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Title) : 십계명 해설(Ten Commandments Explanation)
부제(Sub-Title) : “도둑질하지 마라.”(You shall not steal.)
성경 본문(Bible Text) : 출애굽기(Exodus) 20장 15절
십계명의 제8계명은 “도둑질하지 마라.”입니다. 도둑질에 대한 말은 매우 간단하지만 그 내용은 매우 다양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제8계명 “도둑질하지 마라.”는 계명을 살펴봅시다.
1,도둑질(절도,竊盜,theft)이란 무엇인가?
도둑질은 “남의 물건을 훔치거나 빼앗는 행위”입니다.(국어 대사전)
2. 도둑질(절도,竊盜,theft)에는 어떤 종류가 있습니까?
도둑질의 행위는 매우 다양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래의 절도의 종류와 해설은 네이버 블로그에서 가져와서 정리하고 추가하여 올린 것임을 밝힙니다. 블로그 주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ydc0923&logNo=221598146941)
첫째, 재물의 절도 – 이러한 절도의 행위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입니다. 재산을 수집하는데 세 가지 방법이 있는데 그것은 선물이나 기부를 받거나 자신의 노력으로 재산을 모으거나 도둑질(절도)을 통해서입니다. 재산을 도둑질하는 방법은 남몰래 다른 사람의 재산을 훔치는 것, 직접적으로 다른 사람의 재산을 강탈하는 것, 그리고 사기를 쳐서 얻어내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도박으로 남의 재산을 절취(竊取)하는 것이나 갚아야할 재산이나 금전을 갚지 않는 것도 해당된다고 하겠습니다.
둘째, 인격의 절도 – 모든 사람들에게 고유한 자유가 있습니다. 이러한 타인의 자유를 빼앗아 노예로 만드는 것, 그리고 어린이를 유괴하여 부모와 유괴된 아이의 행복과 마음의 평화를 빼앗는 것이 인격의 절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셋째, 순결의 절도 – 어떤 악한 자들은 소녀들을 꾀어 성적인 순결을 잃게 한 후에 그 소녀에게 강요하여 몸을 팔게 하므로 비참한 인생으로 떨어지게 만드는 악한 일을 합니다. 이러한 자들의 소녀에 대한 도둑질은 가장 악질적인 도둑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넷째, 평화와 행복의 절도 – 어떤 남자나 여자가 어떤 행복한 가정이 있는 남자나 여자를 꾀어 그 가정이 파탄나게 만드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 이때 가정의 평화와 행복을 파괴하는 그 남자나 여자는 가정의 평화와 행복을 도둑질하는 도둑이나 강도와 같다고 할 것입니다.
요사이 러시아의 푸틴과 같이 자신의 정치적 권세를 유지하기 위해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전쟁을 일으켜 우크라이나는 물론 자신의 나라인 러시아 사람들의 평화와 행복을 파괴하는 행위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렇게 전쟁을 일으켜 수 많은 사람들의 평화와 행복을 빼앗고 불행을 가져오는 행위가 평화와 행복을 도적질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고용주가 피고용인에게 정당한 임금을 지불하지 않고 착취하는 행위가 절도행위와 마찬가지이며, 반면에 정당하게 노동을 제공하지 않고 터무니없는 임금을 요구하는 노동자들의 행위 역시 도둑질과 같다고 할 것입니다.
다섯째, 명성의 절도 – 우리는 가끔 다른 사람의 명성을 해치는 말을 하는 사람들을 볼 수 있습니다. 명성을 가진 사람들이 악한 행위를 하여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는 경우가 사실이라면 상관이 없을 것이나 단지 그 사람을 미워하거나 좋지 않은 감정을 갖고 있거나 그 사람과 이권관계에 얽혀 있기 때문에 그 사람에게 손해를 끼치거나 손상을 주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지도 않은 일로 그 사람의 명성을 해치려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사람들의 행위는 다른 사람의 명성을 도둑질하려는 범죄행위라고 할 것입니다.
여섯째, 인격(성격)의 절도 – 이 세상의 문화 가운데 세속적이고 타락한 문화가 강합니다. 이러한 문화들에 젊은이들이 빠지게 되면 성격이 난폭하고 악하며 이기적인 성격을 갖게 합니다. 이러한 세속의 문화는 젊은이들을 비뚤어진 인격(성격)을 갖게 합니다. 이러한 악한 문화를 만드는 사람들, 그리고 이러한 세속사회가 사람들의 인격을 도둑질한다고 할 것입니다.
일곱째, 신앙의 절도 – 신앙의 절도는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들을 그리스도의 신앙 안에 머물러 있지 못하도록 유혹하거나 폭력으로 금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철학자 흄은 자신의 어머니를 기독교 신앙에서 벗어나도록 만들어 하나님의 심판을 받는 사람으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흄은 결국 어머니의 신앙을 도둑질하는 자가 되었다고 할 것입니다.
그리고 오늘날 많은 이단들이 교회에 침투하여 교묘하게 자신들의 이단집단에 들어오게 합니다. 이러한 이단들은 교인들을 자신들의 수단과 방법 그리고 이단교리로 유혹하여 이단집단에 들어가게 하는 행위가 신앙의 절도행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단에 빠진 자들의 결국은 하나님의 심판을 받는 것입니다.
교회에 출석하는 부모들 가운데 자녀들의 신앙에 무관심하거나 그릇되게 인도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 사람들은 자녀들이 바른 신앙 가운데 있지 못하게 하므로 자녀들이 신앙을 도둑질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교회 안에서 믿음이 약한 자들을 실족하게 만드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사람들이 믿음이 약한 자들의 신앙을 도둑질하는 자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교회 안에 있는 사람들은 자신들의 언행으로 다른 사람들을 실족하게 만드는 행위에 대해 주의하고 무엇보다도 자신의 신앙이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신앙으로 만들어가야 합니다. 그것이 자신의 언행으로 인해 다른 사람들을 구원에서 떨어뜨리게 하는 행위를 하지 않는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덟째, 가난한 자들에 대한 절도 – 하나님께서 많은 재물을 얻도록 허락하시고 복을 주시는 데는 이유가 있습니다. 자신만이 그 재물을 가지고 호의호식하도록 하기 위함이 아닙니다. 하나님께서 돈을 벌 수 있는 지혜와 지식을 허락하셔서 많은 돈과 재물을 얻도록 하신 이유는 자신의 재물로 가난한 자들을 돕고 나눔의 삶을 살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만약에 하나님의 뜻을 어기고 탐욕을 가지고 자신과 자신의 가족 그리고 자신의 주변만을 챙긴다면 하나님은 그 사람에게 무거운 형벌을 내리실 것입니다.
아홉째, 하나님에 대한 절도 – 하나님에 대한 절도는 하나님께서만 받아야 할 영광과 존귀와 찬양을 자신에게 돌리는 행위입니다. 마땅히 모든 영광과 존귀는 하나님께서만 받아야 합니다. 그런데 사람들 가운데는 모든 영광과 존귀와 찬사를 자신이 받고자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런 사람들은 하나님의 것을 도둑질하는 행위임을 알아야 합니다.
말라기 선지자는 유대인들이 하나님께 드려야 할 십일조를 드리지 않고 또 하나님께 드려야 할 헌물을 가장 좋지 않은 것으로 드렸을 때 유대인들이 하나님의 것을 도둑질했다고 했습니다. 십일조에 대해서는 예수님께서 오심으로 그것의 영적인 의미가 실현되었다고 할 수 있지만,, 분명한 것은 모든 하나님의 백성들은 하나님께 드려야 할 것을 드려야만 할 것입니다. 그렇지 않다면 그러한 행위는 하나님에 대한 도둑질의 행위라고 해야만 할 것입니다.
3. 글을 맺으면서
십계명의 중요한 핵심 교훈은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하는 것입니다. 진정으로 나 자신을 사랑하고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하는 사람은 다양한 도둑질의 형태로 다른 사람을 고통에 빠뜨리는 행위를 하지 않을 것입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자들은 하나님의 사랑이 그들에게 부어져 있습니다.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께로부터 부음 받은 그 사랑을 실천하고 나누는 사람들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