지 않는 것 같은 胸痞를 다스린다.
中統 83 분심기음(分心氣飮)
蘇葉5 甘草3 半夏2 枳殼2 靑皮2 陳皮2 木通2 桑白皮2 木香2 赤茯苓2 檳榔2 蓬朮2 麥門冬2 桔梗2 桂皮2 香附子2 藿香2
七情이 痞滯한 것을 다스려서 大小便을 通利시켜, 맑고 상쾌하게 한다.
中統 84 정기천향탕(正氣天香湯)
香附子12 烏藥4 陳皮4 蘇葉4 乾薑2 甘草2
九氣가 作痛하는 것을 다스리며, 婦人의 氣痛도 다스린다.
中統 85 팔미순기산(八味順氣散)
人蔘3 白朮3 白茯苓3 靑皮3 白芷3 陳皮3 烏藥3 甘草1
中氣되어 虛한 것을 다스린다.
中統 86 귤피일물탕(橘皮一物湯)
橘皮40
氣結을 다스리는데, 新水로 煎服한다.
中統 87 소자강기탕(蘇子降氣湯)
半夏麯4 蘇子4 官桂3 陳皮3 當歸2 前胡2 厚朴2 甘草2
上氣喘促을 다스린다.
[活套] 氣虛에는 人蔘 3~5錢 麥門冬 2錢 五味子 1錢을 加한다. ① 陰虛에는 熟地黃 五~七錢을 加한다.
中統 88 삼화산(三和散)
川芎4 沈香2 蘇葉2 大腹皮2 羌活2 木瓜2 木香1 白朮1 檳榔1 陳皮1 甘草1
여러 氣가 鬱滯해서, 혹은 脹滿하거나 疼痛이 이는 것을 다스린다.
中統 89 교감단(交感丹)
香附子600 茯神160
여러 기의 鬱滯를 다스려 능히 水火가 升降하게 한다. 香附子, 茯神, 甘草 각 一錢을 加한 것을 降氣湯이라고 한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彈子大로 蜜丸을 지어 降氣湯으로 한알씩 먹는다.
中統 90 소합향원(蘇合香元)
白朮80 木香80 沈香80 麝香80 丁香80 安息香80 白檀香80 朱砂80 犀角80 訶子皮80 香附子80 蓽撥80 蘇合油40 乳香40 龍腦40
기로 因한 一切의 疾患을 다스린다.
[用法] 藥味들을 作末하여 安息香膏로 이겨서 蜜丸을 짓되 매 1냥분으로 40환씩 만들어 두고 2~3환씩 우물물이나 溫水 또는 溫酒 혹은 生薑湯에 타서 먹는다. ① 龍腦가 있으면 龍腦蘇合元이고, 龍腦가 없으면 麝香蘇合元이다. ② 安息香이 乾燥해 있으면 作膏할 필요는 없다.
中統 91 가미온담탕(加味溫膽湯)
香附子9 橘紅5 半夏3 枳實3 竹茹3 人蔘2 白茯苓2 柴胡2 麥門冬2 桔梗2 甘草1
心과 膽이 虛怯해서 무슨 일이나 놀라기 잘하는 것을 다스린다.
[活套] 氣鬱에는 蘇葉을 加한다. ① 不眠에는 當歸와 酸棗仁을 加한다.
中統 92 사물안신탕(四物安神湯)
當歸3 白芍藥3 生地黃3 熟地黃3 人蔘3 白朮3 白茯神3 酸棗仁3 黃連3 梔子3 麥門冬3 竹茹3
心中에 피가 없어서(부족해서) 마치 물 없는 고기가 뛰듯이 怔忡 動悸 하는 것을 다스린다.
中統 93 복령보심탕(茯苓補心湯)
白芍藥8 熟地黃6 當歸5 川芎3 白茯苓3 人蔘3 半夏3 前胡3 陳皮2 枳殼2 桔梗2 乾葛2 蘇葉2 甘草2
勞心하여 吐血하는 것을 다스린다.
[活套] 莎芎散을 合方해도 좋다. ① 熱이 있으면 人蔘을 沙蔘으로 바꾸고, 生地黃, 黃芩, 黃連따위를 加한다.
中統 94 온담탕(溫膽湯)
半夏8 陳皮8 白茯苓8 枳實8 竹茹4 甘草2
心膽이 虛怯하여 夢寐가 不祥하고, 虛煩으로 不眠하는 것을 다스린다.
[活套] 血虛에는 歸脾湯을 合方해서 쓴다.
中統 95 형소탕(荊蘇湯)
荊芥4 蘇葉4 木通4 橘紅4 當歸4 辣桂4 石菖蒲4
風寒에 들려 갑자기 벙어리가 된 것을 다스리며, 其他 失音에 통용된다.
[活套] 咽痛에는 辣桂를 빼고 桔梗과 甘草를 넣는다.
中統 96 옥병풍산(玉屛風散)
白朮10 防風5 黃芪5
表虛로 自汗되는 것을 다스린다.
[活套] 陰虛로 自汗이 되는 데는 地黃湯을 合方해서 쓴다. ① 氣가 虛해서 自汗이 되는 데는 補益湯을 合方하고, 浮小麥을 加하면 더욱 좋다.
中統 97 반하온폐탕(半夏溫肺湯)
半夏4 陳皮4 旋覆花4 人蔘4 細辛4 桂心4 桔梗4 白芍藥4 白茯苓4 甘草4
中脘에 痰水가 있어서 淸水를 吐하고 脈이 沈, 細, 弦, 遲한 것을 다스린다. 이는 胃가 虛冷한 탓이다.
中統 98 화위이진전(和胃二陳煎)
乾薑8 陳皮6 半夏6 白茯苓6 甘草3 砂仁2
胃寒으로 因한 生痰, 惡心, 嘔吐, 噯氣를 다스린다.
中統 99 이진탕(二陳湯)
半夏8 橘皮4 赤茯苓4 甘草2
痰飮을 通治한다. ① 左頭痛은 血虛에 屬한다. 朝輕, 夕重하면 四物湯을 合方한 데다가 荊芥, 薄荷, 細辛, 蔓荊子, 柴胡, 黃芩 등을 加해서 쓴다. ② 氣鬱에는 이 藥을 달인 물로 交感丹을 삼킨다.
中統 100 궁하탕(芎夏湯)
川芎4 半夏4 赤茯苓4 陳皮2 靑皮2 枳殼2 白朮1 甘草1
逐水와 利飮에 通用된다.
[活套] 痰牽에는 白芥子와 香附子를 加한다. ① 冷痰에는 生薑, 桂枝, 茴香을 加한다. ② 咳嗽에는 貝母, 杏仁을 加한다.
中統 101 오매환(烏梅丸)
烏梅30 黃連30 當歸12 川椒12 細辛12 附子12 桂心12 人蔘12 黃柏12
蛔厥로 因한 心腹痛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의 粉末과 醋浸해서 만든 烏梅末을 섞은 藥末을 찧어서 아주 고르게 만들어 梧子大로 丸을 지어 10~20丸씩 미음으로 먹는다.
中統 102 온장환(溫臟丸)
人蔘160 白朮160 白芍藥160 白茯苓160 川椒160 當歸160 細榧肉80 四君子肉80 檳榔80 乾薑40 吳茱萸40
蟲積을 이미 몰아냈는데 다시 생기는 것은 대개 臟氣가 虛寒하기 때문이니, 脾胃를 溫補해서 튼튼하게 해야 한다. ① 臟이 寒하면 附子를 加한다. ② 臟이 熱하면 黃連을 加한다.
[活套] 桂心과 烏梅를 가해도 좋다.
[用法] 藥味들을 作末하여 神麯糊로 梧子大의 丸을 지어 배고플때 50~70丸씩 白湯으로 먹는다.
中統 103 축천환(縮泉丸)
烏藥 益智仁 各等分
脬氣의 不足으로 小便이 頻數해서(잦아서)하루 백여 차례 排尿하는 증세를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해서 술에 끓여 山藥糊로 梧子大의 丸을 지어 就寢 전에 鹽湯으로 70丸씩 服用한다.
中統 104 계장산(鷄腸散)
鷄腸20 牡蠣20 白茯苓20 桑螵蛸20 辣桂10 龍骨10
小兒遺尿(脬寒, 陽虛의)를 다스린다. ① 이상을 한데 부숴서 二錢씩을 달여서 먹든지, 作末해서 一錢씩 미음에 조합해서 服用한다.
中統 105 비해분청음(萆薢分淸飮)
石菖蒲4 烏藥4 益智仁4 萆薢4 白茯苓4 甘草2
小便이 白濁하여 풀처럼 凝結하는 것을 다스린다. 空心에 服用한다.
中統 106 위풍탕(胃風湯)
人蔘4 白朮4 赤茯苓4 當歸4 川芎4 白芍藥4 桂皮4 甘草4
腸의 風濕의 독으로 因해 黑豆汁 같은 泄瀉物을 瀉下하는 것을 다스린다. 또, 봄에 傷風한 것이 여름에 이르러 暴瀉하는 것을 다스린다.
[活套] 陰毒으로 因한 下血에는 地楡, 烏梅, 荊芥를 加한다.
中統 107 삼백탕(三白湯)
白朮6 白茯苓6 白芍藥6 甘草2
모든 泄瀉를 다스린다. ① 陳皮를 加한 것을 燥濕湯이라고 한다.
[活套] 熱에는 黃連을 加한다. ② 冷에는 生薑을 加한다. ③ 濕滯에는 猪苓과 澤瀉를 加한다. ④ 暑에는 香薷와 白豆蔲를 加한다. ⑤ 食滯에는 陳皮, 神麯, 檳榔, 木香을 加한다.
中統 108 사습탕(瀉濕湯)
白朮12 白芍藥8 陳皮6 防風4 升麻2
아주 심한 泄瀉를 다스린다.
[活套] 暑에는 香薷, 白扁豆를 加한다. ① 小便不利에는 猪苓, 澤瀉, 燈心, 車前子를 加한다. ② 氣가 虛하면 人蔘 三~五 錢을 加한다.
中統 109 진인양장탕(眞人養臟湯)
罌粟殼4 甘草4 白芍藥3 木香3 訶子2 官桂1 人蔘1 當歸1 白朮1 肉豆蔲1
赤痢와 白痢 및 모든 痢疾을 다스린다. ① 空心에 溫服한다.
中統 110 생숙음자(生熟飮子)
罌粟殼 陳皮 甘草 烏梅 大棗 生薑 木香 訶子 黑豆 黃芪 白朮 當歸
어른의 여러 가지 痢疾과 小兒의 虛積으로 因한 痢疾로서 晝夜로 한없이 泄瀉하는 것을 다스린다. 五錢쭝씩을 물 한작 반으로 달여서 절반이 되게 해서 溫服한다. ① 小兒는 一~二 홉을 服用한다.
中統 111 수자목향고(水煮木香膏)
罌粟殼120 砂仁30 肉豆蔲30 乳香30 木香20 丁香20 訶子20 藿香20 當歸20 黃連20 厚朴20 陳皮20 靑皮20 白芍藥20 甘草20 枳實10 乾薑10
一切의 痢疾을 다스린다. ① 만일 暑毒에 사용하면 毒이 腹部에 머물러 배가 膨脹한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하여 꿀에 이겨서 丸을 짓되 一兩으로 6丸을 만들어 1丸씩을 물 1잔과 대추 1알과 함께 삶아서 7 푼이 되거든 대추와 잔재를 버리고 空心에 服用한다.
中統 112 소풍산(消風散)
荊芥4 甘草4 人蔘2 白茯苓2 白殭蠶2 川芎2 防風2 藿香2 蟬退2 羌活2 陳皮1 厚朴1
모든 風이 위로 공격하여 머리가 어지럽고 눈이 흐리고 코가 막히고 귀가 울리고 머리가 가려운 증과 婦人이 血風으로 인해 머리가 가려운 증을 다스린다.
[活套] 眼赤, 腫痛, 生翳에는 四物湯을 合方하고, 沙蔘을 人蔘 대신 넣고, 枸杞子, 甘菊, 靑葙子, 木賊 따위를 加한다. 頭風에는 天麻와 藁本을 加한다. 耳痛에는 蔓荊子, 菖蒲, 細辛을 加한다.
[用法] 혹 粉末로 하여 二錢씩을 淸茶로 服用한다.
中統 113 양혈거풍탕(養血祛風湯)
當歸2 川芎2 生乾地黃2 防風2 荊芥2 羌活2 細辛2 藁本2 石膏2 蔓荊子2 半夏2 旋覆花2 甘草2
婦人의 頭痛을 다스린는데, 이 風은 열 가지 중 그 반은 매번 반드시 眩氣症을 일으킨다. 이는 肝이 虛해서 風이 侵襲하기 때문이다.
中統 114 청훈화담탕(淸暈化痰湯)
陳皮4 半夏4 白茯苓4 枳實3 白朮3 川芎2 黃芩2 白芷2 羌活2 人蔘2 南星2 防風2 細辛1 黃連1 甘草1
風痰, 火痰의 眩暈을 다스린다.
[用法] 혹은 위의 藥味들을 作末해서 生薑풀로 丸을 지어 써도 좋다.
中統 115 반하백출천마탕(半夏白朮天麻湯)
半夏6 陳皮6 麥芽6 白朮4 神麯4 蒼朮2 人蔘2 黃芪2 天麻2 白茯苓2 澤瀉2 乾薑1 黃柏1
脾胃虛弱으로 痰厥하고 머리가 파열될 것같이 아프고 몸이 산같이 무겁고 四肢가 厥冷하고 嘔吐가 나고 어지러운 증을 다스린다.
[活套] 氣가 虛한 사람과 老人은 人蔘을 君藥으로 삼아도 좋다.
中統 116 청상견통탕(淸上蠲痛湯)
黃芩6 蒼朮4 羌活4 獨活4 防風4 川芎4 當歸4 白芷4 麥門冬4 蔓荊子2 甘菊2 細辛1 甘草1
新久 左右의 모든 頭痛을 다스리는 效力이 있다.
[活套] 老人과 虛한 사람이나 實熱이 없는 사람은 사용해서는 안된다.
中統 117 순기화중탕(順氣和中湯)
黃芪6 人蔘4 白朮2 當歸2 白芍藥2 陳皮2 升麻1 柴胡1 蔓荊子1 細辛1 川芎1
氣虛로 因한 頭痛을 다스린다.
[活套] 痛症이 심하면 乳香末 三分을 조합해서 服用한다.
中統 118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
生乾地黃4 白芍藥4 川芎4 當歸4 片芩4 防風2 柴胡2 蔓荊子2 荊芥1 藁本1
血虛로 인한 頭痛을 다스린다.
中統 119 궁오산(芎烏散)
川芎4 烏藥4
역시 産後 頭痛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하여 二錢씩을 錘라는 것을 달구어 담갔던 술로 조합해서 服用한다.
中統 120 청상사화탕(淸上瀉火湯)
柴胡4 羌活3 酒黃芩3 酒知母3 酒黃柏2 炙甘草2 黃芪2 生地黃2 酒黃連2 藁本2 升麻1 防風1 蔓荊子1 當歸身1 蒼朮1 細辛1 荊芥穗0.4 川芎0.4 生甘草0.4 紅花0.4
熱厥로 因한 頭痛을 다스린다.
中統 121 승마황련탕(升麻黃連湯)
升麻4 乾葛4 白芷3 白芍藥2 甘草2 黃連1 犀角屑1 川芎1 荊芥穗1 薄荷1
面熱을 다스린다. ① 술과, 麵 그리고 五辛을 忌한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먼저 물 반잔에 담갔다가 川芎, 荊芥, 薄荷 이외의 것을 1첩으로 하여 물2잔에 달여 1잔이 되거든 앞서 제외해 둔 나머지 3가지를 넣고 다시 달여서 7푼쯤 된 것을 溫服한다.
中統 122 승마부자탕(升麻附子湯)
升麻3 附子3 乾葛3 白芷3 黃芪3 人蔘2 草豆蔲2 甘草2 益智仁1
面寒을 다스린다. 面寒이란 胃가 虛한 것이니 附子理中湯도 좋다.
中統 123 승마위풍탕(升麻胃風湯)
升麻8 甘草6 白芷5 當歸4 乾葛4 蒼朮4 麻黃2 柴胡1 藁本1 羌活1 黃柏1 草豆蔲1 蔓荊子1
胃風으로 因한 면종을 다스린다. ① 식후에 먹는다.
中統 124 청상방풍탕(淸上防風湯)
防風4 白芷3 連翹3 桔梗3 片芩3 川芎3 荊芥2 梔子2 黃連2 枳殼2 薄荷2 甘草1
上焦의 火를 맑게 하고 머리와 얼굴에 瘡癤이 생기는 것과 風熱毒을 다스린다.
中統 125 만형자산(蔓荊子散)
蔓荊子3 赤茯苓3 甘菊3 麥門冬3 前胡3 生地黃3 桑白皮3 赤芍藥3 木通3 升麻3 甘草3
腎經에 風熱이 있어서 귓속이 熱痛하고 膿汁이 나오고 혹은 귀가 울고 또는 잘 들리지 않게 되는 증을 다스린다.
中統 126 형개연교탕(荊芥連翹湯)
荊芥3 連翹3 防風3 當歸3 川芎3 白芍藥3 柴胡3 枳殼3 黃芩3 梔子3 白芷3 桔梗3 甘草2
腎經에 風熱이 있어서 양귀가 腫痛하는 것을 다스린다. ① 食後에 服用한다.
中統 127 여택통기탕(麗澤通氣湯)
黃芪4 蒼朮3 羌活3 獨活3 防風3 升麻3 乾葛3 甘草2 麻黃1 川椒1 白芷1
코로 냄새를 맡지 못하는 증을 다스린다. 이 原因은 폐에 風熱이 있기 때문이다.
中統 128 감길탕(甘桔湯)
桔梗16 甘草6
少陰客寒으로 因한 인통을 다스린다. ① 鼠黏子, 竹茹를 각각 一錢씩 加하면 더욱 좋다.
中統 129 청화보음탕(淸火補陰湯)
玄參8 白芍藥4 熟地黃4 當歸3 川芎3 黃柏3 知母3 天花粉3 甘草3
虛火가 上升해서 喉頭가 아프고 喉頭가 막히는 증과 혹은 生瘡하는 증을 다스린다.
[活套] 肺熱에는 生白桔梗 一兩을 加한다.
中統 130 수점산(手拈散)
草果 玄胡索 五靈脂 沒藥 各等分
九種心痛 및 心脾痛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작말하여 술에 조합해서 一~二 錢을 服用한다.
[活套] 혹은 湯을 만들어 쓰기도 한다. ① 虛冷에는 建理湯을 合方한다. ② 挾滯에는 山査, 神麯, 檳榔을 加한다. 蛔厥에는 山査, 桂心, 烏梅, 花椒를 加한다.
中統 131 연부육일탕(連附六一湯)
黃連24 附子4
熱鬱로 因한 胃痛, 胸痛을 다스린다. ① 熱服한다.
中統 132 행기향소산(行氣香蘇散)
蘇葉4 陳皮4 蒼朮4 香附子4 烏藥4 川芎4 羌活4 枳殼4 麻黃4 甘草4
內傷生冷과 外感風寒을 다스리며 또 七情에 감촉되어 음식이 전체되고 胸腹이 脹痛하는 증을 다스린다.
[活套] 食滯胸痛에는 麻黃을 빼고 神麯, 檳榔을 加한다.
中統 133 창졸산(倉卒散)
山梔 四十九枚 大附子4 一枚
疝氣가 허리와 배사이를 攣急하게 하여 疼痛을 일으키므로 屈伸할 수도 없고 痛症을 참을수도 없고 自汗이 씻는 것처럼 나고 手足이 얼음같이 차서 죽게되어 가는 증을 다스린다. ① 三錢씩을 물 한 잔과 술 반잔으로 달열서 七分이 되면 소금을 조금 넣어서 쓴다. 川芎을 加하면 더욱 좋다. ② 일명 梔附湯이다.
中統 134 길경지각탕(桔梗枳殼湯)
桔梗8 枳殼8 甘草4
痞氣가 가슴에 충만해서 풀리지 않아 죽을 지경인 煩悶을 다스린다. 寒熱을 막론하고 通用한다. 또, 傷寒 結胸도 다스린다.
中統 135 시경반하탕(柴梗半夏湯)
柴胡8 瓜蔞仁4 半夏4 黃芩4 枳殼4 桔梗4 靑皮3 杏仁3 甘草2
痰熱이 盛하여 胸痺하고 脇痛하는 증을 다스린다.
中統 136 적복령탕(赤茯苓湯)
半夏8 赤茯苓8 陳皮4 人蔘4 川芎4 白朮4
一名 半夏茯苓湯이다. ① 水毒으로 인하여 結胸, 痞滿하고 頭汗이 나는 증을 다스린다.
中統 137 통유탕(通乳湯)
豬蹄 四隻 通草40 川芎40 穿山甲 十四枚 甘草4
氣血의 부족으로 乳汁이 澁少한 증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5되의 물에 넣고 달여서 반이 되거든 3분하여 服用한다. 또한 溫葱湯으로 乳房을 자주 씻는다.
[活套] 王不留行을 3~4錢 加하면 더욱 좋다.
中統 138 신효과루산(神効瓜蔞散)
黃瓜蔞20 甘草20 當歸20 乳香10 沒藥10
乳癰(즉 乳腫)과 내암(즉 乳癌)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하여 술 3되로 반이 되게 달여서 3분하여 식후에 服用한다. 혹은 술과 물을 반씩(같은 분량)으로 달여서 服用한다.
* 黃瓜蔞는 큰 것 한 개를 거피하고 불에 쬐어 가루를 만든다. 씨가 많은 것일수록 약효가 더 있다.
中統 139 가미지패산(加味芷貝散)
白芷4 貝母4 天花粉4 金銀花4 皂角刺4 穿山甲4 當歸尾4 瓜蔞仁4 甘草節4
乳癰으로 젖이 딴딴하게 붓고 아픈 증을 다스린다. ① 酒水 各 半으로 煎服한다.
中統 140 십육미유기음(十六味流氣飮)
蘇葉6 人蔘4 黃芪4 當歸4 川芎2 官桂2 厚朴2 白芷2 防風2 烏藥2 檳榔2 白芍藥2 枳殼2 木香2 甘草2 桔梗1
내암(즉 乳癌)을 다스린다. ① 靑皮 一錢을 가해서 달여 먹는다.
中統 141 청간해울탕(淸肝解鬱湯)
當歸4 白朮4 貝母3 赤茯苓3 白芍藥3 熟地黃3 山梔3 人蔘2 柴胡2 牧丹皮2 陳皮2 川芎2 甘草2
간장의 鬱火로 유방에 멍울이 맺힌 것을 다스린다.
中統 142 지패산(芷貝散)
白芷4 貝母4
유방의 결핵(멍울진 것)을 푼다. ① 결핵(멍울)에는 이 약을 主藥으로 하고 芎歸와 升麻를 加한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하여 一錢씩 술에 調合해서 자주 服用한다. 혹은 달여 먹기도 한다.
中統 143 후박온중탕(厚朴溫中湯)
乾薑8 厚朴6 陳皮6 赤茯苓3 草豆蔲3 木香2 甘草2
客寒이 胃를 침범하여 心腹이 虛冷하고 붓고 아픈 것을 다스린다.
[活套] 氣虛에는 人蔘과 桂枝를 加한다. ① 挾滯에는 山査, 神麯, 檳榔, 枳實을 加한다. ② 蛔가 動하면 山査, 檳榔, 使君子, 烏梅, 花椒를 加한다.
中統 144 황련탕(黃連湯)
黃連8 人蔘6 半夏6 乾薑4 桂枝4 甘草2
腹痛이 나고 嘔吐하려는 것은 上焦가 덥고 下焦가 차기 때문이다. 즉, 陽氣가 내려가지 못하므로 가슴이 달아 嘔吐코자 하고, 陰氣가 올라가지 못하므로 下焦가 차서 腹痛이 난다. 이는 陰陽이 正常을 잃은 것이다.
[活套] 氣虛에는 人蔘을 3~5錢으로 倍加한다.
中統 145 여신탕(如神湯)
玄胡索 當歸 桂心 杜冲 各等分
挫閃(捻挫)으로 因한 腰痛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하여 二錢씩 溫酒으로 조합해서 服用한다.
[活套] 湯을 만들어 써도 좋다.
中統 146 입안산(立安散)
白丑8 當歸4 肉桂4 玄胡索4 杜冲4 茴香4 木香2
挫閃(捻挫)과 氣滯로 인한 腰痛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하여 溫酒에 타서 2숟가락씩 服用한다.
中統 147 지궁산(枳芎散)
枳實20 川芎20 甘草10
左脇의 刺痛을 다스린다.
[用法] 藥味들을 作末해서 二錢씩 薑棗湯에 타서 服用한다.
中統 148 추기산(推氣散)
枳殼20 桂心20 薑黃20 甘草10
右脇의 疼痛을 다스린다.
[用法] 藥味들을 作末하여 二錢씩을 薑棗湯이나 술에 타서 服用한다.
[活套] 氣滯不行에는 全蝎 二錢을 加한다.
中統 149 청기산(淸肌散)
荊防敗毒散 加 天麻4 薄荷4 蟬退4
癮疹(두드러기)이 붉거나 희면서 가려운 증을 다스린다.
中統 150 목유탕(木萸湯)
木瓜10 檳榔10 吳茱萸6
脚氣가 腹部로 들어 가 喘悶한 증을 다스린다.
中統 151 사증모과환(四蒸木瓜丸)
黃芪20 續斷20 蒼朮20 橘皮20 威靈仙20 葶藶子20 黃松節20 烏藥20
肝, 腎, 脾 三經의 氣가 虛하고 風寒濕이 相搏하므로 혹은 腫氣가 나고 혹은 麻痺되고 寒熱이 나고 嘔吐하는 증을 다스린다.
[用法] 生木瓜 네 개의 속을 깎아 내고 매개에 두 가지씩의 약末을 넣고 뚜껑을 해서 막은 다음, 술에 세 번 쪄서 찧어 가지고 楡皮糊로 梧子大의 환을 지어 空心에 鹽湯으로 백 알씩 服用한다.
中統 152 당귀사역탕(當歸四逆湯)
當歸5 附子4 官桂4 茴香4 白芍藥4 柴胡4 川楝子3 玄胡索3 白茯苓3 澤瀉2
寒疝으로 인한 臍下의 冷痛을 다스린다. ① 空心에 服用한다.
[活套] 氣가 虛해서 臍腹의 冷氣가 공격하여 刺痛하는 데 人蔘 三~五錢과 全蝎末 三~五分을 加하여 調服하면 神效가 난다.
中統 153 길경탕(桔梗湯)
桔梗5 貝母5 瓜蔞仁4 薏苡仁4 當歸4 桑白皮3 枳殼3 黃芪3 防風3 杏仁2 百合2 甘草2
肺癰을 다스린다.
中統 154 통순산(通順散)
赤芍藥4 木通4 白芷4 何首烏4 枳殼4 茴香4 烏藥4 當歸4 甘草4
一名 榮衛返魂湯, 一名 追風通氣散, 一名 何首烏散이다. ① 痰飮으로 因해 병이 된 것을 모두 다스리는데, 주로 痰腫을 다스린다. ② 忍冬을 加하면 效力이 매우 좋다. ③ 虛하면 附子를 加한다. ④ 實하면 大黃을 加한다. ⑤ 痰에는 南星과 半夏를 加한다. ⑥ 腫硬에는 川芎, 麻黃, 葱白, 全蝎, 穿山甲을 加한다. ⑦ 流注에는 獨活을 加한다.
[用法] 酒水 各 半으로 煎服한다.
[活套] 氣虛에는 人蔘을 加한다. ⑧ 담결에는 白芥子를 加한다. ⑨ 冷에는 生薑과 附子를 加한다.
中統 155 하고초산(夏枯草散)
夏枯草24 甘草4
瘰癧을 잘 다스리며 厥陰을 補養하는 效能이 있다. ① 또, 一兩쭝을 水煎해서 服用하는데, 虛한 사람은 많이 먹을수록 좋다. 十全大補湯에 香附子, 遠志, 貝母를 가하여 兼服하면 瘰癧과 馬刀(脇下硬癰)의 寒熱에 聖藥이 된다.
中統 156 전생활혈탕(全生活血湯)
白芍藥4 升麻4 防風3 羌活3 獨活3 柴胡3 當歸身3 乾葛3 甘草3 藁本2 川芎2 生地黃2 熟地黃2 蔓荊子1 細辛1 紅花0.4
崩漏過多로 인한 昏冒不省을 다스린다. 이 藥은 補血, 養血, 生血, 益陽해서 手足厥陰을 補한다.
中統 157 달생산(達生散)
大腹皮8 甘草6 當歸4 白朮4 白芍藥4 人蔘2 陳皮2 蘇葉2 枳殼2 砂仁2
姙娠婦가 産月에 임박해서 이십여 첩을 服用하면 順産이 되고 無病해진다. ① 一名 縮胎飮이다.
中統 158 죽력탕(竹瀝湯)
赤茯苓40
姙娠婦의 煩躁를 다스린다.
[用法] 赤茯苓 一兩을 달인 물에 竹瀝 1홉을 타서 服用한다.
中統 159 자원탕(紫菀湯)
紫菀8 天門冬8 桔梗6 杏仁4 桑白皮4 甘草4
姙娠婦의 咳嗽와 胎不安을 다스린다.
中統 160 자소음(紫蘇飮)
紫蘇葉10 人蔘4 大腹皮4 川芎4 陳皮4 白芍藥4 當歸4 甘草2
子懸 및 氣結로 인한 難産을 다스린다.
[活套] 川芎과 當歸를 각 2~3錢으로 倍加해도 좋다. ① 혹 砂仁 一錢을 加하면 더욱 좋다.
中統 161 형개산(荊芥散)
荊芥8
眩暈을 다스림이 神通하다.
[用法] 荊芥의 粉末 2錢을 童便 1잔으로 調服한다.
中統 162 소삼소음(小蔘蘇飮)
蘇木80
産後에 敗血이 肺에 들어가 얼굴이 검게 되고 喘息이 나는 증을 다스린다.
[用法] 蘇木 二兩을 물 2완으로 달여서 반이 된 다음 人蔘末 二錢을 넣어 調服한다.
中統 163 시호사물탕(柴胡四物湯)
柴胡8 生地黃8 川芎4 赤芍藥4 當歸4 黃芩4 人蔘2 半夏2 甘草2
産後發熱과 열이 子宮으로 들어간 것을 다스린다. ① 一名 三元湯이다.
[活套] 血熱이 심하면 牛黃膏에 調服한다.
中統 164 유풍산(유풍산)
荊芥12
産後의 中風을 다스린다. ① 一名 擧卿古拜散이다.
[用法] 荊芥를 약간 炒해서 作末한 것 3전을 豆淋酒에 타서 服用한다.
中統 165 두림주(豆淋酒)
黑豆 一升
産後 風證을 다스린다.
[用法] 黑豆 1되를 炒熟해서 뜨거운 것을 淸酒 3되에 넣고 密封하고 적당한 분량을 마신다.
中統 166 소요산(逍遙散)
白朮4 白芍藥4 白茯苓4 柴胡4 當歸4 麥門冬4 甘草2 薄荷2
月經不調 및 血虛, 惡心煩熱, 寒熱이 瘧疾과 같은 증을 다스린다.
[活套] 血熱에 鱉甲을 加하면 더욱좋다.
中統 167 비아환(肥兒丸)
胡黃連20 四君子肉18 人蔘12 黃連12 神麯12 麥芽12 山査肉12 白朮12 白茯苓12 甘草12 蘆薈10
여러가지의 감증을 두루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하여 黃米糊로 綠豆大의 丸을 지어 미음으로 20~30丸씩 服用한다.
[活套] 혹은 위의 藥味들로 湯劑 10첩을 지어 쓰기도 한다. ① 六味元 이분의 일을 本方과 合方한 것을 水土丹이라고 한다.
中統 168 소아청심원(小兒淸心元)
人蔘8 白茯神8 防風8 朱砂8 柴胡8 金箔 三十片
모든 熱과 驚熱 煩躁를 다스린다. ① 內局 處方에는 犀角과 牛黃을 加한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해서 梧子大로 蜜丸을 지어 1환씩 竹瀝과 調合해서 服用한다.
中統 169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
人蔘敗毒散 各二分 加 天麻0.4 地骨皮0.4 薄荷 三葉
傷風, 傷寒으로 인한 發熱을 다스린다.
中統 170 생료사물탕(生料四物湯)
生地黃1 赤芍藥1 川芎1 當歸1 防風1 黃芩1 薄荷1
모든 瘡病을 다스린다.
[活套] 熱毒에는 惡實과 金銀花를 加한다.
中統 171 우황해독단(牛黃解毒丹)
甘草40 金銀花40 紫草茸20 牛黃12
小兒의 胎瘡(胎毒)의 諸熱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해서 梧子大로 蜜丸을 짓는다. 服用量은 아이의 대소에 따르되 薄荷湯이나 蟬退湯에 타서 服用한다. ① 또 한 處方은 蟬退를 加한다
中統 172 시귀음(柴歸飮)
當歸8 白芍藥6 柴胡4 荊芥4 甘草3
痘疹이 생기기 시작할 때 쓴다. 이 處方은 平和하게 養營하는 藥이다.
中統 173 희두토홍환(稀痘兎紅丸)
生兎
生兎 한 마리를 음력 섣달 초 팔일에 잡아 피를 받아 蕎麥麵을 버무린 데다가 雄黃 四~五 푼을 加해서, 마르거든 떡을 만들어 綠豆大로 丸을 짓는다. 初生兒는 삼일 후에 二~三 丸을 젓에 타서 먹이고, 一歲兒는 五~七 丸을, 三歲 以上 兒는 十五 丸을 먹인다. 오래 먹이면 몸에 홍반이 나오는데 이는 약의 효험이다.
中統 174 소독보영단(消毒保嬰丹)
纏豆藤60 赤豆 七十粒 黑豆 三十粒 山査肉40 牛蒡子40 生地黃40 辰砂40 升麻30 連翹30 荊芥20 防風20 獨活20 甘草20 當歸20 赤芍藥20 黃連20 桔梗20 絲瓜20
매년 春分과 秋分때 20丸씩 服用하면 痘毒이 점차 사라진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미리 作末해 두었다가, 春分이나 秋分을 지나 혹 上元이나 칠월 망일에 婦人과 고양이, 개를 忌하고, 설탕과 버무려 오얏씨만하게 丸을 지어 甘草湯에 타서 먹는다.
* 纏豆藤은 즉 모두의 경상을 휘감는 가는 紅藤인데 팔월에 채취해서 陰乾해 쓴다.
中統 175 포룡환(抱龍丸)
牛膽南星40 天竺黃20 石雄黃10 朱砂10 麝香4
驚風으로 潮搐되고 身熱로 昏睡되는 것을 다스린다. 痰을 내리는 능력이 있으므로 心, 肺, 肝의 藥이다. ① 內局處方에서는 天竺黃을 빼고 釣鉤藤으로써 대용한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하여 삶아서 甘草膏로 皂莢子만하게 丸을 지어 溫水에 타서 먹인다. 백일 이내의 아이는 一丸을 세 번에 갈라 먹이고 五歲의 아이는 一~二丸을 먹인다. 臘雪水에 甘草를 삶아, 그 물로 먹이면 더욱 좋다.
中統 176 우황포룡환(牛黃抱龍丸)
抱龍丸 加 眞珠4 琥珀4 牛黃2 金箔 十片
急性, 晩成의 驚風, 膽兪, 潮搐을 다스리다.
[用法] 作丸法은 위의 抱龍丸과 같은데 金箔을 입힌다. 天竺黃을 빼고 釣鉤藤을 대신 넣는 거도 위의 抱龍丸과 같다. ① 薄荷湯에서 타서 먹이다.
中統 177 자상환(紫霜丸)
代赭石40 赤石脂40 巴豆 三十粒 杏仁 五十枚
食癎과 痰癖 그리고 嘔逆은 하지않고 吐하는 것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천번 찧는다. 만일 굳으면 꿀을 조금 가입하여 麻子大로 丸을 지어 한알을 젓에 타서 먹인다.
* ① 代赭石은 일곱 차례 炒한다. ② 巴豆는 껍질과 기름을 빼버리고 霜을 만든다. ③ 杏仁은 껍질을 벗기고 尖端을 잘라 버린다.
中統 178 오복화독단(五福化毒丹)
玄參40 桔梗32 人蔘20 赤茯苓20 馬牙硝20 靑黛10 甘草4 麝香2 金箔 八片 銀箔 八片
熱疳으로 인해 瘡癤이 많이 나고 痘瘡의 여독으로 인해 입에서 침이 흐르고 잇몸에서는 냄새 나는 피가 나오는 것과 夜盲症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하여 一兩쭝으로 십이개의 蜜丸을 지어 金銀箔을 입힌다. 一歲 아기는 一丸을 四會에, 薄荷湯에서 타서 먹인다. 夜盲症에는 묵은 좁쌀 뜨물에 타서 먹인다.
中統 179 천을환(天乙丸)
燈心64 澤瀉12 滑石10 猪苓10 赤茯苓7 白茯苓7 茯神7
病을 다스림에는 水道를 通利하게 함을 捷徑으로 삼는데 이 약은 그러한 성능이 있어서 蘊熱, 丹毒, 驚風, 痰熱, 變蒸, 發熱, 嘔吐, 泄瀉病 등에 이르기까지 다스리지 못하는 것이 없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하여 人蔘 一兩을 달여서 膏를 만든것에 버무려 櫻桃大로 丸을 지어 朱砂를 입히고 金箔으로 싼다. 燈心麥門冬湯이나 薄荷湯에 一丸씩 타서 먹는다.
* 燈心은 一兩 六錢을 米粉漿水에 씻어 볕에 말린 것을 맑은 물에 넣어 뜨는 것을 燈心으로 쓰는데 二錢 五分을 취해서 쓴다.
中統 180 소침환(燒鍼丸)
黃丹 朱砂 枯白礬 各等分
內傷으로 인해 乳食을 吐瀉하는 증세가 멎지 않는 것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하여 棗肉에 버무려서 芡實大로 丸을 지은 다음 한 알씩 바늘에 꿰어 등불에 대어 燒存性으로 해서 乳汁이나 미음에 풀어서 먹인다.
中統 181 맥탕산(麥湯散)
地骨皮4 甘草4 滑石4 麻黃1 人蔘1 熟地黃1 知母1 葶藶1 羌活1 小麥 七粒
水痘를 다스린다.
下統 1 자윤탕(滋潤湯)
當歸4 生地黃4 枳殼4 厚朴4 檳榔4 大黃4 麻仁4 杏仁4 羌活3 紅花1
風이 臟器에 들어 大小便이 막히는 데는 먼저 이 약을 服用한 후에 愈風散으로 조리한다. [活套] 便秘에는 郁李仁 一錢이나 혹은 黑丑 5分을 調服한다. 虛한 사람은 사용하지 못한다.
下統 2 견정산(牽正散)
白附子 白殭蠶 全蝎 並生用各等分
中風으로 인한 喎斜를 다스린다.
[用法] 藥味들을 作末하여 二錢씩 뜨거운 술로 조합해서 服用한다.
下統 3 도담탕(導痰湯)
半夏8 南星4 橘皮4 枳殼4 赤茯苓4 甘草4
中風으로 인한 痰盛, 語澁, 眩暈을 다스린다. ① 黃芩과 黃連을 加한 것을 淸熱導痰湯이라고 한다. ② 羌活과 白朮을 加한 것을 袪風導痰湯이라고 한다. ③ 遠志, 菖蒲, 黃連, 黃芩, 朱砂를 加한 것을 寧神導痰湯이라고 하며, 人蔘, 菖蒲, 竹茹 각 五分을 가한 것을 滌痰湯이라고 한다.
[活套] 氣虛에 쓰도록 白朮, 全蝎, 白附子를 加하고 人蔘을 倍加한 것은 導痰君子湯이다.
下統 4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
滑石6 甘草5 石膏3 黃芩3 桔梗3 防風2 川芎2 當歸2 赤芍藥2 大黃2 麻黃2 薄荷2 連翹2 芒硝2 荊芥1 白朮1 梔子1
諸風熱, 瘡疹黑陷, 風熱瘡疥, 頭生白屑, 面鼻紫赤, 肺風瘡, 大風癩疾 혹은 熱結로 인한 大小便 不通을 다스린다. 아울러 酒毒을 푼다.
[活套] 滑石과 芒硝를 빼고 나머지를 아울러 酒炒한 것을 酒製通聖散이라고 한다. ① 癮疹瘙痒에는 金銀花, 玄蔘, 蟬退를 加한다.
下統 5 목향보명단(木香保命丹)
木香20 白附子20 桂皮20 杜冲20 厚朴20 藁本20 獨活20 羌活20 海桐皮20 白芷20 甘菊20 牛膝20 白花蛇20 全蝎20 威靈仙20 天麻20 當歸20 蔓荊子20 虎骨20 天南星20 防風20 山藥20 甘草20 赤箭20 朱砂30 麝香6
모든 中風病症을 다스린다.
[用法] 藥味들을 作末하여 彈子大로 蜜丸을 지어 朱砂를 입히고 1丸씩 잘 씹으면서 溫酒으로 服用한다.
下統 6 대강활탕(大羌活湯)
羌活6 升麻6 獨活4 蒼朮3 防己3 威靈仙3 白朮3 當歸3 赤茯苓3 澤瀉3 甘草3
風濕의 相搏으로 因하여 肢節이 腫痛하고 屈伸할 수 없는 증을 다스린다.
下統 7 백호탕(白虎湯)
石膏20 知母8 甘草3 경미3
陽明經의 病으로서 땀이 많고 번갈하고 脈이 洪大한것을 다스린다. ① 人蔘 一錢을 加한 것을 人蔘白虎湯이라고 하며, ② 蒼朮 一錢을 加한 것을 蒼朮白虎湯이라고 한다.
下統 8 소승기탕(小承氣湯)
大黃16 厚朴6 枳實6
傷寒裏證으로서 小熱, 小實, 小滿한증을 다스리는데 緩下시켜야 좋을 경우에 쓴다. ① 大熱, 大實, 大滿한 증을 다스리는 데 急下시켜야 좋을 경우에는 大黃 四錢, 厚朴, 枳實, 芒硝 각 二錢을 먼저 달여 놓고 그 중 枳實, 厚朴 달인 것의 반을 大黃 달인 것에 넣되, 七分쯤 되거든 찌거기를 버리고, 거기에 芒硝 달인 것을 넣고 다시 한번 끓여 쓴다. 이렇게 한 것은 大承氣湯이다. ② 傷寒裏證으로서 便硬, 尿赤, 譫語, 潮熱한 경우에는 大黃 四錢, 芒硝 二錢, 甘草 一錢으로 위의 같은 방법으로 달여서 쓰는데 이것은 調胃承氣湯이다.
下統 9 대시호탕(大柴胡湯)
柴胡16 黃芩10 白芍藥10 大黃8 枳實6 半夏4
少陽病이 陽明病으로 轉屬하여 身熱이 나고 大便이 굳어지고 小便이 붉으며 譫語를 하며 潮熱이 나는 것을 다스린다.
下統 10 오령산(五苓散)
澤瀉10 赤茯苓6 白朮6 猪苓6 肉桂2
太陽病이 裏로 들어가 煩渴하고 小便이 不利한 것을 다스린다. ① 肉桂를 빼고 人蔘을 加한 것을 春澤湯이라 하며, 暑熱과 煩渴을 다스린다. ② 脚氣에는 蒼朮과 陳皮을 加한다. ③ 濕으로 인한 泄瀉에는 羌活과 蒼朮을 加한다. ④ 辰砂 5分을 加한 것을 辰砂五苓散이라고 하며, 傷寒發熱, 譫語 및 産後虛煩을 다스린다. ⑤ 肉桂를 뺀 것을 四苓散이라고 하며, 火泄을 다스린다.
[活套] 四君子湯과 合方한 것을 君笭湯이라고 하며, 陰虛로 인한 浮腫을 다스린다. ⑥ 더위로 泄하는데는 香薷, 白扁豆, 陳皮, 白檀香, 烏梅 따위를 加한다. ⑦ 濕으로 인한 泄瀉에는 平胃散과 合方하는데, 胃苓湯이라고도 하고 平苓散이라고도 한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해서 二錢씩 白湯으로 먹든지 한 첩으로 만들어서 달여 먹는다.
[適應症] 感冒, 腸炎 등 熱病으로 인한 口渴, 胃炎, 浮腫, 吐乳, 淚囊炎, 癲癎, 陰囊水腫, 龜頭赤腫, 中暑, 神經痛, 宿醉, 急性吐瀉病, 消化不良, 네프로제, 胃擴張, 위아토니, 糖尿病, 急性膀胱炎, 結膜炎, 心臟病, 頭痛, 急性腎炎, 排尿異常, 浮腫, 肥胖症, 惡阻, 夜盲症, 尿毒症, 小便不利, 低血壓症, 眩暈, 血管神經浮腫
下統 11 치시탕(梔豉湯)
梔子 七枚 豆豉 半合
땀을 흘린 뒤에 虛煩하여 자지 못하고 心中이 後悔煩悶(懊憹)함을 다스린다. 심하를 안찰해서 부드러운 것이 虛煩이다. 먼저 梔子를 달여서 절반이 되거든 豆豉를 넣고 다시 달여서 七分쯤 되게 한다.
下統 12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
黃連5 黃芩5 黃柏5 梔子5
傷寒의 大熱로 煩躁하고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을 다스리며 나은 후의 飮酒毒 및 一切의 熱毒을 푼다. ① 腸風에 脈이 洪大하면 四物湯과 合方해서 쓴다.
[活套] 癮疹, 丹毒 內外實熱에는 升麻葛根湯과 合方한 데다가 玄參, 荊防, 蟬退 따위를 加한다.
下統 13 도인승기탕(桃仁承氣湯)
大黃12 桂心8 芒硝8 甘草4 桃仁 十枚
膀胱의 血結로 인한 小腹의 急結, 便黑, 譫語를 다스린다.
[用法] 물로 달여서 芒硝를 넣어 溫服한다.
[活套] 胃腸이 熱結해서 便秘가 되면 檳榔, 郁李仁末을 타서 服用한다. 癲狂하는 實熱에는 靑礞石末을 타서 먹는다.
下統 14 시령탕(柴苓湯)
柴胡6 澤瀉5 白朮3 猪苓3 赤茯苓3 半夏3 黃芩2 人蔘2 甘草2 桂心1
傷寒陽症으로서 身熱이 나며 脈이 빠르고 煩渴 自利하는 것을 다스린다.
[活套] 虛熱煩渴에는 人蔘을 倍加하고 麥門冬을 加한다. ① 이 處方은 곧 小柴胡湯과 五苓散을 合方한 것인데, 重數의 加減을 參酌해서 쓴다.
下統 15 삼호작약탕(參胡芍藥湯)
生地黃6 人蔘4 柴胡4 白芍藥4 黃芩4 知母4 麥門冬4 枳殼3 甘草1
傷寒되어 十四日이 지나도 餘熱이 가시지 않고 혹 渴煩하며 大便이 快通하지 않고 소변이 누런것을 다스린다
下統 16 익원산(益元散)
滑石240 甘草40
一名 六一散, 一名은 天水散이다. ① 中暑로 因한 吐瀉와 下利를 다스리며, 止渴, 除煩하고, 百藥과 酒食의 邪毒을 푼다. ② 乾薑 五錢을 加한 것을 溫六丸이라고 하며 寒으로 因한 吐瀉를 다스린다. ③ 辰砂 一兩을 加한 것을 辰砂益元散이라고 하며, 傷寒熱의 不退로 因한 狂症의 譫語를 다스린다.
[用法] 三錢씩 따뜻한 꿀물에 타서 먹거나 우물물에 타서 먹는다.
下統 17 주증황련환(酒蒸黃連丸)
黃連160
오래도록 잠복해 있는 中暑症을 다스린다.
[用法] 청주 7홉에 담가서 증건하여 술이 없어지거든 作末해서 麵糊로 梧子만큼 크게 丸을 지어 30丸씩 熟水로 목이 마르지 않게 될때까지 먹는다.
下統 18 행습유기산(行濕流氣散)
薏苡仁80 白茯苓60 蒼朮40 羌活40 防風40 川烏40
風痺, 寒痺, 濕痺로 麻痺 되어 手足이 부자유하고 煩軟한 것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하여 二錢쭝씩 溫酒나 葱白湯에 타서 먹는다.
[活套] 10첩으로 만들어 써도 좋다.
下統 19 당귀승기탕(當歸承氣湯)
當歸8 大黃8 芒硝3 甘草2
躁症을 다스리는 上藥이다.
[活套] 또한 血結로 인한 便閉도 다스린다.
[用法] 달인 후에 芒硝를 넣고 저어서 服用한다.
下統 20 구미청심원(九味淸心元)
蒲黃5 犀角4 黃芩3 牛黃1 羚羊角2 麝香2 龍腦2 石雄黃2 金箔4
심흉의 독열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하여 꿀에 이겨서 一兩으로 三十丸씩 만들어 金箔을 입힌 것을 一丸씩 熟水에 타서 服用한다.
下統 21 양격산(凉膈散)
連翹8 大黃4 芒硝4 甘草4 薄荷2 黃芩2 梔子2
積熱로 煩燥하고 口舌에 腫瘡이 나고 胃腸이 燥澁하고 大, 小便이 秘結되는 것을 다스린다. ① 積熱 齦腫에는 知母, 石膏, 升麻, 大黃을 加한다.
[用法] 반이 되게 달여서 芒硝를 넣고 다시 달여 먹는다.
下統 22 평위산(平胃散)
蒼朮8 陳皮6 厚朴4 甘草2
脾를 調和시키고 胃를 튼튼하게 한다. 胃가 調和되고 氣가 順平하면 服藥을 중지한다. 常服은 不可하다. ① 白茯苓, 丁香, 白朮을 加한 것은 調胃散이다. ② 乾薑을 加한 것은 厚朴湯이다. ③ 五苓散과 合方한 것은 胃笭湯이다. ④ 藿香과 半夏를 加한 것은 不換金正氣散이며, ⑤ 神麯과 麥芽를 加한 것은 加味平胃散이라고 한다.
[活套] 食滯에는 山査, 神麯, 麥芽, 檳榔, 枳實, 蘿菔子, 砂仁, 草果 따위를 加한다. ⑥ 暑滯에는 香薷散과 合方해서 쓰는데, 이것은 香平散이라고 한다. ⑦ 便血에는 山査 二錢, 當歸, 枳殼, 地楡 各 一錢, 荊芥 七分을 加한다. ⑧ 寒熱에는 小柴胡湯을 合方하는데, 이것을 柴平湯이라고 하며, 瘧疾도 다스린다. ⑨ 滯痢에는 枳殼, 檳榔, 黃連 각 一錢, 木香 五分을 加한다. ⑩ 만일 泄瀉를 하면 四苓散과 合方한 데다가 燈心, 車前子 따위를 加하되 증세에 따라 적당히 加減한다. ⑪ 孕婦의 諸症에는 蒼朮을 白朮로 바꾸고, 半夏, 神麯 等의 藥만은 忌한다. ⑫ 冷積에는 乾薑과 桂枝를 加한다. ⑬ 酒滯에는 乾葛 혹은 葛花, 良薑, 草豆蔲 따위를 加한다.
下統 23 지출환(枳朮丸)
白朮80 枳實40
痞悶을 다스리고, 음식을 소화시킨다. ① 本來는 張仲景이 소시에 湯用으로 만들었던 것을 易老가 丸으로 바꾸었다. ② 橘皮와 半夏를 加한 것은 橘半枳朮丸이다. ③ 神麯과 麥芽를 加한 것은 麴蘖枳朮丸이다.
[用法] 이우 藥味들을 作末하여 연잎으로 싸서 밥을 지어 梧子大로 丸을 만들어서 熟水로 70환을 服用한다. 연잎으로 싼 밥은 그 맛을 다 낼 수가 없으므로, 연잎을 끓인 죽을 사용함만 같지 못하다.
[活套] 加減은 平胃散에 依據한다.
下統 24 향사평위산(香砂平胃散)
蒼朮8 陳皮4 香附子4 枳實3 藿香3 厚朴3 砂仁3 木香2 甘草2
傷食을 다스린다.
下統 25 대화중음(大和中飮)
山査肉8 麥芽8 陳皮6 厚朴6 澤瀉6 枳實4 砂仁2
食滯로 積聚된 것을 다스린다. ① 胃寒의 惡心에는 乾薑을 加한다. ② 疼痛에는 木香, 烏藥, 香附子를 加한다. ③ 痰이 많은 데는 半夏를 加한다.
下統 26 내소산(內消散)
陳皮4 半夏4 白茯苓4 枳實4 山査肉4 神麯4 砂仁4 香附子4 三棱4 蓬朮4 乾薑4
生冷하거나 굳은 것을 먹고 傷하여 痞滿, 脹痛한 데 큰 효험이 있다.
下統 27 소체환(消滯丸)
黑丑80 香附子40 五靈脂40
消酒, 消食, 消水, 消氣, 消痞, 消滿, 消脹, 消腫, 消積, 消痛한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하여 綠豆大로 醋糊丸을 지어 30丸을 生薑湯으로 服用한다.
[活套] 위의 藥末 二錢을 生薑탕으로 服用해도 좋다.
下統 28 대금음자(對金飮子)
陳皮12 厚朴3 蒼朮3 甘草3
酒傷과 食傷을 다스린다. ① 乾葛 二錢, 赤茯苓, 砂仁, 神麯 각 一錢을 加하면 더욱 좋다.
[活套] 冷에는 良薑 二錢 草豆蔲 一錢을 加하면 역시 효력이 좋다.
下統 29 도씨평위산(陶氏平胃散)
蒼朮6 厚朴4 陳皮4 白朮4 黃連3 枳實3 草果2 神麯2 山査肉2 乾薑2 木香2 甘草2
食積과 類傷寒證을 다스린다.
[活套] 鬱熱에는 梔子와 豆豉를 加한다.
下統 30 천금광제환(千金廣濟丸)
紫檀香400 檳榔320 便香附240 蒼朮240 白檀香240 乾薑200 厚朴200 陳皮120 神麯120 蓽撥120 丁香120 枳實120 麝香40
寒性의 食傷으로 인한 霍亂 및 關格을 다스린다.
[活套] 생강차에 타서 服用하는지 혹은 물로 달여 앙금을 앉혀서 服用한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하여 풀에 개어서 一兩쭝으로 三十丸씩을 만들어 朱砂를 입힌다.
* 경술년에 궁중(上)에서 만들어 백성에게 내린 處方이다.
下統 31 입효제중단(立效濟衆丹)
紫檀香800 檳榔800 乾薑800 蒼朮600 厚朴600 便香附600 神麯400 陳皮400 半夏400 胡椒400 靑皮200 木香200
寒性의 食性으로 인한 霍亂 및 關格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하여 一兩쭝으로 20알의 糊丸을 지어 朱砂를 입힌다.
[活套] 生薑차에 타서 服用하든지 혹은 물로 다려 앙금을 앉혀서 服用한다.
* 경술년에 궁중(上)에서 만들어 백성에게 내린 處方이다.
下統 32 증미이진탕(增味二陳湯)
半夏4 陳皮4 赤茯苓4 梔子4 黃連4 香附子4 枳實3 川芎3 蒼朮3 白芍藥3 神麯2 甘草1
呑酸을 다스린다.
下統 33 사백산(瀉白散)
桑白皮8 地骨皮8 甘草4
肺實을 다스린다. ① 또 乾咳, 水枯 火炎도 다스린다. ② 鼻瘡에 黃芩, 梔子, 薄荷를 加한다. ③ 혹은 桔梗, 梔子, 知母, 貝母, 麥門冬, 生地黃을 加하기도 한다.
下統 34 청금강화탕(淸金降火湯)
陳皮6 杏仁6 赤茯苓4 半夏4 桔梗4 貝母4 前胡4 瓜蔞仁4 黃芩4 石膏4 枳殼3 甘草1
暑熱로 因한 咳嗽를 다스리며, 肺와 胃의 火를 瀉할 수 있다. 火가 내리면 痰이 꺼지고 咳嗽가 멎는다.
下統 35 천민탕(千緡湯)
半夏 七枚 南星4 皂角 一寸 甘草 一寸
痰喘을 다스리는데, 몇 번 服用하면 안정된다. 陳皮, 赤茯苓, 枳殼 각 一錢을 가한 것을 千緡導痰湯이라고 하며, 痰喘을 다스린다.
下統 36 정천화담탕(定喘化痰湯)
陳皮8 半夏6 南星6 杏仁4 五味子3 甘草3 款冬花3 人蔘3
咳嗽와 痰喘을 다스린다.
下統 37 소자도담강기탕(蘇子導痰降氣湯)
蘇子8 半夏6 當歸6 南星4 陳皮4 前胡3 厚朴3 赤茯苓3 枳實3 甘草2
痰喘과 上氣를 다스린다.
[活套] 陰虛에는 熟地黃 5~7錢을 加한다. ① 肺火에는 黃芩, 桑白皮를 加한다.
下統 38 육울탕(六鬱湯)
香附子4 蒼朮4 神麯4 梔子4 連翹4 陳皮4 川芎4 赤茯苓4 貝母4 枳殼4 蘇葉4 甘草2
여러 가지 鬱火를 다스린다. ① 氣鬱에는 木香, 檳榔, 蘇葉을 加한다. ② 濕鬱에는 白朮, 羌活, 防己를 加한다. ③ 熱鬱에는 黃連, 連翹를 加한다. ④ 痰鬱에는 南星, 瓜蔞仁, 海粉을 加한다. ⑤ 血鬱에는 牡丹皮, 桃仁, 韭汁을 加한다. ⑥ 食鬱에는 山査, 神麯, 麥芽를 加한다. ⑦ 또 하나의 處方은 神麯, 連翹, 貝母, 枳殼, 蘇葉을 빼고 砂仁, 半夏를 加한다.
下統 39 보화환(保和丸)
白朮200 陳皮120 半夏120 赤茯苓120 神麯120 山査肉120 連翹80 香附子80 厚朴80 蘿菔子80 枳實40 麥芽40 黃連40 黃芩40
一切의 食傷과 積聚 및 痞塊를 다스린다. 다른 한 處方에는 山査肉이 五兩, 神麯, 半夏 각 三兩, 赤茯苓, 陳皮, 蘿菔子, 連翹, 麥芽가 각 一兩이다.
下統 40 소적정원산(消積正元散)
白朮6 神麯4 香附子4 枳實4 玄胡索4 海粉4 赤茯苓3 陳皮3 靑皮3 砂仁3 麥芽3 山査肉3 甘草3
痰飮과 氣血의 鬱結, 食積 밎 氣가 升降하지 못하는 것을 다스린다. 일명 開鬱正元散인데, 枳實이 없고 桔梗이 있다.
下統 41 대칠기탕(大七氣湯)
三棱4 蓬朮4 靑皮4 陳皮4 桔梗4 藿香4 益智仁4 香附子4 官桂4 甘草4
五積, 六聚와 心腹의 痛脹 및 大小便 不利를 다스린다.
下統 42 적소두탕(赤小豆湯)
赤小豆4 猪苓4 桑白皮4 防己4 連翹4 澤瀉4 當歸4 商陸4 赤芍藥4
年少者가 氣血이 뜨거워 生瘡했다가 腫滿으로 변한 것을 다스린다.
下統 43 사령오피산(四苓五皮散)
桑白皮4 陳皮4 地骨皮4 茯苓皮4 生薑皮4 大腹皮4 蒼朮4 白朮4 澤瀉4 猪苓4 靑皮4 車前子4
浮腫을 다스린다.
下統 44 대이향산(大異香散)
三棱4 蓬朮4 靑皮4 陳皮4 藿香4 半夏麯4 桔梗4 益智仁4 香附子4 枳殼4 甘草1
穀脹(음식이 소화되지 않아 배가 팽창하는 증세)을 다스리고, 또 氣脹도 다스린다.
下統 45 삼화탕(三和湯)
白朮4 陳皮4 厚朴4 蘇葉3 檳榔3 木通2 大腹皮2 白茯苓2 枳殼2 海金沙2 甘草2
氣脹으로 因한 大小便 不利를 다스린다.
下統 46 칠물후박탕(七物厚朴湯)
厚朴12 枳實6 大黃4 甘草4 桂心2
熱脹을 다스린다.
下統 47 소창음자(消脹飮子)
猪苓2 澤瀉2 人蔘2 白朮2 赤茯苓2 蘿菔子2 半夏2 陳皮2 靑皮2 厚朴2 蘇葉2 香附子2 砂仁2 木香2 檳榔2 大腹皮2 木通2 甘草2
單腹 蠱脹(배만 팽창하고 사지는 멀쩡한 것)을 다스린다.
[活套] 氣虛하면 人蔘을 倍로 하고 小便이 不利하면 澤瀉를 倍로 한다. ① 冷하면 桂枝와 附子를 加한다.
下統 48 인진오령산(茵蔯五苓散)
五苓散 倍入 茵蔯
濕熱로 因한 黃疸을 다스린다.
[活套] 虛하면 人蔘 3~5錢을 加한다. ① 冷하면 生薑과 附子를 加한다. ② 鬱熱이 있으면 山梔子를 加한다.
* 茵陳의 重量은 五苓散 重量의 倍量이 되게 한다. 즉 五苓散 二錢에 茵陳末 四錢을 加入해서 服用한다.
下統 49 가감위령탕(加減胃苓湯)
胃笭湯 去 官桂 加 藿香2 半夏2 大腹皮2 山査子2 蘿菔子2 三棱2 蓬朮2 靑皮2
黃疸로 인하여 음식 무미하고 脈이 깔깔하고 濡한 것을 다스린다.
下統 50 쟁공산(爭功散)
知母4 貝母4 柴胡4 常山4 梔子4 檳榔4 地骨皮4 甘草4 蟬退 二十七枚 桂枝 五寸 柳枝 五寸
熱瘧을 다스리는데 效力이 많다. ① 效力이 미흡하면 過路의 葛藤 五寸를 加한다.
下統 51 십장군환(十將軍丸)
縮砂4 檳榔4 常山4 草果4 三棱2 蓬朮2 靑皮2 陳皮2 烏梅2 半夏2
久瘧과 瘧母를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 중에서 먼저 常山과 草果 二味를 술과 초 각 一椀에 담가 하룻밤 재운 후 나머지 八味를 함께 넣어 담가 해가 질 무렵에 숯불로 달여 말려 가지고 作末해서, 술과 醋를 각기 반씩으로 白湯으로 三十~四十 丸을 하루에 두 번 服用한다. 八兩을 服用하면 병이 근치된다.
下統 52 인출탕(茵朮湯)
茵蔯8 蒼朮6 靑皮4 赤茯苓4 厚朴4 神麯3 砂仁3 木香3
여러 가지 瘧疾을 다스린다.
[用法] 朱砂와 密陀僧의 細末 各 五分을 타서 服用한다.
[活套] 胃가 약한 사람은 경솔히 服用해서는 안된다.
下統 53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
半夏6 赤茯苓6 梔子6 陳皮4 白朮4 桔梗4 升麻4 柴胡4 甘草4 石菖蒲3 知母1 黃柏1
濕痰이 스며나와 遺精이 되는 것을 다스린다.
下統 54 신보원(神保元)
全蝎 七枚 巴豆 十枚 木香10 胡椒10 朱砂4
모든 氣의 注痛을 다스리며, 또 心膈痛, 腹脅痛, 腎氣痛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하여 쪄서 떡을 만들어 麻子같이 丸을 지어 朱砂를 입혀서 五~七 丸을 生薑湯이나 溫酒로 服用한다.
下統 55 추풍거담환(追風祛痰丸)
半夏240 南星120 防風40 天麻40 白殭蠶40 白附子40 皂角40 全蝎20 枯白礬20 木香20
風痰으로 因한 癎疾 發作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의 粉末을 薑汁糊로 梧子大의 丸을 지어 朱砂를 입힌 다음 生薑湯으로 70~80丸을 服用한다.
* 半夏末 六兩쭝 중 半은 皂角湯으로 누룩을 만들고 반은 薑汁으로 누룩을 만들어 쓴다. 南星은 三兩쭝 중 半은 白礬水에 담가 하룻밤 재우고, 반은 皂角水에 하룻밤 담갔다가 쓴다.
下統 56 청심곤담환(淸心滾痰丸)
大黃160 黃芩160 靑礞石20 犀角20 皂角20 朱砂20 沈香10 麝香2
癲癎, 驚狂 등 一切의 괴증을 다스리는데, 주로 痰火를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의 粉末을 물로 梧子大의 丸을 지어 朱砂를 입혀서 溫水로 70환을 服用한다.
* 靑礞石은 焰硝와 함께 金色이 되도록 煆한다.
下統 57 용뇌안신환(龍腦安神丸)
白茯苓120 人蔘80 地骨皮80 麥門冬80 甘草80 桑白皮40 犀角40 牛黃20 龍腦12 麝香12 朱砂8 馬牙硝8 金箔 三十五片
新久 遠近을 불문하고 다섯가지의 癲癎을 다스린다.
[活套] 痘後의 餘熱로 인한 여러가지의 증세에도 좋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하여 彈子大의 蜜丸을 지어 金箔을 입혀서 一丸씩 겨울에는 溫水에, 여름에는 冷水에 타서 먹는다.
* 白茯苓 대신 白茯神을 쓰는 處方도 있다.
下統 58 당귀승기탕(當歸承氣湯)
當歸14 大黃14 芒硝10 甘草4
陽狂奔走를 다스린다.
下統 59 사궁산(莎芎散)
香附子160 川芎80
衄血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의 粉末을 二錢씩 茶淸에 타서 무시로 服用한다.
下統 60 서각지황탕(犀角地黃湯)
生地黃12 赤芍藥8 犀角4 牧丹皮4
멎지 않는 衄血과 上焦에 瘀血이 있어서 大便이 검게 되는 것을 다스린다. ① 回春方에는 黃芩, 黃連, 當歸를 加한다.
下統 61 칠생탕(七生湯)
生地黃40 生荷葉40 生藕節40 生韭菜40 生茅根40 生薑20
피가 입과 코에서 나오는 것이 샘에서 물 나는 것과 같고 모든 약이 효과가 없는 것을 치료한다.
[活套] 생삽주의 즙을 加하면 더욱 좋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함께 찧어 즙을 취해서 진하게 간 京墨과 함께 服用한다.
下統 62 가미소요산(加味逍遙散)
牧丹皮6 白朮6 當歸4 赤芍藥4 桃仁4 貝母4 山梔3 黃芩3 桔梗3 靑皮2 甘草1
담중에 피가 나타나는 것을 治療한다. ① 有火에도 맞춰서 쓴다.
下統 63 청장탕(淸腸湯)
當歸3 生地黃3 梔子3 黃連3 赤芍藥3 黃柏3 瞿麥3 赤茯苓3 木通3 萹蓄3 知母3 麥門冬3 甘草2
요혈을 다스린다. ① 空心에 服用한다.
下統 64 평위지유탕(平胃地楡湯)
蒼朮4 升麻4 附子4 地楡3 乾葛2 厚朴2 白朮2 陳皮2 赤茯苓2 乾薑1 當歸1 神麯1 白芍藥1 人蔘1 益智仁1 甘草1
結陰으로 因한 便血 즉 陰氣가 內結해서 腸 사이로 스며든 것을 다스린다.
下統 65 후박전(厚朴煎)
厚朴200 生薑200 白朮40 神麯40 麥芽40 五味子40
氣虛로 因해 장기가 엷어져서 영위로부터 스며들어 내려가는 便血 및 여러 가지 下血을 다스린다.
[用法] 藥味들을 作末해서 물로 梧子大의 환을 지어 미음으로 100환을 服用한다.
下統 66 녹포산(綠袍散)
黃柏 薄荷 芒硝 靑黛 各等分 龍腦 少許
잇몸에서 피가 나와 멎지 않는 것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하여 잇몸에 바르면 곧 피가 멎는다.
下統 67 당귀육황탕(當歸六黃湯)
黃芪8 生地黃4 熟地黃4 當歸4 黃連3 黃柏3 黃芩3
血虛, 有火로 인한 盜汗을 다스리는 聖藥이다. ① 氣虛로 因한 盜汗에는 蒼朮을 加한다.
下統 68 소조중탕(小調中湯)
甘草 黃連 半夏 瓜蔞仁 各等分
일체의 痰火와 여러가지의 괴병을 다스리며 비위를 잘 조리한다. ① 혹은 作末해서 良薑의 煎汁으로 쑨 풀로 丸을 지어 白湯으로 五十丸을 服用한다. ② 人蔘, 白朮, 白茯苓, 當歸, 川芎, 生地黃, 白芍藥을 가한 것을 大調中湯이라 한다. 즉 八物湯과 合方한 것인데, 虛하여 담화가 있는 것을 다스린다. ③ 또, 積熱과 吐血을 다스린다. ④ 五錢씩 달여 먹는다.
[活套] 陰虛로 인한 痰火에는 六味元을 合方한다. ⑤ 血虛로 因한 痰火에는 四物湯과 合方하든지 혹은 歸脾湯과 合方한다. ⑥ 一切의 痰火에는 導痰湯과 合方한다.
* 甘草는 黃連을 달인 물에 담갔다가 炒해서 말린다. 黃連은 甘草를 달인 물에 담갔다가 炒해서 말린다. 半夏는 瓜蔞仁을 달인 물에 담갔다가 炒해서 말린다. 瓜蔞仁은 半夏를 달인 물에 담갔다가 炒해서 말린다.
下統 69 과루지실탕(瓜蔞枳實湯)
瓜蔞仁4 枳實4 桔梗4 赤茯苓4 貝母4 陳皮4 片芩4 梔子4 當歸2 縮砂2 木香2 甘草1
痰이 맺혀서 胸滿하고 氣急한 것을 다스린다.
下統 70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
半夏4 陳皮4 赤茯苓4 神麯3 枳實3 南星3 靑皮2 厚朴2 蘇葉2 檳榔2 縮砂2 白豆蔲1 益智仁1
痰과 氣가 鬱結되어 咽喉 사이를 꽉 막아서 障碍하므로 뱉으려 해도 나오지 않고 삼키려 해도 내려가지 않는 이른 바 梅核氣를 다스린다.
下統 71 정전가미이진탕(正傳加味二陳湯)
山査肉6 香附子4 半夏4 川芎3 白朮3 蒼朮3 橘紅3 白茯苓3 神麯3 砂仁2 麥芽2 甘草1
食積과 痰을 다스리며, 脾를 補하여 음식을 소화시키고, 氣를 순행하게 한다.
下統 72 공연단(控涎丹)
甘遂 大戟 白芥子 各等分
痰飮이 流注하여 작통하는 것을 다스린다. ① 一名 妙應丹이다.
[活套] 驚痰이면 朱砂를 입힌다. ② 痛症이 심하면 全蝎을 加한다. ③ 臂痛에는 木鱉子와 桂心을 加한다. ④ 驚痰이 덩어리가 된 데에는 穿山甲, 鱉甲, 玄胡索, 蓬朮을 加한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해서 梧子大로 糊丸을 지어, 잘 때에 임박해서 生薑湯이나 溫水로 七丸 내지 十丸을 服用한다.
下統 73 죽력달담환(竹瀝達痰丸)
半夏80 陳皮80 白朮80 白茯苓80 大黃80 黃芩80 靑礞石80 人蔘60 甘草60 沈香20
痰을 이동시켜서 大便을 따라서 나오게 하고, 元氣는 손상을 않는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분말과 竹瀝 一椀 반을 生薑汁 세 숟가락으로 고루 버무려 볕에 말리기를 오~육 번 반복해 가지고 竹瀝과 장즙으로 팥알만큼씩환을 지어 잘 때에 百丸씩 미음이나 生薑湯으로 삼킨다. ① 痰이 四肢에 있으면 竹瀝이 아니고는 풀 수가 없다.
* 靑礞石은 焰硝 一兩과 함께 金色이 되도록 煆한다.
下統 74 개기소담탕(開氣消痰湯)
桔梗4 便香附4 白殭蠶4 陳皮3 片芩3 枳殼3 前胡2 半夏2 枳實2 羌活2 荊芥2 檳榔2 射干2 威靈仙2 木香1 甘草1
胸中胃脘에서 咽文에 이르기까지 줄지어 疼痛이 나고 手足에 호도 같은 痰核이 있는 것을 다스리는데 매우 효험이 있다.
下統 75 곤담환(滾痰丸)
大黃320 黃芩320 靑礞石40 沈香20
濕熱로 인한 痰積이 변하여 백병이 생기는 것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의 분말에다가 물방울을 떨어뜨려 梧子大로 丸을 지어 茶淸이나 溫水로 四十~五十丸을 삼키되, 잠이 올 때 넘겨서 약기운이 咽膈 사이에 있게 한다. ① 또, 한 가지의 處方에서는 朱砂를 입힌다.
* 靑礞石 一兩을 焰硝 一兩과 함께 탕관 속에 넣고 뚜껑을 한 후 鹽泥로 굳혀 햇볕에 말린 다음 金色이 되도록 煆한다.
下統 76 연진탕(楝陳湯)
苦楝根皮8 陳皮4 半夏4 赤茯苓4 甘草2
小兒의 蛔蟲을 다스린다.
[活套] 挾滯가 있으면 山査, 神麯, 檳榔을 加한다. ① 痛症이 심하면 使君子와 烏梅를 加한다.
下統 77 만전목통탕(萬全木通湯)
滑石8 木通4 赤茯苓4 車前子4 瞿麥4
膀胱熱로 小便보기가 어렵고, 소변빛이 누렇게 되는 것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하여 달여 먹든지 물에 타서 먹든지 혹은 잘게 썰어서 달여 먹어도 좋다.
下統 78 도적산(導赤散)
生地黃4 木通4 甘草4
小腸熱로 인한 小便不利를 다스린다. ① 四苓散과 合方한 것을 移熱湯이라고 하며, 口糜, 心胃의 壅熱, 口瘡 등을 다스린다. ② 다른 한 處方에는 죽焰이 있고 燈心이 없다.
[活套] 熱이 심하면 黃芩, 黃連, 麥門冬을 加한다.
下統 79 팔정산(八正散)
瞿麥4 大黃4 木通4 萹蓄4 滑石4 梔子4 車前子4 甘草4 燈心4
膀胱의 積熱로 因한 小便의 癃閉를 다스린다
下統 80 자신환(滋腎丸)
黃柏40 知母40 官桂2
渴하지 않으면서 小便이 不應하는 것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의 분말을 梧子大로 丸을 지어 空心에 白湯으로 100환을 삼킨다.
下統 81 대분청음(大分淸飮)
赤茯苓4 澤瀉4 木通4 猪苓4 梔子4 枳殼4 車前子4
적열이 폐결되어 小便불리하고, 黃疸과 尿血 및 淋閉된 것을 다스린다. ① 黃疸이 된 데에는 茵蔯을 加한다. ② 木通과 車前子를 빼고 薏苡仁과 厚朴을 加한 것을 小分淸飮이라고 하며, 濕滯로 補養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을 다스린다.
下統 82 우공산(禹功散)
陳皮4 半夏4 赤茯苓4 猪苓4 澤瀉4 白朮4 木通4 條芩4 山梔4 升麻1 甘草1
小便불통을 다스린다. 여러 가지 방법으로 주효할 수 없는 境遇 이 약을 服用하면, 낫지 않는 것이 없다. ① 아무때나 이 약을 먹고 잠시 동안 닭의 깃으로 담을 찾아서(자극하여) 위로 토한다(그러면 아래로 小便이 통한다.) 비유컨대 적수기의 윗 구명을 닫으면 물이 나오지 못하고, 닫을 것을 빼면 물이 통해서 흘러 나오는 이차와 같다.
下統 83 지축이진탕(枳縮二陳湯)
枳實8 川芎3 縮砂3 白茯苓3 貝母3 陳皮3 蘇子3 瓜蔞仁3 厚朴3 便香附3 木香2 沈香2 甘草1
關格으로 因해 上下가 不通하는 것을 다스린다. 이는 痰이 中焦에 적해 있는 境遇이다.
[用法] 竹瀝 및 木香, 沈香을 넣고 농후하게 갈아 물에 타서 먹는다.
下統 84 오림산(五淋散)
赤芍藥8 山梔8 當歸4 赤茯苓4 條芩2 甘草2
五淋을 治療한다.
[活套] 牛膝을 加하고 심하지 않으면 山梔子를 뺀다.
下統 85 증미도적산(增味導赤散)
生乾地黃4 木通4 黃芩4 車前子4 梔子4 川芎4 赤芍藥4 甘草4
血淋의 삽통을 다스린다.
[活套] 혹은 澤瀉를 加하기도 하고 혹은 麝香을 조합해서 服用하기도 한다.
下統 86 위령탕(胃苓湯)
蒼朮4 厚朴4 陳皮4 猪苓4 澤瀉4 白朮4 赤茯苓4 白芍藥4 官桂2 甘草2
비와 위에 습이 성해서 泄瀉와 腹痛이 나는 것을 다스린다.
[活套] 暑에는 香薷, 白扁豆를 加한다. ① 滑脫하면 肉豆蔲와 車前子를 加한다. ② 挾滯에는 神麯, 檳榔, 砂仁을 加한다.
下統 87 유령탕(薷苓湯)
澤瀉5 猪苓4 赤茯苓4 白朮4 香薷4 黃連4 白扁豆4 厚朴4 甘草1
더운 계절에 泄瀉가 痢疾로 되려는 것을 다스린다.
[活套] 熱이 없으면 黃連을 뺀다. ① 滯氣가 있으면 陳皮, 神麯, 檳榔, 枳殼을 加한다. ② 痢疾이 되었으면 檳榔, 枳殼, 木香, 燈心, 車前子 따위를 加한다.
下統 88 승양제습탕(升陽除濕湯)
蒼朮6 升麻3 柴胡3 羌活3 防風3 神麯3 澤瀉3 猪苓3 陳皮2 麥芽2 甘草2
氣가 虛하여 泄瀉하고 음식 생각이 없고 困倦無力한 것을 다스린다. ① 空心에 服用한다.
下統 89 창출방풍탕(蒼朮防風湯)
蒼朮24 麻黃8 防風4
풍이 오래 되어 먹은 대로 설하므로 완전한 곡식 그대로 나오는 것을 다스린다.
下統 90 만병오령산(萬病五苓散)
赤茯苓3 白朮3 猪苓3 澤瀉3 山藥3 陳皮3 蒼朮3 縮砂3 肉豆蔲3 訶子3 桂皮2 甘草2
濕으로 因해 泄瀉는 하되 배는 아프지 않고 脈이 細한 것을 다스린다.
下統 91 도적지유탕(導赤地楡湯)
地楡6 當歸身6 赤芍藥4 黃連4 黃芩4 槐花4 阿膠珠3 荊芥穗3 甘草2
赤痢 및 血痢를 다스린다.
下統 92 수련환(茱連丸)
吳茱萸80 黃連80
赤痢와 白痢가 아울러 下利되는 것을 다스린다.
[用法] 이의 두 藥味를 좋은 술에 삼일간 담갔다가 각각 불에 쬐어 말려 작할하여 醋糊로 梧子大의 丸을 지어 둔다. 赤痢에는 黃連丸 삼십알을 甘草湯으로 삼키고, 白痢에는 茱萸丸 삼십환을 乾薑湯으로 삼키고, 赤白痢에는 그 두 가지의 丸을 각각 삽십알씩, 도합 육십알을 취하여 甘草乾薑湯으로 삼킨다.
下統 93 황금작약탕(黃芩芍藥湯)
黃芩8 白芍藥8 甘草4
下利를 하면서 膿血이 나오고 身熱과 腹痛이 나고 脈이 洪數한 것을 다스린다. ① 腹痛이 심하면 桂心 三分을 加한다.
[活套] 暑에는 香薷, 白扁豆, 黃連을 加하고 小便이 澁하면 猪苓, 澤瀉, 燈心 따위를 加한다.
下統 94 도체탕(導滯湯)
白芍藥8 當歸4 黃芩4 黃連4 大黃3 桂心1 木香1 檳榔1 甘草1
下利에 膿血이 나오고, 裏急後中한 것이 晝夜로 한도가 없는 증세를 다스린다. ① 空心에 服用한다.
下統 95 창름탕(倉廩湯)
人蔘敗毒散 加 黃連4 石蓮肉 七枚 陳倉米2
噤口痢로 因하여 心煩하고 手足에 熱이 있고 頭痛이 나는 것을 다스린다. 이는 毒氣가 心肺로 上衝한 탓으로 구역이 나서 먹지 못한다.
[活套] 黃芩과 檳榔을 加하면 더욱 좋다.
下統 96 조중이기탕(調中理氣湯)
白朮4 枳殼4 白芍藥4 檳榔4 蒼朮3 陳皮3 厚朴3 木香2
허리로 因해 기가 약해진 것을 다스린다.
[活套] 暑氣가 있으면 香薷와 白扁豆를 加한다. ① 小便不利하면 猪苓, 澤瀉, 燈心을 加한다. ② 熱이 있으면 黃連을 加한다. ③ 腹痛이 나면 桂心과 吳茱萸를 加한다. ④ 또한 姙娠婦의 痢疾로 다스린다.
下統 97 감응원(感應元)
丁香100 木香100 百草霜80 杏仁 百四十枚 肉豆蔲 二十枚 乾薑40 巴豆 七十枚
赤痢, 久痢, 赤白痢, 膿血痢 및 內傷의 生冷, 霍亂, 嘔吐 등을 다스린다.
[用法] 먼저 淸油 一兩을 끓인 데다 蠟 사냥을 녹인 다음 위의 藥味들을 넣고 고루 저어서 매 一兩으로 십알의 丸을 지어 한알씩 미음에 타서 먹거나, 혹은 綠豆만하게 丸을 지어 白湯으로 십알을 삼킨다.
* 杏仁은 껍질의 첨단을 잘라 버린다. 巴豆는 기름을 빼고 술에 삶는다.
下統 98 소감원(蘇感元)
蘇合香元2 感應元2
적리로 뱃속이 켕기며 아픈 증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2약제를 고루 섞어서 녹두처럼 환을 지어 30알을 미음으로 삼킨다.
下統 99 만억환(萬億丸)
寒食麵20 朱砂20 巴豆20
對人의 食滯, 小兒의 食滯는 다스리지 못하는 것이 없고, 瘧痢도 다스린다.
[用法] 먼저 寒食麵을 좋은 술로 버무려 떡반죽을 빚어 쪄서 익힌 다음 朱砂와 巴豆를 함께 잘 갈아서 서미대로 丸을 지어 三~五 알씩 大人과 小兒에 따라 가감해서 쓴다.
下統 100 강다탕(薑茶湯)
生薑 春茶 各等分
이질 복통을 다스린다.
[活套] 裏急後重하면 檳榔, 木香 혹은 黑丑末을 타서 服用한다.
下統 101 향련환(香連丸)
黃連40 木香10
赤白下痢와 膿血下痢로 因한 腹脹, 腹痛 및 其他 여러 가지의 痢疾을 다스린다.
[活套] 기가 허하면 人蔘을 加한다. ① 腹痛이 나면 桂心을 加한다.
[用法] 위의 藥末을 醋糊로 梧子大의 丸을 지어 空心에 미음으로 20~30환을 삼킨다.
* 黃連 一兩과 吳茱萸 五錢을 함께 일주야 물에 담갔다가 炒해서, 吳茱萸는 버리고 쓴다.
下統 102 육신환(六神丸)
黃連 木香 枳殼 赤茯苓 神麯 麥芽 各等分
모든 痢疾을 다스리는 요긴한 약이다.
[用法] 위의 藥末들을 神麯糊로 梧子大의 丸을 지어 五十~七十 알씩, 赤痢에는 甘草湯으로 삼키고 白痢에는 乾薑湯으로 삼킨다.
下統 103 통유탕(通幽湯)
升麻6 桃仁6 當歸身6 生地黃3 熟地黃3 甘草1 紅花1
幽門不通과 大便難을 다스린다.
[用法] 檳榔의 細末 五分을 타서 먹는다.
[活套] 郁李仁末이나 黑丑頭末을 타서 먹어도 좋다.
下統 104 사마탕(四磨湯)
檳榔 沈香 木香 烏藥 各等分
氣滯로 因한 便秘를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물을 가해 진하게 갈아서, 그 汁 七分을 취하여 잔에다가 삼~오 차례 끓여 미지근한 것을 空心에 먹는다. ① 大黃과 枳殼을 加한 것은 六磨湯인데, 熱秘를 다스린다.
[活套] 血이 燥하면 四物湯을 合方하며 産後便秘도 다스린다. ② 寒結되면 生薑과 附子를 加한다.
下統 105 궁신도담탕(芎辛導痰湯)
半夏8 川芎4 細辛4 南星4 陳皮4 赤茯苓4 枳殼2 甘草2
痰厥로 頭痛이 날 때마다 양 볼이 푸르륵 누르락하고, 어지러워서 눈을 뜨고 싶지 않고, 눈을 뜨면 메스꺼워 토하려는 증세를 다스린다.
[活套] 熱痰에 脈이 滑實하면 黃芩과 黃連을 加한다. ① 痛症을 참을 수 없으면 全蝎을 加하고, 乳香末 三分을 타서 먹는다.
下統 106 사청환(瀉淸丸)
當歸 草龍膽 川芎 梔子 大黃 羌活 防風 各等分
간의 實熱을 다스린다. ① 痘毒의 驚搐을 다스리고, 心肝의 熱을 瀉하고, 肝風이 스스로 사라지게 하는 데는 이 瀉淸丸이 좋고, 小便을 通利하게하여 熱이 나지 못하게 하는 데는 導赤散이 좋다. ② 痘後의 餘毒이 눈으로 들어가 호리하게 하는 증세에 效力이 크며, 설탕을 탄 竹葉煎湯으로 삼킨다.
[用法] 위의 藥末들을 芡實大의 蜜丸으로 지어 쓴다.
[活套] 少陽의 風瘧에는 3~5환을 생강차에 타서 먹으면 신효를 본다. ③ 봄에 傷風된 것이 여름에 이르러 暴瀉를 하면 三~五丸을 藁本煎湯에 타서 먹는다.
下統 107 석결명산(石決明散)
石決明40 草決明40 羌活20 梔子20 木賊20 靑葙子20 赤芍藥20 大黃10 荊芥10
肝熱로 눈이 붉게 붓거나 혹은 脾熱로 눈꺼풀 속에 궂은살이 생기고 눈동자가 게눈같이 불거지면서 아프거나 혹은 旋螺尖起하는 것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末 二錢씩을 麥門冬 전탕에 타서 먹는다.
下統 108 세간명목탕(洗肝明目湯)
當歸尾2 川芎2 赤芍藥2 生地黃2 黃連2 黃芩2 梔子2 石膏2 連翹2 防風2 荊芥2 薄荷2 羌活2 蔓荊子2 甘菊2 白蒺藜2 草決明2 桔梗2 甘草2
風熱로 因한 一切의 眼目 赤腫 및 疼痛을 다스린다.
[活套] 肝臟에 風熱이 있고 脈이 數實함을 밝힌 然後에 쓸것이며 허한 사람은 대개가 사용하면 좋지 않다.
下統 109 사물용담탕(四物龍膽湯)
川芎5 當歸5 赤芍藥5 生乾地黃5 羌活3 防風3 草龍膽2 防己2
눈이 붉어지면서 붓고, 몹시 아프며 흐려지는 증을 다스린다.
[活套] 혹은 草決明, 石決明, 木賊, 靑葙子, 甘菊, 黃連 따위를 加하기도 한다.
下統 110 백강잠산(白殭蠶散)
黃桑葉40 木賊12 旋覆花12 荊芥穗12 白殭蠶12 甘草12 細辛20
肺가 虛해서 바람과 冷氣를 맞으면 눈물이 나는 것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해서 二錢씩 荊芥湯으로 服用한다. 혹 탕을 만들어 써도 좋다.
下統 111 하고초산(夏枯草散)
夏枯草80 香附子40 甘草20
肝이 虛해서 눈동자가 아프고 시리어 눈물이 나는 것을 다스린다. 一名 補肝散이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해서 一錢씩 食後에 茶淸으로 服用한다.
下統 112 가미자주환(加味磁朱丸)
紫石英80 朱砂40 沈香20
眼昏을 다스린다. 오래 服用하면 눈을 밝게 할 수 있다. ① 磁石法水는 腎으로 들어가고, 朱砂法火는 心으로 들어가고 沈香은 水火를 升降시킨다.
[用法] 위의 藥末들을 神麯 二兩으로 쑨 풀로 梧子大의 丸을 지어 空心에 鹽湯이나 미음으로 三十~五十丸을 삼킨다.
下統 113 세안탕(洗眼湯)
當歸4 黃連4 赤芍藥2 防風2 杏仁 四箇
갑자기 적안이 되는 증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물 반 종지에 넣은 데다 사람젖을 조금 타고 끓여서 증기가 가신 뒤에 맑은 上澄液을 취하여, 따뜻한 것으로 하루 四~五차례 눈을 씻는다.
[活套] 生地黃을 加하면 더욱 좋다.
下統 114 황금탕(黃芩湯)
片芩4 梔子4 桔梗4 赤芍藥4 桑白皮4 麥門冬4 荊芥4 薄荷4 連翹4 甘草2
肺火가 성해서 콧구멍이 건조하고 瘡腫이 나면서 아픈 것을 다스린다.
[用法] 食後에 服用한다.
下統 115 청혈사물탕(淸血四物湯)
川芎4 當歸4 赤芍藥4 生地黃4 片芩4 紅花4 赤茯苓4 陳皮4 甘草2
酒齄鼻를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달인 물에 五靈脂末 一錢을 타서 食後에 服用한다.
下統 116 회춘양격산(回春凉膈散)
連翹5 黃芩3 梔子3 桔梗3 黃連3 薄荷3 當歸3 生地黃3 枳殼3 赤芍藥3 甘草3
三焦의 火가 盛하여 입 안이 허는 症狀을 다스린다.
[活套] 肺胃에 熱結하여 發斑하면 升麻葛根湯을 合方해서 쓴다.
下統 117 황련탕(黃連湯)
黃連4 梔子4 生地黃4 麥門冬4 當歸4 赤芍藥4 犀角2 薄荷2 甘草2
心火로 인하여 혀가 헐고 건조해지고, 열이 나거나 혹은 혀끝에서 피가 나오고, 혹은 혀가 굳어지는 증을 다스린다.
[活套] 열이 심하면 九味淸心元 2알을 調合해서 먹는다.
下統 118 청대산(靑黛散)
黃連12 黃柏12 靑黛2 馬牙硝2 朱砂2 石雄黃1 牛黃1 硼砂1 龍腦0.4
중혀를 다스리며, 또한 목안이 헐거나 붓거나 아픈증을 다스린다.
[用法] 먼저 薄荷汁으로 입 안을 닦아내고 이 약을 바른다.
下統 119 용석산(龍石散)
寒水石120 朱砂10 龍腦1
입 안과 혀가 헐고 목 안이 부어서 막히는 증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하여 하루 3~5번씩 患處에 바른다.
下統 120 청위산(淸胃散)
升麻8 牧丹皮6 當歸4 黃連4 生地黃4
胃熱로 因해 상하 齒痛이 참을 수가 없고 滿面에 發熱하는 것을 다스린다.
[用法] 약간 차게 해서 服用한다. ① 老衰하고 虛弱한 사람은 服用하지 못한다.
下統 121 사위탕(瀉胃湯)
當歸4 川芎4 赤芍藥4 生地黃4 黃連4 梔子4 牧丹皮4 荊芥4 薄荷4 防風4 甘草4
齒牙의 疼痛을 神通하게 다스린다.
下統 122 옥지산(玉池散)
地骨皮4 白芷4 細辛4 防風4 升麻4 川芎4 當歸4 槐花4 藁本4 甘草4
風齒나 蟲齒로 동통이 나고 이가 흔들리고 진무르거나 혹은 骨槽風으로 변성하여 피고름이 나오고 뼈가 드러나는 증 등을 다스린다.
[用法] 水煎해서 더운 것으로 含水하고, 식으면 뱉는다.
下統 123 우황양격원(牛黃凉膈元)
馬牙硝80 寒水石80 石膏80 甘草40 牛膽南星30 紫石英20 牛黃6 龍腦6 麝香6
목 안이 붓고 입 안과 혀가 헐고 턱과 뺨이 부으면서 열이 나고 담이 막히는 것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末 一兩으로 삼십환씩 蜜丸을 지어 한알씩 薄荷湯으로 씹어서 먹는다.
*紫石英은 불에 달구어서 물로 깨끗이 씻어 쓴다.
下統 124 취후산(吹喉散)
膽礬4 枯白礬4 焰硝4 片腦4 山豆根4 辰砂4 鷄內金4
목젖이 부어 축 늘어지면서 아픈 것과 일체의 인후병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극히 細末로하여 竹管으로 인후에 조금씩 자주 불어 넣으면 卽效가 난다.
下統 125 필용방감길탕(必用方甘桔湯)
桔梗8 甘草4 荊芥4 防風4 黃芩4 薄荷4 玄參4
風熱로 咽喉가 붓고 아픈 것을 다스린다.
[用法] 천천히 먹는다.
下統 126 박하전원(薄荷煎元)
薄荷600 桔梗200 甘草160 防風120 川芎120 砂仁20
風熱을 없애고, 痰涎을 삭혀서 咽喉가 막힌 것을 通利하게 하고, 머리와 눈을 맑게 하고, 코피와 大小便의 便血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末들 一兩쭝으로 三十丸의 蜜丸을 지어 한알씩 보드랍게 씹어 차나 술로 삼킨다. ① 內局方에는 白豆蔲가 있다.
下統 127 용뇌고(龍腦膏)
薄荷600 甘草120 防風120 川芎120 桔梗120 焰硝40 白豆蔲 三十粒 砂仁 五粒 片腦2
목 안이 잠겨서 붓고 아픈 것을 다스린다.
[用法] 藥味들의 粉末을 彈子大의 蜜丸으로 지어 噙化해서 삼킨다.
下統 128 회수산(回首散)
烏藥順氣散 加 羌活 獨活 木瓜
머리와 목이 뻣뻣하고, 筋肉이 연급되고, 혹은 베개를 잘못 베고 자서 목을 돌리지 못하는 것을 다스린다.
下統 129 삼합탕(三合湯)
烏藥順氣散 合 二陳湯 香蘇散 加 羌活
등심이 뜨끔뜨끔 아픈 것을 다스린다.
下統 130 서각소독음(犀角消毒飮)
牛蒡子16 荊芥8 防風8 甘草4 犀角 6
丹毒과 斑疹 및 癮疹을 다스린다.
[活套] 敗毒散과 合方해도 좋다.
[用法] 물을 쳐서 갈아 服用한다.
下統 131 개결서경탕(開結舒經湯)
蘇葉3 陳皮3 香附子3 烏藥3 川芎3 蒼朮3 羌活3 南星3 半夏3 當歸3 桂枝2 甘草2
부인의 七情, 六鬱로 經絡이 氣滯하여 手足이 麻痺된 것을 다스린다.
[活套] 手足이 麻痺되고 疼痛이 나면 威靈仙, 牛膝, 木瓜를 加하고 附子도 조금 加한다.
[用法] 竹瀝을 넛고 生薑汁으로 調服한다.
下統 132 반하금출탕(半夏芩朮湯)
半夏6 蒼朮6 片芩3 白朮3 南星3 香附子3 陳皮2 赤茯苓2 威靈仙1 甘草1
痰飮으로 因해 팔이 아파 들어 올릴 수 없는 것을 다스린다.
[活套] 冷이 있는 사람은 片芩을 빼고 桂枝를 加해서 쓴다.
下統 133 서경탕(舒經湯)
薑黃8 當歸4 海桐皮4 白朮4 赤芍藥4 羌活2 甘草2
氣血이 經絡에 凝滯하여 팔이 아파 들어 올릴 수 없는 것을 다스린다. ① 一名 通氣飮子인데, 沈香을 넣고 汁을 조금씩 服用한다.
[活套] 寒濕이 經絡에 凝滯한 데는 桂枝, 薏苡仁 각 三錢을 加하고 附子를 조금 加하면 經絡이 풀린다. ② 經絡이 痰滯되었으면 南星, 半夏, 烏藥, 白芥子 각 一錢을 加하고, 술 두 숟가락을 타서 먹는다.
下統 134 청열사습탕(淸熱瀉濕湯)
蒼朮4 黃柏4 蘇葉3 赤芍藥3 木瓜3 澤瀉3 木通3 防己3 檳榔3 枳殼3 香附子3 羌活3 甘草3
濕熱로 因한 각기로 붓고 아픈 것을 다스린다. ① 疼痛에는 木香을 加한다. ② 붓는 데는 大腹皮를 加한다. ③ 熱이 나면 黃連과 大黃을 加한다.
下統 135 빈소산(檳蘇散)
蒼朮8 香附子4 蘇葉4 陳皮4 木瓜4 檳榔4 羌活4 牛膝4 甘草2
風濕으로 因한 脚氣의 腫痛, 拘攣을 다스린다. 이 약을 쓰면 氣道를 疏通시킨다. 작용이 묘하다.
[活套] 麻痺되면 威靈仙을 加한다. ① 疼痛이 심하면 乳香 三~五分을 加해서 調服한다.
下統 136 반총산(蟠蔥散)
蒼朮4 甘草4 三棱3 蓬朮3 白茯苓3 靑皮3 砂仁2 丁香皮2 檳榔2 玄胡索1 官桂1 乾薑1
脾胃의 虛冷이 心腹을 공격하여 刺痛하다가 胸脇, 膀胱, 小腸에까지 뻗쳐 아픈것과 腎氣의 作痛을 다스린다.
下統 137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
草龍膽4 柴胡4 澤瀉4 木通2 車前子2 赤茯苓2 生地黃2 當歸2 山梔2 黃芩2 甘草2
肝臟의 濕氣로 因한 남자의 陰挺과 여자의 陰의 痒瘡을 다스린다. ① 空心에 服用한다.
下統 138 신성대침산(神聖代鍼散)
乳香4 白芷4 沒藥4 當歸4 川芎4 芫靑4
血積疝痛과 諸疝刺痛에 이 약을 먹으면 神通한 效力이 난다.
[用法] 위의 藥末을 매번 一分씩 服用하되, 산통이 심하면 五分씩 服用한다. 먼저 좋은 차 한잔에다 넣은 다음, 藥末을 혼합하면서 차 위에 떠 있는 것을 불어 날리지 말고 저어서 당장에 천천히 마신다.
下統 139 귤핵환(橘核丸)
橘核40 海藻40 昆布40 海帶40 桃仁40 川楝子40 玄胡索20 厚朴20 枳實20 桂心20 木香20 木通20
4종의 㿗疝 즉 卵核의 腫脹이 大小로 혹은 돌같이 굳게 한쪽씩에 나는 것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末을 酒糊로 梧子大의 丸을 지어 溫酒나 鹽湯으로 육십~칠십 알씩 삼킨다. 오래도록 㿗疝症이 없어지지지 않으면 醋煮한 䃃砂 二錢을 加한다.
下統 140 삼산탕(三疝湯)
車前子10 茴香6 沙參3
膀胱氣로 因한 腫痛을 다스린다.
下統 141 진교창출탕(秦芃蒼朮湯)
秦艽4 皂角仁4 桃仁4 蒼朮3 防風3 黃柏2 當歸稍1 澤瀉1 檳榔1 大黃1
熱, 濕, 風, 痰이 합해서 痔가 된것을 다스린다. 腸頭에 덩어리지는 것은 濕과 熱이 합쳐진 것이이요, 便秘되는 것은 燥이다.
[用法] 위의 藥味 중에서 檳榔, 桃仁, 皂角仁 三味를 제외한 나머지 七味를 水煎해서 건더기를 버리고, 앞서 제외했던 三味를 넣고 다시 달여서 空心에 뜨겁게 해서 먹는다. 좋은 반찬을 먹어서 內服한 약을 누르는 것이 좋다.
下統 142 당귀화혈탕(當歸和血湯)
當歸8 升麻8 槐花3 靑皮3 荊芥3 白朮3 熟地黃3 川芎2
腸風射血과 濕毒下血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하여 二錢씩 空心에 미음으로 調服한다.
[活套] 水煎服해도 좋다.
下統 143 승양제습화혈탕(升陽除濕和血湯)
白芍藥6 黃芪4 甘草4 陳皮3 升麻3 生地黃2 牧丹皮2 生甘草2 當歸1 熟地黃1 蒼朮1 秦艽1 肉桂1
腸澼 下血이 갈래를 만들어 힘차게 멀리까지 내쏘면서 배가 아픈 것을 다스린다. ① 空心에 服用한다.
下統 144 삼인고(三仁膏)
萆麻子仁 麻子仁 杏仁 各等分
癰疽가 처음 생기는 데 쓰면 神效를 본다.
[用法] 위의 3가지의 仁을 作末하여 白淸으로 고루 調合해서 붙인다.
[活套] ① 밀가루와 麯末을 加하면 더욱 좋다. ② 毒이 심하면 蒼耳子, 木鱉子, 白殭蠶, 木綿子仁을 加한다. ③ 挾痰했으면 南星과 半夏를 加한다. ④ 熱腫에는 大黃을 加한다. ⑤ 瘡口를 터뜨리려면 紫金錠과 白丁香을 加한다. ⑥ 화농을 觸診하려면 桂心을 加한다. ⑦ 經絡을 통하게 하려면 草烏를 加한다.
下統 145 신성병(神聖餠)
當歸2 白芷2 爐甘石2 乳香2 沒藥2 石雄黃2 熊膽2 硼砂2 海螵蛸2 輕粉2 巴豆霜2 麝香2 朱砂2 胡桐淚1
瘡口에 삽입하면 나쁜 것을 제거하고 새 살을 나게 한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하여 白芨餠에 이겨서 바늘처럼 가늘게 만들어 瘡口에 꽂는다.
* 熊膽은 물에 떨어뜨려서 줄이 되면서 흩어지지 않는 것이라야 진짜다.
下統 146 선유량탕(仙遺糧湯)
土茯苓28 防風2 木瓜2 木通2 薏苡仁2 白鮮皮2 金銀花2 皂角刺2
楊梅風瘡에 輕粉을 잘못 服用하여 살이 헐고 뼈가 상한것을 다스린다. ① 一日 三會 服用한다.
下統 147 단분환(丹粉丸)
輕粉8 黃丹4 石雄黃4 鐘乳粉4 琥珀2 乳香2 枯白礬2
楊梅瘡을 다스린다.
[活套] ① 腦後가 먼저 傷했으면 荊芥湯에 藁本 一錢을 가해서 服用한다. ② 이마가 傷했으면 이 丹粉丸에 獨活을 加해서 쓴다. ③ 足心이 傷했으면 桂皮를 加한다. ④ 陰處가 傷하면 靑皮를 加한다. ⑤ 肢節이 傷하면 穿山甲을 加한다. ⑥ 유방밑이 傷하면 柴胡를 加한다. ⑦ 입과 코가 傷하면 枳殼을 加한다. ⑧ 用藥 후에 咽喉症이 생기면 仙遺糧湯 三十貼을 쓴다.
[用法] 위의 藥末을 糯米糊로 梧子大의 丸을 지어 空心에 荊芥, 雀舌 煎湯으로 十丸 내지 十五丸을 삼킨다. ⑨ 鱔魚湯으로 삼키면 더욱 좋다. 麝香 二分을 加하면 아프지 않고 가렵지 않고 咽喉症도 나지 않는다.
下統 148 치자청간탕(梔子淸肝湯)
柴胡8 梔子5 牧丹皮5 赤茯苓4 川芎4 赤芍藥4 當歸4 牛蒡子4 靑皮2 甘草2
肝, 痰에 火가 盛해서 귀뒤, 목, 가슴, 유방 등에 멍울이 생기는 것을 다스린다.
下統 149 주귀음(酒歸飮)
酒當歸6 白朮6 酒片芩4 酒芍藥4 川芎4 陳皮4 酒天麻3 蒼朮3 蒼耳子3 酒黃芩2 酒甘草2 防風1
痘瘡을 다스린다. ① 一日 三會 服用하며, 服用후에는 잠시 포근히 자는 것이 좋다.
下統 150 활혈구풍탕(活血驅風湯)
蒼朮2 杜冲2 肉桂2 天麻2 薏苡仁2 橘紅2 檳榔2 厚朴2 枳殼2 當歸2 川芎2 白芷2 細辛2 白蒺藜2 桃仁2 白芍藥2 半夏2 五靈脂2 甘草2
腎臟風瘡의 瘙痒과 痛症을 다스린다. 이는 肝腎이 虛하여 風濕이 侵入하기 때문이다.
[用法] 乳香末을 조금 넣어서 空心에 服用한다.
下統 151 비급환(備急丸)
大黃40 乾薑40 巴豆霜40
卒暴死하는 모든 것과 暴疾의 百病, 및 中惡, 客忤, 鬼擊, 口噤, 갑작스런 氣絶 등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末을 小豆大로 蜜丸을 지어 술에 타서 돈복하거나 溫水로 服用해도 좋다.
下統 152 사제향부환(四製香附丸)
香附米600
月經不調를 다스린다.
[用法] ① 香附米 한근을 四包로 나눈다. ② 한포는 鹽水를 탄 生薑汁에 담갔다가 삶아서 약간 炒한다.(주로 痰을 내린다.) ③ 한포는 醋에 담갔다가 약간 炒한다.(주로 血을 補한다.) ④ 한포는 山梔子 四兩과 함께 炒하되 山梔子는 버린다.(주로 鬱을 헤친다.) ⑤ 한포는 童便에 씻기만 하고 炒하지 않는다(주로 火를 내린다.) ⑥ 위의 藥味들을 作末하여, 川芎과 當歸의 粉末 각 二兩을 넣고 酒麵糊로 梧子大의 丸을 지어 五十~七十丸씩 證에 따라 作湯해서 마신다.
下統 153 칠제향부환(七製香附丸)
香附子760
月經不調와 癓瘕가 結成되는 증을 다스린다.
[用法] 香附子 14냥을 7포로 나눈다. ① 제 1포는 當歸 二兩과 함께 酒浸하고, ② 제 2포는 蓬朮 二兩과 함께 童便浸하고 ③ 제 3포는 牡丹皮, 艾葉 각 一兩과 米泔浸하고, ④ 제 4포는 烏藥 二兩과 함께 米泔浸하고, ⑤ 제 5포는 川芎, 玄胡索 각 一兩과 함께 水浸하고, ⑥ 제 6포는 三稜, 柴胡 각 一兩과 함께 醋浸하고, ⑦ 제 7포는 紅花, 烏梅 각 一兩과 함께 鹽水浸한다. ⑧ 이상과 같이 浸한 가지를 봄에 오일간, 여름에는 삼일간, 가을에는 칠일간, 겨울에는 십일간 볕에 말려서 香附子만 취하여 作末한 다음, 앞서 浸藥했던 浸水로 풀을 쑤어 梧子大의 丸을 지어 잠자리에 들 때 술로 팔십환을 삼킨다.
下統 154 통경탕(通經湯)
當歸3 川芎3 白芍藥3 生乾地黃3 大黃3 官桂3 厚朴3 枳殼3 枳實3 黃芩3 蘇木3 紅花3
月經 閉止를 다스린다.
下統 155 귀출파징탕(歸朮破癥湯)
香附子6 三棱4 蓬朮4 赤芍藥4 白芍藥4 當歸尾4 靑皮4 烏藥3 紅花2 蘇木2 官桂2
月經 閉止와, 뱃속에 積塊가 있고 痰이 있어서 疼痛하는 증을 다스린다.
[用法] 술을 조금 넣어서 달여 먹는다.
下統 156 우슬탕(牛膝湯)
冬葵子8 滑石8 木通6 當歸6 牛膝6 瞿麥6
産後에 胞衣가나오지 않고 下腹部가 膨滿해져서 곧 죽게 되는 것을 다스린다.
下統 157 羚羊角湯(영양각탕)
羚羊角5 獨活5 酸棗仁5 五加皮5 防風3 薏苡仁3 當歸3 川芎3 白茯神3 杏仁3 木香2 甘草2
子癎을 다스린다.
下統 158 택사탕(澤瀉湯)
澤瀉6 桑白皮6 赤茯苓6 枳殼6 檳榔6 木通6
子淋을 다스린다.
下統 159 당귀작약탕(當歸芍藥湯)
白芍藥6 白朮6 當歸4 白茯苓4 澤瀉4 條芩4 檳榔3 黃連3 木香3 甘草3
子痢를 다스린다.
[活套] ① 子痢에는 黃芩, 黃連을 빼고 乾薑을 加한다. ② 暑에는 香薷와 白扁豆를 加한다. ③ 胎가 不安하면 大腹皮, 砂仁을 加한다. ④ 대개 産前의 諸症에는 大科門에 의거하는 증에 따라 加減한다.
下統 160 실소산(失笑散)
五靈脂 蒲黃 各等分
産後에 兒枕痛과 臍腹痛으로 참을 수 없는 증을 다스린다.
[活套] ① 혹은 湯用으로 만들어서 달인 후에 좋은 식초 1숟가락을 타서 服用한다. ② 川芎, 當歸를 倍加하고 山査肉, 玄胡索, 桂心, 澤瀉, 澤蘭葉 따위를 加한다.
下統 161 기침산(起沈散)
當歸8 白芍藥8 川芎6 白芷3 桂心3 蒲黃3 牧丹皮3 玄胡索3 五靈脂3 沒藥3
兒枕痛을 다스린다.
[用法] 좋은 식초를 타서 空心에 마신다.
下統 162 우황고(牛黃膏)
朱砂12 鬱金12 牛黃10 牧丹皮8 甘草4 龍腦2
産後에 熱이 血室로 들어 간 것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로 皂子같이 蜜丸을 지어 一丸을 우물물에 타서 먹는다.
[活套] 痘後의 瘡疹과 眼疾 및 遺熱에도 좋다.
下統 163 이비탕(理脾湯)
厚朴6 蒼朮4 陳皮4 神麯4 麥芽4 山査肉4 乾薑3 砂仁2 甘草2
産後에 食傷으로 인해 胸膈이 飽悶하고 寒熱이 있어 음식 생각이 없는 증을 다스린다. ① 泄瀉를 하면 白朮과 赤茯苓을 加한다. ② 便閉되면 桃仁과 紅花를 加한다. ③ 尿澁하면 大腹皮와 車前子를 加한다.
[活套] 위의 藥味 중의 麥芽는 母乳를 삭히는 성질이 있으므로 꼭 쓸 필요는 없다.
첫댓글 책으로 보는 것보다 이렇게 하니까 눈에 더 잘 들어오네요~ 날로 먹고 갑니다^^
많이 많이 드세요. 맞아요. 분류도 조금 편하고!! 그리고 12월 침구과 송년회를 좀 크게 열어볼 예정인데, 가능할지 모르겠네요!
가져갑니다. 건강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