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기 중세국어(3)
1.
자음
(1)
된소리
①
훈민정음의 초성 체계에 의해 15세기 국어의 폐쇄음과 파찰음에 평음과 유기음 계열이 있었음은 확인됨
②
신숙주는 <동국정운> 서문에서 국어에는 ‘탁성(濁聲)’이 있다고 언급했는데 이는 된소리로 해석됨
③
합용병서 ‘ㅺ, ㅼ, ㅽ’ 등의 ‘ㅅ’은 ‘된시옷’
㉮
훈민정음 체계의 여러 문자 중에서 유독 ‘ㅅ’은 그 음가에 구애되지 않고 ‘사이시옷’으로 사용되었는데 이 사이시옷은 된소리와 깊은 관련
있음
㉯
15세기 후반에 ‘그-’가 ‘-’로 ‘�-’이 ‘-’으로 나타나는 것과 같이 된소리가 어두에서 표현적 가치를 가질 수 있게 되려면 이미
어두에서 확고한 지반을 가지고 있어야 가능한 일이므로 된소리는 15세기 후반보다 앞서 나타났다고 보는 것이 온당
④
‘ㅎ’의 된소리 ‘ㆅ’은 <원각경언해>애서 각자병서의 전반적 폐지로 ‘ㅎ’으로 바뀌었다가 끝내 부활되지 못했는데 이는 된소리 ‘ㆅ’의
기능 부담량이 매우 적었기 때문이며 된소리 자체가 없어진 것은 아님
⑤
초성 합용병서에 ‘ㅾ’이 없는 점 등‘ㅈ’의 된소리가 어두에 존대한 증거는 보이지 않음
(2)
유성
마찰음
①
ㅿ
㉮
불청불탁의 반치음이며 그 음가는 [z]로 추정
㉯
분포는 모음 간, ‘ㄴ’ 또는 ‘ㅁ’과 모음 사이, 모음과 ‘ㅸ’ 또는 ‘ㅇ’ 사이에 국한됨
㉰
기원적으로 보면 후기 중세국어의 ‘ㅿ’에는 크게 2종류가 있는데 <계림유사>시대 이전으로부터 내려오는 것과 13세기 이후
‘s>z’의 변화로 나타난 것이 바로 그것
㉱
소실 : ‘i’ 모음 앞에서 시작되었으며 15세기 후반에서 16세기 전반에 걸쳐 소실이 일어난 것으로 추정
②
ㅸ
㉮
양순 유성마찰음 [β]으로 실현
㉯
분포는 모음 사이, ‘ㄹ’ 또는 ‘ㅿ’과 모음 사이
㉰
<조선관역어>는 이 음소의 소실을 보여주지 않음. 세조대의 문헌에 극히 산발적으로 나타나므로 1450년대까지는 존속한 것으로
보임
㉱
‘ㅸ’은 일반적으로 w로 변하였으며 ‘’만 wi 또는 i로 변화
③
ㅇ
㉮
문자 그대로 ‘零’이라는 것이 종래의 통념이었으나 15세기 국어의 문헌을 검토해 보면 두 가지 종류의 ‘ㅇ’이 있었음
㉯
소극적 기능의 ‘ㅇ’ : 어두음의 모음임을 표시하거나 어중에서 두 모음 사이에 사용되어 서로 다른 음절에 속함을 표시
㉰
적극적 기능의 ‘ㅇ’ : 유성 후두 마찰음 [ɦ]
y, ‘ㄹ’ 또는 ‘ㅿ’과 모음 사이에만 나타남
㉱
‘ㅇ’의 소실은 먼저 ‘ㅿㅇ’에서 일어남
(3)
자음 체계
평
음 ㅂ ㄷ ㄱ ㅈ ㅅ ㅎ
유기음
ㅍ ㅌ ㅋ ㅊ
된소리
ㅽ ㅼ ㅺ ㅆ ㆅ
유성마찰음
ㅸ ㅿ ㅇ
비
음 ㅁ ㄴ ㆁ
유
음 ㄹ
(4)
어두 자음군
①
후기 중세국어에는 어두에 두 자음이 올 수 있었으며 ‘ㅂ’계 합용병서와 ‘ㅄ’계 합용병서는 자음군을 나타낸 것
②
‘ㅂ’계 합용병서 : ㅳ, ㅄ, ㅶ, ㅷ
③
‘ㅄ’계 합용병서 : ㅴ, ㅵ
(5)
음절말 자음
①
15세기 국어의 음절말 자음의 대립은 매우 제한되어 있어서 해례 종성해는 ‘ㄱ ㆁ ㄷ ㄴ ㅂ ㅁ ㅅ ㄹ’의 8종성의 사용을 규정
②
음절말 위치에서 평음과 유기음의 대립이나 ‘ㅅ’, ‘ㅈ’, ‘ㅊ’의 대립은 중화됨
③
이 중화는 음절말 자음의 미파화의 결과
④
‘ㅿ’은 ‘ㅇ’에 선행한 위치에서 음절말에 올 수 있었음
⑤
15세기와 16세기의 교체기에 음절말의 ‘ㅿ’이 없어졌고 ‘ㅅ’과 ‘ㄷ’이 중화된 결과 7자음 체계에 도달
2.
모음
(1)
단모음 체계
①
15세기 국어에는 ‘ㆍ ㅡ ㅣ ㅗ ㅏ ㅜ ㅓ’의 일곱 단모음이 있었음
②
각 모음의 정확한 음가 결정을 위해 국어를 외국문자로 표사한 것, 외국어를 정음 문자로 표사한 것을 자료로 사용
iㅣ
ɨㅡ uㅜ
əㅓ
oㅗ
aㅏ
ʌㆍ
(2)
이중모음 체계
①
y가 앞선 상향 이중모음 : ㅑ, ㅛ, ㅕ, ㅠ
어떤
방언에는 ‘yʌ, yɨ’가 존재
②
w가 앞선 상향 이중모음 : ㅘ, ㅝ, wi
③
하향 이중모음 : ㆎ, ㅐ, ㅔ, ㅚ, ㅟ, ㅢ
상향
이중모음 : (yʌ) ya yo yə yu (yɨ)
wa
wə wi
하향
이중모음 : ʌy ay oy əy uy ɨy iy
(3)
모음조화
①
한 단어 안에 양모음(ㆍ ㅗ ㅏ) 또는 음모음(ㅡ ㅜ ㅓ)만이 있을 수 있고 그들의 공존은 허용되지 않으며 중립 모음(ㅣ)은 어느 것과도 연결될
수 있음
②
모음으로 시작된 접미사는 모음조화의 일반 규칙을 따랐지만 자음으로 시작된 접미사들은 이를 따르지 않음
③
15세기 국어에서도 모음조화 규칙은 이미 문란해져 있었음
3.
성조
①
중세국어에는 성조가 있었으며 방점으로 표기
②
평성은 無點, 거성은 1點, 상성은 2點을 찍도록 규정하였으며 입성에 대해서는 일정한 방점을 마련하지 않음
③
상성은 저조와 고조의 복합
④
중세국어의 성조 체계는 저조와 고조의 두 평판조로 이루어진 단순한 것이었으나 성조의 기능 부담량은 결코 적지 않음
⑤
15세기 문헌의 방점 표기는 매우 정연하였으나 16세기 말엽으로 올수록 점차 문란해져서 <소학언해> 등에 오면 어떤 규칙성도 찾아볼
수 없이 소멸됨
제14강
후기 중세국어(4)
1.
조어법
(1)
복합어
①
복합명사 : 복합명사를 만드는 방법은 현대어와 별로 다름이 없음
②
복합용언 : 용언 어간이 직접 연결되어 새로운 복합용언을 만들어내는 비통사적 복합용언의 형성이 중세국어에서 매우 생산적
㉮
복합동사 : 빌먹-, 딕먹-, 것곶-, 듣보-
㉯
복합형용사 : 됴�-, 놉갑-
(2)
파생어
①
파생명사
㉮
명사에서 파생된 것 : 명사+‘-이’, ‘-억’, ‘-’, ‘-지’
예)
부이, 그려기, 아비, 어미, 터럭, 기, 숑지, 강지 등
㉯
용언 어간에서 파생된 것
동사
어간 + ‘-(/으)ㅁ’ : 여름, 사, 거름, 어름 등
동사
어간 + ‘-이’ : 우우, 죽사리, 글지 등
형용사
어간+ ‘/의’ : �, 기�, 노, 너�, 기� 등
②
파생동사
㉮
명사 어간에서 파생된 것 : -, 자히-
㉯
용언 어간에서 파생된 것 : 사동 어간과 피동 어간
ⓐ
사동 접미사 : ‘-히-’, ‘--’, ‘-ㅎ-’, ‘--’ 등
㉠
‘-히-’ : 어간 말음이 ‘ㅂ, ㄷ, ㅈ’이면 ‘-히-’(예 : 너피-, 구티-), ‘ㅁ, ㅅ’이면 ‘-기-’(예 : 숨기-, 밧기-),
‘ㅿ, ㄹ’이면 ‘-이-’(예 : 이-, 이-, 말이-), 그 밖의 자음이나 모음이면 ‘ㅣ’(예 : 셰-, 내-)로 나타남
㉡
‘--’ : 15세기 중엽 이전에는 ‘-/-’였던 것인데 그 이후에는 ‘-오/우-’로 나타남 (예 : 리-, 모도-, 일우-
)
ⓑ
피동 접미사 : 피동 어간의 용례는 중세어에 매우 적으며 접미사는 사동 어간 ‘-히-’의 경우과 거의 같음
③
파생형용사
㉮
명사 어간에서 파생된 것 : 접미사 ‘--’에 의해 형성
㉯
용언 어간에서 파생된 것 : 접미사 ‘--’, ‘--’, ‘--’ 에 의해 형성
④
파생부사
㉮
체언에서 파생된 것 : 몸, 손
㉯
용언에서 파생된 것 : 동사 및 형용사 어간 + ‘-이’, ‘-히’, ‘-오’
예)
노피, 기리, 기피, 키, 너비 / 히, 이러히/ 도로, 나 등
2.
곡용
중세국어의
곡용에서는 체언 어간이 교체를 보여준다는 것이 특기할 만한 사실
현대국어과
달리 중세국어에서는 체언도 비자동적 교체를 보여줌
(1)
ㅎ말음 명사 : 중세국어에는 ‘ㅎ’을 말음으로 가지는 명사들이 있었으며 그 단독형은 ‘돌’이었지만 곡용형은 ‘돌히, 돌해, 돌, 돌로,
돌콰’와 같음
예
: 돌, , 하, 길, 내, 시내, , 나조, 우 , 뒤, 안, 뫼, 드르, , 암, 수, 알, 고, 니마, , , 뎌, ,
밀, 조 등
(2)
비자동적 교체
①
나모(木) : 나모/
②
노(獐) : 노/놀ㅇ
③
(棟) : /ㄹ
④
아(弟) : 아/
(3)
격조사
①
주격 조사 : ㅣ(명사가 모음으로 끝날 때는 그 모음과 하향 이중모음을 형성)
현대어의
주격 ‘가’는 15세기 문헌에 나타나지 않음
②
속격 조사 : ‘-/의’는 유정물의 평칭에 ‘ㅅ’은 유정물의 존칭과 무정물에 사용
③
처격 조사 : ‘-/의’, ‘-애/에/예’
④
대격 조사 : ‘-ㄹ’, ‘-/를’
⑤
조격 조사 : ‘-로’
⑥
공동격 조사 : ‘-와/과’
⑦
호격 조사 : 존칭의 ‘-하’와 평칭의 ‘-아’
(4)
대명사의 곡용
①
1인칭 대명사 : ‘나’의 주격형과 속격형은 ‘내’로 같았으나 각각 거성과 평성으로 성조의 차이가 있음
②
2인칭 대명사 : ‘너’의 주격형과 속격형은 ‘네’로 같았으나 각각 상성과 평성으로 성조의 차이가 있음
③
미지칭 : ‘누’
④
무엇 : ‘므스, 므슥’
⑤
어느 : 현대국어에서는 관형사지만 중세국어에서는 대명사
3.
특수조사
(1)
그, 거의, 게, 손 : 속격 ‘’를 지배하였으며 평칭의 여격을 나타냄
(2)
ㄴ : 현대국어의 ‘은/는’에 해당하는 조사의 기저형
‘/은’,
‘/는’으로 나타남
(3)
장 : 속격 ‘ㅅ’을 지배, 현대어의 ‘까지, 껏’의 두 의미로 사용
(4)
자히 : 동명사에 붙어 동작 또는 상태의 지속을 의미
(5)
두고, 라와 : 비교를 나타내는 조사
(6)
셔 : ‘이시-’(有)의 부동사형에서 기원
(7)
브터, 더브러, 조차, 조초, 조쳐
(8)
다 : 고대의 어간 ‘-’(如)에서 파생된 부사가 조사로 굳어진 것 펌
070809
샛별
출처 : |
그리움이 흐르는 하얀 강 | 글쓴이 : 샛별 원글보기
|
메모 : |