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녕 영취산 청련사
|
도성암을 출발해 화왕산을 우측으로 크게 돌아 계성면으로 진입하면 좌측으론 화왕산에서 이어져 내려온 구현산이 모습을 보이고
우측으론 영취산이 나오는데 청련사는 좌측의 영취산에서 뻗은 능선자락에 위치해 있다.
영취산은 고려 때 지공(指空) 법사가, 석가모니가 설법했던 천축국(天竺國)의 영취산과 모양이 비슷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산의 북녘 기슭에 자리한 청련사는 영취산에 있던 대흥사(大興寺)의 작은 암자로 세워졌으며, 대흥사의 동쪽에 있다 하여 동암(東庵)
이라 불려왔다.
대흥사는 청련사뿐만 아니라 인근의 극락암(極樂庵)ㆍ삼성암(三聖庵)의 기록에서도 드러나듯이 이 일대의 많은 암자들을 거느릴 만큼
사격이 높았던 듯하다. 따라서 청련사의 중창주 덕암(德庵) 스님 또한 사라져버린 대흥사를 아쉬워하며 퇴락한 암자를 새롭게 일으켜
세울 목적으로 법당을 창건했을 것이다.
현재 청련사에 남아 있는 현판자료에는 하나같이 청련암 앞에 ‘영산 대흥사’를 붙이고 있어, 대흥사는 이미 폐허가 되었지만 청련사가
그 법등을 잇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사중에 전하는 1842년(헌종 8)의 중창기(重創記)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어, 청련사가
자리한 자연적 입지를 짐작케 한다.
주차장에 들어서면 다보탑 모양의 탑이 서있으며 탑뒤쪽으론 부도전이 자리한다. 길을 따라 오르면 비로자나석불좌상을 만나게 되고
청련사로 오르기 위해 건너는 다리를 새로 건설중이다. 임시로 만든 다리를 건너 오르면 비로소 사천왕이 있는 천왕문에 들어서게 된다.
주차장의 다보탑 모양의 탑과 부도밭
다보탑 모양의 탑
1993년에 완공된 다보탑은 경주 불국사의 다보탑을 그대로 모방하여 만든 것이다. 탑의 조성기에는 “아쇼카왕이 팔만사천 탑을 조성하고
남은 진신사리를 인근 각국에 봉안케 했다. 이때 나란다대학에서 수학하던 태국의 와펜자 왕자가 귀국하면서 사리 3천과를 모시고 와서
궁전에 봉안했던 사리를, 태국 종정 뷰다 붕사가 1980년 부산 대각사에서 주최한 국제보살계를 설할 때 300과를 모시고 왔으며, 이 중 3과를 모셔와 탑에 봉안했다”고 기록하였다.
대부분 석종형인 부도전
주차장에 위치한 부도전은 주위에 흩어져 있던 부도들을 모아 최근에 정비하여 조성한 곳이다. 2단으로 조성된 부도전의 위쪽에는
총 5기의 부도가 있는데, 모두 당호(堂號)를 적고 있지 않아 어떤 스님의 부도인지는 알 수 없으며, 다만 부도의 양식으로 볼 때 조선후기의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아래쪽에는 청련사의 불사에 많은 공덕을 쌓았던 법성보살(法性菩薩)의 공덕비와 함께 권도수화상(權道修和尙)의 부도와 탑비가 있다.
석조마애비로자나불좌상
천왕문
사천왕과 금강역사
청련사에 들어서는 대문 역할을 하는 천왕문은 1993년에 건립되었으며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영취산청련사(靈鷲山靑蓮寺)’라는 편액을 내걸고 있다. 건물의 내부에는 중앙 칸의 좌ㆍ우측에 각각 2구씩 모두 4구의 사천왕(四天王)을 벽화로 그려 놓았으며,
사천왕 위쪽으로는 비천상이 한 구씩 그려져 있다. 또한 대문에는 금강역사(金剛力士)가 그려져 있다.
극락전
청련사의 중심전각인 극락전은 옛 법당을 허물고 1984년에 중창한 것으로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법당 내부에는
불전(佛殿)의 중심에 목조아미타삼존불상과 아미타후불탱화를 모시고, 왼편에는 목조지장삼존상과 지장탱화를 봉안하였으며, 이밖에
신중탱화ㆍ칠성탱화 및 금고(金鼓) 등이 봉안되어 있다.
아미타불
아미타삼존불좌상은 1656년(효종 7)에 조성된 불상으로 영산(靈山) 쌍계사에 봉안된 것으로 어느 때인가 청련사로 옮겨왔으며, 현재 쌍계사의 위치는 어딘지 알 수 없다고 한다.
후불탱화는 화기(畵記)를 통해 1862년(숙종 8)에 제작된 탱화임을 알 수 있다. 화면을 절반으로 나누어 위쪽에는 석가삼존을 배치하고 아래쪽에는 앉아 있는 사천왕(四天王)을 나란히 배치했는데, 불보살의 자세는 당당하고 나한(羅漢)과 신중(神衆)의 표현 역시 생동감이 넘친다. 또한 다른 탱화들에 비해 특이한 구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불보살의 광배문양 또한 독특하다.
대세지보살
지장보살
극락전 내 동종
종각
범종
요사
종무소
화왕산에서 이어진 건너편의 구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