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oterozoic Eon (원생대)
25 억년 전에 시작되어 5 억 4,200 만년 전에 끝난 지구의 역사 기간은 원생대라고 하며, 이는 다음과 같이 세 시대로 세분됩니다
신 원생대 (Neo Proterozoic): 10 억 ~ 5 억 42백만년 전
중 원생대 (Meso Proterozoic): 16 억 ~ 10 억년 전
고 원생대 (Paleo Proterozoic): 25 억 ~ 16 억년 전
지구가 생긴 이후부터 고생대(古生代) 캄브리아기 이전까지를 '캄브리아기의 앞 시대'라는 뜻으로 '선(先)캄브리아 시대'라고 한
다. 선캄브리아 시대 중 46억 년 전부터 40억 년까지를 명왕누대(冥王累代)라고 하고, 40억 년 전부터 25억 년 전까지를 '생물이
시작된 시대'라는 뜻으로 시생누대(始生累代)라고 하며, 그 이후를 원생누대(原生累代)라고 한다.
원생누대는 지구의 모습을 차츰 갖추어 가는 시대로, 이 시기의 암석은 시생누대에 비해 변성의 정도가 낮거나 거의 변성되지 않
은 암석으로 되어 있으며, 화산암류보다 퇴적암이 우세한 것이 특징이다. 대기 중에는 미량이나마 산소가 존재하고 있었는데, 이
는 생물계에 큰 변화를 가져온 원인이 되었다.
원생누대 초기에는 남조식물로 대표되는 원핵생물(原核生物)만이 알려졌으나, 중기에는 녹조식물 등의 진핵생물(眞核生物)이 나
타났고, 말기에는 원생동물 뿐 아니라 강장동물이나 환형동물에 가까운 무각(無殼)의 후생동물도 나타났다. 석회 조류(藻類) 중
에는 콜레니아(Collenia) 화석이 많이 발견된다.
또 오스트레일리아 남부 에디아카라(Ediacara) 언덕의 한 지층에서 발견된 에디아카라 동물군은 시베리아·중국·아프리카·캐나다
등지에서도 발견되는데, 약 6억 년 전 생성된 것으로 알려진 이 동물화석군에서는 절지동물, 강장동물, 환형동물 등의 화석이 산
출되었다. 이 시대의 동물화석군은 뼈나 껍데기 같은 단단한 부위가 아니라 생물의 연질부가 퇴적물에 찍혀서 화석화된 것이 특
징이다.
원생대의 지층은 캐나다 순상지(楯狀地) 및 발트 순상지 등 전 세계의 순상지에 널리 분포하며, 두꺼운 철광층을 포함하고 있어
철·니켈·구리·우라늄 등 유용한 광물이 많이 산출된다. 한반도에서는 평안남도, 평안북도, 함경남도 남부, 강원도 북부 등에 넓게
분포되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원생누대 [Proterozoic Eon, 原生累代]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이미지를 클릭하면 더 큰 이미지를 볼수 있습니다
| | | | |
화석명칭 | Stromatolite (스트로마톨라이트) |
지질시대 | Paleo-proterozoic, Orosirian (고 원생대) |
생성시기 | 18억 8천만년전 |
발굴지역 | Small Island at NE end of Blanchet Is. NWT, Canada |
기 타 | 107 x 100 x 9.6 mm, 249 g ebay-crystalworldaus, 2021.5.31 |
| | | | |
화석명칭 | Stromatolite (스트로마톨라이트) |
지질시대 | Paleo-proterozoic, Orosirian (고 원생대) |
생성시기 | 20억년전 |
발굴지역 | Mount McGrath Formation. Cheela Plains Ashburton, Western Australia |
기 타 | 93 x 80 x 7 mm, 93 g ebay-crystalworldaus, 2023.1.6 |
Stromatolite(스트로마톨라이트)의 생성과정
원시의 대기는 생물이 살기 어려운 상태이었다. 그러나 생물의 광합성 작용이 일어나면서 산소가 생겨났다. 이렇게 광합성을 한
원핵 미생물이 시아노박테리아이다. 이는 오늘날 남조류(남조식물)로 추정된다. 시아노박테리아를 비롯한 생물의 광합성 활동으
로 스트로마톨라이트가 생기는데, 여기에는 2가지 방법이 있다.
첫번째 방법은 시아노박테리아의 표면에 형성되는 점질층에 물 속의 부유물이 달라붙는 것이다. 어떤 종의 시아노박테리아의 표
면은 다당류를 비롯한 점성물질로 된 층으로 둘러싸여 있다. 스트로마톨라이트를 형성하는 시아노박테리아는 대체로 이 점성물
질로 둘러싸여 있다. 물 속에 떠다니는 모래나 진흙의 미립자 등과 같은 여러 부유물이 시아노박테리아의 점성물질에 달라붙어
고정된다. 그 결과 표면이 암석 모양의 물질로 덮이는 것이다.
두번째 방법은 광합성에 의한 탄산칼슘(석회)화 현상이다. 여러 가지 이유로 물 속에는 탄산칼슘이 침전된다. 시아노박테리아의
표면에서 광합성에 의하여 이산화탄소가 흡수되면 부분적으로 알칼리쪽으로 기운다. 거기에 거의 포화상태가 된 탄산칼슘이 결
정이 되어 표면에 달라붙고 퇴적해 나간다. 또 점성물질의 표면에 작은 탄산칼슘 미립자가 달라붙고, 그것이 핵이 되어 주변에 있
는 탄산칼슘이 결정이 되어 분리되는 것을 촉진한다. 이로써 시아노박테리아의 콜로니 전체가 탄산칼슘으로 덮인다. 시아노박
테리아는 빛을 향하여 자라는 성질이 있어서, 이렇게 형성되는 퇴적층보다 언제나 위쪽에 존재한다. 이러한 과정이 광합성 활동
이 활발한 낮과 활발하지 않는 밤에 되풀이됨으로써 층 모양의 무늬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이 줄무늬는 계절에 의한 태양
의 기울기 차이나 낮과 밤의 길이 차이를 반영하여 마치 나무의 나이테와 같은 주기를 그리고 있다.
스트로마톨라이트의 성장속도는 느리다. 약 100여 년에 걸쳐서 수㎝, 즉 연간 1㎜ 이하 밖에 성장하지 않는다고 한다. 따라서 흔
히 볼 수 있는 지름 50∼100㎝의 스트로마톨라이트는 1000여 년 이상이 지나면서 형성된 것이다. 주로 10∼20억 년 전의 지층에
서 발견되며,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지구 생명의 근원과 탄생의 역사를 밝힐 수 있는 열쇠로 알려져 있다. 오늘날 오스트레일리아
의 샤크만(灣)에 있는 하메린풀에서 스트로마톨라이트가 활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스트로마톨라이트 [stromatolite]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