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기복덕일(生氣福德日)
생기복덕일(生氣福德日)을 뽑으려면 주역괘(周易卦)와 구궁도를 먼저 알
아야 한다.
주역괘상(周易卦象) 팔괘변화도
건삼련(乾三連) 일상생기(一上生氣)
태상절(兌上絶) 이중천의(二中天宜)
이중절(離中絶) 삼하절체(三下絶 )
진하련(震下連) 사중유혼(四中遊魂)
손하절(巽下絶) 오상화해(五上禍害)
감중련(坎中連) 육중복덕(六中福德)
간상련(艮上連) 칠하절명(七下絶命)
곤삼절(坤三絶) 팔중귀혼(八中歸魂)
(1) 생기복덕의 해설
① 생기(生氣) : 경영하는 바 길(吉)하고 복록(福祿)을 누리며 매사 자신감
이 넘친다.
② 천의(天宜) : 매사에 중화(中和)와 변화(變化)를 함께하며 시험합격, 승
진, 병 치료에 길(吉)하다.
③ 절체(絶體) : 부러진다는 의미로 상해(傷害)의 기운이 강하니 마음과 몸
이 상처가 있다고 하며 흉(凶)하다.
④ 유혼(遊魂) : 마음이 안정되지 않으며 매사 분주하고 허영되어 반흉(半
凶) 반길(半吉)하다.
⑤ 화해(禍害) : 손재(損財) 관재(官災) 송사(訟事) 등 재앙이나 모략이 발
생한다.
⑥ 복덕(福德) : 승진, 합격, 횡재, 발전, 횡운 등의 길(吉)할 일만 있고
만사형통한다.
⑦ 절명(絶命) : 글자 뜻 그대로 목숨이 끝난다는 의미로 사망, 부도, 이
혼, 절망, 정리 등을 뜻한다.
⑧ 귀혼(歸魂) : 뒤돌아온다는 뜻으로 때를 기다려야 한다는 뜻을 내포하
고 반길(半吉) 반흉(半凶)하다.
※ 대길일(大吉日) → 생기(生氣) 복덕(福德) 천의(天宜)
※ 대불길(大不吉) - 화해(禍害) 절명(絶命)
(2) 남자 생기복덕(生氣福德) 택일법(擇日法)
① 나이 방향에서 출발하여 생기복덕을 세어간다.
② 남자는 시계 방향으로 돌린다.
③ 남자는 이궁(離宮)에서 기일세(起一歲)하여 시작하니 곤궁(坤宮)은 건너
뛰고 태궁(兌宮)에서 2세가 되며 건궁(乾宮)에 3세, 감궁(坎宮)에 4세, 간
궁(艮宮)에 5세, 진궁(震宮)에 6세, 손궁(巽宮)에 7세, 이궁(離宮)에 8세,
곤궁(坤宮)에 9세, 태궁(兌宮)에 10세가 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계속 순
행하면 감궁(坎宮)은 20세가 되고 진궁(震宮)은 30세, 이궁(離宮)은 40세
가 된다. 가령 42세의 남자가 택일 한다면 먼저 40세가 이궁(離宮)이니 41
세가 곤궁(坤宮)이요. 42세가 태궁(兌宮)이 된다. 이 태궁(兌宮)으로 생기
복덕을 일으키면 된다. 시계방향으로 나이를 센다.
예) <남자 10세의 생기복덕일 예>
① 10세의 생기복덕 일을 보려면 태(兌)부터 출발한다.
② 태(兌) 방향에서 (태)에서 일상생기(一上生氣)로 상효를 (건)으로 변
화하여 건괘(乾卦)가 일상생기요. 건괘가 이중천의(二中天宜)로 가운데가
변한 이중절(離中絶)로 이(離) 괘(卦) 자리가 천의(天宜)가 된다. 아래에
자세하게 설명해 놓고 있다.
에서 시작
건 일상생기(一上生氣)
리 이중천의(二中天宜)
간 삼하절체(三下絶 )
손 사중유혼(四中遊魂)
감 오상화해(五上禍害)
곤 육중복덕(六中福德)
진 칠하절명(七下絶命)
태 팔중귀혼(八中歸魂)
건괘(乾卦)가 생기(生氣)가 되고 건괘(乾卦) 자리에 술해(戌亥)가 앉아있
으니 술해(戌亥)일이 생기(生氣) 날이 된다. 곤괘(坤卦)가 복덕(福德)이 되
고 곤괘(坤卦) 자리에 자(子)가 있으니 자(子)가 복덕(福德) 날이 된다. 리
괘(離卦)가 천의(天宜)가 되고 리괘(離卦) 자리에 오(午)가 있으니 오(午)
가 천의(天宜)날이 된다. 그러므로 생기(生氣) 복덕(福德) 천의(天宜)날에
택일(澤日)하면 매사 길하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