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수도작 원문보기 글쓴이: 최농부
품종명 |
출수기 (월.일) |
벼키 (㎝) |
이삭길이 (㎝) |
포기당 이삭수 (개) |
이삭당 벼알수 (개) |
등 숙 비 율 (%) |
현 미 천립중 (g) |
운광벼 |
8. 1 |
79 |
19 |
14 |
93 |
79.2 |
23.5 |
오대벼 |
7.30 |
81 |
19 |
16 |
74 |
82.6 |
24.5 |
주) 파종기(월.일) : 4. 25, 이앙기(월.일) : 5. 25, 시비량(㎏/10a) : N-P2O5-K2O=11-5-6
그림 1. 조숙 내냉내병 최고품질 다수성 운광벼의 성숙기
나. 미질 및 도정특성
오대벼에 비해 쌀의 외관특성이 양호하며 알칼리붕괴도 및 아밀로스 함량은 비슷하나 단백질 함량이 낮으며 밥맛이 좋다. 도정특성은 오대벼보다 양호하며 특히 백미완전립율이 월등히 높다.
표 2. 미질 및 도정특성
- 미질 및 식미 특성 (호농연 : 2002~2004)
품종명 |
투명도 |
심복백 |
알카리붕괴도 |
단백질함량 |
아밀로스함량 |
식미 관능검정 |
운광벼 |
1 |
0/1 |
6.4 |
6.2 |
19.1 |
0.28 |
오대벼 |
1 |
1/1 |
6.3 |
7.1 |
19.3 |
0.04 |
- 도정 특성 (작물원 : 2004) (단위 : %)
품종명 |
제현율 |
현백율 |
도정율 |
백미완전립율 |
운광벼 |
83.5 |
89.6 |
74.8 |
96.4 |
오대벼 |
82.0 |
88.8 |
72.9 |
81.8 |
주) 시료생산 : 운봉출장소
다. 병해충 및 생리장해 저항성
잎도열병 밭못자리검정에서는 14개 시험지에서 중 내지 강한 저항성을 나타내었고, 목도열병 검정에서 이천 시험지에서는 오대벼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기타 검정지에서는 강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흰잎마름병 K1~K3 균계에는 강하나 변이균계인 K3a에는 이병성이며 바이러스병 및 벼멸구에도 약하다.
표 3. 내병성 및 해충저항성
- 잎도열병 밭못자리 검정 및 목도열병 포장검정 (지적 : 2002~2004)
품종명 |
잎도열병 밭못자리 검정(0~9) |
목도열병 포장검정(%) | |||||||
0~3 |
4~6 |
7~9 |
평균 |
이천 |
제천 |
익산 |
나주 |
평균 | |
운광벼 |
11 |
3 |
0 |
3 |
34.2 |
1.5 |
0 |
0 |
9 |
오대벼 |
3 |
10 |
1 |
5 |
38.6 |
65.6 |
2.6 |
0.2 |
27 |
주) 질소시비량 : 잎도열병검정 24㎏/10a, 목도열병검정 22㎏/10a
- 흰잎마름병 및 바이러스병 검정 (지적 : 2002~2004)
품종명 |
흰잎마름병 |
바이러스병* |
벼멸구 | ||||||
K1 |
K2 |
K3 |
K3a |
2차전염 |
줄무늬 |
오갈병 |
검은줄 | ||
운광벼 |
강 |
강 |
강 |
약 |
2 |
약 |
약 |
약 |
약 |
오대벼 |
약 |
약 |
약 |
약 |
7 |
약 |
약 |
약 |
약 |
주) * 실내 유묘검정
포장도복에 강하고 저온발아성이 높으며, 유묘적고 및 내냉성 임실률은 오대벼수준이다. 불시출수는 오대벼보다 강하나 수발아는 비교적 잘 되는 편이다
표 4. 생리장해 저항성 (지적 : 2002~2004)
품종명 |
포장도복 |
저온발아성 (%) |
내 냉 성 |
불시출수 (%) |
수발아율 (%) | |
유묘적고(1~9) |
임실율(%) | |||||
운광벼 |
강 |
94 |
2 |
69 |
32 |
26 |
오대벼 |
강 |
86 |
3 |
69 |
60 |
4 |
주 : 1) 내냉성 : 춘천 냉수처리검정포 검정(17℃, 이앙 후 20일~성숙기)
2) 불시출수 : 50일묘
3) 수발아율 : 출수 40일 이삭 채취 25℃에서 치상 후 7일
4) 저온발아성 : 13℃ 15일
라. 수량성
지역적응시험 결과 북부중산간지, 동해안 해안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쌀 수량은 580㎏/10a으로 오대벼에 비해 10%, 남부중산간지에서 화성벼에 비해 597㎏으로 9% 증수되었다. 특히 남부의 중산간지인 화서와 안동시험지에서는 10a당 600㎏ 이상, 북부 중간 및 동해안 해안지인 철원과 강릉에서도 600㎏ 가까운 높은 수량을 나타낸 다수성 품종이다.
표 5. 수량성
재배별 |
지대별 |
시험 장소 |
운 광 벼 |
오 대 벼 (화성벼) | |||||||
쌀수량(㎏/10a) |
수량지수 |
지역별 범위 | |||||||||
2002 |
2003 |
2004 |
평균 |
2002 |
2003 |
2004 |
평균 | ||||
보통기 |
북부중산간지 |
철원 |
582 |
635 |
573 |
597 |
105 |
106 |
127 |
113 |
539~656 |
강릉 |
656 |
569 |
560 |
595 |
108 |
99 |
116 |
108 | |||
평창 |
622 |
571 |
548 |
580 |
124 |
124 |
115 |
121 | |||
제천 |
551 |
539 |
560 |
550 |
101 |
98 |
102 |
101 | |||
4 |
602 |
579 |
560 |
580 |
110 |
107 |
115 |
110 | |||
남부 중산간지 |
운봉 |
590 |
556 |
638 |
595 |
112 |
109 |
111 |
111 |
544~638 | |
화서 |
608 |
604 |
683 |
632 |
122 |
119 |
111 |
117 | |||
임실 |
544 |
563 |
550 |
552 |
(99) |
(102) |
(97) |
(99) | |||
안동 |
568 |
620 |
641 |
609 |
(111) |
(118) |
(108) |
(112) | |||
2 |
578 |
586 |
628 |
597 |
111 |
112 |
106 |
109 | |||
평균 |
8 |
579 |
585 |
595 |
586 |
108 |
110 |
108 |
108 |
581~591 |
주 : 1) 대비품종 : 오대벼(화성벼)
2) 파종기, 이앙기(월.일) : 중부 : 4.20/5.20, 남부 4.25/5. 25
3. 적응지역 및 재배상의 유의점
운광벼의 적응지역은 중?북부 중간지, 남부중산간지 및 냉지이다. 키가 작고 쓰러짐이 강한 편이나 질소 비료 과용시 도열병, 미질저하 및 쓰러짐을 유발할 염려가 있으므로 균형시비를 하여야 하며 흰잎마름병 레이스 K1~K3에는 강하나 변이균계인 K3a 약하므로 상습지 재배는 피해야 하며 바이러스병 및 기타 병해충에 약하므로 적기 방제를 실시하여야 한다. 또한 가을 장마시 수발아가 우려되므로 적기 수확에 유의하여야 한다.
참 고 문 헌
농촌진흥청. 2004.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선정 심의자료(수도분야).
__________. 2002, 2003, 2004. 하계작물 신품종개발 공동연구 보고서
호남농업연구소. 2001, 2002. 시험연구보고서
집필 : 호남농업연구소 김기영 (전화 : 063-840-2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