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 상한선(upper band) : 추세중심선 + 2σ | |
추세중심선 : n일의 이동평균 하한선 (lower band) : 추세중심선 - 2σ |
![]() | ||||||||||||
1. 과매도/과매수 지표 - 하한선 근처에서 주가가 움직일 때: 매수 (과도매도 상태) - 상한선 근처에서 주가가 움직일 때: 매도 (과도매수 상태) 2. 볼린저밴드의 이탈 및 진입
3. 볼린저밴드의 축소 및 확대를 이용한 전략
-----------------여기까지-----------------
위에 나타난 볼린저밴드는 원래 기본값이 20일선을 기준으로 20 으로 되어 있지만, 저는 12로 값을 줄였습니다. 이유는 조금 더 빠른 움직임을 보기위해서입니다. 확률적으로 20을 기준으로 했을때보다 12로 하게되면, 밴드의 상단 밖으로 나갈 확률과 밴드의 하단으로 캔들이 나갈 확률은 조금 더 높아집니다. 그러나 아주많이 늘어나는것은 아니기때문에 값을 변경된 값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볼린저밴드는 밴드의 확장과 축소과정을 보면서 매매에 참고하는데, 저 같은 경우는 주로 과매수 혹은 과매도 된 타이밍을 볼때 많이 사용합니다. 밴드 하단을 뚫고 내렸다면, 과매도라서 매수하면, 손실보는 경우가 적습니다. 반대로 매수해서 수익중인데, 상단을 뚫고 올라갔다, 그러면, 그런때는 일단 수익을 챙기기 위해 매도하고, 다시 캔들이 밴드 안으로 들어와서 가격이 내리면, 재매수하는 그런 용도로 사용합니다. 위의 레이젠 차트에서 바닥 1155 에서 2100 원 넘길때 보면, 밴드 상단에 붙어서 캔들이 생성이 되지요. 상승각도가 강한겁니다. 반대로 2100 찍고, 1500원대까지 밀릴때 보면, 밴드 하단에 붙어서 캔들이 만들어지죠. 이때는 하락 각도가 강한거구요. 최근 며칠간의 모양은, 밴드 하단에서 중심선을 넘어 밴드 위쪽으로 캔들이 만들어지고 있지요. 캔들이 밴드 안에 있을 확률은 95%가 넘습니다. 위든 아래든 밴드 밖으로 나갈 확률은 5%도 안됩니다. |
오랜기간 매매에 응용하여 사용 해본 사람이 아니면, 실전에 적용하기는 조금 곤란한 부분도 있기는 합니다.
몰랐던 사람이라면, 모의매매 실험을 하면서, 공부해보면, 사용방법을 익힐수 있을겁니다.
전문가란 사람들 중에, 볼린저밴드 전문 이라는 타이틀을 거는 사람들도 있으니까요.
제가 사용하는 차트의 보조지표들은
RSI, 외국인비율, 기관순매수, 거래량, 볼린저밴드, 일목균형, 파라볼릭, 매물대. 거래량.
이렇게 9개를 사용합니다.
주가가 놓여 있는 상황에 따라 중요하게 보는 지표나 거래량, 중요한 요소중 하나는 거래량이 되겠지요?
첫댓글 주식 재능기부하시느라 수고하십니다 감사합니다^^ 타님~ 위 내용중 9가지를적용하실때 월봉 주봉 일봉에 각각 다르게적용하시는지요 궁금합니다?............
거의 동일하게 설정하고 사용합니다. 볼린저밴드, RSI 이동평균선 거의 대부분 일봉 월봉 주봉 비슷하게 설정하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네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